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950U - 내구성이 증진된 수전금구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증진된 수전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950U
KR20110010950U KR2020100013605U KR20100013605U KR20110010950U KR 20110010950 U KR20110010950 U KR 20110010950U KR 2020100013605 U KR2020100013605 U KR 2020100013605U KR 20100013605 U KR20100013605 U KR 20100013605U KR 20110010950 U KR20110010950 U KR 201100109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closing
fasten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주
Original Assignee
박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주 filed Critical 박봉주
Publication of KR201100109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9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5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with conical shape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부재와 핸들부재를 결합시킴에 있어 이들 내부를 관통시키면서 체결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 구조를 도입하면서 기존 수전금구의 체결 방식과는 상이한 방식을 도입함에 따라 개폐부재를 합성수지 재질로 하는 경우의 수전금구에서 빈번히 발생하였던 핸들부재쪽의 파손 내지 손상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내구성을 증진시킨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형성된 유입공과 상부에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장착공과, 그리고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과 유로를 형성하는 출수공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면서 유입공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에는 상기 유입공을 밀폐시키기 위한 제1밀폐부재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장착공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 결합되는 대응나사산이 형성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 상단에 구비되어 개폐부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핸들부재와,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와 핸들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핸들부재를 개폐부재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몸체에 개폐부재가 삽입되고, 삽입된 개폐부재 상단에 핸들부재가 배치된 후 체결부재를 결합함으로서 개폐부재와 핸들부재가 일체화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구성이 증진된 수전금구{THE FAUCET}
본 고안은 세면대, 싱크대 등에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폐부재와 핸들부재를 결합시킴에 있어 이들 내부를 관통시키면서 체결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 구조를 도입하면서 기존 수전금구의 체결 방식과는 상이한 방식을 도입함에 따라 개폐부재를 합성수지 재질로 하는 경우의 수전금구에서 빈번히 발생하였던 핸들부재쪽의 파손 내지 손상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내구성을 증진시킨 수전금구에 관한 것이다.
수전금구는 싱크대, 세면대 등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장치인 것으로,
유입공 및 출수공이 구비된 몸체가 급수관 및 토출관에 연결되고 이들을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부재가 부착된 개폐부재가 몸체 내부에 삽입되어 단부에 연결된 핸들부재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하게 되면, 상기 밀폐부재가 유입공을 개폐함으로서 유량, 유속 등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전금구는 그 종류가 다양한데, 하나의 급수관에 연결되어 냉수 또는 온수만을 공급하는 것, 두 개의 급수관에 연결되어 냉수 및 온수를 모두 공급하는 것, 샤워기가 연결된 것처럼 토수관이 두 개인 것 등 다양하고,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회동식과 손잡이를 누르거나 당기는 버튼식, 레버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레버식 등 다양하다.
또한 그 재질도 용도 및 설치장소 등에 따라 강철, 동합금, 스테인레스 등 다양한 금속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전금구를 보면 몸체 및 개폐부재가 철, 동합금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금속 재질로 된 수전금구는 강도가 높은 장점을 갖지만, 장기간 사용시에는 산화에 의한 부식으로 공급되는 물에 금속성분에 포함되어 인체에 유해하고, 열전도율이 크므로 외부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수전금구는 추운 겨울에 동파할 우려가 높다.
또한, 금속 재질의 수전금구는 제조단가가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자가 고안한 등록실용신안 제20-400854호(2005.11.02)『수전금구』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종래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수전금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폐부재의 재질을 플라스틱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개폐부재를 플라스틱 재질로 하고 이후 핸들부재가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부를 별도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손잡이 결합부는 사출시에 일체로 성형되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힘이 작용하는 부분이므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수전금구의 경우 수전금구 몸체보다는 핸들부재가 장착되는 부분쪽으로 사용자의 힘이 빈번히 작용되는 부분이고, 이로 인해 파손이 심하여 결국 수전금구 전체를 교체해야만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를 보완하고자 종래 실용신안 제20-400854호에서는 금속재질로도 할 수 있는 손잡이 결합부를 별도 구비하였으나,
상기 종래 실용신안의 경우에 있어 핸들부재 부분의 파손 내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손잡이 결합부를 별도 구비하고 있으나
이후 핸들부재가 장착되는 방식이 불편하고(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핸들부재가 장착되는 구조 자체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손잡이 결합부를 금속재질로 한다 하더라도 그 이외의 부분에서 힘이 작용하면 파손 내지 손상의 위험은 그대로 있는 것이기에 내구성 보강이 요구되어 졌다.
