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541U - Auto-Loading Apparatus for Book - Google Patents

Auto-Loading Apparatus for Boo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541U
KR20110010541U KR2020100004693U KR20100004693U KR20110010541U KR 20110010541 U KR20110010541 U KR 20110010541U KR 2020100004693 U KR2020100004693 U KR 2020100004693U KR 20100004693 U KR20100004693 U KR 20100004693U KR 20110010541 U KR20110010541 U KR 201100105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let
stack
booklets
automatic loading
loa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69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59729Y1 (en
Inventor
이정훈
김인수
김홍수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2020100004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729Y1/en
Publication of KR201100105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54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7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72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자의 자동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재기에서 배출된 책자를 자동으로 적재함으로써 인력의 낭비를 줄임과 동시에 적재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책자의 자동 적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연속 급지 장치는 전자 여권 생산에 사용되는 자동 적재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에 단재기에서 배출된 책자를 수동으로 적재하는 작업에 낭비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다. 특히, 전자 여권 표지 등과 같은 경우 그 재질에 인체에 해로운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단재기에서 발생되는 먼지에 이러한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단재기 근처에서 적재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건강에 문제가 생길 위험성이 높았으나,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 적재가 이루어지므로 적재 작업에서 인력을 배제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이와 같은 작업자의 건강 문제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수동으로 책자를 적재하는 경우 발생되는 실수(방향 등이 잘못 적재되는 경우)나 책자의 오염, 손상 등이 일어날 확률을 최소화시켜 줌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적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적재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해 주는 큰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loading device of a bookle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loading device of a booklet, which automatically reduces the amount of manpower while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loading work by automatically loading a booklet discharged from a cutting machine. have. In particular, the continuous paper fee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automatic loading apparatus used for the production of electronic pas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large effect that can reduce the manpower wasted in the work of manually loading the booklet discharged from the cutting machine. In particular, such as an electronic passport cover, the material contains harmful substances harmful to the human body. Since the dust generated from the cutting machine includes these harmful substances, there may be a problem for the health of the worker who loads near the cutting machine. Although the risk was hig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utomatic loading is made, it is possible to exclude the manpower from the loading operation, thereby eliminating the worker's health problem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the probability that mistakes (when the orientation, etc. are loaded incorrectly) or contamination or damage of the booklet caused by manually loading the booklet, it is possible to achieve accurate and rapid loading work Ultimately, there is a great effect that maximizes the efficiency of the loading operation.

Description

책자의 자동 적재 장치 {Auto-Loading Apparatus for Book}Auto-Loading Apparatus for Book}

본 고안은 책자의 자동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loading device of a booklet.

과거와는 달리 현재에는 사업, 학업, 관광 등의 목적으로 국제적인 인구의 이동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해외 여행 시에 신원 확인을 위하여 개인에게 발급되는 여권의 사용에 있어 정확한 신원 확인에 걸리는 인력, 시간 등의 자원 소요량이 과거에 비하여 급증하게 되었다. 한편, 현재 국제 범죄 및 테러의 확산이 국가 안보의 중대한 위협 요소로 대두되고 있어 여권 위ㆍ변조 방지를 통한 보안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는 가운데, 여권 확인 작업에 걸리는 인력 및 시간 등은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어, 해외 여행 시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다.Unlike in the past, the international population is now very active for business, study and tourism. As a result, the use of passports issued to individuals to verify their identity when traveling abroad has led to a sharp increase in resource requirements such as manpower and time required for accurate identification. Meanwhile, the proliferation of international crimes and terrorism has emerged as a serious threat to national security, and security has been strengthened by preventing passport forgery and alteration, and the manpower and time required for passport verification will increase. No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is inconvenience when traveling abroad.

이와 같은 종래의 여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바로 전자 여권(e-Passport, electronic passport)으로서, 일반적으로 전자 여권이라고 하면 신원 정보 및 생체 인식 정보(Biometric data)를 저장한 비접촉식 IC칩을 내장하고 있는 여권을 말한다. 전자 여권의 기본적인 형태는 기존의 여권과 유사하게 종이 재질의 책자 형식으로 제작되어 기존 여권과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여권 표지에 내장되는 칩에는, 기존 여권에 수록되는 것과 동일한 내용의 신원 정보와, 신원 확인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생체 인식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An electronic passport (e-Passport, electronic passport)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assport. In general, an electronic passport is a contactless IC chip that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biometric information. Refers to a built-in passport. The basic form of an electronic passport is made of a booklet made of paper, similar to a conventional passport, and can be used like a conventional passport. At this time, the chip embedded in the cover of the electronic passport stores identity information having the same contents as those stored in the existing passport and biometric information which can more reliably confirm the identity.

