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532A -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532A
KR20110010532A KR1020090098667A KR20090098667A KR20110010532A KR 20110010532 A KR20110010532 A KR 20110010532A KR 1020090098667 A KR1020090098667 A KR 1020090098667A KR 20090098667 A KR20090098667 A KR 20090098667A KR 20110010532 A KR20110010532 A KR 20110010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ealing
inner tube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희
임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775,79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018257A1/en
Priority to RU2010127261/12A priority patent/RU2010127261A/ru
Priority to EP10007229A priority patent/EP2277427A3/en
Publication of KR20110010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자기기의 신축관 장치는, 외관, 상기 외관에 삽입되며 고정홈을 구비한 내관, 상기 외관의 일 측에 고정된 홀더관, 상기 홀더관을 감싸도록 설치된 핸들관 및, 상기 내관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 사이 공간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내관 내부 부압에 의해 형태가 변형됨으로써 밀폐력이 향상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신축관장치의 조작이 용이하고, 상기 실링부재의 마모가 적으며,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신축관장치, 텔레스코픽, 파이프, 승강, 연장관, 밀폐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a Telescopic pipe for a electric apparatus}
본 발명은 신축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는 잘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는, 내관과 외관 사이로 공기가 누수되지 않도록 실링부재를 구비하며, 실링부재의 일측 단에 돌출턱을 구비하여 실링하거나, 외경이 확장되는 확관형태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EP 0 998 871 B1에 개시된 신축관장치의 실링부재는, 일단에 돌출턱이 마련되어 있고, 돌출턱의 외경은 외관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을 어느정도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EP 1872 702 A2에 개시된 신축관장치의 실링부재는, 일 단은 돌출 턱을, 타단은 외경이 확장되는 확관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양 단에서 이중으로 밀폐시키는 구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의 신축관장치는, 돌출되거나 내경이 확장된 실링부재의 밀폐부가 외관의 내경과 항상 강하게 접촉되어 있으므로, 내경이 외경에 대해 이동될 때마다 외관의 내경에 대해 미끄러지면서 마찰되고, 특히 장시간 사용시에 밀폐부가 많이 마모됨으로써,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기 누수를 막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며, 외관에 고정된 실링부재의 밀폐부와 외관과의 마찰력에 의해, 신축관을 조작할 시 힘이 많이 들어가고 조작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돌출턱이나 확관부로 밀폐부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관의 단부가 외관 내부에서 좌우로 흔들려 비틀어질 때, 확관부나 돌출턱도 비틀어지면서 갭이 발생되고, 공기의 누수가 발생되는 현상이 있었다.
또한,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EP1 092 383 A1에 개시된 신축관장치는,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두 개의 고정부재(억제수단)가 내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 및 이탈되도록 고정부재를 롤러형상으로 구성하고, 고정홈도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WO 2007/112839에 개시된 신축관장치는, 하나의 롤러 형상의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고정홈의 양측면을 완만하게 형성하여 롤러형상의 고정부재가 고정홈에 잘 삽입 및 이탈되도록 하고 있으나, 내관 뿐만 아니라 외관의 외주면에서도 복수 개의 윈도우, 터널 등이 형성되어 있어 복잡한 구성을 갖고 있다.
