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284U -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화 - Google Patents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284U
KR20110010284U KR2020100004341U KR20100004341U KR20110010284U KR 20110010284 U KR20110010284 U KR 20110010284U KR 2020100004341 U KR2020100004341 U KR 2020100004341U KR 20100004341 U KR20100004341 U KR 20100004341U KR 20110010284 U KR20110010284 U KR 201100102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hock
sole body
pressure concentration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738Y1 (ko
Inventor
박해수
Original Assignee
박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해수 filed Critical 박해수
Priority to KR2020100004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738Y1/ko
Priority to PCT/KR2011/003012 priority patent/WO2011136531A2/en
Publication of KR201100102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2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7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7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for sick or disabled persons, e.g. persons having osteoarthritis or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9Pads, e.g. protruding on the foot-fac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충격흡수를 위한 밑창 본체; 및 밑창 본체의 뒤꿈치 부분의 전방 영역에 구비되어 반발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화를 구현한바, 서로 다른 반발탄성율을 갖는 밑창 본체 및 결합부재로 이루어진 밑창을 구현한바, 보행 시 족저(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의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당뇨병성 족부 궤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족저에 가해지는 압력을 낮추고 그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혈액의 순환을 개선시켜 줌으로써 족부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절이 약한 노인 또는 류마티스, 디스크 등의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본 고안을 적용한 신발을 신고 보행하는 것만으로도 인체 근골격계의 통증을 해소하고, 인체 근골격계를 보호하며 정상적인 보행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화{Soles for Absorbing Impact Force and Mitigating Apressure Concentration of a Foots and Diabetic Shoes Therefor}
본 고안은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거나 반발 탄력을 제공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화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인한 당뇨성 족부 병변의 발생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당뇨 환자들에게 있어서 족부 병변은 흔하게 발생하며, 한번 발생하면 치료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한다.
당뇨성 족부 병변은 당뇨에 의한 말초신경병증과 말초 혈관질환의 발생 여부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또한, 관절 가동역의 제한이나 굳은 살의 형성, 보행이상, 족부 변형, 신발에 따른 일정 부위에 과도하게 부가되는 압력의 증가가 족부 병변의 발생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족부 병변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서는 해외에서 수입되는 의료용 당뇨화를 사용하거나, 일부 보조기구 등을 사용하므로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거나 반발 탄력을 제공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충격흡수를 위한 밑창 본체; 및 밑창 본체의 뒤꿈치 부분의 전방 영역에 구비되어 반발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밑창 본체의 뒤꿈치 부분의 저면과 형상 맞춤된 바닥재(3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결합부재는 횡단면이 H자로 이루어진다.
또한, 결합부재의 전방 중심영역에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결합부재에 접착되어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지지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밑창 본체의 반발탄성율은 0 내지 50 범위이고, 결합부재의 반발탄성율은 51 내지 100범위 내에서 선택되어진다.
또한, 결합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 또는 홈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또한, 관통공 또는 홈의 내부에는 충격을 흡수하고 복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프링 또는 에어쿠션이 더 구비된다.
또한, 밑창 본체의 상부면에는 밑창 본체의 평면형상에 형상 맞춤되는 쿠션재가 더 구비된다.
