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230A - 신규 엔테로박터속 균주 및 그를 이용한 식물 생장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신규 엔테로박터속 균주 및 그를 이용한 식물 생장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230A
KR20110011230A KR1020090068781A KR20090068781A KR20110011230A KR 20110011230 A KR20110011230 A KR 20110011230A KR 1020090068781 A KR1020090068781 A KR 1020090068781A KR 20090068781 A KR20090068781 A KR 20090068781A KR 20110011230 A KR20110011230 A KR 20110011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plant
growth
stress
ac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1151B1 (ko
Inventor
김창진
윤현성
이재찬
박동진
최진희
주윤정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68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1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88Lyases (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404/00Carbon-sulfur lyases (4.4)
    • C12Y404/01Carbon-sulfur lyases (4.4.1)
    • C12Y404/01014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synthase (4.4.1.1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ACC(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synthase) 탈아미노화 효소 활성을 갖고,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갖는,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엔테로박터 sp. ST45 균주(KCTC 11528BP) 및 ST502 균주(KCTC 11532B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엔테로박터 sp. ST45 및 ST502 균주는 고염 스트레스로부터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농작물에 사용되는 합성비료를 대신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경제적인 미생물 비료로 사용될 수 있다.
미생물 제제, 식물 생장 촉진, ACC 탈아미노화 효소, 스트레스, 에틸렌

Description

신규 엔테로박터속 균주 및 그를 이용한 식물 생장조절방법{Novel Enterobacter sp. strains and method for stimulating the growth of plant by using them}
본 발명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이다.
식물은 생장하면서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 노출되며, 이러한 스트레스는 식물의 생장, 발달, 생산성 등에 영향을 미친다. 스트레스에는 다른 생물체에 의해 일어나는 생물학적(biotic) 스트레스와 물리학적 또는 화학적 환경의 변화에 의해 일어나는 非생물학적(abiotic) 스트레스가 있다. 식물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작용은 일반적으로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피작용'과 스트레스를 견디는 '내성작용'으로 나눌 수 있으며, 내성작용을 갖더라도 식물체가 견딜수 있는 이상의 환경 스트레스에 대해서는 식물의 생육과 성장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건조 스트레스시 식물의 광합성이 제한되어 과도한 광에 노출되면 광합성 반응중심이 과도하게 환원되어 광계2가 파괴되며 엽록체에는 활성산소종의 생성이 증가한 다. Na+와 Cl-의 농도가 원인이 되어 염해가 발생하면 수화적(hydration) 삼투작용 이상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나타내어 결국은 식물을 죽게 한다. 염해를 받은 식물은 생장이 감소하고 세포분열(cell division)과 팽창(expansion)이 억제되며 괴사를 촉진한다. 또한 막해체(membrane disorganization), 활성산소종, 대사독성(metabolic toxicity), 광합성 억제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화학비료를 오래 사용하면 염류가 축적되면서 제대로 작물에 흡수되지 못하고 토양의 염류농도 및 산성화 증가, 생산력 감퇴, 작물수량의 감소 및 품질 저하를 초래한다. 식물체가 기계적인 경미한 스트레스나 환경으로부터의 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공통으로 일어나는 막 기능의 상실과 함께 에틸렌 생성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에틸렌은 식물체의 정상적인 생장, 발생과정에서 생성되는 에틸렌과 구분하여, 특별히 스트레스-에틸렌이라고 부른다. 식물체가 환경으로부터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공통으로 식물체의 에틸렌 생합성이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식물체가 병원체의 침범을 받은 직후에 에틸렌의 생성량은 급격히 증가하고, UV-B를 배(Pyrus communis L.)의 줄기에 조사할 경우에도 에틸렌 생성량은 급격히 증가한다.
식물체 내에서 에틸렌의 생합성은 메티오닌이 SAM 합성효소(S-adenosyl-methionine synthase)에 의해서 SAM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SAM이 ACC 합성효소(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synthase)에 의해 ACC로 변환되며 최종적으로 ACC 산화효소(ACC oxidase)에 의해 에틸렌을 생성하는 비교적 단순한 경로를 거쳐 서 생합성 된다. 일반적으로 에틸렌 생합성 과정에서 흐름을 조절하는데 가장 중요한 율속단계(rate-limiting step)는 ACC 합성효소에 의해 SAM에서 ACC로 변환되는 과정이다. 서로 다른 몇 종류의 ACC 합성효소 유전자들이 각각 다른 내적, 외적 요인들에 반응하여 전사 촉진되며, 결과적으로 ACC 합성효소의 활성이 증가하여 식물체 내의 ACC 농도는 높아지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ACC는 높은 입체특이성이 있으며, 활성을 위하여 아스코르브산염(ascorbate)과 Fe2 +를 필요로 하는 ACC 산화효소(일명 에틸렌 형성 효소)에 의하여 에틸렌으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정상적인 식물체 내에서의 에틸렌 생합성은 ACC 합성효소와 ACC 산화효소의 유도, 및 그들의 활성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접촉이나 경미한 기계적 스트레스에 의하여 유도되는 일부 스트레스-에틸렌은 스트레스에 의하여 전사, 촉진된 ACC 합성효소에 의하여 식물체 내의 ACC 양이 증가하게 되고, 스트레스에 의하여 활성이 촉진되거나 또는 스트레스 여부와는 상관없이 활성이 항상 유지되고 있는 ACC 산화효소에 의하여 생합성 된다. 하지만 이렇게 생성된 스트레스-에틸렌은 조절 가능하다.