US7,025,383 B2에 개시된 신축관장치도, 복잡한 구성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레버 형태의 고정부재가 내관에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홈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삽입 및 이탈되도록 내관 고정홈의 측면이 완만한 경사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종래기술의 신축관장치는, 내관의 고정홈에 고정부재가 직 접 삽입되고 내관을 밀고 당김에 따라 고정홈의 경사진 측면과 마찰되면서 고정부재가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고정홈으로부터 잘 이탈되도록 고정부재를 롤러형상으로 구성하고, 내관 고정홈의 길이방향 양 측면이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신축관장치는, 롤러형상의 고정부재가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완만한 고정홈 측면 경사를 따라 쉽게 이탈되는 현상을 막을 수 없고, 내관을 외관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장기간 사용시에는 내관을 잡아당기거나 외관 내부로 밀어넣는 동작만으로도 고정부재가 쉽게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신축관장치의 제어가 어려워지는 현상이 발생되기 쉽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관과 외관 사이 실링을 확실하게 보장하면서도 조작력이 떨어지지 않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관의 고정을 확실하게 하면서도 조작력이 좋은 개선된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 하면서도 제조 및 조립이 편리한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는, 외관; 상기 외관에 삽입되며 고정홈을 구비한 내관; 상기 외관의 일 측에 고정된 홀더관; 상기 홀더관을 감싸도록 설치된 핸들관; 및, 상기 내관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 사이 공간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내관 내부 부압에 의해 형태가 변형됨으로써 밀폐력이 향상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으로 인하여, 형태 변형 전 신축관장치 조작 시에는 상기 밀폐부와 외관과의 마찰력이 적어 조작이 용이하고, 조작 후 작동 시 부압으로 인해 밀폐부의 형태가 변형될 시에는 밀폐부가 외관을 더 강하게 가압함으로 써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적어도 두 개의 밀폐부를 구비하여 보다 견고한 실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부재는 관형상으로 구성되고, 일단 및 타단에 제 1 밀폐부 및 제 2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밀폐부는 굽어진 날개 형상으로 상기 내관 내부의 부압 발생 시 상기 날개 형상이 굽어짐으로써 밀폐력이 향상되며, 상기 제 2 밀폐부는 상기 외관의 내경 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내관 일 단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내관의 내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1 밀폐부는 상기 내관의 단부 근처에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 신축관장치는, 상기 내관이 상기 외관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와, 신축되는 내관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회전방지및신축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방지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방지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방지와 내관의 신축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고,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가 내관의 고정홈의 측면 경사에 밀려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성이 아니라 회전방지부재와 접촉되어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고정홈의 형상 및 깊이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어 내관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방지부재가 고정부재와 접촉되어 이동시키는 구성이므로, 깊은 고정홈이더라도 고정홈으로부터 고정부재가 쉽게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에 신축관장치의 조작성은 떨어지지 않는다.
상기 내관은,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레일홈과 교차되도록 상기 외면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기 홀더관은 상기 내관을 감싸고 상기 회전방지부재가 상기 레일홈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억제하며, 상기 고정부재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홀더관이 한번 조립된 후에는 회전방지부재가 레일홈으로부터 절대 분리되지 못하며 이로 인해 내관이 외관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확실히 막을 수 있다. 또한, 관통구로 내에서 고정부재는 상하 이동만 가능하고 좌우로 미끄러지거나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레일홈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방지부재의 상면에 장착되거나 분리되면서 상기 고정홈에 삽입 및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방지부재와 접촉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1 접촉부의 양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 및 분리되는 제 2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제 1 접촉부 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제 1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핸들관 내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제 2 돌기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재의 상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관 이동 시에는 마찰력을 줄이며 조작 후 내관 및 외관에 내부에 부압이 발생 시에는 밀폐력(실링효과)이 강화되도록 변형되는 밀폐부(날개 형상의 제 1 밀폐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내관의 신축 이동이 용 이하고 실링이 확실히 보장되며, 장기간 사용 시에도 실링 효과를 꾸준히 유지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관의 단부가 외관의 내부에서 좌우로 흔들리면서 비틀어짐으로써 실링의 단부에 갭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달된 부압에 의해 변형되는 밀폐부(날개 형상의 제 1 밀폐부)에서 공기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 확실한 실링이 보장된다. 특히, 날개부가 내관의 단부에 위치될 경우 이와 같은 효과는 더욱 상승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외관에 대한 가공이 필요 없으며, 회전방지와 내관의 신축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간단한 회전방지 및 신축제어유닛의 구성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며 제작 및 조립이 편리하고 작업 공수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가 내관의 고정홈의 측면 경사에 밀려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성이 아니라, 회전방지부재에 밀려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고정홈의 형상 및 깊이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내관의 견고한 고정과 편리한 조작을 보장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사시도이고, 도 2 는 각 부품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회전방지부재, 홀더관 및 내관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내관(100), 외관(200), 실링부재(800), 홀더관(300), 회전방지및신축제어유닛(900) 및 핸들관(400)을 포함한다.