또한 실용신안공개 제2000-0014947호(2000.07.25)『급수밸브용 밸브 개폐장치』가 제안된바 있는데,
상기 실용신안은 기존 급수밸브에 비해 이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줄이고, 각 부품들을 조립하기 위한 후가공 공정을 대폭 축소하고 생산을 위한 원가 절감이 가능한 급수밸브용 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이하 본원고안이 추구하고자 내구성 측면 특히, 핸들부재 파손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이에 맞는 구조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 내지 시사가 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이하 본원고안과는 명확한 차이를 가진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실용신안공개 제2000-0014947호에서 종래기술로 소개되어 있는 개폐장치는 몸체에 개폐부재와 핸들부재 장착 후 체결부재로 이들을 일체시킨다는 점에서는 본원고안에서와 유사한 체결구조를 가지고는 있으나,
개시된 종래기술의 구조만으로는 기존 수전금구에서 항시 문제되었던 핸들부재 파손에 대응할 수 없다는 한계를 여전히 가지고 있는 구조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핸들부재와 개폐부재를 함께 관통하는 별도의 체결부재 구조를 도입함과 아울러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를 개폐부재 저부까지 위치시킴으로 인해 핸들부재를 비롯한 구조적인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전금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특히,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를 개폐부재 저부까지 위치시킴으로인해 그 외의 부품의 재질을 플라스틱재질로 가능하게 됨에 따라 내구성을 갖추면서도 제품의 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는 수전금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개폐부재에 대한 체결부재 체결을 위한 체결나사산을 체결부재 하부에 형성시키고, 제1밀폐부재가 끼워지는 걸림턱에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도입하여
종국적으로는 내구성 증진을 비롯하여 체결작업 편의성과 제품의 경량화를 함께 도모할 수 있고, 개폐부재 상승시 유입되는 물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금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전금구는,
하부에 형성된 유입공과 상부에 형성된 장착공과, 그리고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과 유로를 형성하는 출수공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면서 유입공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에는 상기 유입공을 밀폐시키기 위한 제1밀폐부재가 구비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 상단에 구비되어 개폐부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핸들부재와,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와 핸들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핸들부재를 개폐부재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부재가 장착공을 통해 몸체 내부로 삽입되고, 삽입된 개폐부재 상단에 핸들부재가 배치된 후 체결부재를 결합함으로서 개폐부재와 핸들부재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몸체와 개폐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재로 삽입되는 체결부재는 개폐부재에 형성된 대응나사산의 저부까지 형성되고,
체결부재 외주면에는 개폐부재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나사산은 체결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밀폐부재가 맞닿게 되는 몸체의 유입공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유입공 폐쇄시 가압에 의한 제1밀폐부재의 형상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부재의 하단에는 제1밀폐부재가 끼워지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은 거꾸로 세워진 원뿔형상이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부식성 내지 제조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폐부재를 비롯한 몸체 등을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한다 하더라도 그 내부를 관통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체결부재가 별도 구비되어 오랜 기간 사용되더라도 개폐부재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더욱이 개폐부재에 대한 핸들부재 배치 후 체결부재의 장착을 통해 이들을 일체화시킬 수 있고, 또한 개폐부재의 저부까지 형성된 체결부재의 체결나사산이 하부에만 형성되어
내구성을 보완하면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제품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개폐부재 상승에 따라 유입공을 통해 입수된 물이 유출공으로 배출됨에 있어 자연스러운 물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대한 수전금구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대한 수전금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대한 수전금구 결합단면도인 것으로, 도 3a는 유입공을 폐쇄시킨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유입공을 개방시킨 상태의 단면도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수전금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전금구에 대한 결합단면도인 것으로 도 5a는 유입공을 폐쇄시킨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유입공을 개방시킨 상태의 단면도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수전금구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전금구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11)과 유입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공(13)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 몸체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유입공(11)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20)와, 상기 개폐부재 상단에 결합되어 개폐부재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핸들부재(30)와,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의 상단을 덮기 위한 커버(50)와 핸들부재와 개폐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4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수전금구는 회동식, 버튼식, 레버식 등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나, 이하 도면에서는 회동식으로 도시를 하고 이를 중심으로 설명을 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사출 시 수지를 PC 또는 ABS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사용에 따라서는 사출된 몸체 외주면을 도금을 하여 금속재질의 수전금구처럼 보이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도 3에서 도면부호 11b로 표기된 부분이 도금부분을 지시한다).
