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394A - The wireless hearing aid where the frequency range by output control is possible - Google Patents

The wireless hearing aid where the frequency range by output control is possi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394A
KR20110011394A KR1020090069018A KR20090069018A KR20110011394A KR 20110011394 A KR20110011394 A KR 20110011394A KR 1020090069018 A KR1020090069018 A KR 1020090069018A KR 20090069018 A KR20090069018 A KR 20090069018A KR 20110011394 A KR20110011394 A KR 20110011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equency
microphone
wireless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0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55780B1 (en
Inventor
김선호
Original Assignee
김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호 filed Critical 김선호
Priority to KR1020090069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780B1/en
Publication of KR20110011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3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7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PURPOSE: A wireless hearing aid is provided to help a user to select optimum frequency by dividing an input sound into each frequency band. CONSTITUTION: A microphone part(110) receives an external voice signal. A transform unit(120) converts the analog signal inputted from the microphone into a digital signal. First and second frequency controlling elements(131,132) divide the digital signal into each frequency. First and second output controlling elements(141,142) control the output at each frequency. First and second radio frequencies(151,152) transmit a combined digital signal to a receiver module. A user interface receives a command from a user. A microphone module controller(160) controls each part through the command of a user interface. A wireless receiving unit(250) receives the digital signal of the microphone module. . A receiver module control part(210) changes the digital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Description

주파수 대역별 출력 조절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The wireless hearing aid where the frequency range by output control is possible}The wireless hearing aid where the frequency range by output control is possible}

본 발명은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를 사용하여 소리를 취합하고 이를 증폭시키되 주파수 별로 출력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난청대역에 따른 소리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하고, 마이크모듈과 리시버모듈을 분리하여 무선으로 연결시킴으로써 귀에 직업 착용하는 부분의 크기를 최소화 함과 동시에 다양한 기술적 부가가 가능하도록 하는 주파수 대역별 출력 조절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and more specifically, by using a microphone to collect the sound and amplify it to adjust the output degree for each frequency to compensate for the sound according to the hearing loss band, the microphone module and receiver modu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hearing aid capable of controlling output by frequency band to minimize the size of the part worn by the ear and to wirelessly connect various parts.

일반적으로 보청기는 난청을 보충하기 위해 귀에 장착하는 기구로서, 소리를 마이크로 수집하여 이를 증폭시켜 귀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In general, a hearing aid is a device that is attached to the ear to compensate for hearing loss, and collects a microphone, amplifies it, and delivers it to the ear.

기존에 사용되는 보청기는 거의 대부분 리시버 및 마이크, 증폭기, 스피커가 한번에 형성된 일체형으로, 크기 제약으로 인하여 다양한 기술적 구현이 어렵고, 착용자에게 물리적 심리적 부담을 주며,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다. Most of the hearing aids used in the past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receiver, a microphone, an amplifier, and a speaker at one time, and due to size constraints, various technical implementations are difficult, physical and psychological burden to the wearer, and manufacturing costs increase.

한편, 어떤 사람에게서 난청은 두 쪽 귀 모두에서 발현되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에게서는 한쪽 귀에서만 발현된다. 또한, 두 쪽 귀 모두에서 난청이 발생하는 경우에고 그 난청상태나 정도가 서로 다른 것이 보통이다.On the other hand, in some people, deafness is expressed in both ears, but in others, it is expressed in only one ear. In addition, when hearing loss occurs in both ears, it is common for the hearing loss and the degree of hearing loss to be different.

최근에 보청기는 전기적으로 음을 적절한 상태로 증폭하는 전기 보청기가 주로 쓰인다. 보청기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난청자의 청력 손실 정도에 따라 보청기의 주파수 대역별 증폭도를 조절해야 한다. 이 난청자의 청력 손실 정도는 청력 검사를 통해 측정하며, 이 청력 손실 정도는 주파수 대역별로 다르기 때문에 청력 검사시 주파수 대역별 청력 손실을 측정하여 그에 맞는 보청기를 제작한다.Recently, hearing aids are mainly used for electric hearing aids that electrically amplify the sound to an appropriate state. In order to use a hearing aid,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hearing aid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aring loss of the hearing aid. The hearing loss of the deaf person is measured through a hearing test. Since the hearing loss is different for each frequency band, the hearing loss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 and the hearing aid is manufactured accordingly.

종래에는 난청자마다의 주파수 대역별 청력 손실과 그에 따른 보청기의 증폭도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그리고, 임의의 난청자가 보청기를 맞출 경우, 청력 검사를 통해 주파수 대역별 청력 손실을 측정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난청자와 유사한 정도의 청력 손실을 가진 사람들의 증폭도 평균값을 바탕으로 해당 난청자의 보청기 증폭도를 결정한다.Conventionally, the hearing loss of each hearing band and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hearing aid are stored in a database to obtain an average value. And, if any deaf person fits the hearing aid, the hearing loss is measured by hearing test for each frequency band, and the database is based on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hearing loss of those with similar hearing loss to the hearing aid. Determine the degree of amplification.

즉, 종래에는 난청자 개인의 라우드니스(loudness)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 청력 손실이 유사한 사람들의 보청기 증폭도 평균값을 바탕으로 해당 난청자의 보청기 증폭도를 설정하였다.That is, conventionally, the hearing aid amplification degree of the hearing loss was set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the hearing aid amplification of people with similar hearing loss without directly measuring the loudness of the hearing loss individual.