내관(10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서, 외관(200) 및 홀더관(300) 보다 직경이 작으며, 홀더관(300) 및 외관(200)의 내부로 삽입된다. 내관(100)은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이나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관(100)의 외면에는 레일홈(101)과 고정홈(102)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홈(101)은 내관(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속적인 홈으로 고정홈(102) 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고, 고정홈(102)은 레일홈(101)과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레일홈(101) 양 측에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홈(102)의 깊이는 레일홈의 깊이 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레일홈(101)에 회전방지부재(500)가 삽입되므로 레일홈(102)의 깊이를 고정홈(101)의 깊이 보다 더 깊게 형성하는 것이 내관(100)의 회전방지 및 고정에 바람직하다. 레일홈(101)은 일정한 깊이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고정홈(102)의 깊이는 일정하지 않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고정홈(102) 중 레일홈(101)과 접하는 제 1 부분(102a)의 홈 깊이가 제일 깊고, 레일홈(101)으로부터 가장 먼 제 2 부분(102b)의 홈 깊이가 가장 낮으며, 제 1 부분(102a)으로부터 제 2 부분(102b)으로 갈수록 홈 깊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고정부재(600)를 견고하게 고정 홈(102)에 고정시키면서 고정홈(102)으로부터 용이하게 고정부재(600)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 4는 고정부재(600)가 고정홈(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홈(102)의 제 1 부분(102a)을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로서, 고정홈(102)의 저면(102d)과 양 측면(102c)은 거의 직각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정홈(102)과 접촉되는 고정부재(600)의 양 측면(600a)과 저면(600b)이 이루는 각도도 고정홈(102)에 면접촉 삽입되도록 거의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내관(10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고정부재(600)가 고정홈(10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내관(100)을 잡아 당기거나 외관(200) 내부로 밀어 넣더라도, 종래기술과는 달리 고정부재(600)가 고정홈(102)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핸들관(400)을 길이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회전방지부재(500)가 고정부재(600)를 상부로 밀어 올리므로 고정부재(600)나 고정홈(102)의 면이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쉽게 분리 조작할 수 있다. 고정홈(102)과 회전방지부재(500)의 자세한 상호 동작 과정에 대한 설명은 후술된다. 내관(100)의 일단에는 청소기 노즐(미도시)과 결합을 위한 록킹부재(21)가 구비되어 있고, 타단에는 실링부재(800)와 결합을 위한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도 1,2 참조).
외관(20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파이프 형상이며, 내관(100)과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이나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외관(200)에는 내관(100)과 같은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일단부는 내경이 줄어드는 축관부(23, 도 1 참조)와 타단부에는 홀더관(300)과 결합을 위한 개구(201, 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축관부(23)는 청소 기 핸들부(미도시)에 결합된다.
도 5는, 도 1의 Ⅴ-Ⅴ 라인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실링부재(800)와 내관(100)과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실링부재(800)는,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관 형상으로 제 1 밀폐부(801), 제 2 밀폐부(802), 몸체부(813) 및 확관부(811)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밀폐부(801)는 실링부재(800)의 일단부에 날개 형상(굽어진 형상)이며, 굽어진 부분의 외면 압착부(809)가 외관(200) 내면과 접촉된다. 내관(100)이 외관(200)에 대하여 좌우로 흘들려 비틀어짐으로써 제 2 밀폐부(802)의 실링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도 16 참조) 내관(100) 내부의 부압이 제 1 밀폐부(801)까지 전달되고, 도 5의 점선과 같이, 날개 형상이 더욱 굽어지게 되기 때문에 공간(807)이 줄어들고 압착부(809)가 외관(200) 내면에 더욱 밀착하게되어 제 1 밀폐부(801)의 밀폐력이 향상되고 공기가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즉, 이러한 실링부재의 구성으로 인하여, 제 2 밀폐부(802)의 실링이 깨지더라도 제 1 밀폐부(801)의 실링력은 더욱 증대되며, 공기 누수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변형되는 제 1 밀폐부(801) 구조는, 제 2 밀폐부의 실링이 깨지지 않는 평상시에는, 도 5의 확대된 원 안의 실선과 같이, 압착부(809)가 외관(200)의 내면에 강하게 밀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외관(200)과 실링부재(800) 간의 마찰력이 적으며 핸들관(400)의 조작력이 좋다.
제 2 밀폐부(802)는, 도 5를 참조하면, 실링부재(800)의 타단부 즉, 1 밀폐부(801)와 반대 방향 확관부(811)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실링부재(800)의 확관 부(811)는 몸체부(813)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확관부(811)는 단턱(817) 및 턱부(812)가 형성된 몸체부(813)의 끝에서부터 점점 내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제 2 밀폐부(802)까지 계속 내경이 증가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 2 밀폐부(802)의 외경은 외관(200)의 내경 보다 크다. 또한, 제 2 밀폐부(802)는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압착돌기(801a)를 구비한다. 압착돌기(801a)의 외경은 거의 외관의 외경과 동일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200)의 내면에 압착되어 외관(200) 및 내관(100) 내부를 공기가 외관과 내관 사이로 누수되지 않도록 밀폐한다.