상기 몸체(10)는 일자형으로 하부에 유입공(1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장착공(12)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 중간 지점의 측면에는 출수공(13)이 형성되는데,
상기 장착공(12)은 후술하는 개폐부재(20)가 삽입 장착되는 부위인 것으로 개폐부재의 상하 이동을 위하여 내주면에는 나사산(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출수공(13)은 유입공(11)과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의 몸체(10)에 대한 개폐부재(20)의 결합은 개폐부재가 장착공(12)을 통해 몸체 내부로 삽입됨으로 인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을 통해 몸체 내부를 관통하는 개폐부재(20)를 도 1 내지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개폐부재 역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구체적인 재질은 몸체와 통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 역시 일자형의 형상으로 그 하단에는 상기 유입공을 밀폐시키기 위한 제1밀폐부재(71)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장착공에 형성된 나사산(14)에 대응 결합되는 대응나사산(24)이 형성된다.
다만, 상기 개폐부재는 이후 핸들부재까지 함께 결합되어야 하기에 몸체의 유입공이 개폐부재에 의해 막혀지는 지점부터 몸체 상단까지의 몸체 길이보다 더 긴 길이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1밀폐부재(71)의 경우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개폐부재의 하단에는 걸림턱(21)이 형성되어 별도의 공구가 필요한 볼트 조립이 아닌 단순한 끼움방식으로 제1밀폐부재(71)를 개폐부재(20)에 장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밀폐부재가 위치하는 상부로는 개폐부재의 하단에서 끼워진 제1밀폐부재(71)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착부(22)가 개폐부재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장착부(22)는 재1밀폐부재가 상부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구현 형상에는 크게 구애받지 아니하나 제1밀폐부재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밀림 방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걸림턱(21)과 관련하여, 걸림턱(21)의 상단 크기는 제1밀폐부재가 개폐부재(20)에 걸려 빠져나오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면 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의 전체적인 형상은 외주면에 나사산(21a)이 형성된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걸림턱을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뿔 형상으로 하는 이유는 개폐부재(20)가 상승하여 유입공(11)으로 물이 유입되어 유로를 통해 출수공(13)으로 나감에 있어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1a)을 통해 물의 흐름을 형성할 수도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통상적으로 수전금구의 경우, 수로 개방시에 급수관으로부터 갑작스럽게 유입되는 물의 충격(즉, 수압)으로부터 몸체를 보호하고 소음의 발생을 줄이기 위한 구조(예, 수격방지부재)가 구비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구조는 개폐볼이 회전하여 수로를 개폐하는 볼밸브형 수전금구에 더욱 필요한 구조이지만, 도면에 도시된 봉밸브형에서도 요구되는 구조이다.