이와 같은 전자 여권 도입은 여권 위ㆍ변조 및 여권 도용 억제를 통해 여권의 보안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여권 위ㆍ변조 억제와 관련하여, 전자 여권에 내장되는 칩에는 기존 여권에 수록된 정보가 한 번 더 수록되며, 각종 보안 기술이 추가 적용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여권 상의 신원 정보 면과 칩을 동시에 조작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할 만큼 어려워지고, 설사 조작한 경우라고 해도 출입국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적발되게 된다. 또한 여권 도용 억제와 관련하여, 정보 이중 수록을 통해 가장 빈번한 여권 위ㆍ변조 형태인 사진 교체가 방지되며, 특히 대한민국의 경우 2010년부터는 지문 수록 전자 여권 발급을 통해, 전자 여권에 수록되는 지문과 여권 소지인의 지문을 비교함으로써, 본인 확인 및 도용 억제 기능이 한층 강화되게 된다.
The introduction of such an electronic passport can maximize the security of the passport by suppressing passport forgery, forgery and passport theft. More specifically, in relation to the suppression of passport forgery and alteration, the chip embedded in the electronic passport contain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existing passport one more time, and various security technologies are additionally appli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dentify the identity information on the passport. It is almost impossible to operate the chip at the same time, and even if it is operated, it is automatically caught during the immigration process. In addition, in the case of suppressing theft of passports, the most frequent passport forgery and alteration of photographs is prevented by double recording of information.In particular, in 2010, fingerprints and passports stored in electronic passports are issued through fingerprint issuance. By comparing the fingerprints of the holders, identity verification and theft suppression functions are further enhanced.

이와 같은 전자 여권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이 재질로 된 책자 형식으로 제작되게 된다. 이와 같이 책자 형태로 제작된 전자 여권은, 규격을 정확하게 맞추기 위하여 최종적으로 단재기를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재된 전자 여권은 인력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모여져 상자에 적재되게 된다.Such an electronic passport is to be produced in the form of a booklet made of paper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passport produced in the form of a booklet is finally passed through a cutting machine in order to accurately meet the specifications. As such, the cutaway electronic passports are manually gathered using a manpower and stacked in a box.

그런데, 일반적으로 전자 여권에 사용되는 종이는 질기고 튼튼하게 함과 동시에 위ㆍ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특수한 재질이 사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종이 재질의 원료 중에는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화학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물론 전자 여권 완제품에서는 이러한 화학 물질이 인체로 흡수될 염려가 전혀 없도록 되어 있으나, 단재기에서 전자 여권이 단재되는 과정에서 미세한 종이 가루가 많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단재기 근처에서 적재 작업을 수행하는 사람에게는 이러한 종이 가루의 흡입으로 인하여 건강을 해치게 될 위험성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However, in general, a paper used in an electronic passport is made of a special material in order to be tough and durable and to prevent forgery and alteration. By the way, it is well known that the paper material used for this purpose contains a chemical substance that may be harmful to the human body. Of course, there is no fear that these chemicals will be absorbed into the human body in the e-passport finished product, but a lot of fine paper powder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utting the e-passport in the cutting machine. It is true that the inhalation of paper dust can not ignore the risk of harm to health.

