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964A - 타입정보를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타입정보를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964A
KR20110009964A KR1020090067432A KR20090067432A KR20110009964A KR 20110009964 A KR20110009964 A KR 20110009964A KR 1020090067432 A KR1020090067432 A KR 1020090067432A KR 20090067432 A KR20090067432 A KR 20090067432A KR 20110009964 A KR20110009964 A KR 20110009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ctronic money
type
paymen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7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964A/ko
Publication of KR20110009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화폐 결제 및 이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화폐 시스템에 타입정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설정된 타입정보에 해당하는 결제만 가능하도록 하는 타입정보를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토대로 내장된 전자화폐를 차감하는 휴대단말기; 및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와 각각에 대응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단말기별상태정보로 기저장하고 있으며, 휴대단말기식별번호, 상품금액 및 상품타입을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제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를 포함한다.
전자화폐, 결제, 선물, 타입, 한정, 휴대단말기

Description

타입정보를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ELECTRONIC CASH SYSTEM WITH TYPE INFORMATION AND CONTROL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화폐 결제 및 이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화폐 시스템에 타입정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설정된 타입정보에 해당하는 결제만 가능하도록 하는 타입정보를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화폐는 발행자에게 대가를 지불하고 발행자로부터 제공받는 일정한 화폐가치를 갖는 가상의 화폐로서, 비교적 위조나 변조 등의 위험성이 적고, 도난이나 분실했을 경우에도 안전하며, 소액 결제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전자화폐의 경우, 현금과 마찬가지로 전자화폐를 취급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및 매장이라면 어느 상품이던지 결제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편리성으로 인해서, 청소년들이 부모님들에서 교재비나 교통비등의 명목으로 전자화폐를 충전을 한 다음에, 이렇게 충전된 전자화폐로 최초 명목과 다르게 게임을 하기 위한 게임머니등으로 무분별하게 구매하는 등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머니 사용가능 범위를 부모 등 제3자가 전자머니를 선물해 줄 때 한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렇게 한정된 범위내에서만 결제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화폐에 타입정보별로 한도를 별도로 설정함으로써, 청소년등과 같이 소비에 대해서 관리가 필요한 사용자에 대해, 사용타입 및 그 타입별 한도를 관리할 수 있는 결제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토대로 내장된 전자화폐를 차감하는 휴대단말기; 및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와 각각에 대응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단말기별상태정보로 기저장하고 있으며, 휴대단말기식별번호, 상품금액 및 상품타입을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제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잔자화폐서비스서버는 상기 휴대단말기식별번호 및 상기 상품타입에 대응되는 단말기별상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단말기별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잔액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잔액정보가 상기 상품금액보다 큰 경우에 결제가 가능한 경우로 판단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전자화폐의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터미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요청은 상기 결제터미널로부터 수신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는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와 각각에 대응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단말기별상태정보로 저장하는 정산관리부; 및 휴대단말기식별번호, 상품금액 및 상품타입을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제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식별번호 및 상기 상품타입에 대응되는 단말기별상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단말기별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잔액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잔액정보가 상기 상품금액보다 큰 경우에 결제가 가능한 경우로 판단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입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방법은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품금액 및 상품타입을 포함하는 전자화폐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결제요청 수신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기저장된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에 대응되는 1개 이상의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들 중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대응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추출하는 잔액정보 추출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수신받은 상품금액 및 상품타입과 상기 추출된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비교하여 결제가능여부를 체크하는 결제가능 체크단계; 상기 결제가능 체크단계 결과 결제가 가능한 경우,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잔액정보를 상기 상품금액에 상응하도록 차감하는 잔액정보 차감 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상품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차감신호 전송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내에 포함된 전자화폐를 차감하는 전자화폐 차감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제가능 체크단계는 상기 상품타입과 동일한 타입정보를 추출하는 동일타입 추출단계; 및 상기 동일타입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타입정보에 대응되는 잔액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잔액정보가 