다만 볼밸브형 수전금구에 구비되는 수격방지부재와 같은 별도 구조까지는 필요없고 더욱이 이러한 수격방지부재 구조는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기에 많은 공간을 소요하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자연스러운 물의 흐름을 유도하면서 소음 발생 등을 줄일 수 있는 구조, 이러한 기능이 갖춰지면서 콤팩트한 구조를 추구하기 위해 걸림턱(21)을 거꾸로 세워진 원뿔형상으로 하되, 외주면에 나산산(21a)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개폐부재(20)가 상승하게 되면 걸림턱(21) 주변에 모인 물은 출수시 걸림턱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돌면서 출수공(13)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1밀폐부재가 맞닿게 되는 유입공(11)을 살펴보면, 보다 확실한 밀폐를 위하여 상기 유입공에는 단차(11a)를 형성하도록 한다.
즉, 개폐부재(20)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제1밀폐부재(71)가 유입공(11)을 차단하게 되는데, 상기 유입공에는 단차(11a)가 형성되어 있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제1밀폐부재(71)는 가압에 의해 재질의 특성상 단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보다 확실하게 유입공(11)을 폐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오랜 기간 사용에 따라 약해질 수 있는 밀폐성을 보완하여 물이 샐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였다.
다음으로 개폐부재가 장착공을 통해 몸체 내부로 삽입된 후에는, 상기 장착공이 형성된 몸체의 상단을 덮는 커버(50)가 결합된다.
상기 몸체(10)에 대한 커버(50)의 결합은 통상적인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역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밀폐부재(72)가 구비되는데, 밀폐성을 위하여 상기 커버(50)의 내부는 제2밀폐부재(72)와 동일한 형상으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50)가 몸체(10)에 장착되면서 몸체의 장착공(12)을 완전 밀폐시키게 된 후 개폐부재의 상단에 핸들부재(30)가 체결되는데(특히 도 2 및 도 4 참조),
상기 개폐부재의 상단 외주면에는 세로 방향의 톱니부(25)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가 관통되어 접하는 핸들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톱니부가 삽입되는 대응톱니부(35)가 형성되어 있어
개폐부재에 대한 핸들부재의 용이한 위치 배열이 가능하면서도 장착된 후 개폐부재에 대한 핸들부재의 공회전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톱니부(25)와 대응톱니부(35)를 통해 핸들부재를 개폐부재에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40)를 이용하여 상기 핸들부재와 개폐부재를 결합하면서 일체화시키게 된다.
즉, 상기 체결부재(40)는 상기 핸들부재와 개폐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핸들부재와 개폐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축(41)과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42)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핸들부재와 개폐부재에는 체결부재가 삽입 관통되기 위한 핸들공(30a)과 개폐공(20a)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축(4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나사산(24)이 형성된 시작 위치 즉, 대응나사산의 저부까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내구성을 위해 바람직하고, 재질 역시 금속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물이 접하는 몸체와 개폐부재는 부식성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하고, 상기 개폐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는 것으로 물과 접할 위험이 없는 체결부재의 경우 금속재질로 하여 핸들부재가 위치한 부위에서 개폐부재가 자주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체결에 있어서도 몸체에 개폐부재와 핸들부재를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이들을 한번에 일체화시키는 방식을 채택함으로 인해 체결 작업 역시 수월해진다는 작업상의 이점을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부재(40)는 상기 개폐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는 것으로 체결축의 외주면에는 체결나사산(41a)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 6에서와 같이 체결축 외주면 전체에 걸쳐 체결나사산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조립 내지 체결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체결나사산은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체결축 하부에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수전금구의 사용방식을 설명해보면,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우선 수전금구의 조립에 있어, 몸체의 장착공(12)을 통해 개폐부재(20)를 삽입시킨 후 커버(50)로 장착공 상부를 덮게 된다.
이후 개폐부재(20) 상단에 핸들부재(30)를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40)를 개폐공(20a)과 핸들공(30a)을 관통시키면서 상기 핸들부재(30)에 장착·고정함으로써 개폐부재와 핸들부재가 일체되게 되고, 수전금구 조립이 완성된다.
