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600A - 다기능 쇽업소버의 차고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쇽업소버의 차고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600A
KR20110009600A KR1020090067547A KR20090067547A KR20110009600A KR 20110009600 A KR20110009600 A KR 20110009600A KR 1020090067547 A KR1020090067547 A KR 1020090067547A KR 20090067547 A KR20090067547 A KR 20090067547A KR 20110009600 A KR20110009600 A KR 20110009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vehicle
control system
valve members
ai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충열
Original Assignee
윤충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충열 filed Critical 윤충열
Priority to KR1020090067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600A/ko
Publication of KR20110009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pneumatic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쇽업소버(등록번호10-0902992)의 차고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기탱크(7)를 형성한 다기능 쇽업소버(10)에 있어서, 상기 공기탱크(7)를 전륜끼리와 후륜끼리 연통하는 파이프(20,30) 상에 장착되는 밸브부재(50,60)와; 상기 공기탱크(7)의 전륜과 후륜 전체를 연통하는 파이프(40) 상에 장착되는 밸브부재(70)와; 상기 밸브부재(50,60,70)들의 개폐시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80)로; 구성되어져, 차량의 상태에 따라 차고조절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주행안정성과 승차감이 더욱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공기탱크, 다기능 쇽업소버, 파이프, 밸브부재, 콘트롤러

Description

다기능 쇽업소버의 차고조절 시스템{Car altitude control system of multi-functional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다기능 쇽업소버(등록번호10-0902992)의 차고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상태에 따라 차고가 조절되게 함으로써, 주행안정성과 승차감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다기능 쇽업소버의 차고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다기능 쇽업소버(10)(등록번호10-0902992)에는 차고조절기능이 갖추어져 있지 않으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차축에 결합되어 작동유(1)가 채워진 실린더(2)와 이 실린더(2) 내에서 직선왕복 이동하는 피스톤(3)과 이 피스톤(3)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차체에 결합되는 피스톤로드(4)와 이 피스톤로드(4)에 유동성 있게 끼워져 실린더(2)의 타단에 일체가 되게 결합되며 연통구(5)가 형성되어 공기층(6)이 존재하도록 공기탱크(7)가 형성된 가이드 캡(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다기능 쇽업소버(10)는 자체에 충분한 공기층(6)과 압을 갖춤으로써, 피스톤로드(4)가 차체를 지탱해주면서 차량의 범프시에 작동유(1)가 연통구(5)을 통해 공기탱크(7)실로 유입되면서 공기층(6)을 압축하며 이때 충분한 공기량으 로 인해 피스톤로드(4)가 가볍게 압축작동을 하면서 노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리바운드시에는 공기압의 반발력에 의해 작동유(1)가 연통구(5)을 통해 실린더(2)실로 유입되면서 피스톤로드(4)가 밀려나게 됨으로 공기스프링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기능 쇽업소버(10)는 그 자체가 공기스프링의 기능을 갖춤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기스프링의 기능을 갖춘 종래의 다기능 쇽업소버(10)는 고속주행과 저속주행 및 중량 등 차량의 상태에 따라 차고조절이 되지 않음으로 주행안정성과 승차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상태 즉 고속주행과 저속주행 및 중량 등에 따라 차고가 조절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여 주행안정성과 승차감을 더욱 향상시켜 차량의 품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다기능 쇽업소버의 차고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쇽업소버의 차고조절시스템은, 공기탱크가 형성된 다기능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공기탱크를 전륜끼리와 후륜끼리 연통하는 파이프 상에 장착되는 밸브부재와; 상기 공기탱크의 전륜과 후륜 전체를 연통하는 파이프 상에 장착되는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부재들의 개폐시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쇽업소버의 차고조절 시스템은, 차량의 상태 즉 고속주행과 저속주행 및 중량 등에 따라 차고조절이 됨으로써 주행안정성과 승차감이 더욱 향상되어 차량의 품질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쇽업소버의 차고조절 시스템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탱크(7)를 형성한 다기능 쇽업소버(10)에 있어서, 상기 공기탱크(7)를 전륜끼리와 후륜끼리 연통하는 파이프(20,30) 상에 장착되는 밸브부재(50,60)와; 상기 공기탱크(7)의 전륜과 후륜 전체를 연통하는 파이프(40) 상에 장착되는 밸브부재(70)와; 상기 밸브부재(50,60,70)들의 개폐시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8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부재(50,60,70)들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파이프(20,30,40)는 튜브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차량의 상태(고속주행 상태, 저속주행 상태, 주정차 상태, 중량 등)에 따라 차고를 상승시킬 필요가 있게 되면, 콘트롤러(80)의 제어에 의해 모든 밸브부재(50,60,70)가 밀폐되게 된다.
이와 같이 모든 밸브부재(50,60,70)가 밀폐되면 각각 개별 공기탱크(7) 압축 공기의 반발력에 의해 다기능 쇽업소버(10)의 압축작동이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다기능 쇽업소버(10)의 압축작동이 진행되지 않게 되면 압축작동이 진행된 상태보다 차량의 차고는 상승된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차량의 상태에 따라 차고를 하강시킬 필요가 있게 되면, 콘트롤러(80)의 제어에 의해 모든 밸브부재(50,60,70)가 개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모든 밸브부재(50,60,70)가 개방되게 되면 각각의 다기능 쇽업소버(10)가 개별 작동할 때 공기탱크(7) 네 개의 공기층이 감소되는 체적만큼 압축작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차고는 다기능 쇽업소버(10)가 압축된 양만큼 하강된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차고를 하강시키고자 할 때 상기의 모든 밸브부재(50,60,70)는 콘트롤러(80)의 제어에 의해 한번에 개방될 수도 있고, 또한 하강시키고자 하는 양만큼 한 개씩 순차적으로 개방시킬 수도 있게 된다.
즉, 상기의 밸브부재(50,60,70)가 순차적으로 개방될 때에는 상기 공기탱크(7)의 전륜끼리와 후륜끼리 연통하는 밸브부재(50,60)부터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쇽업소버의 차고조절 시스템은, 상기 공기탱크(7) 네 개가 서로 연통되게 함으로써 다기능 쇽업소버(10)의 각각의 입장에서 공기 압축양이 많아지게 하고 이 압축량을 통제하여 차량의 상태에 따라 차고조절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주행안정성과 승차감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다기능 쇽업소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쇽업소버의 차고조절 시스템을 나타낸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공기탱크 10- 다기능 쇽업소버
20,30,40- 파이프 50,60,70- 밸브부재
80- 콘트롤러