상기 상품금액보다 큰 경우에 결제가 가능한 경우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선물 시스템은 전자상거래서버로 선물받을 수신휴대단말기의 식별번호, 선물금액 및 타입을 포함하는 선물정보를 전송하는 송신휴대단말기;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증감신호를 토대로 내장된 전자화폐를 증액하는 수신휴대단말기; 및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와 각각에 대응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송신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선물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받은 선물금액 및 타입을 상기 수신휴대단말기말기에 대응하도록 저장하고,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증액신호를 상기 수신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서비스서버는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와 각각에 대응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저장하는 정산관리부; 및 송신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선물정보에 따 라 수신받은 선물금액 및 타입을 상기 정산관리부에 상기 수신휴대단말기에 대응하도록 잔액정보 및 타입 항목에 저장하고,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증액신호를 상기 수신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정산관리부의 상기 송신휴대단말기에 대응하는 잔액정보에서,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금액을 차감하고,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송신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물정보에는 결제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외부의 금융기관서버로 상기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여 이에 대한 응답신호인 결제승인을 수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입에 따른 전자화폐 선물 방법은 송신휴대단말기에서 선물받을 수신휴대단말기의 식별번호, 선물금액 및 타입을 포함하는 선물정보를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선물정보 전송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기저장된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에 대응되는 1개 이상의 잔액정보들 중에서, 상기 송신휴대단말기에 대응하는 잔액정보를 송신잔액정보로 하여 추출하여 결제가능여부를 체크하는 결제가능 체크단계; 상기 결제가능 체크단계결과 결제가 가능한 경우,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송신잔액정보에서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금액을 차감하는 송신잔액정보 차감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송신휴대단말기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기 송신휴대단말기가 상기 전자화폐차 감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휴대단말기내에 포함된 전자화폐를 차감하는 송신전자화폐 차감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선물금액 및 타입을 상기 수신휴대단말기에 대응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로 하여 저장하는 수신잔액정보 저장단계; 및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증감신호를 상기 수신휴대단말기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신휴대단말기가 상기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휴대단말기내에 포함된 전자화폐를 증감하는 수신전자화폐 증감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수신 휴대단말기로 상기 선물금액의 수신 여부를 문의하는 단문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휴대단말기로부터 이 선물금액의 수신을 승락하는 승락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신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송신휴대단말기로 조르기정보를 전송하는 조르기요청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르기정보에는 선물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선물정보 전송단계에서 전송되는 선물타입는 상기 조르기요청단계에서 수신휴대단말기가 전송한 선물타입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입에 따른 전자화폐 선물 방법은 송신휴대단말기에서 선물받을 수신휴대단말기의 식별번호, 선물금액 및 타입을 포함하는 선물정보를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선물정보 전송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선물금액 및 타입을 상기 수 신휴대단말기에 대응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로 하여 저장하는 수신잔액정보 저장단계; 및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증감신호를 상기 수신휴대단말기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신휴대단말기가 상기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휴대단말기내에 포함된 전자화폐를 증감하는 수신전자화폐 증감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물정보에는 결제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금융기관서버로 상기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여 이에 대한 응답신호인 결제승인을 수신하는 결제승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수신 휴대단말기로 상기 선물금액의 수신 여부를 문의하는 단문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휴대단말기로부터 이 선물금액의 수신을 승락하는 승락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신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송신휴대단말기로 조르기정보를 전송하는 조르기요청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르기정보에는 선물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선물정보 전송단계에서 전송되는 선물타입는 상기 조르기요청단계에서 수신휴대단말기가 전송한 선물타입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방법 및 선물방법을 사용하면, 청소년등과 같이 소비에 대해서 관리가 필요한 사용자에 대해, 사용타입 및 그 타입별 한도를 별도로 제 3자가 관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청소년의 잘못된 사용에 대해서 사전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이벤트등으로 부여된 전자화폐에 대해서도 해당 이벤트의 취지에 적합한 타입으로 상기 전자화폐에 대한 사용타입을 한정함으로써, 해당 이벤트에 의해 발송된 전자화폐의 사용처가 사전에 제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이벤트의 성격에 따라서만 사용자가 전자화폐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약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시의 전자화폐의 결제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결제를 위한 시스템은 크게 휴대단말기(100), 전자상거래서버(150) 및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로 구성된다.
