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728B1 -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with hearing aid function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with hearing aid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6728B1 KR102356728B1 KR1020210057252A KR20210057252A KR102356728B1 KR 102356728 B1 KR102356728 B1 KR 102356728B1 KR 1020210057252 A KR1020210057252 A KR 1020210057252A KR 20210057252 A KR20210057252 A KR 20210057252A KR 102356728 B1 KR102356728 B1 KR 1023567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mode
- hearing aid
- function unit
- portab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7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hearing-impaired us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휴대단말을 보청기의 중계장치 기능으로 사용하면서 별도의 보청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휴대단말의 마이크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켜 대화 상대방의 음성을 마치 전화가 걸려온 상태에서 대화 상대방의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듯이 사용자 휴대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by selectively activating the microphone of the portable terminal even if a separate hearing aid is not provided while using the user's portable terminal as a hearing aid relay function, the voice of the conversation partner can be reproduced as if a phone call was receiv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system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that allows the voice of a conversation partner to be transmitted to a user through the user's portable terminal as if transmitted through a speaker.
일반적으로, 난청인은 일상 생활에서 대화를 듣고 나누는데 이해가 곤란할 정도로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사람 즉, 청각에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을 말하며, 난청 정도에 따라 27dB∼40dB의 청력 손실은 경도 난청, 41dB∼55dB의 청력 손실은 중등도 난청, 56dB∼70dB의 청력 손실은 중고등도 난청 및 70dB∼90dB의 청력 손실은 고도 난청으로 분류되며, 91dB 이상의 청력 손실은 농으로 분류한다.Generally, a person with hearing loss refers to a person who cannot hear well enough to understand and hear conversations in daily life, that is, a person who has a hearing impairment. A hearing loss of ~55 dB is classified as moderate hearing loss, a hearing loss of 56 dB to 70 dB is classified as moderate to severe hearing loss, and a hearing loss of 70 dB to 90 dB is classified as severe hearing loss, and a hearing loss of 91 dB or more is classified as deaf.
난청의 종류로는 전음성 난청, 감응성 난청 및 혼합성 난청이 있으며, 외이도가 상했다거나, 고막이 천공되었거나, 이소골이 이탈되었거나, 외이염 또는 중이염으로 인하여 실청되었거나, 노인성 난청, 선천적 난청, 유전적 난청, 고음에 의한 실청, 고열 및 약물 부작용에 의한 실청 등의 이유로 골도와 기도의 손상 정도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있다.Types of hearing loss include conductive hearing loss, sensitive hearing loss, and mixed hearing loss. The degree of damage to the bone conduction and airway is classified based on the reasons of hearing loss due to high-pitched sound, high fever, and side effects of drugs.
따라서 청각에 장애를 가진 난청인은 일상생활을 자연스럽게 할 수 없는 바, 난청 정도를 충분히 보상해 줄 수 있는 장치인 보청기가 필요하며, 보청기는 난청 정도에 따라 화자음 또는 주변음을 증폭시켜서 난청인이 말소리를 보다 똑똑히 들을 수 있게 해주며, 보다 자연음에 가깝게 들리도록 보조해 주는 장치이다.Therefore, hearing-impaired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cannot carry out their daily life naturally, so they need a hearing aid, a device that can sufficiently compensate for the degree of hearing loss. It is a device that allows you to hear the voice more clearly and helps you to hear it closer to the natural sound.
일반적으로 보청기는 화자음 및 주변음을 수집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송화기, 송화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정류 및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여 난청인의 귀로 전달하는 수화기 및 송화기, 수화기 및 증폭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general, hearing aids are a transmitter that collects talker consonants and ambient sounds and outputs them as electrical signals, an amplifier that receiv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tter, rectifies and amplifies it, and converts the amplified signal in the amplifier into sound waves and delivers it to the ears of the hearing-impaired. It consists of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handset and handset, the handset and the amplifier.
상기 보청기의 종류로는 상자형, 귀걸이형, 안경형 및 귓속형이 있으며, 최근에는 귓속형을 더욱 발전시킨 것으로 귀 속 깊숙이 넣을 수 있는 고막형이 추가 되었다.The types of hearing aids include a box type, an earring type, a glasses type, and an in-ear type. Recently, an in-ear type has been further developed, and a tympanic type that can be inserted deep into the ear has been added.
전술한 구성에서 송화기는 마이크(microphone)로 달성되는 바, 소형, 경량, 고감도, 무진동 및 저잡음 특성이 높아야 하며, 온도, 습도, 기압 등 외부조건의 변화에 안정적이어야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transmitter is achieved with a microphone, and should have high small size, light weight, high sensitivity, no vibration and low noise characteristics, and should be stable against changes in extern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atmospheric pressure.
상기 증폭기는 입력되는 음을 동일 비율로 증폭하는 리니어 시스템과 리니어 시스템의 최대 출력치의 문제점을 보완한 압축시스템이 있는 바, 난청 정도에 따라 증폭의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The amplifier has a linear system that amplifies the input sound at the same ratio and a compression system that compensates for the problem of the maximum output value of the linear system, and thus the degree of amplification should be able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hearing loss.
