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649U - 기도폐쇄 처치를 위한 교육용 마네킹 - Google Patents

기도폐쇄 처치를 위한 교육용 마네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649U
KR20110009649U KR2020100003516U KR20100003516U KR20110009649U KR 20110009649 U KR20110009649 U KR 20110009649U KR 2020100003516 U KR2020100003516 U KR 2020100003516U KR 20100003516 U KR20100003516 U KR 20100003516U KR 20110009649 U KR20110009649 U KR 201100096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airway
training
head
half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4949Y1 (ko
Inventor
고영석
정재은
Original Assignee
고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석 filed Critical 고영석
Priority to KR2020100003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94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6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6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9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도폐쇄 발생 시 처치를 교육하기 위한 교육용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도폐쇄의 응급 상황을 발생할 때 이를 처치하기 위한 교육을 시각, 청각, 촉각 등 입체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 상황 발생 시 쉽게 적용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하여 범용성을 향상킬 수 있으며, 특히 청소년들이 용이하게 이해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도폐쇄 처지를 위한 교육용 마네킹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머리부 및 내부에 공간을 갖는 상반신 몸체를 포함하는 인체 모양의 바디; 상기 상반신 몸체 내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유지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신축성 재질의 공기주머니 부재; 상기 머리부의 입과 상기 공기주머니 부재를 연통하게 연결하는 기도모형 관부재; 상기 기도모형 관부재에 삽입가능한 이물질 모형부재; 및 상기 상반신 몸체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 부재를 포함하는 기도폐쇄 처지 교육용 마네킹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도폐쇄 처치를 위한 교육용 마네킹{EDUCATION MANNEQUIM FOR HADNDING OF RESPIRATORY OBSTRUCTION}
본 고안은 기도폐쇄 발생 시 처치를 교육하기 위한 교육용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도폐쇄의 응급 상황을 발생할 때 이를 처치하기 위한 교육을 시각, 청각, 촉각 등 입체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 상황 발생 시 쉽게 적용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하여 범용성을 향상킬 수 있으며, 특히 청소년들이 용이하게 이해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도폐쇄 처지를 위한 교육용 마네킹에 관한 것이다.
우리 신체의 기도는 인후두부, 기관, 기관지 등의 일련의 통로를 걸쳐 폐에 도달한다. 이러한 일련의 통로를 기도라 하는데, 기도에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제대로 넘어가지 못하고 걸리는 현상을 기도 폐쇄 또는 기도 폐색이라 말한다.
이러한 기도 폐쇄의 원인은 큰 조각의 음식을 잘 씹지않고 삼키는 경우, 음식을 먹으며 술이나 음료를 마시는 경우, 입에 음식물이 있는 상태에서 걷거나 뛰는 행동을 하는 경우에 자주 발생한다.
이와 같이 기도 폐쇄는 생활 속에서 언제 어느 때나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며, 특히 유소년층이 자주 먹는 미니컵 젤리나 떡 등의 기도 폐쇄로 인한 사망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도 폐쇄는 심장박동이 멈춘 것보다 기도가 폐쇄된 환자가 더 응급환자라고 할 정도로 긴박한 상황으로, 기도폐쇄의 경우 응급구조사의 손길을 기다리지 말고 일반인들도 '복부밀쳐 올리기(하임리히요법)’처럼 쉬운 응급처치를 신속히 행하는 교육을 받을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도 폐쇄에 대한 처치 교육은 디스플레이 교육이나 책자 등의 2차원적인 교육을 통해 실시되기 때문에, 피교육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체 모형의 마네킹을 통해 교육하는 경우도 있지만, 단순히 마네킹을 이용하는 하는 처치하는 자세나 요령만을 교육할 뿐, 기도폐쇄 원인부터 이를 처치하는 전(全)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없는 제약이 따랐으며, 따라서 더욱 효과적인 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도 폐색이 발생하는 원인부터 이를 처치하는 전 과정을 시각, 청각 및 촉각 등의 입체적인 교육을 통하여 보다 사실적이고 쉽게 교육받을 수 있는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게 구성되어 제작 비용을 줄이고 이에 따라 범용성을 증대시켜 많은 사람이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1 관점에 따르면, 머리부 및 내부에 공간을 갖는 상반신 몸체를 포함하는 인체 모양의 바디; 상기 상반신 몸체 내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유지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신축성 재질의 공기주머니 부재; 상기 머리부의 입과 상기 공기주머니 부재를 연통하게 연결하는 기도모형 관부재; 상기 기도모형 관부재에 삽입가능한 이물질 모형부재; 및 상기 상반신 몸체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 부재를 포함하는 기도폐쇄 처지 교육용 마네킹을 제공한ㄷ.