또한, 이와 같이 수동으로 전자 여권을 상자에 적재하는 작업 자체가 인력 및 시간 등의 자원 낭비가 심하여, 전자 여권 생산 효율을 저하시키는 큰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사람이 적재 작업을 직접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자 여권의 오염(손때 등)이나, 위치나 방향이 잘못 배치되는 실수 등이 발생될 가능성도 높다. 따라서 이와 같이 수동 적재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하는 당업자들의 요구가 꾸준히 있어 왔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manually loading the e-passport in the box is a waste of resources such as manpower and time, which is a great cause of lowering the e-passport production efficiency. In addi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of the electronic passport (hands, etc.)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a loading operation directly, or a mistake in the position or direction being misaligned.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constant demand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rove the problems caused by manual loading.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재기에서 배출된 책자를 자동으로 적재함으로써 인력의 낭비를 줄임과 동시에 적재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책자의 자동 적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연속 급지 장치는 전자 여권 생산에 사용되는 자동 적재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load the booklet discharged from the cutting machine to reduce the waste of manpower and at the same time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load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loading device for booklets. In particular, the continuous paper fee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automatic loading apparatus used for the production of electronic passpor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책자의 자동 적재 장치는, 책자(500)을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미리 결정된 일정량이 될 때까지 적층하고, 상기 일정량만큼의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배출시키는 적층 수단(110); 무한궤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적층 수단(110)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적층 수단(110)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120);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가 상기 이송 수단(120)의 타측 끝단에 도달하면 도달된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취하여 운반시키는 운반 수단(130); 상기 운반 수단(130)에 의해 이송된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받아서 일정한 위치에 배치시키는 배치 수단(140); 상기 배치 수단(140)에 의해 배치된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취하여 적재 상자(160)에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인입시키는 인입 수단(1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utomatic loading device of the book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booklet 500 is continuously supplied and stacked until a predetermined amount is predetermined, when the predetermined amount of loading is completed the booklet 500 Stacking means (110) for discharging the stack (510) of lamellas; Transport means 120 formed in the form of a caterpillar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acking means 110 to arrange and transport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discharged from the stacking means 110 at equal intervals ); Conveying means (130) for picking up and conveying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reached when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reaches the other end of the conveying means (120); Arrangement means (140) for receiving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conveyed by the transport means (130) and placing them in a predetermined position; Retracting means (150) for taking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arranged by the placing means (140) and inserting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into a stacking box (160); And a control unit.

이 때, 상기 이송 수단(120)은 상기 이송 수단(120)의 진행 방향을 제1방향, 상하 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때, 상기 이송 수단(120)의 양측면에,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의 제2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방향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이송 수단 가이드(1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transfer means 120 is a first directio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transfer means 120 when the second direction, the Both side surfa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means guide 121 is formed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first direction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in the second direction.

또한, 상기 운반 수단(130)은 상기 이송 수단(120)의 진행 방향을 제1방향, 상하 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때, 궤도(135)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운반 수단 본체(131)와, 제1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운반 수단 본체(131)의 양측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운반 수단 핸드(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운반 수단 핸드(132)는, 상부가 상기 운반 수단 본체(131)에 연결되되 상하 방향 및 제1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부에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운반 수단 본체(131) 내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 연장되는 걸림부(1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운반 수단(130)은 상기 운반 수단 본체(131) 상에 상기 책자(500)의 적층체(510)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 센서(13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두께 감지 센서(134)는 압력 센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veying means 130 is movable along the track 135 whe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means 120 is a first direction, an up-down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s a second direction. And a conveying means main body 131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conveying means hand 13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ing means main body 131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first direction. The conveying means hand 132 is connected to the conveying means main body 131 with an upper portion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a vertical direction and a first direction, and the conveying means main body 131 along a first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133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inner direction. At this time, the conveying means 1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detecting sensor 134 for detecting the thickness of the stack 510 of the booklet 500 on the conveying means body 131. At this time, the thickness sensor 134 is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as a pressure sensor.