상기 수화기는 증폭기에서 증폭된 전기신호를 음파로 바꿔주므로 왜곡이 적어야 하며, 배터리는 보청기의 수명을 가장 오래 지속시킬 수 있는 Zinc-air type 보청기 전용 배터리로 달성된다.Since the handset converts the electric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er into sound waves, distortion must be small, and the battery is achieved with a Zinc-air type hearing aid battery capable of lasting the longest lifespan of the hearing aid.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청기는 주변에 잡음이 많거나 학교와 같이 화자가 많은 공간에서는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바, 의사 소통에 가장 큰 방해요소인 잡음(noise), 반향(reverberation) 및 거리(distance)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FM 시스템이 개발되었다.However, the hearing aids as described above do not have a great effect in a space with a lot of noise or a lot of speakers, such as a school, and noise, reverberation, and distance, which are the biggest obstacles to communication ), an FM system that can overcome the problem of
상기 FM 시스템은 화자의 음성을 수집하여 FM(Frequency Modulation)으로 변조한 후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기,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입력받아 복조하여 난청인에게 전달하는 수신기로 이루어진다.The FM system includes a transmitter that collects the speaker's voice, modulates the speaker's voice with FM (Frequency Modulation), and transmits it wirelessly, and a receiver that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demodulates it, and delivers it to the hearing-impaired person.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송신기는 화자음 또는 주변음을 수집하며, 음 수집 각도에 따른 다수개의 모드가 구비된 마이크, 마이크로부터 수집된 음을 173∼185MHz(H밴드), 185∼201MHz(J밴드) 및 207∼217MHz(N밴드)의 주파수 범위로 변조하는 변조부, 변조부에서 변조된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 및 변조 주파수 선택 버튼, 모드선택 버튼 및 주파수 동기화 버튼 등으로 이루어진 키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송출부는 클립형 또는 50cm 외부 와이어 안테나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transmitter collects talker consonants or ambient sounds, and has a microphone equipped with multiple modes according to the sound collection angle, and the sound collected from the microphone is 173 to 185 MHz (H band), 185 to 201 MHz (J band). and a modulator for modulating in a frequency range of 207 to 217 MHz (N b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or, and a key input unit comprising a modulation frequency selection button, a mode selection button, and a frequency synchronization button. This is achieved by having a clip-type or 50 cm external wire antenna.
상기 수신기는 FM 수신모듈이 구비된 보청기로서 일체형 및 분리형이 있으며, FM 수신모듈은 FM으로 변조된 신호를 포착할 수 있는 내장형 마그네틱 안테나와 포착된 신호를 복조할 수 있는 FM 마이크로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receiver is a hearing aid equipped with an FM receiving module, and there are integral and separate types. The FM receiving module includes a built-in magnetic antenna capable of capturing an FM-modulated signal and an FM microchip capable of demodulating the captured signal. .
일체형은 FM 수신모듈이 보청기 내부에 구비되어 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내장형 마그테틱 안테나로 입력받아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증폭기 또는 수화기로 전달함으로써 달성되며, 분리형은 표준연결 방식인 유로 커넥터 또는 스테레오잭을 이용하여 일반 보청기와 FM수신모듈을 연결함으로써 달성된다.The integrated type is achieved by having an FM receiving module installed inside the hearing aid,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with a built-in magnetic antenna, demodulating it, and transmitting the demodulated signal to an amplifier or handset. This is achieved by connecting a general hearing aid and an FM receiving module using
상기 분리형의 동작은 FM 수신모튤에서 수신된 신호를 보청기의 증폭기로 전달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FM 시스템은 집, 학교, 직장 및 주변 잡음이 많은 지역에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The separation type operation is achieved by transferr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M receiving module to the amplifier of the hearing aid, and the FM system as described above can be utilized in homes, schools, workplaces, and in areas with a lot of surrounding noise.
한편, 상기와 같은 보청기를 착용하는 사람들이나 청력 손실을 겪는 사람들은 대화 상대방의 음성 크기에 따라 의사 소통의 어려음을 겪게 되는데, 아나운서의 음성은 잘 전달받을 수 있는 반면, 많은 사람이 방문하는 관광서나 은행 이용시 원활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On the other hand, people who wear hearing aids as described above or those who suffer from hearing loss experienc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depending on the volume of the conversation partner's voice.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smoothly when using a book or a bank.
또한, 청각의료전문지 히어링 리뷰(Hearing Review)의 '마스크 착용에 따른 말소리 에너지 변화에 관한 연구' 에 따르면, N95 마스크 착용 후, 말소리는 약 1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대화 목소리의 크기가 40∼50㏈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마스크 착용 후 말소리는 30㏈로 속삭이는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study on changes in speech sound energy due to wearing a mask' of Hearing Review, a hearing medical journal, after wearing an N95 mask, speech sound decreased by about 12 dB. Considering that the normal conversational voice is 40-50 dB, the voice after wearing the mask is only whispering at 30 dB. It cause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그동안 입 모양과 표정을 보고 말소리를 이해할 수 있었던 사람들도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시·청각적 단서를 파악하기 어려워지면서 청력 이상을 의심하게 됐다. 말소리 크기가 감쇄되면 어음 변별력이 저하돼 난청인은 더욱 큰 불편을 느끼게 된다.Even those who could understand the sound of speech by looking at the shape of their mouth and facial expressions became suspicious of hearing abnormalities as it became difficult to identify visual and auditory cues due to wearing a mask. When the volume of speech is attenuated, speech discrimination ability is lowered, causing greater discomfort to the hearing-impaired.