이후 도 3a 및 도 5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제1밀폐부재(71)가 유입공(11)을 차단시키는 형태로 개폐부재를 위치시켜두었다가 출수가 필요한 경우 도 3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재(30)를 회전시켜 제1밀폐부재를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유입공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핸들부재와 개폐부재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톱니부(25)와 대응톱니부(35)에 의해 치합되어 있기에 개폐부재에 대해 핸들부재가 헛도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조를 갖는 수전금구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하 설명될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
11: 유입공 12: 장착공 13: 출수공 14: 나사산
20: 개폐부재
21: 걸림턱 22: 장착부 24: 대응나사산 25: 톱니부
30: 핸들부재 35: 대응톱니부
40: 체결부재 41: 체결축 41a: 체결나사산 42: 헤드
50: 커버 71: 제1밀폐부재 72: 제2밀폐부재

Claims (2)

  1. 하부에 형성된 유입공과 상부에 형성된 장착공과, 그리고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과 유로를 형성하는 출수공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를 관통하면서 유입공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에는 상기 유입공을 밀폐시키기 위한 제1밀폐부재가 구비된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 상단에 구비되어 개폐부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핸들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와 핸들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핸들부재를 개폐부재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부재가 장착공을 통해 몸체 내부로 삽입되고, 삽입된 개폐부재 상단에 핸들부재가 배치된 후 체결부재를 결합함으로서 개폐부재와 핸들부재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몸체와 개폐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재로 삽입되는 체결부재는 개폐부재에 형성된 대응나사산의 저부까지 형성되고,
    체결부재 외주면에는 개폐부재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나사산은 체결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밀폐부재가 맞닿게 되는 몸체의 유입공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유입공 폐쇄시 가압에 의한 제1밀폐부재의 형상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증진된 수전금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하단에는 제1밀폐부재가 끼워지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은 거꾸로 세워진 원뿔형상이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증진된 수전금구.


KR2020100013605U 2010-05-18 2010-12-30 내구성이 증진된 수전금구 KR20110010950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195 2010-05-18
KR20100005195 2010-05-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950U true KR20110010950U (ko) 2011-11-24

Family

ID=7288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605U KR20110010950U (ko) 2010-05-18 2010-12-30 내구성이 증진된 수전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95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239A (ko) * 2017-05-26 2018-12-05 박언병 다용도 수전
KR102227095B1 (ko) * 2020-08-13 2021-03-11 노응석 수지인서트를 갖는 분기용 어댑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239A (ko) * 2017-05-26 2018-12-05 박언병 다용도 수전
KR102227095B1 (ko) * 2020-08-13 2021-03-11 노응석 수지인서트를 갖는 분기용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491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ain body of water-saving device and main body of water-saving device
EP2816161A1 (en) Popup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sink and installation method
KR20110010950U (ko) 내구성이 증진된 수전금구
US20110126932A1 (en) Faucet device
US20130134346A1 (en) Control structure of wall-mounted faucet
US9163742B2 (en) Faucet valve seat
US20190240682A1 (en) Shower Device Without Remaining Water
KR20140002188U (ko) 조립이 용이한 온냉수 혼합꼭지
US20100025612A1 (en) Control valve for a water tap
US20110000557A1 (en) Check vacuum breaking device for a tap
KR20120000180A (ko) 제수밸브장치
KR200474415Y1 (ko) 수전레버 부착용 온수 조절대
WO2009014218A1 (ja) 流路開閉装置
KR100753744B1 (ko) 온수기용 밸브
KR200450207Y1 (ko)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
CN106894473B (zh) 卫生的出水口配件
KR200405568Y1 (ko)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KR200435246Y1 (ko) 역류방지용 연결밸브
KR200400854Y1 (ko) 수전금구
CA2749874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a faucet
KR200374734Y1 (ko) 샤워 헤드
CN215635250U (zh) 一种出水嘴能够转动的水龙头
CN216975928U (zh) 一种快拆式龙头
CN209412918U (zh) 一种净水龙头
RU131391U1 (ru) Гидрант пожарный подземны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