또한, 상기 배치 수단(140)은 상기 이송 수단(120)의 진행 방향을 제1방향, 상하 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때, 지면 상에 고정되는 배치 수단 본체(141)와, 상기 배치 수단 본체(141)에 제2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90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운반 수단(130)으로부터 받은 상기 책자(500)의 적층체(510)를 지면 상에 배치시키는 배치 수단 핸드(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배치 수단 핸드(142)는 제2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180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osing means 140 is a disposing means main body fixed on the ground whe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means 120 is a first direction, an up-down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s a second direction. 141 and the arranging means main body 141 are rotatably provided at 90 ° with a second axis as a central axis, and the laminate body 510 of the booklet 500 received from the conveying means 130 is ground. And an arranging means hand 142 disposed thereon. At this time, the disposing means hand 14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180 degrees rotatable arou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또한, 상기 인입 수단(150)은 상기 배치 수단(140)에 의하여 배치된 상기 책자(500)의 적층체(510)를 잡는 인입 수단 핸드(151)와 상기 인입 수단 핸드(151)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 상자(160)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상기 책자(500)의 적층체(510)를 인입시키는 인입 수단 로봇 암(1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인입 수단(150)은 상기 적재 상자(16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인입수단 로봇 암(152)에 의하여 상기 책자(500)의 적층체(510)가 적재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인입 수단 가이드(15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etracting means 150 is connected to the retracting means hand 151 and the retracting means hand 151 for holding the stack 510 of the booklet 500 disposed by the placing means 140 and the And a retraction means robot arm 152 for retracting the stack 510 of the booklet 50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acking box 160. At this time, the retracting means 150 is disposed on the loading box 160 and the retracting means for guiding the position where the stack 510 of the booklet 500 is loaded by the retracting means robot arm 152. It further comprises a guide 153.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에 단재기에서 배출된 책자를 수동으로 적재하는 작업에 낭비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다. 특히, 전자 여권 표지 등과 같은 경우 그 재질에 인체에 해로운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단재기에서 발생되는 먼지에 이러한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단재기 근처에서 적재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건강에 문제가 생길 위험성이 높았으나,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 적재가 이루어지므로 적재 작업에서 인력을 배제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이와 같은 작업자의 건강 문제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large effect that can reduce the manpower wasted in the work of manually loading the booklet discharged from the cutting machine. In particular, such as an electronic passport cover, the material contains harmful substances harmful to the human body. Since the dust generated from the cutting machine includes these harmful substances, there may be a problem for the health of the worker who loads near the cutting machine. Although the risk was hig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utomatic loading is made, it is possible to exclude the manpower from the loading operation, thereby eliminating the worker's health problems.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수동으로 책자를 적재하는 경우 발생되는 실수(방향 등이 잘못 적재되는 경우)나 책자의 오염, 손상 등이 일어날 확률을 최소화시켜 줌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적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적재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해 주는 큰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the probability that mistakes (when the orientation, etc. are loaded incorrectly) or contamination or damage of the booklet caused by manually loading the booklet, it is possible to achieve accurate and rapid loading work Ultimately, there is a great effect that maximizes the efficiency of the loading oper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자동 적재 장치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배치 수단의 상세도.
도 4는 인입 수단의 상세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loa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detailed views of the deployment means.
4 is a detail view of the retraction means;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책자의 자동 적재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utomatic loading device of the book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자동 적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 적재 장치(100)는, 적층 수단(110)과, 이송 수단(120)과, 운반 수단(130)과, 배치 수단(140)과, 인입 수단(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서, 상기 이송 수단(120)이 연장되는 방향을 제1방향으로, 상하 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제2방향으로 칭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각 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Figure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loa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automatic load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mination means 110, a conveying means 120, a conveying means 130, a disposing means 140, and a retracting means 150. It is done by In FIG. 1, a direction in which the transfer means 120 extends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and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direction. Hereinafter, each par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적층 수단(110)은 책자(500)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미리 결정된 일정량이 될 때까지 적층하고, 상기 일정량만큼의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배출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일정량은 적재 상자(160) 및 상기 책자(500)의 규격 등에 따라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하게 자유로이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개/10개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책자(500)는 특히 책자 형태로 제작되는 전자 여권 등이 될 수 있다.
The stacking means 110 receives the booklet 500 continuously and stacks the booklet 500 until it reaches a predetermined amount, and discharges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when the predetermined amount of loading is completed. Here, the predetermined amount may be freely determin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or the user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loading box 160 and the booklet 500, for example, may be 5/10. Here, the booklet 500 may be, for example, an electronic passport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ooklet.

상기 이송 수단(120)은 무한궤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적층 수단(110)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적층 수단(110)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이송시킨다. 여기에서 무한궤도 형태라는 것은 물론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컨베이어 벨트 형태가 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한 반복적이고 연속적인 이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의 이동 수단으로 형성된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ing means 120 is formed in a caterpillar form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acking means 110 to arrange the stacks 510 of the booklets 500 discharged from the stacking means 110 at equal intervals. Transfer it. Here, the caterpillar form may of course be a conveyor belt as shown in FIG. 1,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may also include forms.

