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997A -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997A
KR20110009997A KR1020090067483A KR20090067483A KR20110009997A KR 20110009997 A KR20110009997 A KR 20110009997A KR 1020090067483 A KR1020090067483 A KR 1020090067483A KR 20090067483 A KR20090067483 A KR 20090067483A KR 20110009997 A KR20110009997 A KR 20110009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unit
cut
cutt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7355B1 (ko
Inventor
공준상
강윤호
Original Assignee
공준상
강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준상, 강윤호 filed Critical 공준상
Priority to KR102009006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3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05Computer numerical contro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22C17/002Producing portions of meat with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e.g. weight or particular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30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weighing cut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를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할 수 있는 육절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종류, 절단무게,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숫자 등을 입력하는 입력유닛;과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를 절단하는 절단유닛;과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를 적재하여 절단유닛으로 자동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입력유닛의 수치들을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를 산출하며, 이에 따라 절단되는 육류의 두께를 조절하는 제어유닛;과 절단된 육류를 적재하는 적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이에 의해, 절단되는 육류의 두께 또는 단면적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육류를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여 절단육의 양이 부족 또는 초과되는 사례에 따른 손해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육절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단계를 자동화함으로써, 절단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육절, 육절기, 육절방법

Description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 및 방법{AUTOMATIC MEAT CUTTING SYSTEM IN CORRECT AMOUNTS AND THAT METHOD}
본 발명은 육류를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할 수 있는 육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종류, 절단무게,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숫자 등을 입력하는 입력유닛과,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를 절단하는 절단유닛과,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를 적재하여 절단유닛으로 자동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입력유닛의 수치들을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를 산출하며, 이에 따라 절단되는 육류의 두께를 조절하는 제어유닛과, 절단된 육류를 적재하는 적재유닛을 포함하여 육류를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할 수 있는 육절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육절기는 쇠고기. 돼지고기 등의 육류를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는 용도의 장치로서, 육류를 취급하는 정육점 등에 널리 보급되어 왔다.
가축을 도축한 육류는 일정한 부피를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육류를 조리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절단하거나 수요자가 필요한 만큼의 정량적인 절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육류의 절단은 +대부분 일반가정이나 비교적 규모가 적은 소형 음식점에서는 육류의 사용량이 많지 않은 관계로 고기의 절단은 주로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고, 대형 음식점이나 식자재를 공급하는 업체에서는 육류를 절단하는 육절기를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육절기를 이용한 육류의 절단은 수요자가 원하는 정량의 육류를 투입시켜 일정두께로 절단하거나, 먼저 일정두께로 절단한 후 정량으로 저울에 달아서 판매하는 방법을 취하였으므로, 전자의 경우는 절단에 따른 손실분이 발생되어 다시 육절기를 가동시켜 부족분을 채워야하는 번거로움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후자의 경우는 먼저 절단작업이 선행되므로 인하여 절단육의 부족현상이나 정량을 초과하는 사례가 많아 부족시는 육절기를 재가동하여야 하며, 초과시는 수요자가 초과분의 인수를 거부하는 경우에는 부득이 손해를 보아야 하는 문제점이 따랐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육절기는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적재부분에서 육류를 압지하여 절단다는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절단작업시의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항상 내포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육절기에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종류, 절단무게,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숫자 등을 입력하며 이에 의해 연산된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단위무게를 통해 절단되는 육류의 두께 또는 단면적을 산정하여 육류를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할 수 있는 육절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절단된 육류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절단하고자 육류의 단위무게와의 비교를 통해 이후 절단되는 육류의 두께 또는 단면적을 조절하여 육류를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할 수 있는 육절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종류, 절단무게,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숫자 등을 입력하는 입력유닛;과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를 절단하는 절단유닛;과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를 적재하여 절단유닛으로 자동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입력유닛의 수치들을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를 산출하며, 이에 따라 절단되는 육류의 두께를 조절하는 제어유닛;과 절단된 육류를 적재하는 적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적재유닛에 무게측정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산출된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와 본 무게측정유닛에 측정된 육 류조각의 무게를 비교하여 절단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를 재조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재조절된 절단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에 따라 상기 