에틸렌가스는 식물 내에서 호르몬의 일종으로서 식물의 성숙을 촉진하는데, 대표적인 예로 과실의 숙도, 씨앗의 발아, 유묘(어린 모종) 생장, 잎과 꽃잎의 이탈, 기관 노화, 스트레스, 병원성에 대한 반응 등 식물의 전 생활사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틸렌은 식물 종과 세포 타입에 의존적으로 생장을 촉진하기도 하고 저해시키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저수위의 에틸렌은 뿌리 신장을 촉진하고 뿌리의 빠른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만, 고수 위의 에틸렌은 오히려 뿌리 신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에틸렌 생합성에 의해 에틸렌의 전구체인 ACC의 생성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식물체내의 에틸렌 농도가 높아져 식물 생장을 저해한다. 스트레스를 받은 식물에 ACC는 ACC 탈아미노효소(ACC deaminase)를 처리한 경우에, ACC가 가수분해되어 스트레스 에틸렌의 생성농도가 낮아져 식물생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Penrose DM & Glick BR, Can J Microbiol 47:368-372, 2001). 또한, ACC 탈아미노효소를 생성하는 PGPB(plant growth promoting bacteria)를 처리한 식물체에 ACC를 처리하자 스트레스 에틸렌의 생성량이 무처리군에 비해 적게 나타났었다(Glick BR et al ., J Theor Biol 190:63-68, 1998). 아울러, 근권 미생물로부터 생성되는 고농도의 IAA(indole acetic acid)에 의해 무화과 나무에서 ACC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식물 내부의 ACC는 외부로 배출되어 외부와의 균형을 맞춰 유지된다. 이때, 외부에서 연속적으로 PGPB에 의해 ACC가 가수분해되면 식물내 ACC 생성량이 줄어들어서, 스트레스 에틸렌의 생합성량은 줄어들게 되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Arshd M et al., Trends in Biotechnol . 25:356-362, 2007)
이에, 본 발명자들은 토양시료로부터 분리한 신규 엔테로박터 sp. ST45 균주(KCTC 11528BP) 및 ST502 균주(KCTC 11532BP)가 ACC 탈아미노화 효소 활성을 갖고,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여, 식물 생장 촉진용 미생물 제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ACC(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synthase) 탈아미노화 효소 활성을 갖고,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갖는,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신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상기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식물생육 촉진방법 또는 식물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CC(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synthase) 탈아미노화 효소 활성을 갖고,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갖는,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엔테로박터 sp. ST45 균주(KCTC 11528BP) 및 ST502(KCTC 11532B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배양하여 미생물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상기 미생물 제제를 토양, 식물 또는 식물의 종자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생육 촉진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상기 미생물 제제를 토양, 식물 또는 식물의 종자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ACC(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synthase) 탈아미노화 효소 활성을 갖고,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갖는,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엔테로박터 sp. ST45 균주(KCTC 11528BP) 및 ST502(KCTC 11532BP)를 제공한다.
전 세계적으로 이용 적합한 용수의 부족과 사막화로 인한 작물생산 가능 농지의 축소로 작물의 생장에 적합한 환경이 점점 줄어드는 실정이다. 작물에 이러한 생물학적, 비생물학적 환경으로부터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작물 내 스트레스 에틸렌 생성이 급격히 증가하여 작물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스트레스 에틸렌을 줄일 수 있는 ACC 탈아미노화 효소를 생성하는 균주들을 토양시료로부터 스크리닝하였고(도 1 참조), ACC 탈아미노화 효소 활성값이 61 내지 80 구간이고, 재현성이 높으며, 16S rDNA 염기서열의 유사도가 낮은 균주를 선별하여 ST45 및 ST502라고 명명하였고, 이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에 2009년 7월 8일 및 7월 21일 일자로 기탁하였으며, 기탁번호는 각각 KCTC 11528BP 및 KCTC 11532BP이다.
상기 ST45 및 ST502는 계통적으로 엔테로박터 속내에서 위치하고 있었고(도 2 참조), 상기 ST45의 16S rDNA는 엔테로박터 캔세로지너스(Enterobacter cancerogenus: 97.1%), 엔테로박터 아스부리애(Enterobacter asburiae: 96.7%) 및 엔테로박터 루드위지(Enterobacter ludwigii: 96.7%) 순으로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상기 ST45는 한 가닥의 편모가 있어 운동성을 띄며, 짙은 크림색의 콜로니를 생성하였다(도 3 및 도 4a 참조). 상기 ST502는 편모가 없는 타원형이며, 유백색의 밝은 크림색의 콜로니를 형성하였다(데이타 기재하지 않음).
또한, ST45의 생육조건은 8% 이상의 염 농도에서 생육이 저하되었고, 28℃-35℃에서 최적 성장을 보였으며, 최적 pH는 5-8이었다(표 3 참조). ST502의 생육조건은 8% 이상의 염 농도에서 생육이 저하되었고, 28℃-35℃에서 최적 성장을 보였으며, 최적 pH는 6-8이었다(표 3 참조).
또한, ST45는 에스큘린(esculin)은 가수분해하였고, 탄소원으로는 D-라피노오스(raffinose) 및 D-멜리보우즈(melibiose)를 이용하였으며, 트롤린도마이신(troleandomycin; 100 ㎍/㎖), 리파마이신 5v(rifamycin 5v; 100 ㎍/㎖), 미노싸이클린(minocycline; 100 ㎍/㎖), 밴코마이신(vancomycin; 100 ㎍/㎖)에 대하여 감수성을 보였다. 또한, ST502는 탄소원으로 아도니톨, D-솔비톨, D-자일로오스, 만니톨, 슈크로스, D-라피노오스 및 D-멜리보우즈를 이용하였으며, L-과당은 이용하지 않았다. 또한, TSA 배지에서 8% 이상의 염농도에서 생육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에서는 성장하지 못하였고 28℃-35℃에서 최적 성장을 보였으 며 45℃ 이상에서는 성장하지 못하거나 더디었다. 최적 pH는 6-8이었다. 아울러, ST45의 DNA G+C 함량도 다른 엔테로박터속 내의 종(52-60몰%)에서 보고된 함량범위 내에 속하였다.
또한, ST45 및 ST502의 세포벽 지방산 조성분석 결과 C16:0, C17:0 cyclo 및 C18:1 ω7c 등이 주요 성분으로 나타나 같은 엔테로박터속의 특성을 보였다(표 5 및 6 참조).
ST45 및 ST502의 ACC 탈아미노화 효소 활성값은 대조균주인 슈도모나스 플로레센스와 비교하여 3~4배 이상 높았고, ST45 및 ST502에서 옥신의 생성수치가 슈도모나스 플로레센스보다 낮았다(도 5 참조). 이것은 ST45 및 ST502가 작물과 협력하여 작물 내의 에틸렌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작물의 생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를 토마토 묘목으로 포트(Pot) 실험에서 고염 처리 후 확인한 결과, ST45 및 ST502 처리에 의해 고염 스트레스에 대해 내성을 가지며, 식물의 생장촉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내지 도 8 참조).