또한, 쿠션재는 밑창 본체와 후접착,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방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바닥재의 저면 전방영역은 지면과 평행한 평면이고, 후방영역은 후방으로 갈수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카테고리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반발탄성율을 갖는 밑창 본체 및 결합부재로 이루어진 밑창을 구현한바, 보행 시 족저(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의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당뇨병성 족부 궤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족저에 가해지는 압력을 낮추고 그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혈액의 순환을 개선시켜 줌으로써 족부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절이 약한 노인 또는 류마티스, 디스크 등의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본 고안을 적용한 신발을 신고 보행하는 것만으로도 인체 근골격계의 통증을 해소하고, 인체 근골격계를 보호하며 정상적인 보행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밑창의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밑창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밑창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밑창의 저면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
도 6a는 일반 효도화에 의한 발바닥에 작용하는 압력분포도,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당뇨화에 의한 발바닥에 작용하는 압력분포도,
도 7은 일반 효도화와 본 고안에 따른 당뇨화 전족부에 작용하는 압력의 막대 그래프,
도 8은 일반 효도화와 본 고안에 따른 당뇨화 후족부에 작용하는 압력의 막대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밑창의 구성>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밑창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밑창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밑창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밑창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10)은 밑창 본체(100), 결합부재(200) 및 바닥재(30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밑창 본체(100)는 신발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도록 신발의 전방종단에서 후방종단까지 전체적으로 신발의 저면에 형상 맞춤되도록 형성된다. 즉, 일반적인 신발의 밑창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사람의 발바닥 중심부에 형성된 아치부에 대응되는 밑창 본체(100)의 저면은 횡 방향으로 빈 공간이 형성된다. 즉, 밑창 본체(100)의 전방영역 및 후방영역은 지면과 접촉하고, 중앙영역 일측은 횡방향으로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밑창 본체(100)의 재질은 충격흡수(반발탄성율 0% 내지 50%) 기능이 우수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우레탄. TPR, 고무 등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밑창 본체(100)의 상부면에는 충격흡수를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밑창 본체(100)의 평면형상에 형상 맞춤되는 쿠션재(15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쿠션재(150)는 밑창 본체(100)의 평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크기는 밑창 본체(100)의 평면형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쿠션재(150)는 밑창 본체(100)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전방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후방영역이 더 두껍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쿠션재(150)는 밑창 본체(100)와 후접착,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방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결합력이 우수하다. 그러나 밑창 본체(100)의 상부면에 쿠션재(15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재(200)는 밑창 본체(100)가 지면에 접지하여 수평으로 된 후 체중이동에 이해 뒤꿈치가 들리는 순간 전방으로의 체중이동을 촉진시키는 굴림작용을 유도하기 위해 밑창 본체(100)의 뒤꿈치 부분의 저면 전방 영역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결합부재(200)는 반발탄성(반발탄성율 51% 내지 100%)이 우수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TPR, 고무 등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부재(200)의 형상은 전체적인 횡단면은 H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부재(200)는 밑창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접착제 또는 기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밑창 본체(10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재(200)의 전방 중심영역, 즉, H자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자 형상의 사이에는 중심영역에 집중되는 하중을 보다 원활하게 흡수하여 신발의 중심영역에서 발생하는 꺾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25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부(250)는 결합부재(200)와 접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밑창 본체(100)의 중심영역에 발생하는 하중까지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200)의 전방 하부에서 밑창 본체(100)의 중심영역 저면까지 소정의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돌출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재(200)는 반발탄성 성능을 보다 강화하고, 결합부재(200)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관통공 또는 홈(210)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관통공 또는 홈(210)의 내부에는 오랜 사용으로 인한 결합부재(200)의 복원성이 저하되거나, 반발탄성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미도시) 또는 에어쿠션(미도시)을 더 삽입하여 그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300)는 밑창 본체(100)의 후방영역, 즉, 결합부재(200)의 전방 종단부터 밑창 본체(100)의 후방 종단에 걸쳐 밑창 본체(100)의 후방영역 저면 및 결합부재(200)의 저면에 형상 맞춤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바닥재(300)는 일반적인 신발의 아웃솔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밑창 본체(100)의 후방영역 및 결합부재(20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접착제 또는 기타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결합한다. 이러한 바닥재(300)의 형상은 사용자의 착지와 구름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전방영역은 지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후방영역은 후방으로 갈수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 당뇨화의 구성>
본 고안에 따른 당뇨화는 일반적인 신발, 바람직하게는 당뇨화의 저면부에 본 고안에 따른 밑창(10)을 폴리머 접착제 또는 기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장착한다.
<일반 효도화와 본 고안에 따른 당뇨화의 비교>
족저압의 측정은 안창형 센서(Pedar System, Novel Cmbh, Germany)를 사용하고, 보행속도는 평상시의 걸음정도인 3.0km/h로 유지하고, 런닝머신 상에서 보행하게 하였다. 그리고 측정된 결과 중 편차가 가장 심한 걸음의 데이터를 제외하고, 걸음에서의 최대 족저압을 측정하였다.