이 때, 상기 이송 수단(120)에는 상기 이송 수단(120)의 양측면에 제1방향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이송 수단 가이드(12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 수단 가이드(12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의 제2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ransfer means 12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transfer means guide 121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rst direction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transfer means 120. Since the conveying means guide 121 is provided, separation of the stacks 510 of the booklets 500 i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prevented.

상기 운반 수단(130)은,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가 상기 이송 수단(120)의 타측 끝단에 도달하면 도달된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취하여 운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운반 수단(13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운반 수단(130)은, 궤도(135)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운반 수단 본체(131)와, 제1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운반 수단 본체(131)의 양측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운반 수단 핸드(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서 상기 궤도(135)는 일직선으로 간략하게 표현되었으나 도 1로 본 고안이 제한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상기 궤도(135)의 형상은 본 고안의 자동 적재 장치(100)가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나 형태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The conveying means 130 serves to take and convey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reached when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reaches the other end of the transport means 120. Do it. To describe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ying means 130 in more detail, the conveying means 130 is movable along the track 135, the conveying means main body 131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the first direction Side by side with the conveying means hand 13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ing means main body 131 a pair is provided symmetrically. In FIG. 1, the track 135 is briefly expressed in a straight li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IG. 1. The shape of the track 135 is a size of a space in which the automatic load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type and the like.

또한, 상기 운반 수단 핸드(132)는, 상부가 상기 운반 수단 본체(131)에 연결되되 상하 방향 및 제1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부에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운반 수단 본체(131) 내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 연장되는 걸림부(13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운반 수단 핸드(132)가 제1방향을 따라 벌어진 채 상기 적층체(510)를 향해 하강하고, 제1방향을 따라 오므라짐으로써 상기 걸림부(133)에 상기 적층체(510)의 하부가 걸리게 되어 상기 운반 수단 핸드(132)에 상기 적층체(510)가 안정적으로 잡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veying means hand 132,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veying means main body 131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first direction, the lower conveying means main body 131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 engaging portion 133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inner direction is formed. That is, the conveying means hand 132 descends toward the stack 510 with the open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retracts along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stack 510 of the stack 510 is caught by the catching portion 133. The lower part is caught so that the stack 510 can be stably held by the transport means hand 132.

또한, 상기 운반 수단 본체(131) 상에 상기 책자(500)의 적층체(510)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 센서(13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 감지 센서(134)는 압력 센서 등과 같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운반 수단(130)에 의해 상기 적층체(510)가 잡혀지는 시점에서, 상기 적층체(510)에 상기 책자(500)이 적절한 개수가 포함되어 있는지 감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detection sensor 134 for sensing the thickness of the stack 510 of the booklet 500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transport means body 131. The thickness sensor 134 may be implemented as a sensor such as a pressure sensor. Therefore, when the stack 510 is held by the transport means 130,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stack 500 contains an appropriate number of booklets 500.