이송유닛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재조절된 절단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절단유닛의 절단속도를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유닛은 단면적조절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산출된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와 본 무게측정유닛에 측정된 육류조각의 무게를 비교하여 절단되는 육류의 단면적을 재조절하며, 이에 따라 단면적조절유닛를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유닛에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종류, 절단무게,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숫자 등을 입력하는 입력단계; 및 이송유닛에 의해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를 절단유닛으로 자동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되는 육류를 절단하는 절단단계;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입력유닛의 수치들을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를 산출하며, 이에 따라 절단되는 육류의 두께를 조절하는 제어단계; 적재유닛에 절단된 육류를 적재하는 적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방법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적재유닛에 무게측정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산출된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와 본 무게측정유닛에 측정된 육 류조각의 무게를 비교하여 절단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를 재조절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재조절된 절단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에 따라 상기 이송유닛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재조절된 절단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절단유닛의 절단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유닛은 단면적조절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산출된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와 본 무게측정유닛에 측정된 육류조각의 무게를 비교하여 절단되는 육류의 단면적을 재조절하며, 이에 따라 단면적조절유닛를 제어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 및 방법은 종래의 육절기에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종류, 절단무게,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개수 등의 수치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여 절단되는 육류의 두께 또는 단면적을 산정하며, 측정된 절단육의 무게와 비교하여 이후 절단되는 육류의 두께 또는 단면적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육류를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여 절단육의 양이 부족 또는 초과되는 사례에 따른 손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 및 방법은 상 기와 같이 구현됨으로 인해 육절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단계를 자동화함으로써, 절단작업시의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형상 및 구성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은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종류, 절단무게,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숫자 등을 입력하는 입력유닛(10)과,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를 절단하는 절단유닛(30)과,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를 적재하여 절단유닛(30)으로 자동 이송시키는 이송유닛(20)과, 상기 입력유닛(10)의 수치들을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를 산출하며, 이에 따라 절단되는 육류의 두께를 조절하는 제어유닛(50)과, 절단된 육류를 적재하는 적재유닛(40)을 포함하며, 본 적재유닛(40) 하단부에 무게측정유닛(60)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은 상기 이송유닛(20)에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단면적조절유닛(70)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입력유닛(10)은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종류, 절단무게,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숫자 등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유닛(50)에 전송하도록 마련되며, 육종별 비중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어서 입력되는 육류의 종류에 따른 비중을 제어유닛(50)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송유닛(20)은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를 상기 절단유닛(30)으로 이송시키는 부분으로, 육류가 안착될 수 있는 베이스(21)가 구비되고, 본 베이스(21)의 하부에는 육류를 상기 절단유닛(30)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25)가 위치한다.
상기 이송부재(25)는 상기 육류가 이송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및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례로, 컨베이어벨트 방식으로 구성되어 활주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그외에 압착판에 의하여 육류를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의 이송유닛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와 컨베이어벨트 등으로 이송부재(25)가 구성된 경우, 상기 이송유닛(20)은 육류가 절단되는 동안에 상기 절단유닛(30)이 절단되는 속도에 따라 절단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와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유닛(20)은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가 정량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절단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 이송속도를 제어유닛(50)에 의해 제어되도록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유닛(20)의 이송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유닛(20)은 내부에 다수의 속도감지센서(미도시)를 부착하며, 이에 측정된 이송속도를 상기 제어유닛(50)에 의해 연산된 이송속도와 비교하여, 상기 이송구동부재(26)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유닛(50)에서 상기 속도감지센서에 측정된 속도와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절단두께에 적합한 이송속도를 비교하여 본 육류의 절단두께에 적합한 이송속도에 맞게 상기 이송구동부재(26)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하여 이송구동부재(26)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20)은 절단되는 육류의 두께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정량을 유지하며 절단되도록 구현하기 위해, 단면적조절유닛(70)을 추가로 포함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단면적을 조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단면적조절유닛(70)은 상기 제어유닛(50)에 의해 산출된 절단되고자 하는 육류의 단위무게와 상기 무게측정유닛(60)에 의해 측정된 절단된 육류의 무게를 비교하여, 절단되고자 하는 육류의 단면적을 변형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단면적조절유닛(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유 닛(20)의 베이스(21) 일측면의 길이(x)를 변형시키도록 구성된다.