따라서, 보청기를 착용하는 사람들이나 청력 손실을 겪는 사람들에게 마스크 착용은 의사소통을 더욱 힘들게 하는 원인이 된다.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면 입 앞에 방해막이 생기게 됨으로써 말소리 자체에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고주파수 영역의 소리 크기를 감소시킨다.Therefore, for those who wear hearing aids or those who suffer from hearing loss, wearing a mask makes communication more difficult. When you wear a mask, a barrier is created in front of your mouth, which affects the sound itself. In particular, it reduces the loudness of the high-frequency region.
실제로 컬럼비아 대학교 알렉산더 골딘 청각학 박사 등이 수술용 마스크 1종과 N95 마스크 2종으로 마스크가 어음 인지를 얼마나 감소시키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3종 마스크 모두 2kHz 이상의 고주파수 영역에서 소리 감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여러 연구들이 마스크가 음향 특성을 변화시키고 소리크기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In fact, as a result of a study on how much the mask reduces speech recognition with one surgical mask and two N95 masks by Dr. Alexander Goldin, PhD. appear. In addition to this,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mask changes the acoustic properties and affects the volume reduction.
또한 마스크를 착용하면 말을 할 때 입모양, 표정 등 중요한 시각적 정보를 습득하기 어려워진다. 특히 보청기 착용자나 청력 손실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러한 시각적 요소가 의사 소통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몇몇 연구에서도 시각적 정보와 함께 말소리를 청취했을 때 훨씬 높은 어음 인지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wearing a mask makes it difficult to acquire important visual information such as mouth shape and facial expression when speaking. In particular, hearing aid wearers or people with hearing loss play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communication. In some studies, it can be confirmed that speech recognition is much higher when listening to speech along with visual information.
그러나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면 어음 인지에 대한 시각적 정보가 감소하여 말소리 및 대화상의 맥락을 이해하기 더욱 어렵다.However, when wearing a mask, visual information on speech recognition is reduced, making it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speech sounds and conversational contexts.
이에 청각 전문가들은 마스크 착용 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마주 보고 대화하기, 배경 소음을 최소화하기, 또렷하게 말하고 집중해 듣기, 조용한 곳으로 이동해 대화하기, 중요한 사안은 걸어가면서 대화하지 않기 등을 권고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어음 인지에는 한계가 있다.Therefore, hearing experts are presenting guidelines for smooth communication when wearing a mask. According to the guidelines, face-to-face conversations, minimizing background noise, speaking and listening clearly, moving to a quiet place to have a conversation, and not talking about important issues while walking are recommended,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actual speech recognition.
그러나, 청력 환자는 보청기 피팅을 일정기간마다 하지 않으면, 보청기를 착용할지라도 자신의 청력 손실에 알맞은 보상을 받지 못한다. 하지만 보청기 착용 환자가 일정기간마다 병원을 방문하여 보청기 피팅을 받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므로 많은 청력 환자가 자신의 청력 손실에 상응하는 보청기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f a hearing patient does not fit a hearing aid at regular intervals, he or she does not receive adequate compensation for his or her hearing loss even if he or she wears a hearing aid. However, since it is cumbersome for a hearing aid-wearing patient to visit a hospital every certain period to receive a hearing aid fitting, many hearing patients are unable to use a hearing aid corresponding to their hearing loss.
또한, 종래의 보청기는 심미적인 미관을 가지고 있지 않아 청력 환자는 미관상의 이유로 보다 초소형의 보청기를 선호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보다 단순한 보청기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깨끗한 음성 신호가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hearing aid does not have an aesthetic appearance, hearing patients prefer a more compact hearing aid for aesthetic reasons.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보청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에 보청기 기능을 적용하기도 하였으며, 일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8776호에서는 휴대단말에 보청기용 FM 송신기를 구비하였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0306호에서는 휴대단말 내부에 보청기를 구비하였으며, 등록특허공보 제10-1605943호(공고일 2016.03.23.)에서는 휴대단말과 보청기를 통신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하기도 하였다.Accordingly, in the prior art, a hearing aid function was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hearing aid as described above. A transmitter was provided, an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80306, a hearing aid was provided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and in Patent Publication No. 10-1605943 (published on March 23, 2016),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hearing aid were used to communicate. was also made to do.
그러나,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에 FM 송신기를 구비하거나 또는 휴대단말에 보청기를 구비하거나 또는 휴대단말과 보청기를 통신 연결하는 방식들은 모두 휴대단말의 하드웨어적인 메커니즘을 변경해야 하는 것이므로, 제조사 입장에서는 전체 소비자 대비 청각 장애인들의 소비자 비중이 극히 작고, 이로인해 청각 장애인을 위한 별도의 전용 휴대단말을 제조하지는 않고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all of the methods of providing a portable terminal with an FM transmitter, or providing a hearing aid in a portable terminal, or communicating a portable terminal and a hearing aid require changing the hardware mechanism of the portable terminal. Compared to the deaf consumers, the proportion of consumers is very small, and for this reason, a separate dedicated portable terminal for the hearing impaired is not being manufactured.
더불어,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에 하드웨어적인 보청기를 내장하거나 통신 연결하는 방식은 여러번의 조작을 통해 보청기를 사용해야 하는 등 그 사용이 불편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embedding a hearing aid in the form of hardware in the portable terminal or connecting the hearing aid through communication is inconvenient to use, such as having to use the hearing aid through several manipulation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단말에 설치되는 보청중계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단말에 구비되는 스피커와 마이커를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보청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휴대단말의 마이크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켜 마주보고 있는 대화 상대방의 음성을 마치 전화가 걸려온 상태에서 대화 상대방의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듯이 사용자 휴대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hearing aid relay func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microphon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even without a separate hearing ai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system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that activates and effectively transmits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to the conversation through the user's mobile terminal as if the voice of the conversation partner is transmitted through a speaker in the state of an incoming call. .