그러나, 난청자의 청력 검사 결과인 주파수 대역별 청력 손실이 같다고 하더라도 개인에 따라 음을 인지하고 받아들이는 경향 즉, 개인별 음향 인지 특성에 따라 주관적인 느낌의 판단이 다르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별 청력 손실에 따른 증폭 도 평균값을 기준으로 개인별 보청기의 증폭도를 맞추면 개인적으로 증폭도가 맞지 않아서 불쾌감을 호소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though hearing loss of each hearing band is the same as the hearing loss result of hearing loss, amplification according to hearing loss by frequency band is because the judgment of subjective feeling is different according to individual's acoustic recognition characteristics. When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individual hearing aids is adjusted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the individual, the amplification degree is not matched personally, which causes a lot of complaint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초기 맞춤을 한 보청기를 착용한 난청자가 일정 기간 착용한 후에 청음시의 불편을 제기하면 주파수 대역별로 해당 난청자의 개별적인 청력 특성과 불편함을 재반영하여, 임상적으로 보청기의 증폭도를 재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증폭도 재설정도 일정한 규칙이 없이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난청자의 개인별 음향 인지 특성에 최적으로 맞추기 힘들며 재설정 후 다시 조정할 필요가 생기는 등, 난청자들의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case of hearing loss wearing a hearing aid with an initial fit, the hearing loss after wearing 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reflects the individual hearing characteristics and discomfort of the hearing loss by frequency band, and clinically The method of resetting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hearing aid was used. However, since the amplification degree reset is also arbitrarily adjusted without a certain rule, it is difficult to optimally adjust to the individual acoustic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impaired,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the inconvenience of the hearing impaired people, such as the need to adjust again after the reset.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마이크모듈과 리시버모듈을 분리하여 이를 무선연결함으로써 리시버모듈의 크기를 줄여 사용자의 물리적, 심리적 부담을 최소화 시키고, 크기에 제약이 없어진 마이크모듈에는 넓어진 공간에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주파수 대역에 따른 출력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난청장의 난청상태나 정도가 다르더라도 순쉽게 난청문재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 대역별 출력 조절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by separating the microphone module and the receiver module by wireless connection to reduce the size of the receiver module to minimiz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burden of the user, there is no restriction in size In the microphone module, various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in a wider space, and the frequency band allows easy adjustment of the output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 as needed so that the hearing loss material can be easily improved even if the hearing loss status or degree of hearing loss is differe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hearing aid capable of adjusting outpu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의 음성신호를 받아들이는 마이크부; 상기 마이크부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로부터 만들어진 디지털 신호를 받아 주파수 대역별로 채널을 나누는 제1주파수조절부 및 제2주파수조절부; 상기 각각의 주파수 조절부로부터 나눠진 채널의 주파수 대역별 출력을 조절하는 제1출력조절부 및 제2출력조절부; 상기 각각의 각 채널별로 나눠진 주파수를 합하는 주파수 합산부; 상기 주파수 합산부로부터 합산된 디지털 신호를 리시버모듈로 무선송신하는 제1무선송신부 및 제2무선송신부; 사용자에 의해 주파수 대역을 선택 및 출력조절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의한 명령을 통하여 각 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모듈제어부; 및 상기 마이크모듈의 각 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마이크모듈 전원부;를 구비하는 마이크모듈과, 상기 마이크모듈로부터 무선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 상기 무선수신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해석 및 신호처리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리시버모듈 제어부; 상기 리시버모듈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를 사람의 귀에서 인식가능한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리시버모듈의 각 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리시버모듈 전원부;를 구비하는 리시버모듈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icrophone unit for receiving an external voice signal; A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into a digital signal and removing noise; A first frequency adjusting unit and a second frequency adjusting unit for dividing a channel for each frequency band by receiving the digital signal generated by the converting unit; A first output control unit and a second output control unit for adjusting output for each frequency band of a channel divided from each frequency control unit; A frequency summing unit for adding up the divided frequencies for each channel; A first wireless transmitter and a second wireless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digital signals summed from the frequency adder to a receiver module; A user interface unit for selecting a frequency band and receiving an output control command by a user; A microphone module control unit controlling each unit through a command by the user interface unit; And a microphone modul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unit of the microphone module; and a wireless receiver unit for receiving a digital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module. A receiver module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ceiver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analyzing and processing the signal; A speaker unit for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er module controller into a sound recognizable by a human ear; And a receiver module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unit of the receiver module.

한편,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는 제1주파수조절부 및 제2주파수조절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버튼과, 선택된 주파수조절부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조절다이얼과, 제1출력조절부 및 제2출력조절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버튼과, 선택된 출력조절부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출력조절다이얼과, 상기 조절상태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버튼과, 무선송신부가 무선수신부를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버튼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interface is a selection button to select the first frequency control unit and the second frequency control unit, a frequency control dial to adjust the frequency of the selected frequency control unit, the first outpu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output control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the unit, an output control dial for adjusting the output of the selected output control unit, a storage button for storing the control state, and a connection button for allowing the wireless transmitter to select and connect the wireless receiver. Include.

또한, 조절된 주파수 대역별 출력값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부; 주파수 및 출력, 무선송신기 상태등을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adjusted output value for each frequency band; It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frequency and output, the status of the radio transmitter.

또한, 상기 마이크모듈은 시계형, 목걸이형, 혁대형, 헤어밴드형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혹은 기존의 상용화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각종 개인정보통신단말기들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microphone module may be manufactured in a watch type, a necklace type, a belt type, a hair band type or the like, or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conventional commercial mobile terminal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To be coupled to the terminals.

또한, 마이크부를 두 개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중 선택된 하나의 마이크부는 마이크모듈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방향성 개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wo microphones may be installed, and one of the selected microphones may be connected with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o adjust the length of the microphone module to improve directionalit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모듈과 리시버모듈을 분리하여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리시버모듈의 크기를 작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의 노출을 최소화 함으로써 미관이나 사용편의성 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일체형보다 마이크모듈의 크기에 대한 제약이 사라져 다양한 기술의 추가적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phone module and the receiver module can be separated and connected wirelessly, so that the size of the receiver module can be made small, thereby minimizing the exposure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aesthetics and ease of use. The restriction on the size of the microphone module is eliminated than the one-piece type, so that it is possible to add various technologies.