이에, 본 발명의 ST45 및 ST502 균주는 작물의 생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주는 고염 스트레스에 대해 내성을 가지며, 작물의 생장을 촉진 하므로 미생물 제제로 이용할 수 있다(도 6 내지 도 8 참조). 상기 미생물 제제는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 제제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식물 생장 촉진용으로 제형화 할 수 있으며 건조분말 형태 또는 액상비료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 제제는 액상 비료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증량제를 첨가하여 가루분말의 형태로 이용하거나 이를 제형화하여 과립화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제형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화학비료를 대체하기 위한 식물생장촉진 생물비료로 제형화 할 수 있고, 즉 화학비료 공급이 제한된 친환경 유기농업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생물비료로 제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배양하여 미생물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8% 이상의 염 농도에서 생육이 저하되었고, 30℃-35℃에서 최적 성장을 보였으며, 최적 pH는 5-8이었다(표 3 참조). 또한, 상기 균주는 에스큘린(esculin)과 세린은 가수분해하였고, 탄소원으로는 D-라피노오스(raffinose), D-멜리보우즈(melibiose), D-살리신(salicin), D-만니톨, D-과당을 이용하였다(표 3 참조). 상기 생육 조건에서 배양된 상기 균주는 고염 스트레스에 대해 내성을 가지며, 작물의 생장을 촉진하므로 미생물 제제로 이용할 수 있다(도 6 내지 도 8 참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상기 미생물 제제를 토양, 식물 또는 식물의 종자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생육 촉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ST45 및 ST502 균주는 고염 스트레스에 대해 내성을 가지며, 작물의 생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도 6 내지 도 8 참조).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상기 미생물 제제를 고체 상태로 작물 주변의 토양에 뿌려주거나, 액체 상태로 관주, 즉 분무하거나, 작물의 종자에 침지 또는 분무하거나 종자에 코팅하여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침지하는 방법의 경우,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상기 미생물 제제를 식물체 주변의 토양에 붓거나 또는 종자를 배양액 및 제제에 담가둘 수 있다. 분무할 경우에는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로 식물체에 줄줄 흐르도록 살포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은 채소 작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토마토, 배추, 상추, 오이, 고추, 파 및 쑥갓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상기 미생물 제제를 토양, 식물 또는 식물의 종자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스트레스에는 다른 생물체에 의해 일어나는 생물학적(biotic) 스트레스와 물리학적 또는 화학적 환경의 변화에 의해 일어나는 非생물학적(abiotic) 스트레스가 있으며, 구체적으로 고염, 고광, 고온 또는 건조 스트레스가 있다.
본 발명의 엔테로박터 sp. ST45 균주(KCTC 11528BP) 및 ST502 균주(KCTC 11532BP)는 식물생장촉진 효과를 가지므로, 농작물에 사용되는 합성비료를 대신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경제적인 미생물 비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단일 콜로니 스크리닝
<1-1> 토양시료
스크리닝을 위한 토양시료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확보되어 있는 2003년부터 2008년 국내·외 토양 500여 점과 대전지역의 밭, 논 등의 경작지 토양과 산림토양 등 250여 점 총 750여 점을 분양받아 스크리닝을 하였다.
<1-2> 스크리닝
스크리닝에 사용한 배지의 구성성분은 표 1에 기재하였다. 우선, 1 g의 토양시료를 PAF 배지에 넣어 30℃, 140 rpm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배양이 끝난 1차 배양액에서 1 ㎖을 취하여 새로운 PAF 배지에 접종하여 30℃, 140 rpm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2차 배양액에서 1 ㎖을 취하여 DF 최소배지에 접종하여 30℃, 140 rpm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3차 DF 최소배양액에서 1 ㎖을 취해 4차 DF 최소배지에 접종하였고 30℃, 140 rpm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100 ㎕을 취하여 DF 최소배지에 1.5% 박토 아가를 넣어 만든 배지에 도말하여, 30℃, 140 rpm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이때 4차용 DF 최소배지는 N-source인 (NH4)2SO4대신에 3 mM의 ACC(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synthase)를 넣어 만든 DF 최소배지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국내·외 토양 750여 점을 스크리닝하여 총 1200여 균주를 분리하였다.
Medium Ingredients Content ( per liter )
PAF Medium Proteose peptone 10 g
Casein hydrolysate 10 g
MgSO4 (anhydrous) 1.5g
K2HPO4 1.5g
Glycerol 10 ㎖
DF Salts
(minimal medium)
KH2PO4 4.0 g
Na2HPO4 6.0 g
MgSO47H2O 0.2 g
Glucose 2.0 g
Gluconic acid 2.0 g
Citric acid 2.0 g
(NH4)2SO4 (N-source)Trace elements -
FeSO47H2O 1.0 mg
H3BO3 10 ㎍
MnSO4H2O 11.19 ㎍
ZnSO47H2O 124.6 ㎍
CuSO45H2O 78.22 ㎍
MoO3 (pH 7.2) 10 ㎍
R2A Proteose peptone 0.5 g
Casamino acids 0.5 g
Yeast extract 0.5 g
Glucose 0.5 g
Soluble starch 0.5 g
Dipotassium phosphate 0.3 g
Magnesium sulfate 7H2O 0.05 g
Sodium pyruvate(pH 7.2) 0.3 g
TSB
( Tryptic Soy Broth )
Pancreatic Digest of Casein 17 g
Enzymatic Digest of Soybean Meal 3 g
Dextrose 2.5 g
Sodium Chloride 5.0 g
Dipotassium Phosphate 2.5 g
Nutrient Broth Beef Extract 3 g
Peptone 5 g
< 실시예 2> 활성 균주 스크리닝 - ACC 탈아미노효소 활성 측정
토양에서 분리한 단일콜로니로 분리한 균주를 대상으로 ACC 탈아미노효소 활성을 측정하고자, 분리 균주를 TSB 배지에 접종하여 Penrose & Glick(Penrose DM & Glick BR, Can J Microbiol 47:368-372, 2001)의 실험방법을 사용하였다. 에틸렌의 전구체인 ACC는 ACC 탈아미노효소에 의해서 α-케토뷰틸레이트(α-ketobutyrate)와 암모니아로 분해되므로, α-케토뷰틸레이트의 양을 흡광도로 측정함으로써, 분리 균주의 ACC 탈아미노효소 활성을 측정할 수 있다.
토양에서 분리한 단일콜로니로 분리한 균주를 5 ㎖의 영양배지(Nutrient broth)와 5 ㎖의 R2A 배지 또는 TSB 배지를 이용하여 30℃, 140 rpm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3000× 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펠렛을 1.5 ㎖ 튜브로 옮기고, pH7.6인 0.1M Tris-HCl 완충용액 1 ㎖을 함께 넣어 14,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은 버리고, pH8.5인 0.1M Tris-HCl 완충용액 600 ㎕를 넣고 파이펫팅하여 현탁시킨 후 톨루엔 300 ㎕을 넣어 30초간 강력하게 볼텍싱 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200 ㎕의 톨루엔화된(Toluenized) 세포를 새로운 1.5 ㎖ 튜브에 옮겨 담고 20 ㎕의 0.5M ACC를 첨가하여 볼텍싱한 후 상온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이후 500 ㎕의 0.56M HCl을 첨가하여 볼텍싱하였고 14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 500 ㎕을 새로운 튜브에 옮겨 담고 0.56M HCl 버퍼를 400 ㎕를 넣고 볼텍싱 하였다. DNPH(2,4-Dinitrophenylhydrazine) 시약 150 ㎕를 넣은 후 볼텍싱 하여 상온에서 30분간 배양한 후 1 ㎖의 2M NaOH를 넣어 UV 스펙트로미터기로 540 ㎚에서 α-케토뷰틸레이트의 양을 측정하였다.