이는 청각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일지라도 휴대단말을 통해 통화 상대방과의 대화하는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지 아니하며, 더욱이 유무선 이어폰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보청기를 사용하지 아니하더라도 통화에 다른 불편을 느끼지 않고 있다는 사실에 착안한 것으로서, 휴대단말을 중계기로 사용하여 통화상태가 아닌 일상의 환경 속에서도 선명한 대화가 가능케 하는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This is the fact that even a person with a hearing impairment does not feel any difficulty in conversing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nd furthermore, when using wired or wireless earphones, they do not experience any other inconvenience even if they do not use a hearing ai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system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that enables clear conversations even in everyday environments, not in a call state, b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s a repeater.
이같은 휴대단말 시스템은 또한, 본연의 휴대단말장치로서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이며, 여기에 휴대단말을 통해 대화상대방과 대화하는 중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알림기능과 더불어 원터치로 통화모드 절환기능이 부가된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Such a mobile terminal system also includes all the functions of a mobile terminal device, and a one-touch call mode switching function as well as a notification function when an external call is received while talking with a conversation partner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system having the added hearing aid function.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 시스템은,
마이크와 스피커 및 증폭부가 구비되고, 음성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되는 유선의 이어단말,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서 연결되는 무선의 이어단말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통신 가능한 사용자 휴대단말; 및,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에 설치되는 보청중계 앱; 을 포함하고,
상기 보청중계 앱은, 터치신호 입력시 상기 휴대단말의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증폭부를 통화모드에서 보청중계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전환 제어 기능부; 상기 모드전환 제어 기능부에 의해 보청중계모드로 전환되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대방 음성정보가 입력시, 입력되는 상기 상대방 음성정보를 상기 증폭부를 통해 증폭한 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 중계하는 음성출력 중계 기능부; 및, 상기 음성출력 중계 기능부를 통해 상기 스피커에서 외부로 상대방 음성정보를 출력시, 상기 상대방 음성정보 이외의 주변 소음을 소거하는 필터링 제어 기능부; 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전환 제어 기능부에는, 터치신호 입력시 상기 보청중계모드를 청력측정모드로 전환하는 청력 측정 모드 전환부; 상기 청력 측정 모드 전환부에 의해 청력측정모드로 변환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상대방 음성정보의 크기를 측정하는 청력 측정 제어 기능부; 및, 상기 청력 측정 제어 기능부에 의해 측정되는 상대방 음성정보의 크기를 설정 저장된 청력 기준값을 기준으로 증폭 또는 감소시키는 음량 조절 제어 기능부; 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드전환 제어 기능부는, 상기 휴대단말을 보청중계모드로 전환시 상기 휴대단말의 고유한 데이터 통신모드를 통신 가능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휴대단말의 통화모드 중에서 고유한 통화송신모드는 차단하며, 상기 휴대단말의 고유한 통화수신모드는 대기모드로 유지시키고, 상기 휴대단말에 전화 수신 신호가 입력되어 이를 사용자가 선택시 상기 보청중계모드를 통화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이며,
상기 휴대단말에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이어단말의 좌,우를 구분하기 위한 송출 기능을 사용자 선택에 의해 구동 제어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이어단말의 연결 상태를 자동 인식하는 단말 인식 기능부; 상기 단말 인식 기능부를 통해 인식되는 상기 이어단말의 좌,우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이어단말에 소리를 송출하고 상기 송출된 소리가 들리는 방향의 출력레벨을 사용자로부터 피드백받는 피드백 처리 기능부; 및, 상기 피드백 처리 기능부의 피드백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어단말의 좌우방향에 대한 출력레벨을 설정하는 출력레벨 설정 기능부; 를 포함하는 이어단말 제어앱을 설치한 것이다. A portable terminal system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which i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ble user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microphone, a speaker, and an amplification unit, and to which a wired ear terminal connected through an audio output terminal or a wireless ear terminal connecte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selectively connected; and a hearing aid relay app installed on the user's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hearing aid relay app may include: a mode switching control function unit for switching the microphone, the speaker, and the amplification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a call mode to a hearing aid relay mode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When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which is switched to the hearing-aid relay mode by the mode switching control function unit, the inputted party's voice information is amplified through the amplifying unit, and then output is rel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with relay function; and a filtering control function unit configured to cancel ambient noise other than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when outputting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from the speak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voice output relay function unit; includes,
The mode conversion control function unit may include: an audiometry mode conversion unit configured to convert the hearing aid relay mode to an audiometry mode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an audiometry control function unit configured to measure the size of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when the audiometry mode conversion unit converts to an audiometry mode; and a volume control function unit configured to amplify or decrease the size of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hearing control function unit based on a set and stored hearing reference value; As having
The mode switching control function unit, when switch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hearing aid relay mode, maintains a unique data communic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be communicable, and blocks a unique call transmission mode among the communication modes of the portable terminal, A unique call recep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is maintained in a standby mode, and when a user selects a call reception signal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the hearing aid relay mode is switched to a call mode,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recognition function unit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pair of ear terminals so that a transmission function for distinguishing the left and right of the pair of ear terminals is driven and controlled by a user's selection; a feedback processing function unit that transmits a sound to the ear terminal to distinguis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ar terminal recognized through the terminal recognition function unit and receives an output level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ransmitted sound is heard from the user; and an output level setting function unit configured to set an output leve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ear terminal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feedback processing function unit; An ear terminal control app that includ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휴대단말에 음성출력단자를 통해 유선의 이어단말이 연결시, 상기 음성출력 중계 기능부는 상기 유선의 이어단말을 통해 상대방 음성정보를 출력 제어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a wired ea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an audio output terminal, the audio output relay function unit outputs and controls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wired ear terminal.