또한, 리시버모듈의 크기가 작음으로 인하여 귀를 전부 막지 않을 수 있어 귀의 폐색감이나 귓속 통풍 개선은 물론 청음방향성 향상 등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receiver module may not block all of the ears can implement a variety of effects, such as improving the ear occlusion or whistle ventilation, as well as improve the hearing direction.

또한, 입력되는 소리를 주파수 대역별로 나누어 난청자가 잘 듣지 못하는 주파수대역을 직접 선택하고 출력 정도를 조절하여 증폭시킬 수 있어 난청자의 난청정도에 따라 직접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dividing the input sound into frequency bands can be amplified by directly selecting the frequency band that the hearing loss does not hear well, and by adjusting the output degree can be easily adjusted direc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hearing loss of the hearing loss, there is a convenient effect in use.

또한, 마이크부를 두개 설치하고, 그 중 하나를 마이크모듈과 유/무선연결하되,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마이크부를 좌우 양쪽에 설치함으로써 소리의 방향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two microphones, one of them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module, wired / wireles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and by installing the microphone on both sides, there is an effect to improve the direction of the soun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인 주파수 대역별 출력 조절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의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인 주파수 대역별 출력 조절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의 주파수 조절부, 출력조절부 및 합산부를 나타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인 주파수 대역별 출력 조절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4 는 도 3 의 블럭도에 의한 보청기의 사용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hearing aid capable of output adjustment for eac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requency adjusting unit, an output control unit and a summation unit of a wireless hearing aid capable of controlling output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wireless hearing aid capable of adjusting the output of eac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use of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block diagram of FIG.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외부의 소리를 입력받아 전기적 소리정보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마이크모듈(100); 및 상기 마이크모듈로부터 무선 전송된 전기적 소리정보를 수신하고 해석 및 신호처리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리시버모듈(200);을 포함하며, 마이크모듈(100)을 통하여 마이크부에서 양쪽귀에 삽입되는 각각의 리시버로 전송되는 각각의 소리에 대한 주파수를 대역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includes: a microphone module 100 for receiving an external sound, converting it into electrical sound information, and wirelessly transmitting it; And a receiver module 200 for receiving, interpreting, and signal-processing electrical sound information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module and outputting the sound as a sound. Each receiver is inserted into both ears at the microphone unit through the microphone module 100. The frequency for each sound transmitted to the band can be adjusted.

상기 마이크모듈(100)은 외부의 소리를 수집하고 필터링과 같은 신호처리를 하여 전기적 소리정보를 만든 다음 전기적 소리정보의 주파수를 난청자의 특성에 맞도록 변환하여 이 전기적 소리정보를 무선송신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크게 마이크부(110), 변환부(120), 제1,2주파수조절부(131,132), 제1,2출력조절부(141,142), 제1,2무선송신부(151,152)), 사용자인터페이스부(160), 디스플레이부(170), 마이크모듈제어부(180), 저장부(190) 마이크모듈전원부(191)로 나뉜다.The microphone module 100 collects the external sound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such as filtering to produce electrical sound information, and then converts the frequency of the electrical sound information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impaired. The microphone unit 110, the converter unit 120,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control units 131 and 132, the first and second output control units 141 and 142,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transmitters 151 and 152, and the user The interface unit 160, the display unit 170, the microphone module control unit 180, the storage unit 190 is divided into a microphone module power supply 191.

상기 마이크부(110)는 마이크를 비롯한 마이크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포함 한다. The microphone unit 110 includes a power source for operating a microphone, including a microphone.

한편,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는 필요에 따라 2개의 마이크(111, 112)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마이크를 사용하면 잡음제거, 방향성 개선 및 소리증폭효과 등에서 보다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마이크 중 하나를 선택하여 마이크모듈(100)과 유/무선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유선의 경우는 본체 내부에 숨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microphone may use two microphones 111 and 112 or more as necessary. By using two or more microphones, you can achieve better effects such as noise reduction, directionality improvement and sound amplifica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one of two microphones may be selected to be connected to the microphone module 100 and wired / wireless, and the wired case may be hidden inside the main body.

한편, 상기 마이크별로 각각의 변환부를 두어 마이크별로 소리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체의 마이크로 들어오는 소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들어오는 소리를 따로 처리함으로써 소리의 방향성 인지 기능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마이크는 마이크모듈(100)과 반대방향 즉, 마이크모듈을 허리 오른쪽에 착용했다면 마이크모듈(100)과 연결된 마이크를 허리 왼쪽에 착용하는 등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여 소리의 방향성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by placing the respective conversion unit for each microphone to process the sound signal for each microphone by separately processing the sound coming into the microphone of the microphone and th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microphone to enhance the directional recognition function of the sound. That is, when the microphone is wor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icrophone module 100, that is, the microphone module is worn on the right side of the waist, the 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module 100 by wearing the microphone on the left side to select an appropriate position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sound can be known. It is.

상기 변환부(120)는 마이크부(110)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잡음 등을 제거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두개로 분리하여 제1주파수조절부(131)와 제2주파수조절부(132)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마이크가 다수개 사용되었을 경우 변환부(120)는 사용된 마이크의 개수대로 설치될 수 있으며, 마이크의 위치에 따른 각각의 음성신호를 변화하여 제1주파수조절부(131) 및 제2주파수조절부(132)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verting unit 120 converts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unit 110 into a digital signal from which noise is removed, and separates the converted signal into two, and thus, the first frequency adjusting unit 131 and the second frequency adjusting unit. Enable signal transmission to 132. 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microphones are used, the conversion unit 120 may be installed as the number of used microphones, and the first frequency control unit 131 and the second frequency by changing each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The control unit 132 to be transmitted.

상기 제1주파수조절부(131) 및 제2주파수조절부(132)는 상기 변환부(120)로부터 들어오는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저음, 중음, 고음 등의 다채널로 분할하여 각각의 채널로 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 사용자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60)을 통하여 분할된 채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채널의 출력조절명령을 사용자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전달할 수 있다. The first frequency adjusting unit 131 and the second frequency adjusting unit 132 divide the digital signal from the converter 120 into multiple channels such as low, middle, and high frequencies based on the frequency band, respectively, to each channel.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The user may select a divided channel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60 and transmit an output control command of the selected channel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60.