몸체부(813) 외면에는 3개의 돌기부(805)가 구비되어 있으며, 돌기부(805)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돌기부(805)의 단부는 외관의 내면과 접촉되지는 않도록 적당한 높이를 갖는다. 돌기부(805)는 몸체부(813)의 탄성력을 높여주고, 실링부재(800)가 더욱 강하게 내관(100)의 외면을 감싸주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돌기부(805)의 갯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실링부재(800)는 내관(100)과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며, 고무 등 탄성력이 좋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관(100)이 실링부재(800)의 내면인 억지끼움면(815)에 압착되면서 삽입되면, 도 5와 같이, 내관(100)의 외면이 단턱(817)의 깊이 만큼 억지끼움면(815)을 파고 들어가 압착 고정된다.
도 6은, 실링부재(80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의 실링부재(800')도 제 1 및 제 2 밀폐부(821,831)를 구비한다. 제 1 밀폐부(821)는, 상술한 실시 예의 실링부재(800)와는 달리, 몸체부(833) 와 확관부(845) 사이에 구비되어 있으며, 내관(100)에 설치될 경우 내관(100) 단부 근처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은 내관(100)의 비틀림이 발생할 경우(도 17 참조) 제 1 밀폐부(821)의 실링효과를 다른 위치에 형성된 것 보다 더욱 좋게한다. 예를 들어, 만약 제 1 밀폐부(821)가 내관(100)의 단부가 아닌 몸체부 쪽에 더 치우처 구비되어 있다면 억지끼움면(855)과 결합된 몸체부(833)의 면적이 작아지고, 내관(100)의 단부(154)를 통해 공기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출원인이 많은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에 의하면, 도 6과 같이, 제 1 밀폐부(821)가 내관(100)의 단부(154)에 위치되는 구조 즉, 몸체부(833)와 확관부(845)가 연결되는 부근에 위치되는 구조가 제 2 밀폐부(831)의 실링이 깨지는 경우에도 실링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된다. 도 6의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제 2 밀폐부(831)의 실링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실선과 같이 제 1 밀폐부(821)의 날개(822)가 외관(200)의 내면과 약간 접촉되어 있지만, 제 2 밀폐부(831)의 실링이 깨지는 경우에는(도 17 참조, 이는 내관이 좌우로 흔들리면서 실링부재가 비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점선과 같이 공간(831)이 벌어지면서 날개가 외관의 내면에 더 강하게 압착됨으로써, 제 2 밀폐부의 실링력이 강화된다. 따라서, 평상시 조작력을 떨어 뜨리지 않으면서 확실한 실링을 보장한다. 각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800,800')의 제 2 밀폐부(802, 831) 실링이 깨짐으로써, 제 1 밀폐부(801, 821)가 부압을 받아 변형되는 작동관계는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홀더관(300)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부분(351)과 제 2 부분(353)으로 구분된다. 제 1 부분(351)에는 제 1 내지 제 3 관통구(301, 302, 303), 제 1 내지 제 8 리브(304, 305, 311, 312, 315, 316, 325, 326) 및 제 1 내지 제 4 가이드홈(321, 322, 333, 334)이 구비되어 있다(도 12참조). 제 1 관통구(301)에는 고정부재(600)가 장착되고, 제 2 관통구(302)에는 제 2 스프링(701)이 장착된다. 제 1 내지 제 8 리브(304, 305, 311, 312, 315, 316, 325, 326)는, 도 3 및 도 12을 참조하면, 두 개씩 일정 간격 이격 돌출되어 제 1 내지 제 4 가이드홈(321, 322, 333, 334)을 형성하고, 제 1 내지 제 4 가이드홈(321, 322, 333, 334)에는 핸들관(400) 내면에 구비된 제 1 내지 제 4 가이드돌출부(404, 414, 424, 434)가 삽입되어 핸들관(400)과 홀더관(300)의 상호 이동을 가이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홀더관(300)의 제 2 부분(353)은 외관(200)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외관(200) 일 단부 내측으로 삽입 고정된다. 제 1 부분(351)의 양 측에 절개부(3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관(200)의 개구(201)와 결합된다.
회전방지및신축제어유닛(900)은, 도 2를 참조하면, 회전방지부재(500), 고정부재(600), 제 1 및 제 2 스프링(700, 701)을 포함한다. 회전 방지부재(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100)의 레일홈(10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홀더관(300)이 상부에서 감싸고 있으므로 레일홈(101)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한다.