분리 균주의 ACC 탈아미노효소 활성 측정에 필요한 단백질 정량은 ACC 탈아미노효소 활성 측정 중에서 톨루엔과 섞인 세포액 100 ㎕를 따로 분리하여 Coomassie Protein Assay Reagent Kit(Pierece USA)를 사용하여 59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BSA(bovine serum albumin: Sigma, USA)을 표준 단백질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ACC 탈아미노화 효소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의 분포가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았다.
< 실시예 3>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스크리닝
ACC 탈아미노화 효소 활성값이 61 내지 80 구간이고, 재현성이 높은 것에 중점을 두어 균주를 선별한 후,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함으로써 균을 동정하였다.
우선, 상기 선별된 균주로부터 DNA를 추출한 후, 상기 DNA를 주형으로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정방향 프라이머(5'-AGAGTTTGATCCTGGCTCAG-3') 및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역방향 프라이머(5'-GGTTACTTGTTACGACTT-3') 10 p㏖을 이용하여 PCR Thermal cycler TP600(Takara Co. Japan) 기기에서 하기 조건으로 PCR을 수행하였다: PCR 조건은 변성은 94℃에서 1분; 어닐링은 50℃에서 45 분; 신장은 72℃에서 3분; 30 회 반복. PCR 산물은 QIAquick PCR purification Kit(Qiagen)를 이용하여 정제한 후, Applied Bosystems model 310 automatic DNA sequencer로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수득한 16S rDNA의 염기서열을 NCBI의 BLAS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표 2에 기재하였다. 그 중, ACC 탈아미노화 효소 활성이 높고 유사도가 낮은, 동일한 엔테로박터속의 균주 2주(Serial No. BN084045: 서열번호 3, BN084502: 서열번호 4)를 최종적으로 선발하였고, ST45 및 ST502로 명명하였다.
Serial No. ACC deaminase
activity
Strain name Sequence similarity (%)
BN084003 64 Pseudomonas sp. HI-B7 98
BN084004 71 Pseudomonas vancouverensis 17555T 99
BN084011 68 Burkholderia sp. J62 97
BN084045 79 Enterobacter cancerogenus 96
BN084081 61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YRL04 97
BN084089 75 Pseudomonas sp. P7014 97
BN084472 68 Kluyvera georgiana 96
BN084502 70 Enterobacter hormaechei EN-562T 99
< 실시예 4> 활성균주 ST45 동정
<4-1> 균주배양
기본배지로서 TSA(Tryptic Soy Agar) 배지에서 ST45를 배양하였으며, pH7.0의 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균주의 보존은 최종 농도 20%로 글리세롤을 포함하도록 하여 냉동 보관하였다.
<4-2> 계통분류학적 분석
실시예 3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엔테로박터속으로 분류된, 선발한 ST45 균주 및 ST502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엔테로박터속 내의 종(enterobacter species) 및 그 외의 관련된 분류군과 비교하기 위해, CLUSTAL W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16S rDNA의 유사도는 Similarity Matrix version 1.1(Ribosomal Database Project Ⅱ; //rdp.cme.msu.dcu/html/analysis.html)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염기서열 중 갭(gap) 부분은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Evolutionary distance matrix는 PHYLIP(Phylogeny inference package, Felsenstein, 1993)의 dnadist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자계통도는 거리행렬법 중의 하나인 Neighbour-joining 방법을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Bootstrap 분석은 PHYLIP 패키지의 Kimura 2-parameter 모델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Kimura M, J Mol Evol 16,:111-120, 1980).
그 결과, 도 2와 같은 계통수를 수득하였는데, ST45 및 ST502는 계통적으로 엔테로박터속 내에 위치하고 있었고, 부트스트랩 수치(bootstrap value)가 이를 뒷받침하였다. 또한, 본원발명의 ST45의 16S rDNA는 엔테로박터 캔세로지너스(Enterobacter cancerogenus: 97.1%), 엔테로박터 아스부리애(Enterobacter asburiae: 96.7%) 및 엔테로박터 루드위지(Enterobacter ludwigii: 96.7%) 순으로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ST502의 16S rDNA는 엔테로박터 호매치(Enterobacter hormaechei: 98.4%), 엔테로박터 파이리너스(Enterobacter pyrinus: 95.9%), 엔테로박더 거고비에(Enterobacter gergoviae: 95.8%) 순으로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4-3> 형태적 특성 조사
실시예 4-1의 방법으로 배양한 균주의 형태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Man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John GH et al ., Bergey's Man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9th(ed.), Williams and Wilkins, Baltiomore, 1994)의 방법을 따랐으며, 크기, 운동성, 그람 염색법, 표면색 등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편모(flagella)를 확인하기 위해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으며, ST45 및 ST502는 그람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ST45는 TSA 배지에서 짙은 크림색을 띄었다(도 3). 24시간 배양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 시 ST45는 둥글면서 규칙적인 형태를 보였으며, 표면에는 한 가닥의 편모를 형성함으로써 운동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a). ST502는 TSA배지에서 유백색의 밝은 크림색을 띄었다. 24시간 배양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시 ST502는 둥글면서 약간 타원형의 형태를 보였으며, 표면에는 편모를 형성하지 않았다 (도 4b).
또한,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ST45 및 ST502는 계통수에서 가깝게 위치하는 균주들과 형태적 특징을 비교해 보았을 때 형태학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엔테로박터 캔세로지너스는 막대모양을 띄며 운동성을 갖지만, 엔테로박터 아스부리애는 운동성을 갖지 않았다.