상기 제1주파수조절부(131) 및 제2주파수조절부(132)를 통하여 분할된 각각의 채널을 선택되고, 선택된 채널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1출력조절부(141) 및 제2출력조절부(142)를 구비한다. Each channel divided by the first frequency adjusting unit 131 and the second frequency adjusting unit 132 is selected, and the first output adjusting unit 141 and the second outpu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output of the selected channel. The unit 142 is provided.

상기 제1출력조절부(141) 및 제2출력조절부(142)는 제1주파수조절부(131) 및 제2주파수조절부(132)로부터 분할된 채널별 증폭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인터페이스부(160)에 의하여 출력을 조절할 주파수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의 증폭정도를 사용자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의 난청정도에 맞도록 조절된 최종 증폭정도를 저장하여 추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output control unit 141 and the second output control unit 142 to adjust the amplification degree for each channel divided from the first frequency control unit 131 and the second frequency control unit 132, the user interface The unit 160 selects a frequency channel to adjust the output and adjusts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selected channel to suit the user. On the other hand, it stores the final amplification degree adjusted to the degree of hearing loss of the user so that it can be us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상기 합산부(143)는 다수의 채널로 분리되여 채널별로 증폭정도가 정해진 각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합산하는 것으로, 최초에 마이크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로 복원하기 위하여 각 채널의 신호를 합산하는 것이다. The adder 143 separates a plurality of channels and adds signals of each frequency band whose amplification degree is determined for each channel, and sums the signals of each channel to restore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unit. .

상기 제1무선송신부(151)와 제2무선송신부(152)는 주파수와 출력이 조절된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접속할 리시버모듈(200)의 무선수신부(250)와 접속하여 연결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무선송신부(151)에서 무선수신부를 검색하여 무선수신부(250)가 검색되었다면 제1무선수신부(251)와 접속을 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무선송신부와 하나의 무선수신부만이 연결하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first wireless transmitter 151 and the second wireless transmitter 152 to transmit a radio frequency and the output signal is adjusted, the wireless receiver of the receiver module 200 to be conn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160 ( 250) to set up the connection. That is, if the wireless receiver 250 is searched by the first wireless transmitter 151 and the wireless receiver 250 is found, the first wireless transmitter 251 connects to the first wireless receiver 251 so that only one wireless transmitter and one wireless receiver are connected to signal the signal. It is to be able to deliver.

한편 상기 마이크모듈(100)의 제1,2무선송신부(151,152)와 리시버모듈(200)의 무선수신부(250)간의 무선송신 프로토콜로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한 현재까지 상용화된 여러 가지 방식의 무선통신 프로토콜이 될 수 있으며, 차후 개발되는 무선통신 프로토콜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지그비란 IEEE-SA에 의해 승인된 802.15 규격에 기반한 통신프로토콜로서, 868MHz, 902~928MHz 및 2.4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무선 개인 영역 통신망 규격이며, 지그비를 사용하면 무선 개인영역 통신망 내에서 통상 50m 이내의 거리에서 떨어져 있는 주변장치들 간에 최고 250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는 1994년 에릭슨에 의해 최초로 개발된 개인 근거리 통신(PANs)을 위한 산업표준으로서 IEEE 802.15.1 규격이라고도 불리며, 2.45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다양한 장치들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한다.Meanwhile, as a wireless transmission protoco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transmitters 151 and 152 of the microphone module 100 and the wireless receiver 250 of the receiver module 200, Zigbee and Bluetooth have been commercialized. It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of various methods,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developed later may also be applied. Here, Zigbee is a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the 802.15 standard approved by IEEE-SA, and is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standard operating in the 868 MHz, 902 to 928 MHz, and 2.4 GHz bands, and when using Zigbee, it is usually within 50m within th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You can send and receive data at speeds of up to 250kbps between peripheral devices at distances of up to. Bluetooth is the industry standard for personal local area communications (PANs), first developed by Ericsson in 1994, also known as the IEEE 802.15.1 standard, which support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between various devices using the 2.45 GHz frequency band.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160)는 제1주파수조절부(131) 및 제2주파수조절부(132) 선택 또는 선택된 주파수조절부의 주파수별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과, 선택된 주파수별 채널의 주파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출력조절다이얼과, 상기 조절상태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버튼과, 무선송신부가 무선수신부를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연결버튼을 구비한다. The user interface unit 160 selects the first frequency controller 131 and the second frequency controller 132 or selects a button for selecting a frequency-specific channel of the selected frequency controller, and outputs a frequency output of the channel for each selected frequency. An output control dial that can be adjusted, a storage button for storing the adjustment state, and a wireless connection button for allowing the wireless transmitter to select and connect the wireless receiver.

상기 마이크모듈제어부(180)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160)의 선택버튼 및 주파수 조절다이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받아 이를 선택된 주파수조절부 및 출력조절부로 전송하여 주파수조절 및 출력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조절상태를 디스플레이부로 보내어 그림이나 숫자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최종으로 조절된 상태를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부(160)의 저장버튼의 신호를 받아 형성된 주파수와 출력정도를 저장부로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The microphone module controller 180 receives a signal input from a selection button and a frequency control dial of the user interface unit 16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a selected frequency control unit and an output control unit to perform frequency adjustment and output adjustment, Send the adjustment status to the display for display in pictures or numbers. In addition, in order to store the finally adjusted state to receive the signal of the storage button of the user interface unit 160 and transmits the formed frequency and the degree of output to the storage to be stored.