도 7은 회전방지부재(50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고정부재(600)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방지부재(500)는, 레일접촉부(501), 홈부(502), 경사면부(503, 503'), 제 1 및 제 2 아암(504, 504')을 구비한다. 레일접촉부(501)는 반구 형상으로 레일홈(101) 내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홈부(502)는 회전방지부재(500)의 상면 중앙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면으로서, 고정부재(600)가 장착되는 부분이고, 경사면부(503,503')는 홈부(502)의 양 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경사면부(503, 503')의 돌출 높이는 고정홈(102)의 깊이에 따라 설계되는 데, 고정홈(102)의 깊이가 깊을 경우 높게 구성하고 깊지 않은 경우 낮게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함으로써, 고정부재(600)가 고정홈(102)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제 1 및 제 2 아암(504, 504')은 회전방지부재(500) 양 측으로 뻗은 부분으로 제1 및 제2 스프링(700, 701)이 삽입되며, 후술 되는 핸들관(400)의 제 1 및 제 2 가동리브(401, 402)(도 9 참조)에 의해 제 1 및 제 2 아암(504, 504')의 양 단의 이동이 제어된다(도 13a 참조).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부재(600)는, 제1 접촉부(601), 두 개의 제 2 접촉부(602, 602'), 두 개의 플레이트부(607, 607') 및 제 1 돌기(603)를 포함한다. 제 1 접촉부(601)는 상술한 회전방지부재(500)의 홈부(502)에 장착되는 부분이며, 두 개의 제 2 접촉부(602, 602')는 내관(100)의 고정홈(102)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제 1 접촉부(601)의 양 측에서 설치되어 제 1 접촉부(601) 보다 더 하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고정홈(102)의 단면과 동일하게 4각 단면을 갖는다(도 4 참조). 두 개의 플레이트부(607, 607')는 홀더관(300)의 제 1 관통구(301) 측벽(394)(도 3 참조)과 간섭되기 때문에, 고정부재(600)가 상하 이동되면서 좌우로 흔들리지 않는다. 제 1 돌기(601)는 두 개의 플레이트부(602, 602') 사이에 상부로 돌출된 기둥형상을 갖는다. 제 1 돌기(601)의 상면은 둥근 반구형으로 구성되며, 후술 되는 핸들관(400)의 제 2 돌기(403)(도 9 참조)와 맞닿아 고정부재(600)가 상부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도 9는 상부 핸들관(405)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하부 핸들관(410)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상부 및 하부 핸들관(405, 410)이 조립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2,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핸들관(400)은 상부 핸들관(405) 및 하부 핸들관(410)을 포함하며, 도 11과 같이 상부 및 하부 핸들관(405, 410)이 결합되며, 회전방지및신축제어유닛(900) 및 홀더관(300)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부 핸들관(405)의 내면에는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두 개의 제 1 및 제 2 가동리브(401, 402), 제 2 돌기(403), 제 1 및 제 2 가이드돌출부(404, 414)가 구비되어 있다. 제 1 가동리브(401)는 상부 핸들관(405)의 일단부 단턱(731)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가동리브(401)의 단부는 라운드진 형상이다. 상부 핸들관(405)이 조립될 경우, 제 1 가동리브(401)의 일면(401a)은 제 1 스프링(700)의 일단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제 1 스프링(700)을 선택적으로 압축시킨다(도 13a 내지 도 15b 참조). 제 2 가동리브(402)는 상부 핸들관(405)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가동리브(401)와 제 2 돌기(403)를 가운데 두고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2 가동리브(402)는 제 2 스프링(701)의 일단과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제 2 스프링(701)을 선택적으로 압축시킨다(도 13a 참조). 제 2 돌기(403)는 제 1 및 제 2 가동리브(401, 402) 사이 중앙부에서 상부 핸들관(405)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끝이 라운드된 원기둥 형상이다. 제 1 및 제 2 가이드돌출부(404, 414)는 상부 핸들관(405)의 길이 방향으로 내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돌기(403)를 사이에 두고 양 측에 연장되어 있다. 도 9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722는 후술 되는 하부 핸들관에 돌출된 록킹가이드(702)가 삽입되는 록킹가이드홈이다.
하부 핸들관(410)은 상기 상부 핸들관(405)과 결합되어 핸들관(400)을 구성하는 부재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내면에 제 3 및 제 4 가이드돌출부(424, 434)가 하부 핸들관(4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양 측 모서리 부분에는 다수 개의 후크부재(712)와 록킹가이드(702)가 구비되어 있다. 록킹가이드(702)는 상부 핸들관(405)의 록킹가이드홈(722)에 삽입되어 상부 및 하부 핸들관(405, 410)이 결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고, 후크부재(712)는 상부 핸들관(405)과 록킹되어 상, 하부 핸들관(405, 410)의 결합을 유지시켜 준다.