절단유닛(30)은 상기 이송유닛(20) 말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유닛(20)에 의해 이송되는 육류를 정량적으로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단날(31)과 본 절단날을 회전시키는 절단구동부재(32)와 전단날(31)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절단이동부재(3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회전하는 절단날(31)이 상기 이송유닛(20)의 단면을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육류를 소정의 두께로 절단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유닛(30)은 상기 절단이동부재(33)의 이동속도에 의해 절단되는 육류의 절단속도 및 절단되는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유닛(50)에 의해 절단구동부재(32)에 인가되는 전압조정에 의해 절단이동부재(33)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절단유닛(30)은 상기 절단이동부재(33)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미도시)를 부착하며, 이에 측정된 이동속도에 의한 절단속도와 상기 제어유닛(50)에 의해 연산된 절단속도와 비교하여, 상기 절단이동부재(33)의 이동속도를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적재유닛(40)은 상기 절단유닛(30)에서 절단된 육류가 배출되어 적재되는 곳으로 절단된 육류가 순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구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적재유닛(40)은 하부에 무게측정유닛(60)이 위치하도록 하여 절단된 육류의 무게를 측정하여 정량으로 절단하기 위해 이후 절단되는 육류의 두께 또는 단면적을 재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무게측정유닛(60)에 의해 측정된 무게와 상기 제어유닛(50)에 의해 연산된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단위무게를 비교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 또는 단면적을 재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무게측정유닛(60)은 다양한 측정수단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무게측정이 용이한 로드셀(미도시)을 설치하여 절단된 육류의 무게를 검출하며, 본 로드셀에서 검출된 무게는 신호변환기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제어유닛(50)으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무게측정유닛(60)은 절단된 육류의 무게를 측정하기 때문에 수 내지 수십 그램(g)단위로 검출 가능한 정밀계량용 로드셀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유닛(50) 상기 제어유닛(50)은 상기 입력유닛(10)에서 입력되는 수치에 따라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무게를 연산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절단유닛(30)의 절단속도를 제어하여 절단되는 육류의 두께 또는 단면적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50)은 상기 입력유닛(10)에서 입력되는 육류의 종류에 의한 육류의 비중 및 절단무게,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 개수에 따라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무게를 연산하며, 이에 따라 정량적으로 육류가 절단되도록 하기 위한 두께를 산출하여, 상기 이송유닛(20)의 이송속도 또는 절단유닛(30)의 절단속도를 제어하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이 구현하기 위해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에 대한 각각의 바람직한 실시예(실시예 1, 2, 3)에 따른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유닛(50)의 제어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입력유닛(10)에 의해 입력된 값에 따라,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WT)를 산출한다.(S11, S21)
Figure 112009045140366-PAT00001
여기서,
다음으로 상기 산출된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WT)에 의해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DT)를 산출한다.(S12, S22)
Figure 112009045140366-PAT00002
여기서,
다음으로 산출된 두께에 따라 상기 절단유닛(30)의 절단속도를 제어하거나(S13, S33)), 상기 이송유닛(20)의 이송속도를 제어한다.(S23)
다음으로 상기 무게측정유닛(60)에서 측정된 절단된 육류의 무게(Wi)와 상기 산출된 육류의 단위 절단 무게(WT)를 비교(S15, S25)하여 서로 다른 경우, 다음 식에 의해 측정된 무게에 따라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를 다시 연산하여 산출한 다.(S16, S26)
Figure 112009045140366-PAT00003
여기서, 상기 재연산된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에 따라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상기 절단유닛(30)의 절단속도를 재조정하며(S17),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상기 이송유닛(20)의 이송속도를 재조정한 후 육류를 절단한다.(S27)
또한,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상기 무게측정유닛(60)에서 측정된 무게(Wi)와 상기 산출된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WT)를 비교(S35)하여 서로 다른 경우, 다음 식에 의해 상기 측정된 무게에 따라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단면적을 재연산(S36)하며, 이에 따라 상기 단면적조절유닛(70)을 이동시켜 상기 이송유닛(20)의 단면적을 재조정한 후 육류를 절단한다.(S37)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재조정된 두께 또는 단면적에 따라 절단된 육류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비교하여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WT)와 다른 경우에는 각 실시예에 따라 상기 S16 ~ S17, S26 ~ S27, S36 ~ S37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만일, 상기 적단된 육류의 측정무게가 상기 육류의 단위 절단 무게(WT)와 같은 경우, 이에 따른 두께 또는 단면적에 따라 상기 적재유닛(40)에 적재되는 절단된 육류의 전체 조각이 상기 입력유닛(10)에 입력된 육류의 조각개수만큼 절단되도록 절단작업을 수행한다.(S38)
전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 실시예들의 조합 및 치환, 변경 등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의 이송유닛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의 흐름도.
도 7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유닛 20 : 이송유닛
21 : 베이스 25 : 이송부재
26 : 이송구동부재 30 : 절단유닛
31 : 절단날 32 : 절단구동부재
33 : 절단이동부재 40: 적재유닛
50 : 제어유닛 60 : 무게측정유닛
70 : 단면적조절유닛

Claims (10)

  1.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종류, 절단무게,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숫자 등을 입력하는 입력유닛;과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를 절단하는 절단유닛;과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를 적재하여 절단유닛으로 자동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입력유닛의 수치들을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를 산출하며, 이에 따라 절단되는 육류의 두께를 조절하는 제어유닛;과
    절단된 육류를 적재하는 적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유닛에 무게측정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산출된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와 본 무게측정유닛에 측정된 육류조각의 무게를 비교하여 절단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를 재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재조절된 절단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에 따라 상기 이송유닛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재조절된 절단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절단유닛의 절단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단면적조절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산출된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와 본 무게측정유닛에 측정된 육류조각의 무게를 비교하여 절단되는 육류의 단면적을 재조절하며, 이에 따라 단면적조절유닛를 제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시스템.