또한, 상기 휴대단말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의 이어단말이 연결시, 상기 음성출력 중계 기능부는 상기 무선의 이어단말을 통해 상대방 음성정보를 출력 제어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a wireless ea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audio output relay function unit outputs and controls the counterpart's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ear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 설치되는 보청중계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단말에 구비되는 스피커와 마이커를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별도의 보청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휴대단말의 마이크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켜 마주보고 있는 대화 상대방의 음성을 마치 전화가 걸려온 상태에서 대화 상대방의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듯이 사용자 휴대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고, 별도의 보청기 구입에 따른 비용적인 측면에서의 경제적 부담, 그리고 보청기 착용에 따른 불편함과 분실 등의 문제를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speaker and microphon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hearing aid relay func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rough this, the microphon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selectively activated even without a separate hearing aid. It enhances the convenience of use by effectively delivering the voice of the conversation partner facing each other through the user's mobile terminal as if the conversation partner's voi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peaker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I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economic burden in terms of cost and problems such as discomfort and loss caused by wearing a hearing ai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 탑재되는 보청중계 앱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 탑재되는 이어단말 제어앱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hearing aid relay app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ar terminal control app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 탑재되는 보청중계 앱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hearing aid relay app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show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 시스템은, 통신 가능한 휴대단말(10)과 이에 탑재되는 보청중계 앱(20)을 포함하는 것이다.1 and 2, a portable terminal system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ble
상기 휴대단말(10)은 청각 장애를 가진 사용자 단말로서, 통상적적으로 통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마이크(11)와 스피커(12) 및 증폭부(13)가 구비됨은 물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데이터 통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통신칩 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The
상기 보청중계 앱(20)은 앱 마켓(예; 구글 플레이, 애플 스토어)을 통해 다운받아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청중계 앱(20)이 사용자의 상기 휴대단말(10)에 설치시, 상기 보청중계 앱(20)은 상기 휴대단말(10)의 내부 프로세서와 연계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와의 연계를 위한 모드전환 제어 기능부(21), 음성출력 중계 기능부(22), 필터링 제어 기능부(23)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The hearing
상기 모드전환 제어 기능부(21)는 상기 휴대단말(10)에 설치되는 상기 보청중계 앱(20)을 사용자가 터치하고 그 터치에 따른 신호가 입력시, 상기 휴대단말(10)의 상기 마이크(11)와 상기 스피커(12) 및 상기 증폭부(13)를 통화모드에서 보청중계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이다.When the user touches the hearing
이때, 상기 휴대단말(10)이 상기 모드전환 제어 기능부(21)에 의해 보청중계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고유한 데이터 통신모드는 유지하면서 데이터 통신은 가능하고, 더불어 상기 휴대단말(10)의 통화모드 중에서 고유한 통화송신모드는 차단되지만, 상기 휴대단말(10)의 고유한 통화수신모드는 대기모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모드전환 제어 기능부(21)는 상기 휴대단말(10)에 전화 수신 신호가 입력되어 이를 사용자가 선택시 상기 보청중계모드를 통화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한편, 상기 모드전환 제어 기능부(21)에는 청력 측정 모드 전환부(211), 청력 측정 제어 기능부(212), 그리고 음량 조절 제어 기능부(213)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the mode change control function unit 21 may include a hearing measurement mode conversion unit 211 , a hearing measurement control function unit 212 , and a volume control function unit 213 .
상기 청력 측정 모드 전환부(211)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신호 입력시 상기 보청중계모드를 청력측정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The hearing measurement mode switching unit 211 converts the hearing aid relay mode to the audiometry mode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by the user.
상기 청력 측정 제어 기능부(212)는 상기 청력 측정 모드 전환부(211)에 의해 보청중계모드가 청력측정모드로 전환시, 상기 마이크(11)를 통해 입력되는 상대방 음성정보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이다.The hearing measurement control function unit 212 measures the size of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1 when the hearing aid relay mode is switched to the audiometry mode by the audiometry mode switching unit 211 . .
상기 음량 조절 제어 기능부(213)는 상기 청력 측정 제어 기능부(212)에 의해 측정되는 상대방 음성정보의 크기를 설정 저장된 청력 기준값을 기준으로 증폭 또는 감소시키는 것이다.The volume control function unit 213 amplifies or reduces the size of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hearing measurement control function unit 212 based on a set and stored hearing reference value.
즉, 상기 청력 기준값은 사용자가 가장 깨끗하게 청취할 수 있는 음성레벨을 측정하여 저장한 것으로, 음량 조절 제어 기능부(213)는 상기 청력 기준값을 기준으로 상대방 음성정보의 출력레벨을 증폭 또는 감소시키게 되면서, 사용자는 상대방과의 대화 시도에서 그 음성을 보다 명확하게 들을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hearing reference value measures and stores the voice level that the user can hear most clearly, and the volume control function unit 213 amplifies or reduces the output level of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based on the hearing reference value. , the user can hear the voice more clearly when trying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party.