Characterisstics ST45 502 Enterobacter ancerogenus Klebsiella
oxytoca
Enterobacter
asburiae
Morphology Oval-shaped Oval-shaped Straight rods Straight rods Straight rods
Colony size(㎛) 0.7-1.0
×1.2-3.0
0.4-1.0
×0.8-3.0
0.6-1.0
×1.2-3.0
0.3-1.0
×0.6-6.0
0.6-1.0
×1.2-3.0
Gram reaction - - - - -
Motility + - + - -
Optimal temp.(℃) 28-35 28-35 30-35 30-35 28-35
Optimal NaCl range(%) 0-5 0-5 0-4 0-3 0-4
Optimal pH range 5-8 6-8 6-8 6-8 6-8
Catalase - - nd nd nd
Urea hydrolyzed - - - + +
Indole production - - - + -
Voges-Prokauer - - + + -
Esculin hydrolysis + - - nd nd
Adonitol - + - + -
Dulcitol - - - d -
D-Sorbitol - + - + nd
D-Xylose - + + d nd
Maltitol - + - + +
Sucrose - + - + +
D-Raffinose + + - nd +
D-melibiose + + - nd -
L-Fucose - - + nd nd
D-Arabitol - + - d -
Citric Acid - + + + -
G+C content (mol%) nd nd nd 55-58 55-57
* nd: not determined
<4-4> 생리적 특성 조사
API Kit과 BIOLOG Kit를 이용하여 탄소원으로서 당 이용성 및 전분 분해 시험 등 각종 효소에 관한 실험을 실행하였다. 또한 균주의 생육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pH가 5.0-11.0까지 조정된 TSA 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4일간 관찰하였다. pH5.0-8.0은 Na2HPO4-H2PO4 완충용액, pH8.0-10.0은 Na2CO3-NaHCO3 완충용액, PH 11.0은 Na2HPo4-NaOH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조정하였다. 생육온도 및 생육 최적온도는 10-50℃의 범위에서의 균주의 성장을 관찰하였다. NaCl의 염농도에서의 생육도를 측정하기 위해 0% 내지 10%까지 TSA 배지에 NaCl(v/v)을 첨가하여 최적환경 pH 및 온도에서 배양하면서 그 생육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ST45는 에스큘린(esculin)은 가수분해하였으나, 우레아는 분해하지 못했다. 탄소원으로는 D-라피노오스(raffinose) 및 D-멜리보우즈(melibiose)를 이용하였으며, 아도니톨(adonitol), 덜시톨(dulcitol), D-솔비톨, 슈크로스, L-과당은 이용하지 않았다. 또한, 트롤린도마이신(troleandomycin; 100 ㎍/㎖), 리파마이신 5v(rifamycin 5v; 100 ㎍/㎖), 미노싸이클린(minocycline; 100 ㎍/㎖), 밴코마이신(vancomycin; 100 ㎍/㎖)에 대하여 감수성을 보였다(데이타 없음). 또한, TSA 배지에서 8% 이상의 염농도에서 생육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에서는 성장하지 못하였고 28℃-35℃에서 최적 성장을 보였으며 45℃ 이상에서는 성장하지 못하거나 더디었다. 최적 pH는 5-8이었다.
또한, ST502는 에스큘린(esculin)은 가수분해하지 못하였고, 탄소원으로는 아도니톨, D-솔비톨, D-자일로오스, 만니톨, 슈크로스, D-라피노오스 및 D-멜리보우즈를 이용하였으며, L-과당은 이용하지 않았다. 또한, TSA 배지에서 8% 이상의 염농도에서 생육이 저하되는 걸로 나타났다. 또한 4℃에서는 성장하지 못하였고 28℃-35℃에서 최적 성장을 보였으며 45℃ 이상에서는 성장하지 못하거나 더디었다. 최적 pH는 6-8이었다.
<4-5> 화학적 특성 조사 - 세포벽 지방산 조성분석
MIDI(Microbial ID)를 이용한 균체 지방산 분석을 위하여 균주는 TSB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최적 조건에서 배양(30℃, 140 rpm)한 후 원심 분리하여 균체만 회수하여 동결건조 하였다. 회수한 균체 약 50 ㎎을 Teflon-lined screw cap 튜브(13 × 100 ㎜, pyrex)에 옮긴 후, 표 4의 시약 1을 1 ㎖ 넣고 100℃에서 30분간 가열하고 실온에서 식혔다. 이어서 시약 2를 2 ㎖ 첨가하여 80℃에서 10분간 가열한 후 급랭하였고, 시약 3을 1.25 ㎖ 넣고 10분간 섞어주었다. 실온에 정치한 다음 반응액이 2개의 층으로 분리되면 하층액을 제거하고, 시약 4를 3 ㎖ 첨가하여 5분간 섞어준 다음, 반응액 중에서 상등액의 2/3를 새로운 바이알로 옮겨 분석 시료로 하였다. FAMEs(fatty acid methyl esters)의 분석에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Hewlett Packard series Ⅱ model 6890A, Delaware, USA)를 이용하였으며, methyl phenyl silicone fused silica capillary 컬럼(25 m × 0.22 ㎜ × 0.33 m, Hewlett Packard, USA)을 사용하였다.
Instrument Shimadzu ( SCL-10A UP)
Column GROM-SIL 120 ODS5-ST, GRO
Detection UV absorption at 260 nm
Eluent 0.55 M NH4H2PO4 (pH4.0): Acetonitrile (20:0.5, v/v)
Flow rate 1 ㎖/min
Temperature 30℃
그 결과,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ST45의 주요 지방산은 C12 :0(7.99%), C14 :0(6.46%), C15 :0(1.39%), C16:0(18.98%), C17 :0cyclo(14.24%), C17 :0(1.74%) 및 C18 :1 ω7c(20.59%) 이었다. 엔테로박터속 세포벽 지방산 조성과 일치하였다.
Fatty acid Fatty acid composition (%)
C10 :0 0.10
C11 :0 0.08
C12 :1 0.07
C12 :0 7.99
C13 :0 0.66
C12 :0 3OH 0.17
C14 :0 6.46
C15 :0 1.39
C16 :0 18.98
C15 :0 3OH 0.15
C17 :0 cyclo 14.24
C17 :0 1.74
C18 :1 ω7c 20.59
C18 :0 0.28
Summed feature 2* 13.25
Summed feature 3* 11.34
*Summed feature 2: iso-C16 :1 I 및/또는 C14 :0 3OH를 하나 이상 포함
*Summed feature 3: C16 :1 w7c 및/또는 iso-C15 :0 2OH를 하나 이상 포함.
또한,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ST502의 주요 지방산은 C12 :0(4.17%), C14 :0(10.44%), C15 :0(5.01%), C16:0(20.26%), C17 :0 cyclo(14.40%), C17 :0(2.41%) 및 C18 :1 ω7c(13.66%) 로 ST45의 주요 지방산 성분과 유사하여 동일한 엔테로박터속으로서의 특성을 나타냈다.
Fatty acid Fatty acid composition (%)
C12:1 0.18
C12:0 4.17
C13:0 1.29
C13:1 0.26
C14:0 10.44
C15:0 5.01
C16:0 20.26
C16:0 ISO 0.18
C15:0 3OH 0.41
C17:0 CYCLO 14.40
C17:0 2.41
C17:1 ω8c 0.30
C16:0 3OH 0.23
C18:1 ω7c 13.66
C18:0 0.27
C19:0 CYCLO ω8c 1.64
Summed feature 2* 12.96
Summed feature 3* 9.87
*Summed feature 2: iso-C16 :1 I 및/또는 C14 :0 3OH를 하나 이상 포함
*Summed feature 3: C16 :1 w7c 및/또는 iso-C15 :0 2OH를 포함.
<4-6> 분자생물학적 특성 조사 - G+C 몰% 함량 측정
근연 계통일수록 염색체 DNA의 염기조성이 비슷하다는 가정하에서, 4 염기(adenine, guanine, thymine, cytosine) 중에서 구아닌과 시토신이 차지하는 비율(GC 함량)을 몰%로 조사함으로써, 신종의 분자 유전학적 분류지표로 삼을 수 있다. 이에, ST45의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염색체 DNA의 G+C 함량 몰%를 분석하였다.
