KR20110011414U - 무지외반증 교정기 - Google Patents
무지외반증 교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11414U KR20110011414U KR2020100005820U KR20100005820U KR20110011414U KR 20110011414 U KR20110011414 U KR 20110011414U KR 2020100005820 U KR2020100005820 U KR 2020100005820U KR 20100005820 U KR20100005820 U KR 20100005820U KR 20110011414 U KR20110011414 U KR 2011001141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llux valgus
- present
- toe
- valgus
- big to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1—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ai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0—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지외반증 교정기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복잡한 구조의 교정기의 불편함을 해결하고, 이용이 간편한 구조의 무지외반증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무지외반증 교정기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복잡한 구조의 교정기의 불편함을 해결하고, 이용이 간편한 구조의 무지외반증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무지외반증이란 엄지발가락이 새끼발가락쪽으로 휘는 뼈의 기형으로 점차 변형이 커지고 심하면 다른 네개의 발가락도 함께 기울어지면서 발바닥에 굳은살이 박히거나 신경종등 여러 질환을 유발하고 걸음걸이에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증상이다. 무지외반증은 선천적인 요인외에 하이힐처럼 굽이 높고 앞이 뾰족하여 볼이 좁은 신발에 의한 후천적 요인으로 발생한다.
무지외반증을 수술을 통해 치료하는 경우에는, 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수술 후 몇달 동안 샌달처럼 앞이 터진 교정신발을 신거나 사회생활을 위하여 신발의 내측을 곡선으로 하지 않고 일직선으로 만들어 신발의 앞쪽 볼폭을 확장한 정형외과적으로 고안된 별도의 특수 제작된 고가의 보조구두를 신도록 되어 있다.
수술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엄지발가락이 더 이상 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발에 착용하는 위와 같은 보조기구를 지속적으로 착용하여 엄지발가락을 잡아당기게 하는 보존치료를 꾸준히 장기간 지속하여야 한다.
현재에는 무지외반증을 치료하는 보조기구는 의료용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아 일상생활 중에 착용하기에는 디자인이 부담스러웠으며, 특히 여성들이 주요한 치료대상인 관계로 조악한 디자인의 보조기구는 외면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무지외반증을 치료하는 보조기구로 국내실용신안등록 제150485호의 외반무지 교정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무지외반증 교정구는 2개 이상의 탄성밴드와 접착부재 및 기타 여러가지의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하여 착용하기가 번거로웠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서 이를 착용한 상태로 양말을 신는 것 조차 불가능하여 실내, 외에서의 활동에 많은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에서 간단히 착용하여 운동을 함으로써, 무지외반증을 치료할 수 있는 교정구를 제공하는 데이 있다. 특히 구조가 종래의 무지외반증 교정구와 달리 간단하여, 착용 및 활용이 매우 쉽고 편리한 교정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기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부(2)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 제공되며, 엄지 발가락이 삽입되는 삽입홈(4)이 제공되는 한 쌍의 삽입부(3)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4)의 내면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부(5)가 제공되며, 상기 한 쌍의 삽입홈(3)에 엄지발가락을 끼우고 외측방향으로 힘을 주어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삽입부(3)의 외측면에는 둘째 발가락이 안착될 수 있는 홈(6)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에서 간단히 착용하여 운동을 함으로써, 무지외반증을 치료할 수 있는 교정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구조가 종래의 무지외반증 교정구와 달리 간단하여, 착용 및 활용이 매우 쉽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기의 실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기의 실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무지외반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제1중족 발가락 관절 안쪽의 돌출 부위(건막류)의 통증이다. 이 부위가 신발에 자극을 받아 두꺼워지고 염증이 생겨 통증이 발생한다. 이차적으로는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발가락의 발바닥 쪽에 굳은 살이 생기고 통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심한 경우에는 두 번째 발가락이 엄지 발가락과 겹쳐지거나 관절이 탈구되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둘째 발가락 쪽으로 휘어진 엄지 발가락을 바깥쪽으로 당기는 운동을 하고, 이를 통해 엄지 발가락과 연결된 중족골을 바깥쪽으로 당기는 운동이 필요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서 이러한 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부(2)와, 연결부의 양단에 제공되며, 엄지 발가락이 삽입되는 삽입홈(4)이 제공되는 한 쌍의 삽입부(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삽입홈(3)에 엄지발가락을 끼우고 외측방향으로 힘을 주어 운동하는 엄지 발가락과 연결된 중족골을 외측으로 당기는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삽입홈(4)의 내면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부(5)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엄지 발가락이 딱딱한 삽입홈(4)과 접촉하게 되어 피부가 벗겨지는 등의 상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는 탄성소재(가죽, 섬유, 합성수지)의 외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삽입부(3)는 고리 형상이 바람직하나, 사각형상 등이 되어도 무방하다. 삽입홈(4) 역시 엄지 발가락(100)이 끼워지는 곳으로서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3)의 외측면에는 둘째 발가락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6)가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둘째 발가락이 삽입부(3)의 외측면과 접촉하여 직접적인 힘을 받지는 않는다고 하더라도 볼록한 형상으로 된 경우에는 둘째 발가락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안착홈(6)은 완만하게 오목한 형상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삽입부(3) 또는 연결부(2)의 두께가 얇게 표현되어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두께가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삽입홈(4)에 엄지 발가락이 삽입되어 운동을 하는 경우, 삽입홈(4)과 엄지 발가락이 접하는 면적이 클수록 엄지 발가락에 가해지는 압력이 분산되어 통증이 덜하게 된다. 따라서 단면적이 크게 즉, 삽입홈(4)이 다소 깊게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면, 삽입홈(4)의 둘째 발가락이 위치한 면에 홈(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홈(4)이 다소 타원의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는 엄지 발가락의 크기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이며, 무지외반증의 증상이 심한 정도에 따라 엄지 발가락(100)과 둘째 발가락(101) 사이의 간극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홈(7)에는 부메랑 형상의 완충부재(8)가 마련되어 삽입된다. 완충부재(8)는 그 크기가 다양하게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부재(8)의 돌출된 방향을 상기 홈(7)에 삽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4는 이러한 완충부재(8)를 홈(7)에 삽입한 후의 무지외반증 교정기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삽입된 완충부재(8)의 크기에 따라 삽입홈(4)의 공간의 변하게 되고, 둘째 발가락(101)과의 사이 간극이 변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삽입홈의 내측에는 전체적으로 홈이 형성되고, 원형의 완충부가 홈에 끼워져서 제공될 수 있다. 즉, 삽입홈의 전체의 면에 완충부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기에 엄지 발가락(100)을 삽입하여 운동을 하는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엄지 발가락(100)을 삽입한 후에 엄지 발가락(100)에 힘을 주어 바깥쪽으로 당기는 운동을 반복적으로 행한다.