휴대단말기(100)는 가상의 머니인 전자화폐를 내장하는 전자화폐카드(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화폐카드(110)는 스마트카드의 형태로서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카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와 같은 사용자식별카드일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기(100)를 이용해서 전자화폐를 결제하고자 할 때에 는, 상기 정보를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해서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해당하는 잔액정보를 우선 차감한 후, 다시 이러한 차감액만큼 다시 휴대단말기(100)로 차감신호를 전송해서 실제 휴대단말기(100)에 내장된 전자화폐 금액이 차감된다. 이때 전송되는 정보에는 금액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타입에 대한 정보까지 포함된다. 즉 1000원결제라는 정보가 아니라, (학용품,1000원)과 같은 식의 데이터가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에도 단순히 사용자별 잔액 즉 (A사용자, 5000원)과 같은 식으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고, (A사용자, 학용품, 5000원)과 같은 식으로 저장된다. 따라서 잔액중에서 타입정보가 일치하는 잔액을 찾아서 차감한다. 따라서 아무리 잔액이 많이 남아있어도 잔액에서 지정하는 타입가 아니라면 차감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결제가 불가능하다. 물론 모든 잔액에 타입을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어떠한 타입라도 결제를 원할때에는 타입정보에 정보를 넣지 않거나 또는 모든 타입에 해당하는 식별기호를 삽입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전자상거래서버(150)는 일반적인 온라인쇼핑몰등의 사이트로서, 1개 이상의 상품정보 중에서 1개 이상의 상품을 구매상품으로서 입력받고, 상기 구매상품에 대한 상품결제요청을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상품결제요청에는 전자상거래서버(150)를 나타내는 자신의 서버정보 및 상기 구매상품의 금액에 해당하는 결제금액 그리고 상기 구매상품의 타입정보를 포함한다.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는,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와 각각에 대응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단말기별상태정보로 기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기(100) 로부터 휴대단말기식별번호, 상품금액 및 상품타입을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결제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러한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서비스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는,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와 각각에 대응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단말기별상태정보로 저장하는 정산관리부(210)와 휴대단말기식별번호, 상품금액 및 상품타입을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제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제공부(220)를 포함한다.
정산관리부(210)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에서 관리하는 전체 휴대단말기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휴대단말기가 보유하고 있는 전자화폐에 대한 잔액정보를 저장하며, 서비스제공부(220)의 제어에 따라 소정 휴대단말기의 전자화폐 잔액정보를 증액 또는 차감하여 정산 및 관리한다. 여기서 휴대단말기별로 잔액정보와 함께 각각의 잔액정보에 해당하는 타입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별 타입정보 및 잔액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별상태정보의 일 예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는 단말 기별상태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별상태정보는 휴대단말기식별번호, 잔액 및 타입이라는 세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010-XXXX-XXXX라는 휴대단말기는 교재라는 타입으로 10,000만큼의 잔액과 식품이라는 타입으로 20,000만큼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010-XXXX-XXXX라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해서는 교재 10,000원어치와 식품 20,000어치만 구매가 가능하다.
한편 서비스제공부(220)는, 휴대단말기식별번호, 상품금액 및 상품타입을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제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만약 010-XXXX-XXXX라는 휴대단말기로부터 교재 6,000원이라는 결제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부(220)는 상기 정산관리부(210)에서 상기 010-xxxx-xxxx 및 교재에 대응하는 잔액정보를 추출한다. 이에 해당하는 잔액정보는 10,000으로서 상기 결제요청의 6,000원보다 크므로 결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잔액정보 10,000원에서 상기 6,000만큼 차감한다. 그리고 나서 다시 상기 휴대단말기로 6,000만큼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에 기저장된 전자화폐와 전자화폐서비스서버의 정산관리부(210)의 정보를 일치시킨다.
상기 시스템에서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결제방법에 대해서는 이하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결제방법의 설명에 사용되는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전자상거래서버(150) 즉 인터넷쇼핑몰등에서 특정 상품을 구매하고 결제방법을 휴대단말기에 기저장된 전자화폐로 선택한 경우, 전자상거래서버(150)에서 상기 구매한 상품의 타입인 상품타입 및 상품금액을 포함하는 상품결제 요청을 휴대단말기(100)로 전송한다(S310).
상기 상품결제요청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휴대단말기식별번호, 상품타입 및 상품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S320).
상기 결제요청을 수신한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는 상기 결제요청에 따라서 이에 상응하도록 자체내에서 결제처리를 수행하고(S330), 이와 함께 상기 결제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휴대단말기(100)로 전송한다(S340).
상기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 도 4에서 보다 더 자세히 후술한다.