즉,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160)는 제1주파수조절부와 제2주파수조절부중 한가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을 사용하여 주파수조절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태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하여 나타낸다. 또한,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다이얼을 통하여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주파수의 변환정도를 마이크모듈제어부(18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나타내도록 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70)를 보면서 자신에게 맞는 주파수를 선정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저장버튼을 이용하여 주파수값을 저장부(190)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user interface unit 160 selects the frequency controller using a button for selecting one of the first frequency controller and the second frequency controller, and the selected state is indicated through the display unit 17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requency through the dial for adjusting the frequency, and to display the conversion degree of the frequency on the display unit 170 through the microphone module control unit 180. The user can select and adjust a frequency suitable for themselves while looking at the display unit 170, and store the frequency value in the storage unit 190 by using the save button.

또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1출력조절부(141)와 제2출력조절부(142)중 한가지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을 사용하여 출력조절부를 선택하고, 출력정도를 조절하는 다이얼을 통하여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출력정도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하여 나타내어 사용자가 편하게 출력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절된 출력값은 저장버튼을 이용하여 저장부(19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output control unit is selected using a button for selecting one of the first output control unit 141 and the second output control unit 142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adjusts the output through a dial for adjusting the output accuracy. To help. In addition, the output degre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70 to allow the user to conveniently adjust the output. In addition, the adjusted output valu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0 by using the storage button.

상기 저장부(190)는 사용자가 조절한 주파수값 및 출력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추후 사용자가 이 주파수값과 출력값을 원할 경우 마이크모듈제어부(180)를 통하여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torage unit 190 may store the frequency value and the output value adjust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frequency value and the output value any time through the microphone module controller 180 later.

상기 마이크모듈 전원부(430)는 마이크모듈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microphone module power supply unit 430 serves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microphone module.

한편, 상기 마이크모듈(100)은 시계형, 목걸이형, 혁대형, 헤어밴드형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혹은 기존의 상용화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각종 개인정보통신단말기들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즉,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마이크가 내장되어 있고 리시버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무선송신기능이 있으므로, 핸드폰, PDA 등의 개인정보통신단말기들에 본 발명의 보청기 장치 중 마이크모듈을 내장시키면 개인정보통신단말기가 마이크모듈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icrophone module 100 may be manufactured in a watch type, necklace type, belt type, hair band type or the like, or various kinds of existing commercially avail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It can also be coupled to personal digital assistants. That is, since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built-in microphone and has a wireless transmission func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er module, when the microphone module of the hearing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a perso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perso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The terminal may als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microphone module.

한편, 도 5 는 본 발명인 주파수 대역별 출력 조절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의 다른 실시예인 한쪽 사용 블록도를 나타내며,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모듈은 외부의 음성신호를 받아들이는 마이크부; 상기 마이크부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로부터 만들어진 디지털 신호를 받아 주파수 대역별로 채널을 나누는 주파수조절부; 상기 주파수조절부로부터 나눠진 채널의 주파수 대역별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부; 상기 각 채널별로 나눠진 주파수를 합하는 합산부; 상기 합산부로부터 합산된 디지털 신호를 리시버모듈로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 사용자에 의해 주파수 대역을 선택 및 출력조절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의한 명령을 통하여 각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모듈제어부; 및 상기 마이크모듈의 각 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마이크모듈 전원부;를 구비하여 한쪽 귀 사용 용도로 만들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5 shows a block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another embodiment of a wireless hearing aid capable of adjusting the output of the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icrophone module for receiving an external voice signal;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analog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unit into a digital signal; A frequency adjusting unit for dividing a channel for each frequency band by receiving the digital signal generated by the converting unit; An output control unit for adjusting output for each frequency band of the channel divided from the frequency control unit; An adder for adding up the divided frequencies for each channel; A wireless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digital signal summed from the adder to a receiver module; A user interface unit for selecting a frequency band and receiving an output control command by a user; A microphone module control unit controlling each unit through a command by the user interface unit; And a microphone modul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unit of the microphone module.

리시버모듈(200)은 상기 마이크모듈(100)에서 무선으로 전달되는 전기적 소리정보를 받아서 소리로 변환한 다음 귀의 기도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크게 무선수신부(250), 스피커부(220), 리시버모듈 제어부(210) 및 리시버모듈 전원부(291)로 나뉜다.The receiver module 200 is responsible for a function of receiving electrical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microphone module 100, converting the sound into a sound, and then transmitting the sound to the airway of the ear. The receiver 200 and the speaker unit 220 are large. It is divided into a receiver module control unit 210 and a receiver module power supply unit 291.

상기 무선수신부(250)는 마이크모듈(100)에서 선택되어 제1무선송신부(151) 또는 제2무선송신부(152)중 한가지 송신부에만 연결되며 무선송신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한번에 한가지의 송신부와 연결하여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wireless receiver 250 is selected by the microphone module 100 and is connected to only one transmitter of the first wireless transmitter 151 or the second wireless transmitter 152 and serves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In other words, it is connected to one transmitter at a time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상기 스피커부(220)는 착용자에게 소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소리는 무선수신부(250)에서 수신된 전기적 소리정보를 리시버모듈 제어부(210)가 소리로 변환한 신호로서, 상기 소리정보는 난청인의 난청정도에 맞도록 주파수 변환된 음향신호이다. The speaker unit 220 provides a sound to the wearer, wherein the sound is a signal in which the receiver module controller 210 converts the electrical sou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ceiver 250 into a sound, and the sound information is deafness. The sound signal is frequency-converted to meet the degree of hearing loss.

상기 리시버모듈 제어부(210)는 스피커부(220), 무선수신부(250) 및 리시버모듈 전원부(291)를 구동하고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무선 수신된 전기적 소리정보를 소리로 변환한다. The receiver module controller 210 drives the speaker 220, the wireless receiver 250, and the receiver module power supply 291,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unit, and converts wirelessly received electrical sound information into sound.

상기 리시버모듈 전원부(291)는 리시버모듈(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receiver module power supply unit 291 serves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receiver module 200.