본 고안은 평상시에 착용을 하고 다는 교정기가 아니라, 집에서 쉬는 도중에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교정기로서의 장점이 있다. 즉, 종래의 교정기가 가지고 있었던, 복잡한 구조로 인해 착용의 어려움이 있는 점을 극복하기 위해 단순화한 구조로 제공하면서 큰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6에서 양측의 삽입부(3)를 연결하는 연결부(2) 간의 거리 및 비율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연결부(2)의 길이는 더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오히려, 무지외반증의 치료를 위해서는 연결부(2)의 거리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연결부(2)가 없이 삽입부(3)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삽입부(3)가 접하는 부분을 연결부(2)라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본 고안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가 정해짐을 밝혀둔다.
2 : 연결부, 3 : 삽입부, 4 : 삽입홈, 5 : 완충부, 6 : 안착홈, 7 : 홈, 8 : 완충부재, 100 : 엄지 발가락, 101 : 둘째 발가락
Claims (2)
- 무지외반증의 엄지발가락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기이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 제공되며, 엄지 발가락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제공되는 한 쌍의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의 내면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부가 제공되며,
상기 한 쌍의 삽입홈에 엄지발가락을 끼우고 외측방향으로 힘을 주어 운동하는,
무지외반증 교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외측면에는 둘째 발가락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된,
무지외반증 교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5820U KR200465942Y1 (ko) | 2010-06-04 | 2010-06-04 | 무지외반증 교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5820U KR200465942Y1 (ko) | 2010-06-04 | 2010-06-04 | 무지외반증 교정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1414U true KR20110011414U (ko) | 2011-12-12 |
KR200465942Y1 KR200465942Y1 (ko) | 2013-03-19 |
Family
ID=5136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5820U KR200465942Y1 (ko) | 2010-06-04 | 2010-06-04 | 무지외반증 교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594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3296A (ko) * | 2020-12-27 | 2022-07-05 | 서호양 | 무지외반증 교정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7597B1 (ko) | 2019-01-18 | 2019-04-09 | 이승호 | 엄지발가락 변형 방지를 위한 하이힐용 갑피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34759A (ja) * | 1997-02-20 | 1998-09-08 | Masatoshi Sugawara | 外反母し矯正治具 |
JP3099506U (ja) * | 2003-07-28 | 2004-04-08 | 秋田 守 | 外反母趾及び内反小趾のリハビリ用具 |
-
2010
- 2010-06-04 KR KR2020100005820U patent/KR20046594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3296A (ko) * | 2020-12-27 | 2022-07-05 | 서호양 | 무지외반증 교정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5942Y1 (ko) | 2013-03-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92304B2 (en) | Orthopedic device for mechanical treatment of hallux valgus | |
US9421117B1 (en) | Ankle brace that heals and supports the plantar fascia and Achilles tendon | |
KR102007740B1 (ko) | 무지외반증 교정 및 보정용 신발 갑피 | |
ES2721200T3 (es) | Férula ortopédica de marcha que tiene una suela curvada | |
US20060161090A1 (en) | Heel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 |
KR101709736B1 (ko) | 발가락 교정기를 갖는 깔창 | |
KR101709735B1 (ko) | 발가락 교정기 | |
KR200390011Y1 (ko) | 발가락 교정구 | |
KR200437328Y1 (ko) |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가락 교정을 위한 신발 | |
KR200465942Y1 (ko) | 무지외반증 교정기 | |
KR20180000998U (ko) | 탄력밴드를 이용한 무지외반증 교정기 | |
KR101228491B1 (ko) | 발가락 교정용 발가락 신발 | |
KR20120051105A (ko) | 발가락 교정장치 | |
KR20120032093A (ko) |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 | |
KR101995105B1 (ko) | 발가락 교정구 | |
JP5249463B1 (ja) | 外反母趾による痛み解消を目的とした靴下 | |
KR101590528B1 (ko) | 소건막류용 발가락 교정기 | |
TWI569854B (zh) | Healthy feet | |
KR200378623Y1 (ko) | 무지외반증 교정기 | |
KR200441275Y1 (ko) | 플립플랍형 샌들 및 갑피 덮개형 신발을 조합한 무지외반증 교정화 | |
KR200265494Y1 (ko) | 무지외반증 교정신발 | |
CN101234049A (zh) | 拇趾外翻矫正治疗凉鞋 | |
KR100840224B1 (ko) | 발 교정기 | |
KR20130044685A (ko) | 발가락 교정장치 | |
CN220025332U (zh) | 一种脚趾骨折固定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