우선, ST45의 DNA를 추출한 후 멸균증류수 10 ㎕(1 ㎍/㎕)에 용해시켜 100℃에서 5분간 열처리하여 DNA를 변성시킨 후 얼음 속으로 옮겼다. 열 변성된 DNA에 뉴클라아제 P1을 처리하여 뉴클레오티드로 만든 뒤 역상컬럼(GROM-SIL 120 DOS5-ST, GRO)을 부착한 HPLC(Shimadzu Co. Japan)를 표 7의 조건으로 작동하여 260 ㎚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G+C 함량을 결정하였다.
Saponification Reagent 1
Sodium hydroxide (certified ACS) 45 g
Methanol (reagent grade) 150 ㎖
D.W 150 ㎖
Methylation Reagent 2
6.0N hydrochlonic acid 325 ㎖
Methanol (reagent grade) 275 ㎖
Extraction Reagent 3
Hexane (HPLC grade) 200 ㎖
Methyl-tert buthyl ether (HPLC grade) 200 ㎖
Washing Reagent 4
Sodium hydroxide 10.8 g
D.W 900 ㎖
그 결과, ST45의 DNA G+C 함량은 55.4몰%로 다른 엔테로박터속의 종(52-60몰%)에서 보고된 함량 범위 내에 속하였다.
< 실시예 5> ACC 탈아미노화 효소 활성 및 IAA ( indole acetic acid ) 측정
ST45, ST502 및 대조균주로 슈도모나스 플로레센스(Pseudomonas fluorescens)의 ACC 탈아미노화 효소 활성 및 IAA(indole acetic acid) 농도를 측정하였다.
ACC 탈아미노화 효소 활성은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IAA 농도 측정은 영양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배양액에서 100 ㎕를 취하여 500 ㎍/㎖ L-트립토판(Sigma-Aldrich Co., U.S.A.)이 함유된 50 ㎖의 LB 배지에 접종하여 28℃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10,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제거한 후, 상층액 2 ㎖과 100 ㎕의 10 mM 오르토인산(orthophosphoric acid)을 4 ㎖의 Salkowski`s 시약에 첨가하여 혼합한 후, 상온에서 25분간 배양하고 분홍빛이 되면 흡광도 530 ㎚에서 측정하였다. IAA(indole-3-acetic acid; Sigma-Aldrich Co., U.S.A.)를 배양 배지에 농도별로 녹여서 표준 곡선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ST45 및 ST502의 ACC 탈아미노화 효소 활성값은 대조균주인 슈도모나스 플로레센스와 비교하여 3~4배 이상 높게 나왔다. 또한, ST45 및 ST502 균주와 대조균주인 슈도모나스 플로레센스가 옥신을 생성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ST45 및 ST502에서 대조균주보다 옥신의 생성수치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ST45가 작물과 협력하여 작물 내의 에틸렌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작물의 생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 실시예 6> 식물의 생장촉진 효과 - Pot 실험
ST45 및 ST502가 고염 상태에서 토마토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토마토 포트에 처리한 후, 재배하였다. 줄기부분이 약 5 ㎝ 이상인 토마토 묘목['서광', 세미니스코리아㈜]을 대상으로, 121℃에서 30분간 멸균한 상토['원예용 상토 하이', 부농㈜]를 지름 9 ㎝,깊이 8 ㎝인 포트에 각각 약 130 g씩 담았다. ST45를 TSB 배지에서 30℃, 140 rpm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흡광도 600 ㎚에서 1.0으로 농도를 조정한 후, 포트에 30 ㎖를 처리하였다. 균주액을 처리 한 후 각각의 포트에 NaCl을 0 mM 및 210 mM/L의 농도로 처리하여 인위적으로 고염 스트레스를 가하였다. 일정한 염 농도(210 mM = 1.2%)를 조성하도록, 트레이를 이용하여 물을 주입하였다. 4주간 배양 및 관찰한 후, 토마토 묘목의 줄기 및 뿌리 크기 측정 및 생체질량을 측정하여 ANOVA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ST45 및 ST502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줄기는 7.01±2.9(cm), 뿌리는 8.87±2.5(cm)로 측정되었고, ST45 처리군의 경우, 줄기는 11.55±4.2(cm), 뿌리는 13.9±2.7(cm)로 측정되었다. 또한, 대조군에 비해 ST45 및 ST502 처리군의 토마토가 수치상 생장이 더 나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ST45 및 ST502가 식물의 생장촉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은 스크리닝된 균주들의 측정된 ACC 탈아미노화 활성의 분포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원발명의 ST45 및 ST502와 근연한 균주들의 계통수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의 ST45의 콜로니 형성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원발명의 ST45 및 ST502의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a: ST45; 및,
b: ST502.