상기 배치 수단(140)은, 상기 운반 수단(130)에 의해 이송된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받아서 일정한 위치에 배치시킨다. 이 때 상기 배치 수단(140)은, 지면 상에 고정되는 배치 수단 본체(141)와, 상기 배치 수단 본체(141)에 제2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90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운반 수단(130)으로부터 받은 상기 책자(500)의 적층체(510)를 지면 상에 배치시키는 배치 수단 핸드(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치 수단 핸드(142)는 제2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180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arranging means 140 receives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conveyed by the conveying means 130 and arranges them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t this time, the arranging means 140 is provided with a arranging means main body 141 fixed on the ground, and the arranging means main body 141 is rotatable 90 deg. With a second axis as the center axis. It may comprise a placing means hand 142 for placing the stack 510 of the booklet 500 received from 130 on the ground. At this time, the disposing means hand 142 may be provided to be 180 ° rotatable arou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도 2 및 도 3은 상기 배치 수단(140)의 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치 수단 핸드(142)는 상기 운반 수단(130)으로부터 상기 책자(500)의 적층체(510)를 받아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90ㅀ 회동한다. 상기 책자(500)이 적층될 때에는 책등이 앞쪽 또는 뒤쪽으로 보이도록 적층되는 바, 상기 적층체(510)는 이제 책등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보이도록 놓여지게 된다. 이 때, 상기 배치 수단 핸드(142)가 제2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180ㅀ 회동하게 되면, 상기 적층체(510)의 방향을 바꾸어 줄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책등이 상측으로 보이게 놓을 수도 있고, (상기 배치 수단 핸드(142)가 제2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180ㅀ 회동함으로써) 책등이 하측으로 보이게 놓을 수도 있는 것이다. 책등 부분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적재되게 되면, 책자 형태의 물체에서 책등 부분이 보다 강성이 높기 때문에, 적재된 책자들의 집합체의 강성 분포가 불균일해질 수가 있는 바, 상기 배치 수단 핸드(142)가 이와 같이 책등이 상측으로 보이게 놓거나 또는 하측으로 보이게 놓는 것을 자유롭게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적재된 책자들의 집합체의 강성 분포를 훨씬 균일하게 해 줄 수 있게 된다.
2 and 3 show one embodiment of the placement means 140 in more detail. The disposing means hand 142 receives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from the conveying means 130, and rotates about 90 ° with a central axis as shown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booklet 500 is stacked, the bookshelves are stacked so that they can be seen forward or backward, and the stack 510 is now placed so that the booklets are seen above or below. At this time, when the disposing means hand 142 is rotated 180 degrees with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as the central axis, the direction of the stack 510 may be changed. That is, for example, the book lamp may be placed upward, and the book lamp may be placed downward (by the disposition means hand 142 rotating 180 ° with the center axis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book parts are all loaded in the same direction, since the book parts are more rigid in the book-shaped object, the stiffness distribution of the collection of the loaded booklets may be non-uniform. It is possible to make the stiffness distribution of the aggregate of loaded booklets even more uniformly by allowing the back light to be placed upside down or freely and automatically performed.

상기 인입 수단(150)은, 상기 배치 수단(140)에 의해 배치된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취하여 적재 상자(160)에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인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인입 수단(150)은 상기 배치 수단(140)에 의하여 배치된 상기 책자(500)의 적층체(510)를 잡는 인입 수단 핸드(151)와 상기 인입 수단 핸드(151)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 상자(160)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상기 책자(500)의 적층체(510)를 인입시키는 인입 수단 로봇 암(1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에서 상기 인입 수단 로봇 암(152)은 그저 궤도를 따라가는 간단한 팔 형태로 간략하게 도시되었으나, 물론 이로써 본 고안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적재 상자(160)의 위치 등에 따라 상기 인입 수단 로봇 암(152)은 궤도를 따라감과 동시에 여러 관절을 가지고 있어 위치와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retracting means 150 takes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arranged by the placing means 140 and inserts the stack 510 of booklets 500 into the stacking box 160. It plays a role. In more detail, the retracting means 150 is connected to the retracting means hand 151 and the retracting means hand 151 which hold the stack 510 of the booklet 500 arranged by the placing means 140. And a retracting means robot arm 152 for retracting the stack 510 of the booklet 50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acking box 160. In FIG. 1, the retraction means robot arm 152 is simply illustrated in the form of a simple arm following an orbit, but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traction means robot arm may be loc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ading box 160. 152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freely adjusted in position and direction because it has several joints at the same time along the track.

이 때, 상기 적재 상자(160) 상에는 인입 수단 가이드(153)가 배치되어, 상기 인입수단 로봇 암(152)에 의하여 상기 책자(500)의 적층체(510)가 적재되는 위치를 안내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 적재 상자(160) 및 상기 인입 수단 가이드(153)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At this time, the insertion means guide 153 is disposed on the loading box 160 to guide the position where the stack 510 of the booklet 500 is loaded by the insertion means robot arm 152. More preferred. 4 shows the loading box 160 and the retraction means guide 153 in more detail.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s well as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본 고안의) 자동 적재 장치 110: 적층 수단
120: 이송 수단 121: 이송 수단 가이드
130: 운반 수단 131: 운반 수단 본체
132: 운반 수단 핸드 133: 걸림부
134: 두께 감지 센서 135: 궤도
140: 배치 수단
141: 배치 수단 본체 142: 배치 수단 핸드
150: 인입 수단 151: 인입 수단 핸드
152: 인입 수단 로봇 암 153: 인입 수단 가이드
160: 적재 상자
500: 책자 510: (책자의) 적층체
100: automatic loading device 110 of the invention
120: transfer means 121: transfer means guide
130: conveying means 131: conveying means main body
132: transport means hand 133: engaging portion
134: thickness detection sensor 135: orbit
140: deployment means
141: placement means main body 142: placement means hand
150: inlet means 151: inlet means hand
152: retracting means robot arm 153: retracting means guide
160: loading box
500: booklet 510: stack of (booklets)