상기 음성 출력 중계 기능부(22)는 상기 모드전환 제어 기능부(21)에 의해 보청중계모드로 전환되는 상기 마이크(11)를 통해 상대방 음성정보가 입력시, 입력되는 상기 상대방 음성정보를 상기 증폭부(13)를 통해 증폭한 후 상기 스피커(12)를 통해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 중계하는 것이다.The voice output
상기 필터링 제어 기능부(23)는 상기 음성출력 중계 기능부(22)를 통해 상기 스피커(12)에서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외부로 상대방 음성정보를 출력시, 상기 상대방 음성정보 이외의 주변 소음을 소거하는 것이며, 이에따라 사용자는 상대방의 음성을 잡음없이 보다 명확하게 들을 수 있는 것이다.When outputting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hear it from the speaker 12 through the voice output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 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청각 장애를 가지는 사용자가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방과 대화를 시도하는 경우, 우선 사용자는 휴대단말(10)에 설치되는 보청중계 앱(20)을 클릭하여 활성화시킨다.That is, in the portable terminal system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 when a user with a hearing impairment attempts a conversation with a counterpart without wearing a hearing aid, first The user clicks and activates the hearing
그러면, 상기 보청중계 앱(20)에 포함되는 모드전환 제어 기능부(21)는 상기 휴대단말(10)내의 프로세서와 연계하여 상기 휴대단말(10)의 통화 모드를 보청중계모드로 전환시키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휴대단말(10)에 구비되는 마이크(11)와 스피커(12)는 물론 증폭부(13)는 통화모드가 아니더라도 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n, the mode switching control function unit 21 included in the hearing
따라서, 상대방이 대화를 시도하는 경우, 상기 상대방의 음성정보는 상기 휴대단말(10)의 마이크(11)를 통해 입력되고, 이렇게 입력된 상대방 음성정보는 음성 출력 중계 기능부(22)에 의해 증폭부(13)에서 증폭된 후 스피커(12)를 통해 외부로 출력 중계되면서,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10)의 상기 스피커(12)를 통해 출력되는 상대방 음성정보를 들을 수 있게 되면서, 상대방과 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other party tries to talk,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1 of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스피커(12)를 통해 외부 출력이 이루어지는 상대방 음성정보에 잡음이 존재하더라도, 상기 잡음은 상기 보청중계 앱(20)에 포함되는 필터링 제어 기능부(23)에 의해 소거되면서, 사용자와 상대방의 대화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nd, even if noise exists in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that is externally output through the speaker 12 as described above, the noise is canceled by the filtering
한편, 사용자가 상기 스피커(12)를 통해 상대방의 대화를 듣고 있는 상태에서, 그 대화에 다른 상대방의 음성정보가 잘 들리지 않거나 또는 너무 크게 들리는 경우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user is listening to the other party's conversation through the speaker 12, voice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may be difficult to hear or may be heard too loudly in the conversation.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대방 음성정보의 출력레벨을 사용자가 보정할 수 있으며, 그 보정은 우선 상기 모드전환 제어 기능부(21)에 포함되는 청력 측정 모드 전환부(211), 청력 측정 제어 기능부(212), 그리고 음량 조절 제어 기능부(213)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orrect the output level of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and the correction is first performed by the audiometry mode conversion unit 211 included in the mode conversion control function unit 21 and the audiometry control This may be accomplished by the function unit 212 and the volume control function unit 213 .
즉, 청력 보정을 위해 사용자가 터치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청력 측정 모드 전환부(211)는 상기 보청중계모드를 청력측정모드로 전환시킨다.That is, when the user inputs a touch signal for hearing correction, the audiometry mode switching unit 211 converts the hearing aid relay mode to the audiometry mode.
그러면, 상기 청력 측정 제어 기능부(212)는 상기 마이크(11)를 통해 입력되는 상대방 음성정보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음량 조절 제어 기능부(213)는 상기 청력 측정 제어 기능부(212)에 의해 측정되는 상대방 음성정보의 크기를 설정 저장된 청력 기준값을 기준으로 증폭 또는 감소시키면서, 상대방 음성정보의 출력레벨을 조정하며, 이에따라 사용자는 상대방과 원활한 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Then, the audiometry control function unit 212 measures the size of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1 , and the volume control function unit 213 sends the audiometry control function unit 212 to the audiometry control function unit 212 . The output level of the counterpart's voice information is adjusted while amplifying or decreasing the size of the counterpart's voi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reset and stored hearing reference value, and accordingly, the user can have a smooth conversation with the counterpar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피커(12)를 통해 상대방 음성정보가 외부로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의 이어단말(30 또는 30')을 통해 상대방 음성정보를 들을 수도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outputting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12, the other party's voi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ear terminal 30 or 30' as shown in FIG. 3 . information may be heard.
즉, 상기 휴대단말(10)에는 음성출력단자(14)를 통해 유선의 이어단말(30)이 연결시 상기 음성출력 중계 기능부(22)는 상기 유선의 이어단말(30)을 통해 상대방 음성정보를 출력 제어할 수 있는 것이고, 또는 상기 휴대단말(10)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의 이어단말(30')이 연결시 상기 음성출력 중계 기능부(22)는 상기 무선의 이어단말(30')을 통해 상대방 음성정보를 출력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wired ear terminal 30 is connected to the
이때, 상기 휴대단말(10)에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이어단말(30 또는 30')의 좌,우를 구분하기 위한 송출 기능을 사용자 선택에 의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이어단말 제어앱(4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어단말 제어앱(40)에는 단말 인식 기능부(41), 피드백 처리 기능부(42), 출력레벨 설정 기능부(43)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ear
상기 단말 인식 기능부(4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이어단말(30 또는 30')의 연결 상태를 자동 인식하는 것이다.The terminal recognition function unit 41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pair of ear terminals 30 or 30'.