도 5는 본원발명의 ST45 및 ST502의 ACC 탈아미노화 활성 및 IAA 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원발명의 ST45 및 ST502가 토마토 묘목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6: 생육의 그래프 데이타;
7: 생육의 사진 데이타; 및,
8: 뿌리 및 줄기 성장 사진.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20> Novel Enterobacter sp. strains and method for stimulating the growth of plant by using them <130> 9P-07-06 <160> 4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 agagtttgat cctggctcag 20 <210> 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 ggttacttgt tacgactt 18 <210> 3 <211> 1408 <212> DNA <213> ST45 16S rDNA <400> 3 ataaagnttg tgggaccatg cagtcgaacg gtagcacaga gagcttgctc tcgggtgacg 60 aggggggacg ggtgagtaat gtctgggaaa ctgcctgatg gagggggata actactggaa 120 acggtagcta ataccgcata acgtctcaag accaaagagg gggaccttcg ggcctcttgc 180 catcacatgt gcccacatgg gattatctat taggtggggt aacggctcac ctatgcgaca 240 atccctatct ggtctgagag gatgaccacc cacactggaa ctgagacacg gtccacactc 300 ctacgggagg cagcagtggg gaatattgca caatggcgca cctgatgccc tgccgcgtgt 360 atgaaaagcc ttcgggttgt aaagtacttt cagcggggag gaaggcgata cggttaataa 420 ccgtgtcgat tgacgttacc cgcaaaaaca ccggctaact ccgtgccagc agccgcggta 480 atacggaggg tgcaagcgtt aatcggaatt actgggcgta aagcgcacgc agcggtctgt 540 caagtcggat gtgaaatccc cgggctcaac ctgggaactg cattcgaaac tggcaggctt 600 gagtcttgta gaggggggta gaattccagg tgtagcggtg aaatgcgtaa gatctggagg 660 aataccggtg gcgaagcggc cccctggaca aagactgacg ctcaggtgcg aaagcgtggg 720 gagcaaacag gattaatacc ctggtagtcc acgctgtaaa cgatgtctat ttggaggttg 780 tgcccttgag gcgtggcttc cggagctaac gcgttaaata accgcctggg gagtacggcc 840 gcaaggttaa aactcaatga attgacgggg gcccgcacaa gcggtggagc atgtggttta 900 attcgatgca acgcgaagaa ccttacctac tcttgacatc cagagaactt gcagagatgc 960 ttggtgcctt cgggaactct gagacaggtg ctgcatggct gtcgtcagct cgtgttgtga 1020 aatgttgggt taagtcccgc aacgagcgca acccttatcc tttgttgcca gcgattcggc 1080 gggaactcaa aggagactgc cagtgataaa ctggaggaag gtggggatga cgtcaagtca 1140 tcatggccct tacgagtagg gctacacacg tgctacaatg gcgcatacaa agagaagcga 1200 actcgcgaga gcaagcggac ctcataaagt gcgtcgtagt ccggatcgga gtctgcaact 1260 cgactccgtg aagtcggaat cgctagtaat cgtggatcag aatgccacgg tgaatacgtt 1320 cccgggcctt gtacacaccg cccgtcacac catgggagtg ggttgcaaaa gaagtaggta 1380 gcttaacctc gggagggcgc taccactt 1408 <210> 4 <211> 1432 <212> DNA <213> ST502 16S rDNA <400> 4 aggggggcaa gctacacatg caagtcgaac ggtaacagga agcagcttgc tgcttcgctg 60 acgagtggcg gacgggtgag taatgtctgg gaaactgcct gatggagggg gataactact 120 ggaaacggta gctaataccg cataacgtcg caagaccaaa gagggggacc ttcgggcctc 180 ttgccatcgg atgtgcccag atgggattag ctagtaggtg gggtaacggc tcacctaggc 240 gacgatccct agctggtctg agaggatgac cagccacact ggaactgaga cacggtccag 300 actcctacgg gaggcagcag tggggaatat tgcacaatgg gcgcaagcct gatgcagcca 360 tgccgcgtgt atgaagaagg ccttcgggtt gtaaagtact ttcagcgggg aggaaggcga 420 taggttaata accttgtcga ttgacgttac ccgcagaaga agcaccggct aactccgtgc 480 cagcagccgc ggtaatacgg agggtgcaag cgttaatcgg aattactggg cgtaaagcgc 540 acgcaggcgg tctgtcaagt cggatgtgaa atccccgggc tcaacctggg aactgcattc 600 gaaactggca ggctagagtc ttgtagaggg gggtagaatt ccaggtgtag cggtgaaatg 660 cgtagagatc tggaggaata ccggtggcga aggcggcccc ctggacaaag actgacgctc 720 aggtgcgaaa gcgtggggag caaacaggat tagataccct ggtagtccac gccgtaaacg 780 atgtcgactt ggaggttgtg cccttgaggc gtggcttccg gagctaacgc gttaagtcga 840 ccgcctgggg agtacggccg caaggttaaa actcaaatga attgacgggg gcccgcacaa 900 gcggtggagc atgtggttta attcgatgca acgcgaagaa ccttacctac tcttgacatc 960 cagagaactt acagagatgg attggtgcct tcgggaactc tgagacaggt gctgcatggc 1020 tgtcgtcagc tcgtgttgtg aaatgttggg ttaagtcccg caacgagcgc aacccttatc 1080 ctttgttgcc agcggtcggc cgggaactca aaggagactg ccagtgataa actggaggaa 1140 ggtggggatg acgtcaagtc atcatggccc ttacgagtag ggctacacac gtgctacaat 1200 ggcgcataca aagagaagcg acctcgcgag agcaagcgga cctcataaag tgcgtcgtag 1260 tccggattgg agtctgcaac tcgactccat gaagtcggaa tcgctagtaa tcgtggatca 1320 gaatgccacg gtgaatacgt tcccgggcct tgtacacacc gcccgtcaca ccatgggagt 1380 gggttgcaaa agaagtaggt agcttaacct tcgggagggc gctaccattt tt 1432

Claims (8)

  1. ACC(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synthase) 탈아미노화 효소 활성을 갖고,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갖는,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엔테로박터 sp. ST45 균주(KCTC 11528BP).
  2. ACC 탈아미노화 효소 활성을 갖고,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갖는,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엔테로박터 sp. ST502 균주(KCTC 11532BP).
  3. 제 1항의 균주, 제 2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4. 제 1항의 균주, 제 2항의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제 3항의 미생물 제제를 토양, 식물 또는 식물의 종자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생육 촉진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액체 상태로 식물에 관주, 작물의 종자에 침지 또는 분무 하거나 종자에 코팅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의 균주, 제 2항의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제 3항의 미생물 제제를 토양, 식물 또는 식물의 종자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액체 상태로 식물에 관주, 작물의 종자에 침지 또는 분무하거나 종자에 코팅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는 고염, 고광, 고온 또는 건조 스트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90068781A 2009-07-28 2009-07-28 신규 엔테로박터속 균주 및 그를 이용한 식물 생장조절방법 KR101091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781A KR101091151B1 (ko) 2009-07-28 2009-07-28 신규 엔테로박터속 균주 및 그를 이용한 식물 생장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781A KR101091151B1 (ko) 2009-07-28 2009-07-28 신규 엔테로박터속 균주 및 그를 이용한 식물 생장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230A true KR20110011230A (ko) 2011-02-08
KR101091151B1 KR101091151B1 (ko) 2011-12-09

Family

ID=4377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781A KR101091151B1 (ko) 2009-07-28 2009-07-28 신규 엔테로박터속 균주 및 그를 이용한 식물 생장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1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3672B2 (en) 2005-04-08 2018-01-09 Gentherm Incorporated Thermoelectric-based air conditioning system
US10106011B2 (en) 2009-05-18 2018-10-23 Gentherm Incorporated Temperature control system with thermoelectric device
US10464391B2 (en) 2007-05-25 2019-11-05 Genther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thermoelectric heating and cooling
US10603976B2 (en) 2014-12-19 2020-03-31 Gentherm Incorporated Thermal condition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regions
US10625566B2 (en) 2015-10-14 2020-04-21 Genther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rmal conditioning of vehicle reg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76536A1 (en) 2012-06-22 2013-12-25 AIT Austrian Institute of Technology GmbH Method for producing plant seed containing endophytic micro-organisms
WO2014121366A1 (en) 2013-02-05 2014-08-14 University Of Saskatchewan Endophytic microbial symbionts in plant prenatal care
WO2015035099A1 (en) 2013-09-04 2015-03-12 Symbiota, Inc. Agricultural endophyte-pla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10136646B2 (en) 2013-06-26 2018-11-27 Indigo Ag, Inc. Agricultural endophyte-pla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MX2020003136A (es) 2013-06-26 2021-03-25 Indigo Ag Inc Poblaciones endofitas derivadas de semillas, composiciones y metodos de uso.