Claims (9)

책자(500)을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미리 결정된 일정량이 될 때까지 적층하고, 상기 일정량만큼의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배출시키는 적층 수단(110);
무한궤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적층 수단(110)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적층 수단(110)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120);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가 상기 이송 수단(120)의 타측 끝단에 도달하면 도달된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취하여 운반시키는 운반 수단(130);
상기 운반 수단(130)에 의해 이송된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받아서 일정한 위치에 배치시키는 배치 수단(140);
상기 배치 수단(140)에 의해 배치된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취하여 적재 상자(160)에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를 인입시키는 인입 수단(1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의 자동 적재 장치.
Stacking means (110) for continuously receiving the booklet (500) and stacking it until a predetermined amount is determined, and discharging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when the loading of the predetermined amount is completed;
Transport means 120 formed in the form of a caterpillar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acking means 110 to arrange and transport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discharged from the stacking means 110 at equal intervals );
Conveying means (130) for picking up and conveying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reached when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reaches the other end of the conveying means (120);
Arrangement means (140) for receiving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conveyed by the transport means (130) and placing them in a predetermined position;
Retracting means (150) for taking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arranged by the placing means (140) and inserting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into a stacking box (160);
Automatic loading device of a booklet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120)은
상기 이송 수단(120)의 진행 방향을 제1방향, 상하 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때,
상기 이송 수단(120)의 양측면에, 상기 책자(500)들의 적층체(510)의 제2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방향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이송 수단 가이드(1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의 자동 적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means 120
Whe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transfer means 120 is a first direction, an up-down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s called a second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conveying means 120, the conveying means guide 121 is formed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first direction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stack 510 of the booklets 500 in the second direction is provided with Booklet's automatic load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수단(130)은
상기 이송 수단(120)의 진행 방향을 제1방향, 상하 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때,
궤도(135)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운반 수단 본체(131)와,
제1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운반 수단 본체(131)의 양측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운반 수단 핸드(13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운반 수단 핸드(132)는, 상부가 상기 운반 수단 본체(131)에 연결되되 상하 방향 및 제1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부에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운반 수단 본체(131) 내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 연장되는 걸림부(1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의 자동 적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veying means 130
Whe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transfer means 120 is a first direction, an up-down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s called a second direction,
A transport means main body 131 which is movable along the track 135 and is movable up and down,
Carrying means hand 132, a pair is provid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carrying means main body 131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conveying means hand 132,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veying means main body 131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first direction, the lower portion inside the conveying means main body 131 in the first direction Automatic loading device of a book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133 is formed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direc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수단(130)은
상기 운반 수단 본체(131) 상에 상기 책자(500)의 적층체(510)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 센서(13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의 자동 적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veying means 130
Automatic loading device of a book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detecting sensor 134 for detecting the thickness of the stack (510) of the booklet 500 on the conveying means main body (13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감지 센서(134)는
압력 센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의 자동 적재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hickness sensor 134 is
Automatic loading device of the booklet,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by a pressure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수단(140)은
상기 이송 수단(120)의 진행 방향을 제1방향, 상하 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때,
지면 상에 고정되는 배치 수단 본체(141)와,
상기 배치 수단 본체(141)에 제2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90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운반 수단(130)으로부터 받은 상기 책자(500)의 적층체(510)를 지면 상에 배치시키는 배치 수단 핸드(14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의 자동 적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acement means 140
Whe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transfer means 120 is a first direction, an up-down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s called a second direction,
An arrangement means body 141 fixed on the ground,
The arrangement means main body 141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ed 90 degrees around the second axis as a center axis, and arranges the stack 510 of the booklet 500 received from the carrying means 130 on the ground. Means Hand (142)
Automatic loading device of a booklet comprising a.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수단 핸드(142)는
제2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180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의 자동 적재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lacement means hand 142 is
An automatic loading device of a bookl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provided at 180 ° with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as a center axi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수단(150)은
상기 배치 수단(140)에 의하여 배치된 상기 책자(500)의 적층체(510)를 잡는 인입 수단 핸드(151)와
상기 인입 수단 핸드(151)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 상자(160)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상기 책자(500)의 적층체(510)를 인입시키는 인입 수단 로봇 암(15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의 자동 적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tracting means (150)
An inlet means hand 151 for holding the stack 510 of the booklet 500 disposed by the placement means 140 and
An inlet means robotic arm 152 connected to the inlet means hand 151 for introducing the stack 510 of booklet 500 in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owage box 160.
Automatic loading device of a booklet comprising a.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수단(150)은
상기 적재 상자(16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인입수단 로봇 암(152)에 의하여 상기 책자(500)의 적층체(510)가 적재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인입 수단 가이드(153)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의 자동 적재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etracting means (150)
An insertion means guide 153 disposed on the loading box 160 to guide a position where the stack 510 of the booklet 500 is loaded by the insertion means robot arm 152.
Automatic loading device of a booklet,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KR2020100004693U 2010-05-04 2010-05-04 Auto-Loading Apparatus for Book KR20045972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693U KR200459729Y1 (en) 2010-05-04 2010-05-04 Auto-Loading Apparatus for Boo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693U KR200459729Y1 (en) 2010-05-04 2010-05-04 Auto-Loading Apparatus for Boo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541U true KR20110010541U (en) 2011-11-10
KR200459729Y1 KR200459729Y1 (en) 2012-04-13