Claims (1)

  1. 공기탱크(7)를 형성한 다기능 쇽업소버(10)에 있어서, 상기 공기탱크(7)를 전륜끼리와 후륜끼리 연통하는 파이프(20,30) 상에 장착되는 밸브부재(50,60)와; 상기 공기탱크(7)의 전륜과 후륜 전체를 연통하는 파이프(40) 상에 장착되는 밸브부재(70)와; 상기 밸브부재(50,60,70)들의 개폐시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80)로; 구성된 다기능 쇽업소버의 차고조절 시스템.
KR1020090067547A 2009-07-22 2009-07-22 다기능 쇽업소버의 차고조절 시스템 KR20110009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547A KR20110009600A (ko) 2009-07-22 2009-07-22 다기능 쇽업소버의 차고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547A KR20110009600A (ko) 2009-07-22 2009-07-22 다기능 쇽업소버의 차고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00A true KR20110009600A (ko) 2011-01-28

Family

ID=4361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547A KR20110009600A (ko) 2009-07-22 2009-07-22 다기능 쇽업소버의 차고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6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1993A (ko) * 2013-10-10 2015-04-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서스펜션 장치의 미세누기 검출 장치 및 미세누기 검출 방법
EP2902223B1 (de) * 2014-01-14 2019-03-20 WABCO GmbH Verfahren zur Niveauregelung eines Fahrzeug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1993A (ko) * 2013-10-10 2015-04-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서스펜션 장치의 미세누기 검출 장치 및 미세누기 검출 방법
EP2902223B1 (de) * 2014-01-14 2019-03-20 WABCO GmbH Verfahren zur Niveauregelung eines Fahrzeu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9469B2 (en) Air spring and damper unit with height adjustment
US9067636B2 (en) Vehicle-height adjustment apparatus of motorcycle
KR101673641B1 (ko) 차량용 쇽업소버
US8783696B2 (en) Vehicle-height adjustment apparatus of motorcycle
US20100109277A1 (en) Adjustable Monotube Shock Absorber
US20160230830A1 (en) Vehicle with force-controlled shock absorber with regulating valve
CN212131185U (zh) 后减震器悬架总成
CN103991352B (zh) 具有稳定装置的车轮悬挂单元
CN102859227B (zh) 用于液力减震器的牵引控制阀
CN204284289U (zh) 一种振幅选择减振器
CN201539525U (zh) 可调阻尼的分体式减震器
CN110017349B (zh) 一种车用刚度可控磁流变减振器及刚度调控方法
CN105889390A (zh) 一种新型减振支柱
CN203248591U (zh) 载重汽车减振器
CN103542033A (zh) 一种单筒减震器
JP5848544B2 (ja) 車高調整機能付き緩衝器
CN102107683A (zh) 一种驾驶室减振装置
CN202046381U (zh) 一种驾驶室减振装置
KR20110009600A (ko) 다기능 쇽업소버의 차고조절 시스템
CN102529631B (zh) 缓冲保护式油气悬挂系统以及车辆
CN201202762Y (zh) 带有九档可调机构的减震器
JP4454712B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CN104175830B (zh) 具有减振和调平双功能的汽车底板自动调平系统
CN107989947B (zh) 一种多活塞阻尼可调式减震器机构
CN108312798B (zh) 空气悬架及使用该空气悬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