도 11은, 상부 및 하부 핸들관(405, 41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부 및 하부 핸들관(405, 410)은 홀더관(300) 및 회전방지및신축제어유닛(900)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이 때 제 1 가동리브(401)는 레일홈(101)에 삽입된다. 제 1 내지 제 4 가이드돌출부(404, 414, 424, 434)는, 도 12를 참조하면, 홀더관(300)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가이드홈(321, 322, 333, 334)에 삽입되어 핸들관(400)의 홀더관(300)에 대한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고정부재(600)의 제 1 돌기(603)는 상부 핸들관(405)의 제 2 돌기(403)와 맞닿아 고정부재(600)가 상하 이 동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축관장치의 조립을 설명하고, 도 13a 내지 도 15b를 참조하여 작동관계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신축관장치(1)를 조립하기 위하여, 내관(100)을 홀더관(300)에 삽입한 후 내관(100)의 일단에 실링부재(800)를 결합한다. 그런 다음, 홀더관(300)의 2 부분(353)을 외관(200)의 일단에 고정시킨다. 제 1 및 제 2 스프링(700, 701)을 회전방지부재(500)의 제 1 및 제 2 아암(504,504')에 끼운 상태에서 회전방지부재(500)를 레일홈(101)을 따라 홀더관(300) 내측으로 삽입하여, 도 3과 같이 조립한다. 그런 다음 고정부재(600)를 제 1관통구(301)에 장착하여 회전방지부재(500)의 홈부(502)에 안착되도록 한 후, 상부 및 하부 핸들관(405, 410)을 회전방지및신축제어유닛(900) 및 홀더관(300)을 감싸도록 서로 결합하면 신축관장치(1)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13a 및 도 13b는 핸들관(400)이 조작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a 및 도 14b는 핸들관(400)을 도 14a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이고, 도 15a 및 도 15b는 15a의 화살표 B로 핸들관(400)을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며, 도 13a, 도 14a 및 도 15a는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 13b, 14b 및 15b는 핸들관(400)을 제거한 평면도이다.
핸들관(400)을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고정부재(600)는 회전방지부재(500)의 홈부(502)에 장착되어 있고, 제 1돌기(603)는 제2 돌기(403)와 맞닿은 상태이다. 또한, 상부핸들관(405)의 제 1 스프링(700)은 제 1 아암(504)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이 제 1 가동리브(401)의 일면(401a)와 접촉되고 타단이 홀더관(300)의 일단부(357) 및 회전방지부재(500)의 단턱(523)에 접촉 지지된 상태에 있다. 제 2 스프링(701)의 일단은 제 2 관통구(302)의 일면(367) 및 회전방지부재(500)의 단턱(533)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부 핸들관(405)의 제 2 가동리브(402)에 접촉된 중립위치에 있다. 이와 같은 중립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600)의 제 2 접촉부(602, 602')는 고정홈(102)에 삽입되어 내관(100)의 이동을 억제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내관(100)을 외관(200)에 대하여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킬 수 없어 신축관장치(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는 상태이다.
도 14a 및 도 14b와 같이, 내관(100)을 외관(200)에 대하여 신장 또는 수축하기 위해, 핸들관(400)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부 핸들관(405)의 이동에 따라 이와 맞닿아 있는 회전방지부재(500)도 레일홈(101) 상에서 A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도 13a 및 도 13b와 같이, 고정부재(600)가 제 1 관통구(301)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중립상태에서 회전방지부재(500)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맞닿아 있던 제 1돌기와 제 2 돌기가 서로 틀어지면서, 회전방지부재(500)의 홈부(502)에 있는 고정부재(500)는 경사면부(503)를 따라 도 14a와 같이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고정부재(500)의 제 2 접촉부(602, 602')(도 8 참조)는 고정홈(102)으로부터 분리되고 내관(100)은 외관(200)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내관(100)을 원하는 만큼 신장시키거나 외관(200) 내부로 더 집어넣어 신축관장치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와 같은 상태에서, 제 1 가동리브(401)와 홀더관(300)의 일단부(357)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제 1 스프링(700)은 압축되고, 제 2 스프링(701)도 회전방지부재(500)의 단턱(533)과 제 2 관통구(302)의 단턱(369)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역시 압축된다. 이때, 제 2 가동리브(402)는 제 3 관통구(303)로 이동되면서 제 2 스프링(701)과 분리된다. 도 14b의 거리 x는 핸들관(400) 및 회전방지부재(50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도 15a 및 도 15b와 같이, 반대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핸들관(400)을 이동시켜 내관(100)을 외관(200)에 대해 길이 조절할 수 있다. 거리 y만큼 이동시키면 고정부재(600)는 경사면부(503')를 따라 도 14a와는 반대 방향으로 상승 이동되면서, 회전방지부재(500)의 홈부(502) 및 내관(100)의 고정홈(102)으로부터 이탈되며, 내관(10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제 1 스프링(700)은 제 1 가동리브(401)와 회전방지부재(500)의 단턱(523)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변화가 없고{홀더관(300)의 단턱(357)과 제 1 가동리브(401) 사이 간격은 벌어짐} , 제 2 스프링(701)은 제 2 관통구(302)의 일단면(367)과 제 2 가동리브(402)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므로 압축된다.