상기 리시버모듈(200)은 난청자의 양쪽 귀에 각각 착용되며, 각각 착용된 리시버모듈의 무선수신부는 마이크모듈의 제 1 무선송신부(151)와 제 2 무선송신 부(152)중 연결된 무선송신부의 송신 신호만을 각각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다. 즉, 제 1 무선송신부(151)와 연결되어 있는 무선수신부(250)를 제1무선수신부라고 한다면 마이크모듈의 변환기로부터 변환되어 제1주파수조절부(131)를 통하여 주파수가 조절되고, 제1출력조절부(141)를 통하여 출력이 조절되어 제1무선송신부(151)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만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같은 방식으로 제 2 무선송신부(152)와 연결되어 있는 무선수신부(250)를 제2무선수신부라고 한다면 변환기로부터 변환되어 제2주파수조절부(132)를 통하여 주파수가 조절되고, 제2출력조절부(142)를 통하여 출력이 조절되어 제2무선송신부(152)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만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두 신호간의 간섭 및 혼선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The receiver module 200 is worn on both ears of the hearing impaired, respectively, and the wireless receiver of the worn receiver module is a transmission signal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wireless transmitter 151 and the second wireless transmitter 152 of the microphone module. Make sure each bay accepts. That is, if the wireless receiver 250 connected to the first wireless transmitter 151 is called the first unattended receiver, it is converted from the converter of the microphone module and the frequency is adjusted through the first frequency controller 131, and the first output. The output is adjusted through the adjusting unit 141 to receive only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wireless transmitter 151. In the same manner, if the wireless receiver 250 connected to the second wireless transmitter 152 is called the second unattended receiver, the frequency is controlled by the second frequency controller 132 after being converted from the converter, and the second output controller The output is adjusted through 142 to receive only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wireless transmitter 152 so that there is no interference and crosstalk between the two signals.

즉, 사용자는 양쪽 귀의 난청정도가 각각 다르게 되는 경우 자기자신의 난청정도에 맞도록 주파수 변환된 음성신호를 각각의 리시버가 수신하여 귀에 전달함으로써 난청인이 양쪽의 귀로 같은 음량의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degree of hearing loss of both ears is different, each receiver receives and transmits the voice signal converted to the degree of hearing loss to each ear so that the deaf person can hear the same volume sound with both ears. It is.

이와 같은 구성 및 단계로 이루어진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configuration and steps as follows.

상기 마이크모듈은 외부에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부와, 사용자가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 조절 다이얼과,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출력 조절 다이얼과, 조절된 주파수 및 출력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저장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The microphone module includes a microphone unit to which an external voice signal is input, a frequency adjusting dial for allowing a user to adjust a frequency, an output adjusting dial for adjusting an output, and a storage button for storing the adjusted frequency and output information. Equipped with.

상기 주파수 조절 다이얼과 출력 조절 다이얼은 각각 두개씩 존재하는데, 그 이유는 양쪽 귀의 난청상태가 다를 경우 각각의 주파수 및 출력을 각 귀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번 조절시 이를 저장하여 사용함으로써 주파수와 출력을 매번 맞춰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There are two frequency control dials and two output control dials. The reason is that when the hearing loss state of both ears is different, each frequency and output can be adjusted to fit each ear, and stored so that it can be stored once. This reduc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atch the frequency and output each time.

또한, 상기 저장부에 다수의 주파수 및 출력조절정보를 저장함으로써 한사람만이 아닌 다수의 사람이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storing a plurality of frequency and output control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can be made available to a number of people, not just one.

즉, 외부로부터의 소리를 마이크부를 통하여 수집한 후, 이를 잡음을 제거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소리는 주파수 대역별 채널로 분리되며, 분리된 각 주파수의 대역별 출력정도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된다. That is, after collecting the soun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microphone, it removes the noise and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The sound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is divided into channels for each frequency band, and the output level of each separated frequency b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사용자는 선택버튼을 사용하여 주파수 대역을 선택한 후 선택된 주파수를 조절하여 자신이 가장 잘 들리는 출력정도로 조절하게 된다. 상기 출력을 조절하는 경우 주파수 대역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음악 또는 말소리가 생성되며,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녹음되어 있는 소리를 들으면서 자신이 가장 잘 들을 수 있도록 주파수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 user selects the frequency band by using the select button and then adjusts the selected frequency to the output level that is heard best. In the case of adjusting the output, basic music or speech is generated to adjust the output of the frequency band, and the user can basically change the frequency so that he or she can hear best while listening to the recorded sound.

한편, 마이크를 두개 사용했을 경우 각각의 마이크로 들어오는 소리를 각각 분석하여 오른쪽에 장착되는 마이크로 들어오는 소리는 오른쪽 리시버로, 왼쪽에 장착되는 마이크로 들어오는 소리는 왼쪽 리시버로 전송함으로써 소리의 방향을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소리의 증폭만을 하는 보청기가 아닌 소리의 방향성도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보청기인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wo microphones are used, the sound coming from each microphone is analyzed and the microphone mounted on the right side is transmitted to the right receiver and the microphone mounted on the left side is transmitted to the left receiver. have. This is not a hearing aid that only amplifies the sound, but also the hearing aid with the effect of knowing the direction of the sound.

또한, 도 4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마이크중 하나를 마이크모듈과 유선으로 연 결한 예를 보면, 마이크모듈을 오른쪽 허리에 장착했다고 한다면 유선 연결된 다른 마이크는 왼쪽 허리에 장착하여 각 방향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처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소리의 방향성을 알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if one of the microphones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module in a wired manner, if the microphone module is mounted on the right waist, the other wired microphone is mounted on the left waist to process sound coming from each direction. This allows the user to know the direction of the sound.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도 1 은 본 발명인 주파수 대역별 출력 조절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의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hearing aid capable of adjusting the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인 주파수 대역별 출력 조절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의 주파수 조절부, 출력조절부 및 합산부를 나타낸 블럭도,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requency adjusting unit, an output adjusting unit, and a summation unit of a wireless hearing aid capable of adjusting output for eac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인 주파수 대역별 출력 조절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wireless hearing aid capable of adjusting output for eac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도 3 의 블럭도에 의한 보청기의 사용 예시도.4 is an exemplary use of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block diagram of FIG.