상기 상반신 몸체는 상기 기도모형 관부재에 대향하는 상반신 몸체 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가시 영역을 포함하거나, 상기 상반신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대칭하는 절반부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 관점에 따르면, 머리부 및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신장방향으로 대칭되는 상반신 중 절반만을 갖고 대칭면이 개방된 하프 몸체(half-body); 상기 하프 몸체 내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유지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신축성 재질의 공기주머니 부재; 상기 머리부의 입과 상기 공기주머니 부재를 연통하게 연결하며,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기도모형 관부재; 및 상기 기도모형 관부재에 삽입가능한 이물질 모형부재를 포함하는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을 제공한다.
상기 하프 몸체의 개방 면에는 투명 재질의 커버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2 관점에 따른 교육용 마네킹은 상기 하프 몸체와 대칭하는 별도의 대칭 하프 몸체 및 상기 하프 몸체에 대칭 하프 몸체를 결합시키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반신 몸체 또는 하프 몸체의 흉부 압박을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알림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 및 제2 관점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와 상반신 몸체는 관절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머리부와 상반신 몸체의 연결부 간에는 각도 및 회전위치를 정지시키기 위한 위치 조절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도모형 관부재는 반경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성을 가지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모형부재는 연결부재를 통해 머리부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3 관점에 따르면, 머리부 및 내부에 공간을 갖는 상반신 몸체; 상기 상반신 몸체의 흉부에 대응하는 내부에 설치되는 압전 소자; 상기 머리부의 입으로부터 상반신 몸체까지 구비되고, 복수의 발광부재를 갖는 발광표시유닛; 상기 상반신 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압전 소자의 압전 변화량에 따른 전기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발광표시유닛의 발광부재의 발광수를 제어하는 전자회로유닛; 이물질 위치의 깊이 정도를 설정하는 설정 위치를 상기 전자회로유닛에 입력하는 외부 입력유닛; 상기 상반신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회로유닛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음향을 방출하는 스피커수단; 및 상기 상반신 몸체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발포성 충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회로유닛은 압전 소자의 압전 변화량이 해당 이물질 설정 위치에 상응하는 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 수단을 통해 음향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입에 구비되는 이물질 모형부재; 상기 머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물질 모형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이물질 모형부재를 록킹하는 록킹수단; 및 상기 이물질 모형부재를 록킹하는 록킹수단을 록킹해제하는 해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회로유닛은 상기 압전 소자의 압전 변화량이 해당 이물질 설정 위치에 상응하는 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해제수단을 구동시켜 이물질 모형부재를 방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은 기도폐쇄 처치 교육을 시각, 청각, 촉각 등 입체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 상황 발생 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유소년기의 피교육자에게 확실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어 성장 후에도 기도폐쇄 상황 발생시 바로 적용할 수 있어 교육 효과를 실질적으로 매우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은 교육 효과를 높이면서도 간단하게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 예의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본 고안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은 머리부(11) 및 내부에 공간을 갖는 상반신 몸체(12)를 포함하는 인체 모양의 바디(10); 상기 상반신 몸체(12) 내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유지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신축성 재질의 공기주머니 부재(20); 상기 머리부(11)의 입과 