EP3068212B1 (en) 2013-11-06 2019-12-25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Fungal endophytes for improved crop yields and protection from pests
WO2015100432A2 (en) 2013-12-24 2015-07-02 Symbiota, Inc. Method for propagating microorganisms within plant bioreactors and stably storing microorganisms within agricultural seeds
US10271554B2 (en) 2013-12-24 2019-04-30 Ait Austrian Institute Of Technology Gmbh Plants containing beneficial endophytes
US9364005B2 (en) 2014-06-26 2016-06-14 Ait Austrian Institute Of Technology Gmbh Plant-endophyte combinations and uses therefor
KR101611537B1 (ko) 2014-03-07 2016-04-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생장 촉진용 엔테로박터 루드위지아이 sjr3 균주 및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생물 제제
EP3157338A4 (en) 2014-06-20 2018-04-11 Flinders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Inoculant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EP3763214A3 (en) 2014-06-26 2021-03-31 Indigo Ag, Inc. Endophytes, associ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RU2017127214A (ru) 2014-12-30 2019-02-01 Индиго Агрикалче, Инк. Эндофиты семян по сортам и видам, ассоцирова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я
RU2017141632A (ru) 2015-05-01 2019-06-03 Индиго Агрикултуре, Инк. Изолированные комплексные эндофитные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улучшения признаков растений
RU2017141758A (ru) 2015-05-01 2019-06-03 Индиго Агрикултуре, Инк. Разработанные комплексные эндофитные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улучшения признаков растений
CA2988764A1 (en) 2015-06-08 2016-12-15 Indigo Agriculture, Inc. Streptomyces endophyt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ed agronomic traits in plants
EP3393225A4 (en) 2015-12-21 2019-11-06 Indigo AG, Inc. ENDOPHY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ING PLANT CHARACTERS IN PLANTS OF AGRONOMIC IMPORTANCE
AU2017366699A1 (en) 2016-12-01 2019-07-18 Indigo Ag, Inc. Modulated nutritional quality traits in seeds
AU2017382384B2 (en) 2016-12-23 2021-01-28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Fungal endophytes for improved crop yields and protection from pests
US10645938B2 (en) 2017-03-01 2020-05-12 Indigo Ag, Inc. Endophyte compositions and the methods for improvement of plant traits
MX2019010349A (es) 2017-03-01 2019-11-21 Indigo Ag Inc Composiciones de endofitos y metodos para mejorar las caracteristicas de las plantas.
CA3098455A1 (en) 2017-04-27 2018-11-01 The Flinders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Bacterial inoculants
US11263707B2 (en) 2017-08-08 2022-03-01 Indigo Ag, Inc. Machine learning in agricultural planting, growing, and harvesting contexts
EP3684175A1 (en) 2017-09-22 2020-07-29 Technische Universität Graz Polymeric particles containing microorganism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3672B2 (en) 2005-04-08 2018-01-09 Gentherm Incorporated Thermoelectric-based air conditioning system
US10464391B2 (en) 2007-05-25 2019-11-05 Genther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thermoelectric heating and cooling
US10106011B2 (en) 2009-05-18 2018-10-23 Gentherm Incorporated Temperature control system with thermoelectric device
US11203249B2 (en) 2009-05-18 2021-12-21 Gentherm Incorporated Temperature control system with thermoelectric device
US10603976B2 (en) 2014-12-19 2020-03-31 Gentherm Incorporated Thermal condition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regions
US11358433B2 (en) 2014-12-19 2022-06-14 Gentherm Incorporated Thermal condition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regions
US10625566B2 (en) 2015-10-14 2020-04-21 Genther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rmal conditioning of vehicle reg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1151B1 (ko) 201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151B1 (ko) 신규 엔테로박터속 균주 및 그를 이용한 식물 생장조절방법
Shi et al. Growth promotion effects of the endophyte Acinetobacter johnsonii strain 3-1 on sugar beet
PL217740B1 (pl) Preparaty do traktowania gleby i nasion roślin zawierające żywe mikroorganizmy lub mikroorganizmy zdolne do rozmnażania się w glebach, sposób wytwarzania produktów do traktowania gleby i nasion roślin, mikroorganizmy, sposób wytwarzania mikroorganizmów oraz sposób traktowania gleby i nasion roślin preparatami
Ji et al. Bacillus subtilis HG-15, a halotolerant rhizoplane bacterium, promotes growth and salinity tolerance in wheat (Triticum aestivum)
KR100873961B1 (ko) 신규한 메틸로박테리움 푸지사와엔스 씨비엠비 20 균주 및이를 이용한 식물 생장촉진방법
CN108220210B (zh) 一株防治棉花黄萎病的拮抗菌z-18及应用
KR101456171B1 (ko) 물억새 뿌리로부터 분리한 미생물을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방법
KR20070106868A (ko) 신규 메틸로박테리움 푸지사와엔스 씨비엠비 110 균주 및이를 이용한 식물 생장촉진방법
WO2021212674A1 (en) Exiguobacterium undae mb338 and use thereof
KR100769360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에스37-2 균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생물비료
CN113151082B (zh) 一株多功能土壤细菌及应用
Johnson et al. Suppression of downy brome growth by a rhizobacterium in controlled environments
Verma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tive Rhizobium from root nodules of raikia french bean growing area of Odisha
KR101535893B1 (ko)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펜션스 cc110와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미생물농약
KR101720658B1 (ko) 신규한 식물 생장 촉진 미생물 및 이의 용도
Zhang et al. Lysobacter silvisoli sp. nov., isolated from forest soil
CN111019872A (zh) 一株内生解淀粉芽孢杆菌jl-b06及其应用
KR100460633B1 (ko) 토양의 불용성 인산염을 가용화하는 신규의 균주 레클레르시아 아데카르복실라타 케이에스제이8
KR101098418B1 (ko) 신규 시트로박터속 균주 및 그를 이용한 식물생장 촉진방법
KR100886749B1 (ko) 생육촉진 기능을 가지는 슈도모나스속 p7014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속성 재배방법
KR100690816B1 (ko) 신규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및 이를 이용한 마 영양번식체 생산방법
CN113564086A (zh) 具有溶磷功能并促进园林植物生长的根瘤菌及其应用
CN113234601A (zh) 一株海洋真菌新种及其在植物抗干旱胁迫中的应用
KR100973168B1 (ko) 저온에서 식물 성장을 촉진하는 슈도모나스 코루가타돌연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성장 촉진 방법
KR102559046B1 (ko) 세데세아 라파제이 cwl-1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생장 조절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