상기 피드백 처리 기능부(42)는 상기 단말 인식 기능부(41)를 통해 인식되는 상기 이어단말(30 또는 30')의 좌,우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이어단말(30 또는 30')에 소리를 송출하고 상기 송출된 소리가 들리는 방향의 출력레벨을 사용자로부터 피드백받도록 하는 것이다.The feedback processing function unit 42 sends a sound to the ear terminal 30 or 30' to distinguis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ar terminal 30 or 30' recognized through the terminal recognition function unit 41. It is to transmit and receive feedback from the user about the output level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mitted sound is heard.
상기 출력레벨 설정 기능부(43)는 상기 피드백 처리 기능부(42)의 피드백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어단말(30 또는 30')의 좌우방향에 대한 출력레벨을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The output level setting function unit 43 sets the output leve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ear terminal 30 or 30'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feedback processing function unit 42 .
따라서, 사용자는 이어단말(30 또는 30')을 착용한 상태에서 주변 소음에 관계없이 상대방과 대화를 보다 쉽게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user can more easily conduct a conversation with the other party regardless of ambient noise while wearing the ear terminal 30 or 30'.
이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 시스템은 또한, 본연의 휴대단말장치로서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이며, 여기에 휴대단말을 통해 대화상대방과 대화하는 중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알림기능과 함께 원터치로 통화모드 절환하는 기능이 부가될 수 있는 것이다. The portable termin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ll the functions of the original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here, in case of an incoming call from outside while talking with a conversation partner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make a one-touch call with a notification function. A mode switching function may be add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 시스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ortable terminal system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arily described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휴대단말 11; 마이크
12; 스피커 13; 증폭부
14; 음성출력단자 20; 보청중계 앱
21; 모드전환 제어 기능부 211; 청력 측정 모드 전환부
212; 청력 측정 제어 기능부 213; 음량조절 제어 기능부
22; 음성출력 중계 기능부 23; 필터링 제어 기능부
30; 유선 이어단말 30'; 무선 이어단말
40; 이어단말 제어앱 41; 단말 인식 기능부
42; 피드백 처리 기능부 43; 출력레벨 설정 기능부10; mobile terminal 11; MIC
12; speaker 13; amplifier
14;
21; mode change control function unit 211; Hearing measurement mode switching part
212; audiometry control function unit 213; With volume control control function
22; audio output
30; Wired ear terminal 30'; wireless ear terminal
40; ear terminal control app 41; With terminal recognition function
42; feedback processing function section 43; With output level setting function
Claims (9)
상기 보청중계 앱은, 터치신호 입력시 상기 휴대단말의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증폭부를 통화모드에서 보청중계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전환 제어 기능부; 상기 모드전환 제어 기능부에 의해 보청중계모드로 전환되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대방 음성정보가 입력시, 입력되는 상기 상대방 음성정보를 상기 증폭부를 통해 증폭한 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 중계하는 음성출력 중계 기능부; 및, 상기 음성출력 중계 기능부를 통해 상기 스피커에서 외부로 상대방 음성정보를 출력시, 상기 상대방 음성정보 이외의 주변 소음을 소거하는 필터링 제어 기능부; 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전환 제어 기능부에는, 터치신호 입력시 상기 보청중계모드를 청력측정모드로 전환하는 청력 측정 모드 전환부; 상기 청력 측정 모드 전환부에 의해 청력측정모드로 변환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상대방 음성정보의 크기를 측정하는 청력 측정 제어 기능부; 및, 상기 청력 측정 제어 기능부에 의해 측정되는 상대방 음성정보의 크기를 설정 저장된 청력 기준값을 기준으로 증폭 또는 감소시키는 음량 조절 제어 기능부; 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드전환 제어 기능부는, 상기 휴대단말을 보청중계모드로 전환시 상기 휴대단말의 고유한 데이터 통신모드를 통신 가능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휴대단말의 통화모드 중에서 고유한 통화송신모드는 차단하며, 상기 휴대단말의 고유한 통화수신모드는 대기모드로 유지시키고, 상기 휴대단말에 전화 수신 신호가 입력되어 이를 사용자가 선택시 상기 보청중계모드를 통화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이며,
상기 휴대단말에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이어단말의 좌,우를 구분하기 위한 송출 기능을 사용자 선택에 의해 구동 제어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이어단말의 연결 상태를 자동 인식하는 단말 인식 기능부; 상기 단말 인식 기능부를 통해 인식되는 상기 이어단말의 좌,우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이어단말에 소리를 송출하고 상기 송출된 소리가 들리는 방향의 출력레벨을 사용자로부터 피드백받는 피드백 처리 기능부; 및, 상기 피드백 처리 기능부의 피드백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어단말의 좌우방향에 대한 출력레벨을 설정하는 출력레벨 설정 기능부; 를 포함하는 이어단말 제어앱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 시스템.a communicable user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microphone, a speaker, and an amplification unit, and to which a wired ear terminal connected through an audio output terminal or a wireless ear terminal connecte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selectively connected; and a hearing aid relay app installed on the user's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hearing aid relay app may include: a mode switching control function unit for switching the microphone, the speaker, and the amplification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a call mode to a hearing aid relay mode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When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which is switched to the hearing-aid relay mode by the mode switching control function unit, the inputted party's voice information is amplified through the amplifying unit, and then output is rel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with relay function; and a filtering control function unit configured to cancel ambient noise other than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when outputting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from the speak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voice output relay function unit; includes,
The mode conversion control function unit may include: an audiometry mode conversion unit configured to convert the hearing aid relay mode to an audiometry mode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an audiometry control function unit configured to measure the size of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when the audiometry mode conversion unit converts to an audiometry mode; and a volume control function unit configured to amplify or decrease the size of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hearing control function unit based on a set and stored hearing reference value; As having
The mode switching control function unit, when switch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hearing aid relay mode, maintains a unique data communic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be communicable, and blocks a unique call transmission mode among the communication modes of the portable terminal, A unique call recep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is maintained in a standby mode, and when a user selects a call reception signal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the hearing aid relay mode is switched to a call mode,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recognition function unit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pair of ear terminals so that a transmission function for distinguishing the left and right of the pair of ear terminals is driven and controlled by a user's selection; a feedback processing function unit that transmits a sound to the ear terminal to distinguis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ar terminal recognized through the terminal recognition function unit and receives an output level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ransmitted sound is heard from the user; and an output level setting function unit configured to set an output leve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ear terminal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feedback processing function unit; A portable terminal system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ar terminal control app is installed, which includes a.