도 5는 도 4의 흐름도에서 결제방법을 자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품금액 및 상품타입을 포함하는 전자화폐 결제요청을 수신한 경우, 우선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와 각각에 대응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별상태정보 중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대응하는 잔액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320). 즉 010-XXXX-XXXX라는 휴대단말기에서 전자제품이라는 타입으로 50,000이라는 결제를 요청하였는데, 상기 전자화폐서비스 서버에 기저장된 단말기별상태정보에 상기 010-XXXX-XXXX라는 휴대단말기에 전자제품이라는 타입으로 된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고 없다면(S332-Y), 에러 메세지 즉 결제를 수행할 수 없다는 메세지를 전송한다(S336).
만약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자제품이라는 타입으로 된 잔액정보가 있다면(S332-Y), 이에 해당하는 잔액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금액이 50,000원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33).
상기 잔액정보가 상품금액 즉 50,000원 이하라면(S333-N), 에러메세지 즉 결제를 수행할 수 없다는 메세지를 전송한다(S336). 반대로 이상이라면(S333-Y), 상기 잔액정보에서 상기 결제금액인 50,000원을 차감하고(S334), 상기 휴대단말기로 50,000원에 해당하는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전송하여(S340)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의 정산관리부(210)의 정보와 휴대단말기(100)에 기저장된 전자화폐값을 일치시킨다.
여기서 휴대단말기의 전자화폐에는 잔액정보의 합산값만 저장해놓아도 가능하며, 또는 휴대단말기에도 타입,잔액정보 형태로 타입별로 따로 저장하는 방법도 가능함을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단말기에서 온라인을 통해서 전자상거래서버와 서로 결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외에도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전자화폐의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터미널(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요청은 상기 결제터미널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무방하다.
즉 사용자가 편의점등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 편의점에 기 구비된 결제터미널에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단말기를 접촉하고, 이에 따라 상기 결제터미널 의 상기 휴대단말기식별번호, 상품타입 및 상품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하는 방법도 적용가능함을 물론이다.
한편 상기 도3내지 도5에서는 일단 휴대단말기에서 결제요처을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 후에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에서 장르별로 잔액을 체크하여 결제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휴대단말기 자체내에서도 장르별로 잔액을 가지고 있고,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 내에서 바로 장르별로 결제가능여부를 체크한 후에 결제가 가능한 경우에만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로 결제요청을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휴대단말기내에 각각의 타입별 잔액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잔액과는 별도로 타입별 한도액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100만원이 잔액이 있을 때, 이러한 잔액을 식품 10만원, 교통비 20만원 및 그외 80만원과 같은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으나, 그와는 별도록 그냥 잔액 100만원정보와 식품 10만원, 교통비 20만원과 같은 식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타입정보를 이용한 전자화폐의 선물(이체)방법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선물방법의 설명에 사용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입정보를 활용하여 부모가 청소년등에게 용돈을 줄 때, 그 사용한도별로 관리를 할 수 있다.
우선 자녀가 자신의 휴대폰(이하 수신휴대단말기라 함,120)에서 메뉴를 실행 하여 조르기 기능으로 들어간 다음에 아버지의 휴대폰(이하 송신휴대단말기라 함, 130)에 조르기 메세지를 전송한다(S410). 이러한 메세지는 주로 콜백URL이 포함된 단문메세지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녀가 인터넷등에서 조르기등으로 전송하는 방법등도 가능하다.
상기 조르기 메뉴에서는 선물금액과 함께 선물타입을 선택한 후 전송한다. 즉 "부모에게 학용품사게 10,000만원만 주세요"라는 메세지와 함께, 타입정보로 교재, 선물금액으로 10,000원이 전송된다.
이후 상기 조르기를 수신받은 송신휴대단말기(130)는 선물받을 수신휴대단말기의 식별번호, 선물금액 및 타입을 포함하는 선물정보를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S420). 조르기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휴대단말기(130)가 전송하는 경우라면, 송신휴대단말기(130)는 조르기메뉴에 대해서 "Y"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정보를 입력할 필요없이 조르기를 전송한 수신휴대단말기의 식별번호와, 조르기시에 수신휴대단말기에서 입력한 선물금액과 선물타입가 그대로 다시 송신휴대단말기(130)에서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로 전송된다.
만약 상술한 예와 같이 조르기에 대한 응답으로 요청하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송신휴대단말기(130)에서 이체메뉴에 접속해서 선물을 받을(또는 전자화폐를 이체받을) 수신자의 수신휴대단말기 식별번호, 선물금액 및 타입정보를 입력한 후 이를 전송하면 된다.