도 14a 및 도 14b, 도 15a 및 도 15b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내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핸들관(400)을 잡고 도 14a의 화살표 A 또는 도 15A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내관(100)을 외관(200) 내부에 더 깊게 삽입하거나 외관(200) 밖으로 더 신장시킴으로 길이를 조절하고, 핸들관(400)을 잡았던 손을 놓으면 압축된 제 1 또는 제 2 스프링(700, 701)의 탄성력에 의해 도 13a 및 도 13b와 같은 중립상태로 복귀되면서, 고정부재(600)가 회전방지부재(600)의 홈 부(602) 및 고정홈(102)에 삽입되어 내관(100)을 고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신축관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내관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들관의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800) 및 타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800')가 비틀린 상태에서 제 1 밀폐부(801, 821) 및 제 2 밀폐부(802, 831)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800)의 경우, 외관(200) 내부로 삽입된 내관(100)이 외관(200) 내부에서 비틀릴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800)가 일 측으로 밀려 찌그러 드면서 제 2 밀폐부(802)의 일 측(855)은 외관(200)과 이격되고, 타 측(856)의 제 1 및 제 2 밀폐부(801, 802)는 외관(200) 내면에 더욱 압착된다. 따라서, 타측(856)에는 외관(200)과 내관(100) 사이의 밀폐력이 더욱 향상되지만, 이격된 일측 갭(8)으로는 내관(100) 내부의 부압이 전달되어 외부공기가 흡입되기 쉽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신축관장치는, 도 16과 같이, 실링부재(800)의 제 1 밀폐부(801)가 날개형상으로 굽어져 있으므로, 굽어진 부분에 화살표 C와 같은 힘이 작용하여 더욱 굽어지면서 외관(200)의 내면을 더욱 압착시키며 내관(100)과 외관(200) 사이의 밀폐력이 향상된다.
도 17은, 밀폐부재(800')의 다른 실시 예로서, 내관(100)이 외관(200)에 대하여 비틀어져서 실링부재 일측(885) 제 2 밀폐부(831)가 외관(200)과 이격되면, 타 측(885)은 외관과 밀착되어 밀폐력이 더 향상되고, 일 측(885) 제 1 밀폐부(821)의 날개부분에 부압이 전달됨으로써, 화살표 D와 같은 힘이 작용하여 날개가 더욱 벌어지면서 외관(200)의 내면을 더욱 가압하게 되고, 공기가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제 1 밀폐부(821)의 형상 변화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 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신축관장치는 모든 가전기기에 적용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가정용, 산업용, 업소용 등의 진공 청소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축관장치를 각 부품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축관장치에서, 회전방지부재(500), 홀더관(300) 및 내관(100)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4는,도 2에 도시된 신축관장치에서, 고정부재(600)가 고정홈(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홈(102)의 제 1 부분(102a)을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Ⅴ-Ⅴ 라인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실링부재(800)와 내관(100)과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실링부재(80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신축관장치에서, 회전방지부재(500)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신축관장치에서, 고정부재(600)의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신축관장치에서에서, 상부 핸들관(405)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신축관장치에서, 하부 핸들관(410)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상부 및 하부 핸들관(405, 410)이 조립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핸들관(400)이 조작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3a은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 13b는 핸들관(400)을 제거한 평면도,
도 14a 및 도 14b는, 도 1의 신축관장치에서, 핸들관(400)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4a는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 14b는 핸들관(400)을 제거한 평면도,
도 15a 및 도 15b는, 도 1의 신축관장치에서, 화살표 B로 핸들관(400)을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5a는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 15b는 핸들관(400)을 제거한 평면도,
도 16 및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800) 및 타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800')가 비틀린 상태에서, 제 1 밀폐부(801, 821) 및 제 2 밀폐부(802, 831)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내관 101: 레일홈
102: 고정홈 200: 외관
300: 홀더관
301, 302, 303: 제 1 내지 제 3관통구
400: 핸들관
401, 402: 제 1 및 제 2 가동리브
405, 410: 상부 및 하부 핸들관
500: 회전방지부재 503, 503': 경사면부
504, 504': 제 1 및 제 2 아암
600: 고정부재
700, 701: 제 1 및 제 2 스프링
800, 800': 실링부재
900: 회전방지및신축제어유닛

Claims (16)

  1. 외관;
    상기 외관에 삽입되며 고정홈을 구비한 내관;
    상기 외관의 일 측에 고정된 홀더관;
    상기 홀더관을 감싸도록 설치된 핸들관; 및,
    상기 내관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 사이 공간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내관 내부 부압에 의해 형태가 변형됨으로써 밀폐력이 향상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적어도 두 개의 밀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관형상으로 구성되고, 일단 및 타단에 제 1 밀폐부 및 제 2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밀폐부는 굽어진 날개 형상으로 상기 내관 내부의 부압 발생 시 상기 날개 형상이 굽어짐으로써 밀폐력이 향상되며, 상기 제 2 밀폐부는 상기 외관의 내경 보다 큰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밀폐부 및 상기 제 2 밀폐부는, 상기 실링부재의 양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내관 일 단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관형상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두 개의 밀폐부를 포함하며,