도 5 는 본 발명인 주파수 대역별 출력 조절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의 다른 실시예인 한쪽 사용 블럭도,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nother embodiment of a wireless hearing aid capable of adjusting output according to a frequency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마이크모듈 110: 마이크부100: microphone module 110: microphone

120: 변환부 131: 제1주파수조절부120: conversion unit 131: first frequency control unit

132: 제2주파수조절부 141: 제1출력조절부132: second frequency control unit 141: first output control unit

142: 제2출력조절부 143: 합산부142: second output control unit 143: summing unit

151: 제1무선송신부 152: 제2무선송신부151: first wireless transmitter 152: second wireless transmitter

1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70: 디스플레이부160: user interface unit 170: display unit

180: 마이크모듈제어부 190: 저장부180: microphone module control unit 190: storage unit

191: 마이크모듈전원부 200: 리시버모듈191: microphone module power supply unit 200: receiver module

210: 리시버모듈제어부 220: 리비서부210: receiver module control unit 220: receiver unit

250: 무선수신부 291: 리시버모듈전원부250: wireless receiver 291: receiver module power supply

Claims (6)

외부의 음성신호를 받아들이는 마이크부; A microphone unit for receiving an external voice signal; 상기 마이크부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analog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unit into a digital signal; 상기 변환부로부터 만들어진 디지털 신호를 받아 주파수 대역별로 채널을 나누는 제1주파수조절부 및 제2주파수조절부; A first frequency adjusting unit and a second frequency adjusting unit for dividing a channel for each frequency band by receiving the digital signal generated by the converting unit; 상기 각각의 주파수 조절부로부터 나눠진 채널의 주파수 대역별 출력을 조절하는 제1출력조절부 및 제2출력조절부; A first output control unit and a second output control unit for adjusting output for each frequency band of a channel divided from each frequency control unit; 상기 각각의 각 채널별로 나눠진 주파수를 합하는 합산부;An adder for adding up the frequencies divided by the respective channels; 상기 각각의 주파수 합산부로부터 합산된 디지털 신호를 리시버모듈로 무선송신하는 제1무선송신부 및 제2무선송신부; A first wireless transmitter and a second wireless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digital signals summed from the respective frequency adders to a receiver module; 사용자에 의해 주파수 대역을 선택 및 출력조절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A user interface unit for selecting a frequency band and receiving an output control command by a user;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의한 명령을 통하여 각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모듈제어부; 및 상기 마이크모듈의 각 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마이크모듈 전원부;를 구비하는 마이크모듈과, A microphone module control unit controlling each unit through a command by the user interface unit; And a microphone module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unit of the microphone module. 상기 마이크모듈로부터 무선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 A wireless receiver for receiving a digital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module; 상기 무선수신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해석 및 신호처리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리시버모듈 제어부; A receiver module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ceiver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analyzing and processing the signal; 상기 리시버모듈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를 사람의 귀에서 인식가능한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리시버모듈의 각 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리시버모듈 전원부;를 구비하는 리시버모듈을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별 증폭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A speaker unit for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er module controller into a sound recognizable by a human ear; And a receiver modul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unit of the receiver module. 외부의 음성신호를 받아들이는 마이크부; A microphone unit for receiving an external voice signal; 상기 마이크부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analog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unit into a digital signal; 상기 변환부로부터 만들어진 디지털 신호를 받아 주파수 대역별로 채널을 나누는 주파수조절부; A frequency adjusting unit for dividing a channel for each frequency band by receiving the digital signal generated by the converting unit; 상기 주파수조절부로부터 나눠진 채널의 주파수 대역별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부; An output control unit for adjusting output for each frequency band of the channel divided from the frequency control unit; 상기 각 채널별로 나눠진 주파수를 합하는 합산부;An adder for adding up the divided frequencies for each channel; 상기 합산부로부터 합산된 디지털 신호를 리시버모듈로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 A wireless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digital signal summed from the adder to a receiver module; 사용자에 의해 주파수 대역을 선택 및 출력조절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A user interface unit for selecting a frequency band and receiving an output control command by a user;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의한 명령을 통하여 각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모듈제어부; 및 상기 마이크모듈의 각 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마이크모듈 전원부;를 구비하는 마이크모듈과, A microphone module control unit controlling each unit through a command by the user interface unit; And a microphone module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unit of the microphone module. 상기 마이크모듈로부터 무선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 A wireless receiver for receiving a digital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module; 상기 무선수신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해석 및 신호처리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리시버모듈 제어부; A receiver module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ceiver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analyzing and processing the signal; 상기 리시버모듈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를 사람의 귀에서 인식가능한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리시버모듈의 각 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리시버모듈 전원부;를 구비하는 리시버모듈을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별 증폭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A speaker unit for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er module controller into a sound recognizable by a human ear; And a receiver modul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unit of the receiver modu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는 제1주파수조절부 및 제2주파수조절부 선택 또는 선택된 주파수조절부의 주파수별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과, 선택된 주파수별 채널의 주파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출력조절다이얼과, 상기 조절상태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버튼과, 무선송신부가 무선수신부를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연결버튼을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별 증폭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a first frequency control unit and a second frequency control unit or a channel for each selected frequency control unit, an output control dial for adjusting a frequency output of a channel for each selected frequency, and the adjustment. A wireless hearing aid capable of amplifying by frequency band including a storage button for storing a state and a wireless connection button for allowing a wireless transmitter to select and connect a wireless receiv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조절된 주파수 대역별 출렵값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부;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adjusted frequency band output value; 주파수 및 출력, 무선송신기 상태등을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별 증폭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frequency and output, the status of the radio transmitter; Wireless hearing aid capable of amplifying by frequency band further comprising a.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마이크모듈은 시계형, 목걸이형, 혁대형, 헤어밴드형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혹은 기존의 상용화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각종 개인정보통신단말기들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 대역별 증폭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The microphone module may be manufactured in a watch type, a necklace type, a belt type, a hair band type, or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a conventional commerci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Wireless hearing aids capable of amplifying by frequency band, which can be coupled to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마이크부를 두개 설치하고, 그 중 선택된 하나의 마이크부는 마이크모듈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주파수 대역별 증폭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A wireless hearing aid capable of amplifying frequency bands by installing two microphone units, one of which is selected to connect the microphone module and its length to be adjustable.
KR1020090069018A 2009-07-28 2009-07-28 Wireless hearing aid with adjustable output by frequency band KR1010557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018A KR101055780B1 (en) 2009-07-28 2009-07-28 Wireless hearing aid with adjustable output by frequency b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018A KR101055780B1 (en) 2009-07-28 2009-07-28 Wireless hearing aid with adjustable output by frequency b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394A true KR20110011394A (en) 2011-02-08
KR101055780B1 KR101055780B1 (en) 2011-08-11