도 6a는 일반 효도화에 의한 발바닥에 작용하는 압력분포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당뇨화에 의한 발바닥에 작용하는 압력분포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각 색상은 압력의 크기 분류를 나타내는데, 분홍색이 가장 높은 30N/cm2 이상의 압력이고, 빨간색은 그 다음으로 높은 22N/cm2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효도화를 착화하면 높은 압력이 발바닥에 작용하며, 압력분포가 균일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고안에 따른 당뇨화를 착화하면 압력의 크기가 월등히 낮으며, 균일한 압력분포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7은 일반 효도화와 본 고안에 따른 당뇨화 전족부에 작용하는 압력의 막대 그래프이고, 도 8은 일반 효도화와 본 고안에 따른 당뇨화 후족부에 작용하는 압력의 막대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당뇨화를 착화하면 발바닥에 더 낮은 압력이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발바닥에 작용하는 압력을 낮고 균일하게 하여 편안하고 안락한 느낌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밑창
100 : 밑창 본체
150 : 쿠션재
200 : 결합부재
210 : 홈
250 : 지지부
300 : 바닥재

Claims (11)

  1. 충격흡수를 위한 밑창 본체(100); 및
    상기 밑창 본체(100)의 뒤꿈치 부분의 전방 영역에 구비되어 반발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결합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본체(100)의 뒤꿈치 부분의 저면과 형상 맞춤된 바닥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00)는 횡단면이 H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4.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00)의 전방 중심영역에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부재(200)에 접착되어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지지부(2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본체(100)의 반발탄성율은 0 내지 50 범위이고, 상기 결합부재(200)의 반발탄성율은 51 내지 100범위 내에서 선택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 또는 홈(210)이 수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또는 홈(210)의 내부에는 충격을 흡수하고 복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프링 또는 에어쿠션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본체(100)의 상부면에는 상기 밑창 본체(100)의 평면형상에 형상 맞춤되는 쿠션재(1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150)는 상기 밑창 본체(100)와 후접착,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방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300)의 저면 전방영역은 지면과 평행한 평면이고, 후방영역은 후방으로 갈수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화.
KR2020100004341U 2010-04-26 2010-04-26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화 KR200467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341U KR200467738Y1 (ko) 2010-04-26 2010-04-26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화
PCT/KR2011/003012 WO2011136531A2 (en) 2010-04-26 2011-04-26 Sole for absorbing shock and mitigating foot pressure concentration and diabetic sho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341U KR200467738Y1 (ko) 2010-04-26 2010-04-26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84U true KR20110010284U (ko) 2011-11-02
KR200467738Y1 KR200467738Y1 (ko) 2013-07-02

Family

ID=4486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341U KR200467738Y1 (ko) 2010-04-26 2010-04-26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7738Y1 (ko)
WO (1) WO201113653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9623A (zh) * 2018-01-23 2020-09-0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鞋类物品的鞋底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0215A1 (de) * 1982-05-28 1983-12-01 Michael Wolfgang Dipl.-Kfm. 5100 Aachen Schmohl Absatzlose laufsohle fuer schuhe, insbesondere zu sportzwecken
JP4521689B2 (ja) * 2006-10-25 2010-08-11 株式会社シューターズ 身障者用歩行補助靴
WO2009017358A2 (en) * 2007-07-31 2009-02-05 Smt Korea Co., Ltd. Shoe outsole
KR100807362B1 (ko) * 2007-11-08 2008-03-05 (주)알와이엔코리아 전후방 소프트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밑창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9623A (zh) * 2018-01-23 2020-09-0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鞋类物品的鞋底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6531A2 (en) 2011-11-03
WO2011136531A3 (en) 2012-05-10
KR200467738Y1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7353B2 (en) Energy return sole
CA2466739C (en) Footwear with removable foot-supporting member
KR101067892B1 (ko)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CN201278864Y (zh) 一种带减震鞋垫的鞋底
KR101420049B1 (ko) 충격 흡수 및 반발 탄성을 갖는 신발 밑창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5080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0761897B1 (ko)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KR200401231Y1 (ko)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
KR200430896Y1 (ko) 이동 가능한 뒷굽이 장착된 신발 밑창
KR200467738Y1 (ko)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화
CN211833103U (zh) 一种内含有弹性模块的运动鞋鞋底
KR101079709B1 (ko) 충격 흡수용 구두의 뒷굽
CN211129903U (zh) 一种缓震舒适鞋底
CN210169179U (zh) 一种预防与缓解女士高跟鞋足病症的鞋垫
CN202364952U (zh) 一种矫正鞋垫及使用该鞋垫的残障人矫正鞋
KR200466692Y1 (ko) 볼링화
CN205512624U (zh) 一种减震性耐磨保健运动鞋
CN216753687U (zh) 一种足弓支撑鞋底
KR100802318B1 (ko) 측면홈이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용 미드솔
KR20130056814A (ko) 기능성 신발물품
CN102429758B (zh) 一种矫正鞋垫及使用该鞋垫的残障人矫正鞋
CN219877586U (zh) 一种鞋垫
CN213992650U (zh) 一种运动鞋用鞋大底结构
KR101220444B1 (ko) 신발창
CN213307803U (zh) 一种缓震跑步鞋底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