상기 공기주머니 부재(20)를 연통하게 연결하는 기도모형 관부재(30); 상기 기도모형 관부재(30)에 삽입가능한 이물질 모형부재(40); 및 상기 상반신 몸체(12)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 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인체 모양의 바디(10)에 있어서 도면에서는 피교육자에게 실제 상황과 유사한 교육 효과를 도모하기 위하여 하반신 몸체도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반신 몸체(12)만을 구비하도록 형성하거나 하반신 몸체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인체 모양의 바디(10)는 머리부(11)와 상반신 몸체(1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머리부(11)와 상반신 몸체(12)의 연결부는 관절 형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머리부(11)와 상반신 몸체(12)를 관절 형태로 연결하는 것은 제작의 용이성도 있지만, 상반신 몸체(12)에 대한 머리부(11)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정 또는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기도를 확보하기 위한 교육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상기 머리부(11)와 상반신 몸체(12)의 연결부 간에는 그 각도 또는 회전위치를 정지시키기 위한 위치 조절 수단(미도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조절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지만, 그 간단한 일 예로서 머리부(11)의 연결부와 이 연결부와 연결되는 상반신 몸체(12)의 연결부에 서로 대응하는 요철 형태의 홈과 돌기를 소정 간격으로 형성시켜 회전각도 또는 위치에 따라 홈으로 돌기가 안착 및 탈착됨으로써 위치 유지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반신 몸체(12)는 기도모형 관부재(30)가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그 기도모형 관부재(30)에 대향하는 상반신 몸체(12) 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가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기도모형 관부재(30)에 위치하는 이물질 모형부재(40)가 상반신 몸체(12)의 흉부 압박 시 이동하는 것을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기주머니 부재(2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내부에 공간을 갖고 그 형상을 유지하며 신축가능한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도모형 관부재(30)는 반경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인체의 기도가 실질적으로 신축 가능한 것과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후술하겠지만 이물질 모형부재(40)가 다양한 크기의 세트로 구성되는 경우, 그 크기에 대응하여 신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물질 모형부재(40)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어떠한 것도 무관하지만, 실제 기도를 폐색시키는 물질과 유사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도록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모형부재(40)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모형부재(40)는 연결부재(예를 들면, 줄)를 통해 머리부(1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이동이나 보관 시 또는 교육 시 이물질 모형부재(40)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부재(50)는 상반신 몸체(12)의 내부 공간을 충전하되, 상반신 몸체(12)의 형상을 유지하고 신축가능한 재료로 구성된다. 그 일 예로 우레탄 포옴이 발포되어 충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처지 교육용 마네킹은 상반신 몸체(12)의 흉부 압박을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알림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수단은 상기 기도모형 관부재(30)과 상기 공기주머니 부재(20)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위치되어 공기주머니 부재(20)로부터 압박 공기의 흐름의 마찰에 의하여 음을 발생시키는 피리와 같은 음향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변형 예로서 상반신 몸체(12)의 길이방향으로 대칭하는 절반부를 투명하고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주머니 부재(20), 기도모형 관부재(30), 이물질 모형부재(40)의 위치 및 압박 시의 동작 등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교육받을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자는 이물질모형 부재(40)를 기도모형 관부재(30)의 소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삽입한다. 그리고 교육자 또는 피교육자는 바디(10)의 상반신 몸체(12)의 흉부를 압박하고, 그 압박 강도의 정도 및 압박 회수에 따라 기도모형 관부재(30)에 위치한 이물질모형 부재(40)가 머리부(11)의 입으로부터 토출되게 된다.