Family

ID=4377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018A KR101055780B1 (en) 2009-07-28 2009-07-28 Wireless hearing aid with adjustable output by frequency b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780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387B1 (en) * 2011-04-15 2011-09-23 (주)알고코리아 Hearing aid system using optical-fiberless optical communication
WO2013186743A2 (en) * 2012-06-14 2013-12-19 Cochlear Limited Auditory signal processing
WO2016051280A3 (en) * 2014-09-30 2016-05-19 Cochlear Limited User interfaces of a hearing device
WO2017171137A1 (en) * 2016-03-28 2017-10-05 삼성전자(주) Hearing aid,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90101037A (en) * 2018-02-22 2019-08-30 이재훈 Bluetooth broadcast system having a asymmetric frequency modulation module and bluetooth-based sound broadcast system having a fuction of voice revision using thtereof
KR102055173B1 (en) * 2018-10-23 2019-12-13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A device of voice collecting
CN114363771A (en) * 2022-01-17 2022-04-15 广州市奥威亚电子科技有限公司 Audio processing device and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855B1 (en) 2012-10-05 2014-05-27 에스티씨테크 (주) Simulator for selecting hearing aid
KR20210049049A (en) 2021-04-14 2021-05-04 조성재 Mobile hearing aid offering binaural effec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4355B2 (en) * 1999-12-21 2004-06-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gital hearing device, method and system
KR100671292B1 (en) * 2005-02-17 2007-01-19 삼미음향기술 주식회사 Method for compensating a hearing impairment with multi-channel of digital a hearing aid and a hearing aid using the same
KR20060119026A (en) * 2005-05-18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ext in portable device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387B1 (en) * 2011-04-15 2011-09-23 (주)알고코리아 Hearing aid system using optical-fiberless optical communication
WO2013186743A2 (en) * 2012-06-14 2013-12-19 Cochlear Limited Auditory signal processing
WO2013186743A3 (en) * 2012-06-14 2014-03-13 Cochlear Limited Auditory signal processing
US10335591B2 (en) 2012-06-14 2019-07-02 Cochlear Limited Auditory signal processing
US10967176B2 (en) 2014-09-30 2021-04-06 Cochlear Limited User interfaces of a hearing device
WO2016051280A3 (en) * 2014-09-30 2016-05-19 Cochlear Limited User interfaces of a hearing device
US9643018B2 (en) 2014-09-30 2017-05-09 Cochlear Limited User interfaces of a hearing device
CN106714902A (en) * 2014-09-30 2017-05-24 耳蜗有限公司 User interfaces of a hearing device
US10148809B2 (en) 2014-09-30 2018-12-04 Cochlear Limited User interfaces of a hearing device
US11602632B2 (en) 2014-09-30 2023-03-14 Cochlear Limited User interfaces of a hearing device
WO2017171137A1 (en) * 2016-03-28 2017-10-05 삼성전자(주) Hearing aid,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90101037A (en) * 2018-02-22 2019-08-30 이재훈 Bluetooth broadcast system having a asymmetric frequency modulation module and bluetooth-based sound broadcast system having a fuction of voice revision using thtereof
KR102055173B1 (en) * 2018-10-23 2019-12-13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A device of voice collecting
CN114363771A (en) * 2022-01-17 2022-04-15 广州市奥威亚电子科技有限公司 Audio processing device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780B1 (en)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780B1 (en) Wireless hearing aid with adjustable output by frequency band
US9124992B2 (en) Wireless in-the-ear type hearing aid system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01299B2 (en) Hearing aids configured for directional acoustic fitting
US9380374B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s configured to detect and provide protection to the user from harmful conditions
US9301057B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KR100958106B1 (en) Multi-purpose headset with neck microphone and bone conduction speaker
US20100172522A1 (en) Programmable earphone device with customizable controls and heartbeat monitoring
EP2521377A1 (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with hearing support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US20070086600A1 (en) Dual ear voice communication device
US20080240477A1 (en) Wireless multiple input hearing assist device
WO20101441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onal acoustic fitting of hearing aids
US9247356B2 (en) Music player watch with hearing aid remote control
JP6400796B2 (en) Listening assistance device to inform the wearer's condition
EP2406968A1 (en) On-site, custom fitted hearing equalizer
WO2016167877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s configured to detect and provide protection to the user harmful conditions
KR100809549B1 (en)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both hearing aid and sound instrument
US10708699B2 (en) Hearing aid with added functionality
CN203748008U (en) Bluetooth double-ear hearing aid device
KR20100014752A (en) Multi-purpose headset with neck microphone and bone conduction speaker
KR101384923B1 (en) Inner earphone
CN104936117A (en) Binaural hearing aid device used in cooperation with Bluetooth headset
US20130195281A1 (en) Assisting listening device having audiometry function
KR102356728B1 (en)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with hearing aid function
CN218772357U (en) Earphone set
KR20090000500U (en) Hearing ai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