이때 송신 휴대단말기가 상기 선물의 결제방법을 자신의 전자화폐에서 일부를 주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는 기저장된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에 대응되는 1개 이상의 잔액정보들 중에서, 상기 송신휴대단말기에 대응하는 잔액정보를 송신잔액정보로 하여 추출하여 결제가능여부를 체크한다(S430). 이 때 만약 송신휴대단말기(130)에 대응하는 잔액정보가 상기 선물금액보다 적은 경우에는 다음단계로 진행하지 않고, 잔액이 적어서 선물을 할 수 없습니다와 같은 메세지를 상기 송신 휴대단말기(130)로 전송하여 준다.
이 후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가 상기 수신 휴대단말기로 상기 선물금액의 수신 여부를 문의하고(S440), 상기 수신 휴대단말기로부터 이 선물금액의 수신을 승락하는 승락신호를 수신한다(S445).
상기 수신 휴대단말기에 선물수신 여부를 문의하는 S440단계 및 S445단계의 경우에는, 상기 선물과정이 수신 휴대단말기의 조르기 요청에 의한 경우라면 생략하고, 송신 휴대단말기에서 바로 수신 휴대단말기로 선물을 제공하는 경우에만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후 상기 선물제공에 따라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기저장된 잔액정보들을 변경한다(S450).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가 상기 송신잔액정보에서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금액을 차감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선물금액 및 타입을 상기 수신휴대단말기에 대응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로 하여 저장하는 수신잔액정보 저장한다. 즉 송신 휴대단말기에서 수신 휴대단말기에 (수신휴대단말기식별번호,교재,10,000원)라는 선물을 보내는 경우라면,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와 각각에 대응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단말기별상태정보에서, 우선 송신 휴대단말기의 잔액중에서 10,000원을 차감하고, 다시 수신 휴대 단말기의 잔액정보에 교재, 10,000원이라는 정보를 새로 저장한다. 만약 수신 휴대단말기의 잔액정보에 교재라는 항목으로 금액이 이미 있다면, 새로 저장하지 않고 상기 항목에서 잔액부분에 상기 10,000원을 추가하는 형식으로 수정한다.
상기 잔액정보 즉 단말기별상태정보를 수정하였다면, 이 정보와 실제 휴대단말기들에 내장된 전자화폐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송신휴대단말기로 전송하고(S460),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부가신호를 상기 수신휴대단말기로 전송한다(S465).
이후 상기 송신 휴대단말기(130)가 상기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휴대단말기내에 포함된 전자화폐를 차감하고(S470), 상기 수신휴대단말기(120)가 상기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휴대단말기내에 포함된 전자화폐를 부가한다(S465).
이 후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는 전송완료를 상기 송신휴대단말기(130)로 전송하여 준다(S470).
이상 송신휴대단말기(130)가 자신의 전자화폐를 이용해서 일정한 타입을 한정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신휴대단말기(120)에 전자화폐를 선물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여기서 송신휴대단말기(130)는 자신의 전자화폐로 선물할 수도 있으나, 신용카드등을 이용해서 수신휴대단말기(120)에 용도가 한정된 타입정보를 가진 전자화폐를 선물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선 물방법의 설명에 사용되는 흐름도이다.
도 7에서는 송신 휴대단말기(130)에서 신용카드등을 이용해서 선물하는 경우이다. 우선 자녀가 자신의 휴대폰(이하 수신휴대단말기라 함,120)에서 메뉴를 실행하여 조르기 기능으로 들어간 다음에 아버지의 휴대폰(이하 송신휴대단말기라 함, 130)에 조르기 메세지를 전송한다(S510). 이러한 메세지는 주로 콜백URL이 포함된 단문메세지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녀가 인터넷등에서 조르기등으로 전송하는 방법등도 가능하다.
상기 조르기 메뉴에서는 선물금액과 함께 선물타입을 선택한 후 전송한다(S510). 즉 "부모에게 학용품사게 10,000만원만 주세요"라는 메세지와 함께, 타입정보로 교재, 선물금액으로 10,000원이 전송된다.
이후 상기 조르기를 수신받은 송신휴대단말기(130)는 선물받을 수신휴대단말기의 식별번호, 선물금액 및 타입을 포함하는 선물정보를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S520). 이때 송신 휴대단말기가 상기 선물의 결제방법을 자신의 신용카드를 이용해서 결제해주는 경우라면 결제에 필요한 신용카드번호 및 비밀번호등이 포함된 결제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준다.