    그 중 하나의 밀폐부는 날개 형상으로 상기 내관 내부에 부압 발생 시 상기 날개 형상이 펴짐으로써 밀폐력이 향상되며, 나머지 하나의 밀폐부는 상기 외관의 내경 보다 큰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내관의 내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1 밀폐부는 상기 내관의 단부 근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이 상기 외관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와, 신축되는 내관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회전방지및신축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방지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방지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은,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레일홈과 교차되도록 상기 외면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관은 상기 내관을 감싸고 상기 회전방지부재가 상기 레일홈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억제하며, 상기 고정부재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관통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레일홈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방지부재의 상면에 장착되거나 분리되면서 상기 고정홈에 삽입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수용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방지부재가 좌우 이동 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경사면부와 접촉되면서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방지부재와 접촉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1 접촉부의 양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 및 분리되는 제 2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제 1 접촉부 보다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제 1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핸들관 내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제 2 돌기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재의 상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관의 외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핸들관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핸들관의 길이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KR1020090098667A 2009-07-24 2009-10-16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KR20110010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75,791 US20110018257A1 (en) 2009-07-24 2010-05-07 Telescopic pipe for electronic apparatus
RU2010127261/12A RU2010127261A (ru) 2009-07-24 2010-07-02 Телескопическая труб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рго устройства
EP10007229A EP2277427A3 (en) 2009-07-24 2010-07-13 Telescopic pipe for electronic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821109P 2009-07-24 2009-07-24
US61/228,211 2009-07-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532A true KR20110010532A (ko) 2011-02-01

Family

ID=4377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667A KR20110010532A (ko) 2009-07-24 2009-10-16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10532A (ko)
RU (1) RU2010127261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0127261A (ru) 201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7427A2 (en) Telescopic pipe for electronic apparatus
US20160198823A1 (en) Systems for Securing a Mobile Device in a Waterproof Case
KR101161972B1 (ko) 커넥터 포트
JP6710677B2 (ja) 医療用コネクタ
EP2703705B1 (en) Sealing system for an annular space
KR101451048B1 (ko) 홀 플러그
US20200095028A1 (en) Container
TW201922307A (zh) 針遮蔽件移除器和包含有該針遮蔽件移除器的藥物輸送裝置
JP2015533520A (ja) 逆テーパによる部品間装着および互いに逆にテーパが付けられた嵌合部による器具間結合
KR102054769B1 (ko) 진공청소기 신축파이프
US20200093305A1 (en) Container
JP4680452B2 (ja) 扉用シャッター
KR20110010532A (ko) 전자기기의 신축관장치
JP2014009708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連結構造
WO2018174273A1 (ja) 医療器具
KR101986716B1 (ko) 문 열림 완충장치
KR101511661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US10458169B2 (en) Damper device
KR101855441B1 (ko) 에어건 커플러 어셈블리
KR102603073B1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CN108968595B (zh) 水杯
KR101589634B1 (ko) 트로카용 일자 실리콘 밸브 및 이에 의한 슬리브
JP2004047276A (ja) 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構造
JP2006166640A (ja) ケーブル保護カバー
CN109770668B (zh) 水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