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201A - 변조 및 코딩 방식을 자원들의 양에 연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변조 및 코딩 방식을 자원들의 양에 연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201A
KR20110009201A KR1020107026827A KR20107026827A KR20110009201A KR 20110009201 A KR20110009201 A KR 20110009201A KR 1020107026827 A KR1020107026827 A KR 1020107026827A KR 20107026827 A KR20107026827 A KR 20107026827A KR 20110009201 A KR20110009201 A KR 20110009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arameters
control
quality difference
signaled
off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4749B1 (ko
Inventor
파시 아이노 타피오 킨누넨
카리 페카 파주코스키
에사 타파니 티이로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20377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0920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10009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29Reduction of the amount of signalling, e.g. retention of useful signalling or differential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5Adaptation of specific ARQ protocol parameters according to transmiss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리스 8 작업 항목 하에서 3GPP 내에 특정되고 있는 UTRAN 롱텀 에볼루션(LTE)의 IJL 파트에 관한 것이고, PUSCH(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 상에서 UL 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비-데이터-연관 제어 신호들(예컨대, ACK/NACK 및 CQI)에 대한 자원 할당에도 관한 것이다. 데이터-비 연관 시그널링은 시분할 다중화(TDM)에 의해 UL 데이터와 다중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SCH) 변조 및 코딩 방식(MCS)과 PUSCH 상에서의 제어를 위한 자원들의 양 사이의 연관을 위한 방법 및 장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커니즘 및/또는 공식은 제어 채널의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구역의 사이즈의 유연성 있는 적응을 허용하면서, 제어 자원들(CQI, ACK/NACK)의 양을 스케일링하기 위해 제시된다. 이는 목표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UL 시그널링의 품질의 적응을 허용한다.

Description

변조 및 코딩 방식을 자원들의 양에 연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TO LINK MODULATING AND CODING SCHEME TO AMOUNT OF RESOURCES}
본 출원은 2008년 4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임시출원 61/125,961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출원은 또한 2008년 4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임시출원들 61/048,554 및 61/048,908 모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무선 원격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무선 원격통신에서 자원 할당에 관한 것이다.
원격통신 산업은, 고속 액세스를 포함하면서 동시에 브로드밴드 서비스들도 지원하는 새로운 세대의 유연성 있는 알맞은 통신을 개발하는 과정에 있다. 제3세대(3G)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의 많은 특징들이 이미 구축되었으나, 많은 다른 특징들이 여전히 완벽하지 않다.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는 이러한 개발들에서 중심축이 되어 왔다.
제3세대의 모바일 통신 내의 시스템들 중 하나는 음성, 데이터, 멀티미디어, 및 와이드밴드 정보를 고정 소비자들 및 모바일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는 범용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이다. UMTS는 증가된 시스템 용량 및 데이터 성능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전자기 스펙트럼의 효율적인 사용이 UMTS에서 필수적이다. 스펙트럼 효율성은 주파수 분할 이중(FDD) 방식을 이용하여 또는 시분할 이중(TDD) 방식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간 분할 이중(SDD)은 무선 원격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제3 이중 전송 방법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UMTS 아키텍처는 사용자 장비(102)(UE), UMTS 지상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104)(UTRAN), 및 코어 네트워크(126)(CN)로 구성된다. UTRAN 및 UE 사이의 에어 인터페이스는 Uu로 불리고, UTRAN 및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Iu로 불린다.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및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는 고속 패킷 액세스(HSPA) 패밀리의 추가적 3G 모바일 전화통신(telephony) 프로토콜들이다. 그들은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들을 허용하는 UMTS-기반 네트워크들을 위해 부드러운 진보적 경로(a smooth evolutionary path)를 제공한다.
진보된 UTRAN(EUTRAN)은 HSPA보다 더욱 최신의 프로젝트이고, 3G를 훨씬 더 미래로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EUTRAN은 다양한 기대되는 요구사항들에 대처하기 위하여 UMTS 모바일 폰 표준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된다. EUTRAN은 용어 롱텀 에볼루션(LTE)으로 자주 표시되고, 시스템 아키텍처 에볼루션(SAE)과 같은 용어들과 또한 연관된다. EUTRAN의 한 가지 목표는 모든 인터넷 프로토콜(IP) 시스템들이 효율적으로 IP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음성 및 데이터 콜들에 대해서 PS(패킷 스위칭) 도메인만을 사용할 것이다, 즉 상기 시스템은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P)을 포함할 것이다.
LTE에 관한 정보는,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그 전체가 통합되는 3GPP TS 36.300(V8.0.0, 2007년 3월) 진보된 범용 지상 라디오 액세스(E-UTRA) 및 진보된 범용 지상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E-UTRAN)- 전체 설명; 단계 2(릴리스 8)에서 발견될 수 있다. 비록 특히 E-UTRAN이 시간에 따라 진보중인 것으로 이해되더라도, UTRAN 및 EUTRAN이 이제 어떤 추가적 세부사항에서 기술될 것이다.