이때, 상반신 몸체(12)의 흉부 압박 시, 소정 수준 이상의 압박이 가능해지는 경우 앞서 설명한 알림 수단을 통한 음이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이물질모형 부재(40)를 빼내기 위한 교육 과정에서, 기도모형 관부재(30)에 대향하는 상반신 몸체(12)에 가시 영역(투명한 부분)이 형성되는 경우, 흉부 압박 시 이물질모형 부재(40)가 기도모형 관부재(30)에서 이동하는 상태를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도폐쇄 처지 방법은 인체모형 바디(10)를 누워 놓은 상태에서도 실행할 수 있지만, 인체모형 바디(10)가 실제 인체와 유사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는 인체모형 바디(10)를 앞에서 안고 하임리히요법을 실행하는 교육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의 구성요소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는 인체와 동일한 인체모형 바디를 형성하는 것이지만, 후술하는 제2 실시 예는 인체 상반신 중 절반부 만을 갖고 형성하는 예로서,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은 머리부(11) 및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신장방향으로 대칭되는 상반신 중 절반만을 갖고 개방된 하프 몸체(half-body)(21); 상기 하프 몸체(21) 내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유지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신축성 재질의 공기주머니 부재(20); 및 상기 머리부(11)의 입과 상기 공기주머니 부재(20)를 연통하게 연결하며,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기도 모형 관부재(30); 및 상기 기도 모형 관부재(30)에 삽입가능한 이물질 모형부재(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프 몸체(21)의 흉부 압박을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알림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알림 수단은 상기 기도모형 관부재(30)과 상기 공기주머니 부재(20)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위치되어 공기주머니 부재(20)로부터 압박 공기의 흐름의 마찰에 의하여 음을 발생시키는 피리와 같은 음향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프 몸체(21)의 개방 면에는 투명 재질의 커버부재가 설치될 수있다.
상기 제2 실시 예는 상기 하프 몸체(21)와 대칭하는 별도의 대칭 하프 몸체(미도시) 및 상기 하프 몸체(21)에 대칭 하프 몸체를 결합시키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및 다른 구성요소들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 실시 예는 충전부재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제작 비용은 보다 절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 예는 피교육자로 하여금 기도 폐쇄가 되는 원인, 기도 폐쇄 위치 그리고 처치 시의 흉부 압박 상태와 이물질 모형부재의 이동 등을 더욱 확실하게 육안으로 관찰하면서 교육받을 수 있다.
또한, 별도로 구성되는 대칭 하프 몸체를 하프 몸체(21)에 결합함으로써 완성된 상반신 몸체를 이용하여 앞에서 안고 실제 하임리히 요법을 실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 예의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 예의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 예는 기구적 구성을 갖는 교육용 마네킹을 제안하고 있지만, 후술할 제3 실시 예는 전기적 구성 및/또는 기구적 구성을 갖는 교육용 마네킹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의 구성요소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은 머리부(11) 및 내부에 공간을 갖는 상반신 몸체(100); 상기 상반신 몸체(100)의 흉부에 대응하는 내부에 설치되는 압전 소자(110); 상기 머리부(11)의 입으로부터 상반신 몸체(100)의 흉부 전방 측까지 구비되고, 복수의 발광부재를 갖는 발광표시유닛(120); 상기 상반신 몸체(100) 내에 구비되고, 상기 압전 소자(110)의 압전 변화량에 따른 전기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발광표시유닛(120)의 발광부재의 발광 개수를 제어하는 전자회로유닛(130); 이물질 위치의 깊이 정도를 설정하는 설정 위치를 상기 전자회로유닛(130)에 입력하는 외부 입력유닛(140); 상기 상반신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회로유닛(13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음향을 방출하는 스피커수단(미도시); 및 상기 상반신 몸체(100)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발포성 충전 부재(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회로유닛(130)은 압전 소자(110)의 압전 변화량이 해당 이물질 설정 위치에 상응하는 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 수단을 통해 음향을 방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3 실시 예는 상기 머리부(11)의 입에 구비되는 이물질 모형부재(40); 상기 머리부(11)에 구비되며, 상기 이물질 모형부재(4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미도시); 상기 이물질 모형부재(40)를 록킹하는 록킹수단(미도시); 및 상기 이물질 모형부재(40)를 록킹하는 록킹수단을 록킹해제하는 해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회로유닛(130)은 상기 압전 소자(110)의 압전 변화량이 해당 이물질 설정 위치에 상응하는 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해제수단을 구동시켜 이물질 모형부재(40)가 방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3 실시 예는 발광부재를 통해 흉부 압박의 압력 변화량을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소정의 값에 도달하는 경우 이물질 모형부재가 입으로부터 튀어나도록 하여 교육의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제3 실시 예에서 상기 상반신 몸체(100)에서 도면에서는 다리부가 생략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피교육자에게 실제 상황과 유사한 교육 효과를 도모하기 위하여 하반신 몸체도 구비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각 실시 예에서 인체 모양 바디(10), 상반신 몸체(12, 100) 및 하프 몸체(21)는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수지, 