  6. 입력유닛에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의 종류, 절단무게,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숫자 등을 입력하는 입력단계; 및
    이송유닛에 의해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를 절단유닛으로 자동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되는 육류를 절단하는 절단단계;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입력유닛의 수치들을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를 산출하며, 이에 따라 절단되는 육류의 두께를 조절하는 제어단계;
    적재유닛에 절단된 육류를 적재하는 적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유닛에 무게측정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산출된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와 본 무게측정유닛에 측정된 육류조각의 무게를 비교하여 절단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를 재조절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재조절된 절단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에 따라 상기 이송유닛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재조절된 절단되고자 하는 육류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절단유닛의 절단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단면적조절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산출된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조각의 단위 절단무게와 본 무게측정유닛에 측정된 육류조각의 무게를 비교하여 절단되는 육류의 단면적을 재조절하며, 이에 따라 단면적조절유닛를 제어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방법.
KR1020090067483A 2009-07-23 2009-07-23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장치 및 방법 KR101337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483A KR101337355B1 (ko) 2009-07-23 2009-07-23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483A KR101337355B1 (ko) 2009-07-23 2009-07-23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997A true KR20110009997A (ko) 2011-01-31
KR101337355B1 KR101337355B1 (ko) 2013-12-04

Family

ID=4361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483A KR101337355B1 (ko) 2009-07-23 2009-07-23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3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616A1 (ko) * 2018-12-13 2020-06-18 이근영 냉장육 정량 육절기
KR20200073097A (ko) * 2018-12-13 2020-06-23 이근영 냉장육 정량 육절기
KR102240506B1 (ko) * 2020-11-20 2021-04-15 주식회사 어니스트초이스 최적의 육류 세절 제어 시스템
KR102572615B1 (ko) * 2023-03-03 2023-08-31 주식회사 대흥식품 육류 자동푸싱 및 절단시스템
KR102652338B1 (ko) * 2023-06-19 2024-03-28 주식회사 소오름 육류 유형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육류 절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238U (ko) * 1996-07-11 1998-04-30 이용수 육절된 육의 무게측정이 가능한 육절기
JP4101416B2 (ja) 1999-10-19 2008-06-18 プリマハム株式会社 不定形食物原木のスライス装置及びスライス方法
KR200319421Y1 (ko) * 2003-04-24 2003-07-10 팽재익 육절기의 정량절단장치
JP2008284669A (ja) * 2007-04-16 2008-11-27 Nantsune:Kk 食肉スライサ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616A1 (ko) * 2018-12-13 2020-06-18 이근영 냉장육 정량 육절기
KR20200073097A (ko) * 2018-12-13 2020-06-23 이근영 냉장육 정량 육절기
JP2022512078A (ja) * 2018-12-13 2022-02-02 グムヨン イ 冷蔵肉定量肉切機
US11825854B2 (en) 2018-12-13 2023-11-28 Geunyoung YI Fixed-quantity meat slicer for chilled meat
KR102240506B1 (ko) * 2020-11-20 2021-04-15 주식회사 어니스트초이스 최적의 육류 세절 제어 시스템
KR102572615B1 (ko) * 2023-03-03 2023-08-31 주식회사 대흥식품 육류 자동푸싱 및 절단시스템
KR102652338B1 (ko) * 2023-06-19 2024-03-28 주식회사 소오름 육류 유형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육류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355B1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355B1 (ko) 정량적으로 자동 절단하는 육절 장치 및 방법
EP2020183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food dough
CN101498601B (zh) 粉末成型产品自动称重传送质量控制系统
CA299097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specific energy consumption of belt conveyors
EP2931052B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mix of at least two food products where the mix fulfils at least two target criteria
CN201387357Y (zh) 粉末成型产品自动称重传送质量控制系统
CA2798445A1 (en) Fat/meat grading method and system
DK179073B1 (en) Conveying and distributing apparatus for slaughtered fish
EP3245489B1 (en) A food processing system for processing and batching food items
DK1982806T4 (en) Food cutting system and operation of this
NO20043754L (no) Porsjonering med tilbakemeldingskorreksjon
AU2020410226A1 (en) Energy-efficient control of a device for continuously conveying material
CN110418928B (zh) 用于加工鱼的组件和方法
DK179469B1 (en) A FLOWLINE SYSTEM AND A METHOD FOR PROCESSING FOOD PRODUCTS
JPWO2016027622A1 (ja) 連続生地の秤量切断システム
CN208542581U (zh) 一种食品分检设备
US10226878B2 (en) Part pack optimization
US20230219249A1 (en) System for processing food products
JP5975574B2 (ja) スライス肉片のトレー盛付方法
RU15933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точного взвешивания
JP2005104600A (ja) 機械式連続アンローダの健全性評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6080496A (ja) 組合せ秤
JPH07113678A (ja) 物品の切断計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