이 후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가 금융기관서버(250)로 상기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여(S530), 이에 대한 응답신호인 결제승인을 수신한다( S535).
이 후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가 상기 수신 휴대단말기로 상기 선물금액의 수신 여부를 문의하고(S540), 상기 수신 휴대단말기로부터 이 선물금액의 수신을 승락하는 승락신호를 수신한다(S545).
상기 수신 휴대단말기에 선물수신 여부를 문의하는 S540단계 및 S545단계의 경우에는, 상기 선물과정이 수신 휴대단말기의 조르기 요청에 의한 경우라면 생략하고, 송신 휴대단말기에서 바로 수신 휴대단말기로 선물을 제공하는 경우에만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후 상기 선물제공에 따라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기저장된 잔액정보들을 변경한다(S550). 보다 자세하게는, 송신 휴대단말기에서 수신 휴대단말기에 (수신휴대단말기식별번호,교재,10,000원)라는 선물을 보내는 경우라면,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와 각각에 대응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단말기별상태정보에서, 수신 휴대단말기의 잔액정보에 교재, 10,000원이라는 정보를 새로 저장한다. 만약 수신 휴대단말기의 잔액정보에 교재라는 항목으로 금액이 이미 있다면, 새로 저장하지 않고 상기 항목에서 잔액부분에 상기 10,000원을 추가하는 형식으로 수정한다.
상기 잔액정보 즉 단말기별상태정보를 수정하였다면, 이 정보와 실제 휴대단말기들에 내장된 전자화폐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부가신호를 상기 수신휴대단말기로 전송하고(S560), 이에 따라 상기 수신휴대단말기(120)가 상기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휴대단말기내에 포함된 전자화폐를 부가한다.
이 후 전자화폐서비스서버(200)는 전송완료를 상기 송신휴대단말기(130)로 전송하여 준다(S570).
한편 본 발명의 경우 충전한도액을 타입별로 설정하여, 충전자체를 제한적으로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즉 부모가 자식의 휴대단말기에서 게임이라는 타입에 대해서 충전한도액을 1만원이라고 설정한 경우, 자식은 자신의 휴대폰에 게임이라는 타입으로 충전을 시도할 때 1만원 이상은 충전이 불가능하다. 즉 현재 게임이라는 타입에 잔액정보가 4천원이라면, 6천원 이상을 게임이라는 타입으로 충전을 시도하면 충전이 실행이 불가능하다.
이를 위해, 우선 부모가 자식의 휴대단말기 또는 부모자신의 휴대단말기(이 경우는 미리 부모의 휴대단말기를 상기 자식의 휴대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로 설정한다.)를 이용해서 전자화폐서비스에 한계금액을 설정한다. 즉 자식의 단말기에 대해서 게임의 한계금액을 1만원으로 설정한다.
이 후 상기 자식의 휴대단말기가 충전단말식별번호, 타입정보 및 충전금액을 포함하는 충전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는 단말기별상태정보에서 상기 자식의 휴대단말기 및 게임이라는 타입의 잔액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다시 상기 게임이라는 타입의 한계금액을 추출한다. 이 경우 상기 잔액정보에 이미 게임이라는 타입으로 잔액이 4천원이 있고, 한계금액은 1만원이라고 가정하자. 그리고 상기 충전금액이 7천원이라면 상기 잔액에 충전금액을 충전하면 한계금액을 초과하므로 충전불가능하다는 신호를 보내주고 충전을 차단한다.