고무, 우레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중 PVC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체 모양 바디(10)나 상반신 몸체(12, 100) 내에 구비되는 재료는 그 형상을 신축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재료라면 어떠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서 우레탄 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체모양 바디(10), 상반신 몸체(12, 100) 및 하프 몸체(21)의 제작의 일 예로서 로테이션 몰딩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몰딩에 의한 제작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바디, 몸체의 형상을 갖는 금형이 준비되고, 상기 금형에 성형물을 주입하여 회전시키면서 몰딩 성형하고, 몰딩된 성형체에 발포제를 발포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디, 몸체 내에 수용되는 구성요소들은 발포제가 발포되는 단계에서, 지지장치(지그 등)에 의해 바디나 몸체 내에 유지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의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인체 모양 바디
11: 머리부
12, 100: 상반신 몸체
20: 공기주머니 부재
21: 하프 몸체
30: 기도모형 관부재
40: 이물질 모형부재
50: 충전부재
110: 압전 소자
120: 발광표시 유닛
130: 전자회로유닛
140: 외부 입력유닛

Claims (11)

  1. 머리부 및 내부에 공간을 갖는 상반신 몸체를 포함하는 인체 모양의 바디;
    상기 상반신 몸체 내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유지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신축성 재질의 공기주머니 부재;
    상기 머리부의 입과 상기 공기주머니 부재를 연통하게 연결하는 기도모형 관부재;
    상기 기도모형 관부재에 삽입가능한 이물질 모형부재; 및
    상기 상반신 몸체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 부재
    를 포함하는 기도폐쇄 처지 교육용 마네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반신 몸체는 상기 기도모형 관부재에 대향하는 상반신 몸체 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가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도폐쇄 처지 교육용 마네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반신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대칭하는 절반부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기도폐쇄 처지 교육용 마네킹.
  4. 머리부 및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신장방향으로 대칭되는 상반신 중 절반만을 갖고 대칭면이 개방된 하프 몸체(half-body);
    상기 하프 몸체 내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유지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신축성 재질의 공기주머니 부재;
    상기 머리부의 입과 상기 공기주머니 부재를 연통하게 연결하며,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기도모형 관부재; 및
    상기 기도모형 관부재에 삽입가능한 이물질 모형부재
    를 포함하는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몸체의 개방 면에는 투명 재질의 커버부재가 설치되는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몸체와 대칭하는 별도의 대칭 하프 몸체; 및
    상기 하프 몸체에 대칭 하프 몸체를 결합시키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흉부 압박을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알림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도폐쇄 처지 교육용 마네킹.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와 상반신 몸체는 관절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머리부와 상반신 몸체의 연결부 간에는 각도 및 회전위치를 정지시키기 위한 위치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도모형 관부재는 반경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성을 가지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모형부재는 연결부재를 통해 머리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
  10. 머리부 및 내부에 공간을 갖는 상반신 몸체;
    상기 상반신 몸체의 흉부에 대응하는 내부에 설치되는 압전 소자;
    상기 머리부의 입으로부터 상반신 몸체까지 구비되고, 복수의 발광부재를 갖는 발광표시유닛;
    상기 상반신 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압전 소자의 압전 변화량에 따른 전기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발광표시유닛의 발광부재의 발광수를 제어하는 전자회로유닛;
    이물질 위치의 깊이 정도를 설정하는 설정 위치를 상기 전자회로유닛에 입력하는 외부 입력유닛;
    상기 상반신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회로유닛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음향을 방출하는 스피커수단; 및
    상기 상반신 몸체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발포성 충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회로유닛은 압전 소자의 압전 변화량이 해당 이물질 설정 위치에 상응하는 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 수단을 통해 음향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입에 구비되는 이물질 모형부재;
    상기 머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물질 모형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이물질 모형부재를 록킹하는 록킹수단; 및
    상기 이물질 모형부재를 록킹하는 록킹수단을 록킹해제하는 해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회로유닛은 상기 압전 소자의 압전 변화량이 해당 이물질 설정 위치에 상응하는 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해제수단을 구동시켜 이물질 모형부재를 방출시키는
    기도폐쇄 처치 교육용 마네킹.