Family

ID=4660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693U KR200459729Y1 (en) 2010-05-04 2010-05-04 Auto-Loading Apparatus for Boo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729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749B1 (en) 2017-12-01 2018-04-05 김강 Carrying apparatus for wrapping books
KR101845740B1 (en) 2017-12-01 2018-04-05 김강 Stacking transfer apparatus for by unit booklet packaging
KR101883632B1 (en) 2018-03-12 2018-07-31 김강 Carrying apparatus for wrapping book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7863A (en) * 1995-07-24 1999-03-30 Grapha-Holding Ag Method for producing book blocks composed of folded printed sheets
JP3752373B2 (en) * 1997-12-26 2006-03-08 グンゼ株式会社 Automatic storage device
ITBO20020521A1 (en) * 2002-08-05 2004-02-06 Gd Spa METHOD AND MACHINE FOR PACKAGING A PRODUCT
KR200409460Y1 (en) * 2005-12-09 2006-02-24 케이 이엔지(주) The modification measure apparatus for hands of robot arm carrying the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729Y1 (en)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196B1 (en) Container and system for processing of bank notes
JP5550588B2 (en) Integrated sealing device
CN103578186B (en) Case supply
KR200459729Y1 (en) Auto-Loading Apparatus for Book
CN104641735B (en) Bulk component feed system and bulk component replenishing method
CN100367318C (en) Paper money receiving and paying apparatus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KR20060051995A (en) Apparatus for sorting paper currency
JP2006099391A5 (en)
CN104272356B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aluable document
US9928678B2 (en) Input module and method for feeding value documents to a value-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value documents
RU2012154321A (en) MACHINE DEPOSIT / EXTRACTION MACHINE
CN111602182B (en) Automatic paper money processing system
CN105324309B (en) Paper binding apparatus
CN103313923A (en) Paper feed device
JP2013058039A (en) Paper sheet processor
CN212276515U (en) Certificate access core equipment
JP4391216B2 (en) Randomness detector using non-contact IC tag, increased drop detector, bookbinding machine, irregularity detection method, increased drop detection method
KR200459728Y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Feeding Book Cover and Half-finished Book for Merging Process
CN112354872A (en) Can detect cubic battery dress shell equipment of screening
KR101480606B1 (en)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JP4599621B2 (en) Non-contact IC card collection device
KR200459727Y1 (en) Chip Registration System for e-Passport
CN113326905B (en) Intelligent card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KR101741914B1 (en)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CN111823752B (en) Bill storage system, bill storage method and automatic bill fil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