반대로 종래 게임이라는 타입의 잔액과 충전금액을 합쳐도 한계금액보다 적다면 충전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전자화폐에 타입이라는 새로운 구성요소를 추가함으로써 전자화폐의 사용할 수 있는 종류를 제한할 수 있음으로써, 선물등과 같은 경우에 활용도가 뛰어나며 이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서비스 서버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는 단말기별상태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결제방법의 설명에 사용되는 흐름도,
도 5는 도 4의 흐름도에서 결제방법을 자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선물방법의 설명에 사용되는 흐름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선물방법의 설명에 사용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단말기 110 : 수신휴대단말기
120 : 송신휴대단말기 150 : 전자상거래서버
200 : 전자화폐 서비스 서버 210 : 정산관리부
220 : 서비스 제공부

Claims (20)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번호,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단말기별상태정보로 기저장하고 있으며, 결제휴대단말기식별번호, 상품금액 및 상품타입을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에서 상기 결제휴대단말기식별번호와 대응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상기 수신된 상품금액 및 상품타입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상품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 및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토대로 내장된 전자화폐를 차감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 선물받을 수신휴대단말기의 수신식별번호, 선물금액 및 선물타입을 포함하는 선물정보를 전송하는 송신휴대단말기;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부가신호를 토대로 내장된 전자화폐를 증액하는 수신휴대단말기; 및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번호,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단말기별상태정보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에서 상기 수신식별번호와 대응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잔 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상기 수신된 선물금액 및 선물타입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를 갱신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와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번호,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단말기별상태정보로 저장하는 정산관리부; 및
결제휴대단말기식별번호, 상품금액 및 상품타입을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에서 상기 결제휴대단말기식별번호와 대응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상기 수신된 상품금액 및 상품타입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결제휴대단말기식별번호에 대응되는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수신한 결제휴대단말기식별번호 및 상기 상품타입을 이용하여 상기 기저장된 단말기별상태정보에서 대응되는 잔액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잔액정보가 상기 상품금액보다 큰 경우에 결제가 가능한 경우로 판단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번호,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단말기별상태정보로 저장하는 정산관리부; 및
송신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식별번호, 선물금액 및 선물타입을 포함하는 선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에서 상기 수신식별번호와 대응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상기 수신된 선물금액 및 선물타입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에서 수신단말기에 대응되는 정보를 갱신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정산관리부에서 상기 송신휴대단말기에 대응하는 잔액정보를 송신잔액정보로 추출하고, 상기 송신잔액정보에서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금액을 차감하고,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송신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물정보에는 결제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외부의 결제처리서버로 상기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여 이에 대한 응답신호인 결제승인을 수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
전자화폐 및 타입정보를 저장하는 전자화폐카드;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차감금액 및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차감신호 또는 부가금액 및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부가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타입정보에 대응되는 전자화폐를 차감금액만큼 차감하고, 전자화폐부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타입정보에 대응되는 전자화폐를 부가금액만큼 부가하도록 전자화폐카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휴대단말기.
전자화폐를 저장하는 전자화폐카드;
결제금액 및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기저장된 한도타입정보와 한도액을 상기 타입정보 및 결제액과 비교하여 결제가능여부를 판단하고, 결제가 가능한 경우에 상기 전자화폐서비스버서로 결제요청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휴대단말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결제를 수행하는 휴대단말기와 대응되는 결제휴대단말기식별번호, 상품금액 및 상품타입을 포함하는 전자화폐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결제요청 수신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기저장된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번호,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단말기별상태정보에서, 상기 결제를 수행하는 휴대단말기와 대응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추출하는 잔액정보 추출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수신받은 상품금액 및 상품타입과 상기 추출된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비교하여 결제가능여부를 체크하는 결제가능 체크단계; 및
상기 결제가능 체크단계 결과 결제가 가능한 경우,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방법.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수행단계는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잔액정보를 상기 상품금액에 상응하도록 차감하는 잔액정보 차감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상품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차감신호 전송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내에 포함된 전자화폐를 차감하는 전자화폐 차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방법.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가능 체크단계는
상기 상품타입과 동일한 타입정보를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에서 추출하는 동일타입 추출단계; 및
상기 동일타입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타입정보에 대응되는 잔액정보를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에서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잔액정보가 상기 상품금액보다 큰 경우에 결제가 가능한 경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방법.
송신휴대단말기에서 선물받을 수신휴대단말기의 수신식별번호, 선물금액 및 선물타입을 포함하는 선물정보를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선물정보 전송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청구금액에 대하여 상기 송신휴대단말기로 청구하는 선물금액 청구단계; 및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기저장된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에 대응되는 식별번호,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단말기 별상태정보에서, 상기 수신식별번호와 대응되는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상기 수신된 선물금액 및 선물타입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에서 수신단말기에 대응되는 정보를 갱신하는 수신잔액정보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에 따른 전자화폐 선물 방법.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부가신호를 상기 수신휴대단말기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신휴대단말기가 상기 전자화폐부가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휴대단말기내에 포함된 전자화폐를 부가하는 수신전자화폐 부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에 따른 전자화폐 선물 방법.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물금액 청구단계는
상기 단말기별상태정보에서, 상기 송신휴대단말기에 대응하는 잔액정보를 송신잔액정보로 하여 추출하고 결제가능여부를 체크하는 결제가능 체크단계;
상기 결제가능 체크단계결과 결제가 가능한 경우,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송신잔액정보에서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금액을 차감하는 송신잔액정보 차감단계 및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선물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송신휴대단말기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기 송신휴대단말기가 상기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휴대단말기내에 포함된 전자화폐를 차감하는 송신전자화폐 차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에 따른 전자화폐 선물 방법.