KR2020100003516U 2010-04-05 2010-04-05 기도폐쇄 처치를 위한 교육용 마네킹 KR200474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516U KR200474949Y1 (ko) 2010-04-05 2010-04-05 기도폐쇄 처치를 위한 교육용 마네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516U KR200474949Y1 (ko) 2010-04-05 2010-04-05 기도폐쇄 처치를 위한 교육용 마네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49U true KR20110009649U (ko) 2011-10-12
KR200474949Y1 KR200474949Y1 (ko) 2014-10-28

Family

ID=4559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516U KR200474949Y1 (ko) 2010-04-05 2010-04-05 기도폐쇄 처치를 위한 교육용 마네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9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8381A1 (ko) * 2014-01-17 2015-07-23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심폐소생 훈련장치
DE212013000313U1 (de) 2013-10-30 2016-06-07 Young Chul Kim Bindungseinrichtung für einen Schuh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0340A (ja) * 1995-01-10 1996-07-23 Yagami:Kk 蘇生法教育人体モデル
JPH11249546A (ja) * 1998-03-06 1999-09-17 Yagami Inc 救急蘇生法訓練用の人体モデル装置
KR100776364B1 (ko) 2006-10-31 2007-11-15 연세흠 인공호흡용 실습 기구
KR20080087474A (ko) * 2007-03-27 2008-10-01 정재은 교육용 마네킹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2013000313U1 (de) 2013-10-30 2016-06-07 Young Chul Kim Bindungseinrichtung für einen Schuh
WO2015108381A1 (ko) * 2014-01-17 2015-07-23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심폐소생 훈련장치
CN105900163A (zh) * 2014-01-17 2016-08-24 因诺索尼安股份有限公司 心肺复苏训练装置
JP2017512321A (ja) * 2014-01-17 2017-05-18 イノソニアン インク.Innosonian Inc. 心肺蘇生訓練装置
US10269267B2 (en) 2014-01-17 2019-04-23 Innosonian In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949Y1 (ko) 201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6244B2 (en) Interactive education system for teaching patient care
JP7004883B2 (ja) 医療シミュレータ
US9697750B2 (en) Lung compliance simul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4773865A (en) Training mannequin
JP6522376B2 (ja) 心臓マッサージ練習用具及び心臓マッサージ練習方法
WO2010147129A1 (ja) 心肺蘇生法における心臓マッサージ用の可搬タイプの練習器具
US20150086958A1 (en) Medical treatment simulation devices
JPH05504631A (ja) 心肺蘇生術教授用人体模型
JP2006526172A (ja) 蘇生訓練用人体模型
JPWO2020090945A1 (ja) 医療シミュレータ
KR20110009649U (ko) 기도폐쇄 처치를 위한 교육용 마네킹
KR101981742B1 (ko)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
KR20110011791U (ko) 다기능 응급처치 교육용 마네킹
CN202434109U (zh) 高仿真有机磷中毒抢救训练电子标准化病人
EP2430628B1 (fr) Ensemble d'apprentissage et simulateur de torse de nourrisson pour l'apprentissage du geste de la kinésithérapie respiratoire
WO2014178702A1 (es) Simulador de examen ginecológico bovino para el diagnóstico del ciclo estral
ES2447826T3 (es) Unidad de simulación de pulso
KR20080087474A (ko) 교육용 마네킹
JP2019113800A (ja) 人体模型
AU2020102408A4 (en) Breathing Aid for Children
CA3235795A1 (en) Wearable birthing simulators
WO2022191687A1 (es) Dispositivo modular de entrenamiento de reanimación cardiopulmonar que simula características torácicas de personas de diferente edad y de otras especies animales, y proceso de manufactura del mismo
KR20100007904U (ko) 태아 발육 과정을 교육하기 위한 교육 도구
KR20120000266U (ko) 교육용 마네킹
KR20100007905U (ko) 교육용 마네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