상기 휴대단말에 음성출력단자를 통해 유선의 이어단말이 연결시, 상기 음성출력 중계 기능부는 상기 유선의 이어단말을 통해 상대방 음성정보를 출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able terminal system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wired ea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audio output terminal, the audio output relay function unit outputs and controls the counterpart's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wired ear terminal.
상기 휴대단말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의 이어단말이 연결시, 상기 음성출력 중계 기능부는 상기 무선의 이어단말을 통해 상대방 음성정보를 출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able terminal system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wireless ea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audio output relay function unit outputs and controls the counterpart's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ear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7252A KR102356728B1 (en) | 2021-05-03 | 2021-05-03 |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with hearing aid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7252A KR102356728B1 (en) | 2021-05-03 | 2021-05-03 |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with hearing aid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6728B1 true KR102356728B1 (en) | 2022-02-08 |
Family
ID=8025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7252A KR102356728B1 (en) | 2021-05-03 | 2021-05-03 |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with hearing aid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6728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8776A (en) | 2004-12-31 | 2006-07-05 | 브이케이 주식회사 | Fm transmission mobile phone for acouophone |
KR20110080306A (en) | 2010-01-05 | 2011-07-13 | 이승택 | A mobile device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
KR20130029562A (en) | 2011-09-15 | 2013-03-25 | 강문규 | Supporting method and system for smart hearing aid |
KR101605943B1 (en) | 2010-12-22 | 2016-03-23 | 와이덱스 에이/에스 |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telephone and a hearing aid |
KR20180050964A (en) | 2016-11-07 | 2018-05-16 | 이은희 | A Hearing Device Having a Operating Relationship with a Portable Smart Device |
-
2021
- 2021-05-03 KR KR1020210057252A patent/KR10235672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8776A (en) | 2004-12-31 | 2006-07-05 | 브이케이 주식회사 | Fm transmission mobile phone for acouophone |
KR20110080306A (en) | 2010-01-05 | 2011-07-13 | 이승택 | A mobile device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
KR101605943B1 (en) | 2010-12-22 | 2016-03-23 | 와이덱스 에이/에스 |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telephone and a hearing aid |
KR20130029562A (en) | 2011-09-15 | 2013-03-25 | 강문규 | Supporting method and system for smart hearing aid |
KR20180050964A (en) | 2016-11-07 | 2018-05-16 | 이은희 | A Hearing Device Having a Operating Relationship with a Portable Smart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69814B2 (en) | External ear canal voice detection | |
US7899194B2 (en) | Dual ear voice communication device | |
US8582789B2 (en) | Hearing enhancement systems | |
US9124992B2 (en) | Wireless in-the-ear type hearing aid system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080240477A1 (en) | Wireless multiple input hearing assist device | |
US20100329491A1 (en) | System for transmitting amplified audio signals to a user | |
CN208094796U (en) | A kind of hearing aid and hearing assistance system | |
US20160088403A1 (en) | Hearing assistive device and system | |
KR100809549B1 (en) |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both hearing aid and sound instrument | |
JP3066305U (en) | Hearing aid | |
WO2006104887A2 (en) | Audio and data communications system | |
WO2000070390A1 (en) | Spectacles | |
KR102356728B1 (en) |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with hearing aid function | |
KR20060001786A (en) | Multi glasses | |
KR100945840B1 (en) | Wireless head set | |
EP3072314B1 (en) | A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system for conducting telephone calls and a corresponding hearing system | |
KR20110080306A (en) | A mobile device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 |
KR20190131704A (en) | Glasses containing bone conduction bluetooth earphones | |
KR20090065718A (en) | Hearing aid for connecting cellular phone | |
KR200363949Y1 (en) | Multi glasses | |
KR101719779B1 (en) | Hearing aid system using a telecoil | |
CN213462328U (en) | Collar clip type loudspeaker | |
KR20090008612A (en) | Method for a wireless hearing aid and the apparatus therefor | |
KR101940616B1 (en) | Digital voice amplifying system | |
KR102502385B1 (en) | Bluetooth head phone with hearing ai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