제13항에 있어서,
수신잔액정보 저장단계는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수신휴대단말기로 상기 선물금액의 수신 여부를 문의하는 단문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휴대단말기로부터 이 선물금액의 수신을 승락하는 승락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에 따른 전자화폐 선물 방법.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물정보 전송단계 이전에, 상기 수신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송신휴대단말기로 조르기정보를 전송하는 조르기요청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에 따른 전자화폐 선물 방법.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르기정보에는 선물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선물정보 전송단계에서 전송되는 선물타입은 상기 조르기요청단계에서 수신휴대단말기가 전송한 선물타입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에 따른 전자화폐 선물 방법.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물정보에는 결제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선물금액청구단계는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결제처리서버로 상기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여 이에 대한 응답신호인 결제승인을 수신하는 결제승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에 따른 전자화폐 선물 방법.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1 이상의 휴대단말기별로 타입별 한계금액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충전단말식별번호, 타입정보 및 충전금액을 포함하는 충전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기저장된 1개 이상의 휴대단말기에 대응되는 휴대단말기식별번호, 잔액정보 및 타입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단말기별상태정보에서 상기 충전단말식별번호 및 타입정보에 해당하는 잔액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잔액정보와 충전금액의 합산액과 상기 한계금액을 비교하여, 충전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충전가능한 경우에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충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 방법.
KR1020090067432A 2009-07-23 2009-07-23 타입정보를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09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432A KR20110009964A (ko) 2009-07-23 2009-07-23 타입정보를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432A KR20110009964A (ko) 2009-07-23 2009-07-23 타입정보를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964A true KR20110009964A (ko) 2011-01-31

Family

ID=4361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432A KR20110009964A (ko) 2009-07-23 2009-07-23 타입정보를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9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2662B2 (en) 2011-12-23 2016-11-22 Cheil Industries, Inc. Compound for an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mprising sam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JP2020107207A (ja) * 2018-12-28 2020-07-09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媒体の利用用途を制限するための管理サーバ、管理方法及び端末の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2662B2 (en) 2011-12-23 2016-11-22 Cheil Industries, Inc. Compound for an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mprising sam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JP2020107207A (ja) * 2018-12-28 2020-07-09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媒体の利用用途を制限するための管理サーバ、管理方法及び端末の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2915B2 (en) Order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US81854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orizing a payment via a remote device
KR101656500B1 (ko) 오프라인 거래가 가능한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06056374A (zh) 用于在移动设备之间进行支付和非支付虚拟卡传送的系统、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201402795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ingle-use time-limited purchase code for completing transactions with a portable computing device
KR20100127334A (ko) 모바일 홈쇼핑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101023313B1 (ko) 사용이력표시가 가능한 전자화폐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119422B1 (ko) 전자화폐를 이용한 쇼핑 구매금액 결제 시스템 및 쇼핑 구매금액 결제 방법
KR20100138659A (ko) 사용자 편의적인 전자화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2005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ctioning a first-in-wallet payment account status
JP6608152B2 (ja) 移動通信端末、情報送信方法、及び情報送信システム
KR20110009964A (ko) 타입정보를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50172473A1 (en) Calling card replenishment system
Tavilla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o broad acceptance of mobile payments in the united states
KR101407398B1 (ko)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206059B1 (ko) 소셜 뱅킹 시스템, 그 방법 및 기록 매체
US108250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billing of order call relay
KR20140133117A (ko) 기프티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 및 기프티콘 서비스를 신청하는 단말기
KR20110036481A (ko) 메시징 기반 무선 결제 방법
KR101699488B1 (ko) 온라인 상에서 금을 선물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354225B1 (ko) 상품 비용 결제 서버의 운영 방법
WO2021101438A1 (en) A rebate system for generating a rebate value and a method thereof
KR20140066138A (ko)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107146A (ko) 오프라인 거래가 가능한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40099785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