UTRAN은 라디오 네트워크 서브시스템들(128)(RNS)의 세트로 구성되고, 라디오 네트워크 서브시스템들(128)(RNS)의 각각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셀들(110)(C)의 지리적 커버리지를 갖는다. 서브시스템들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Iur로 불린다. 각각의 라디오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28)(RNS)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12)(RNC) 및 적어도 하나의 노드 B(114)를 포함하고, 각각의 노드 B는 적어도 하나의 셀(110)의 지리적 커버리지를 갖는다. 도 1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RNC(112) 및 노드 B(114)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Iub로 불리고, 상기 Iub는 에어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하드-와이어드(hard-wired)이다. 임의의 노드 B(114)의 경우, 단 한 개의 RNC(112)만이 존재한다. 노드 B(114)는 UE(102)로의 라디오 전송 및 UE(102)로부터의 라디오 수신을 담당한다(노드 B 안테나들은 통상적으로 톱 타워들(atop towers)에서 볼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는 덜 드러나는 위치들에서 볼 수 있다). RNC(112)는 RNS(128) 내의 각각의 노드 B(114)의 논리 자원들의 전반적인 제어를 갖고, 상기 RNC(112)는 또한 하나의 셀로부터의 콜을 다른 셀로의 스위칭 또는 동일한 셀 내의 라디오 채널들 간의 스위칭을 수반하는 핸드오버 결정들도 담당한다.
UMTS 라디오 네트워크들에서, UE는 동시에 실행되는 상이한 서비스 품질의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할 수 있다. MAC 계층에서, 다수의 논리 채널들이 단일 전송 채널로 다중화될 수 있다. 전송 채널은 논리 채널들로부터의 트래픽이 어떻게 프로세싱되고 물리 계층으로 송신되는지를 정의할 수 있다. MAC 및 물리 계층 사이에 교환되는 기본 데이터 유닛은 전송 블록(TB)으로 불린다. 전송 블록은 RLC PDU 및 MAC 헤더로 구성된다. 전송 시간 간격(TTI)으로 불리는 시간 기간 동안에, 여러 전송 블록들 및 어떤 다른 파라미터들이 물리 계층에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문자 "E"의 프리픽스는 롱텀 에볼루션(LTE)을 의미한다. E-UTRAN은, UE를 향하는 E-UTRA 사용자 플레인(RLC/MAC/PHY) 및 제어 플레인(RRC) 프로토콜 종단들을 제공하는 eNB들(E-UTRAN 노드 B)로 구성된다. eNB들은 액세스 게이트웨이(aGW)와 S1을 통해 인터페이싱하고, X2를 통해 상호접속된다.
E-UTRAN 아키텍처의 예가 도 2에 도시된다. E-UTRAN의 이러한 예는 UE를 향하는 E-UTRA 사용자 플레인(RLC/MAC/PHY) 및 제어 플레인(RRC) 프로토콜 종단들을 제공하는 eNB들로 구성된다. eNB들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진보된 패킷 코어)에 접속되고, 상기 EPC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들(MMEs) 및/또는 액세스 게이트웨이(aGW)와 같은 게이트웨이들을 사용해 만들어진다. S1 인터페이스는 MME들 및 eNB들 사이의 다수-대-다수 관계를 지원한다.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이 eNB 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예에서, 서로 통신할 필요가 있는 eNB들 사이에 X2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 예외적인 경우들(예컨대, PLMN-간 핸드오버)을 위해, LTE_ACTIVE eNB-간 이동성이 MME 재배치에 의해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원된다.
eNB는 라디오 자원 관리(라디오 베어러 제어, 라디오 허입 제어, 접속 이동성 제어, 업링크 및 다운링크 모두에서 UE들에 대한 자원들의 동적 할당), UE 부착에서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의 선택, 페이징 메시지(MME로부터 유래됨)의 스케줄링 및 전송, 브로드캐스트 정보(MME 또는 O&M으로부터 유래됨)의 스케줄링 및 전송, 그리고 이동성 및 스케줄링을 위한 측정 및 측정 보고 구성과 같은 호스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MME는 하기와 같은 호스트 기능들: 페이징 메시지들의 eNB들로의 분배, 보안 제어,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들의 IP 헤더 압축 및 암호화; 페이징을 위한 U-플레인 패킷들의 종료; UE 이동성의 지원을 위한 U-플레인의 스위칭, 유휴 상태 이동성 제어, 시스템 아키텍처 에볼루션(SAE) 베어러 제어, 및 NAS 시그널링의 연산(ciphering) 및 무결성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스 아테네에서 2007년 8월 20-24일에 열린 TSG-RAN WG1#50, R1-073842: "Notes from uplink control signaling discussions"가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통합된다. 아테네에서 열린 RAN1#50에서, PUSCH 상에서의 제어 시그널링과 관련된 많은 가정들이 동의되었다.
ㆍ 데이터 및 상이한 제어 필드들(ACK/NACK, CQI/PMI)이 별개의 변조 심볼들에 맵핑된다. 여기서, ACK는 확인응답을 의미하고, NACK는 부정적 확인응답을 의미하고, CQI는 채널 품질 표시자를 의미한다.
ㆍ 제어를 위한 상이한 코딩 레이트들이 상이한 다수의 심볼들을 점유함으로써 달성된다
ㆍ 제어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되는 코딩 레이트는 PUSCH MCS에 의해 주어진다. 그 관계가 표에 나타난다.
ㆍ 표가 각각의 PUSCH MCS를, 제어 시그널링을 위한 주어진 코딩 레이트, 즉 ACK/NACK 또는 특정한 CQI/PMI 사이즈를 위해 사용되는 심볼들의 개수와 연관시킨다.
또한, 중국 선전에서 2008년 3월 31-4월 4일에 열린 3GPP TSG RAN WG1, 미팅#52bis, R1-081165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통합된다. 또한, 중국 선전에서 2008년 3월 31-4월 4일에 열린 3GPP TSG RAN1#52-Bis, R1-081295: "Resource Provision for UL Control in PUSCH"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통합된다. 위에서 기술된 다중화는 RAN1#52bis에서 추가로 분명해졌다:
ㆍ PUSCH 상의 CQI/PMI는 PUSCH 상의 데이터와 동일한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ㆍ 데이터 MCS 및 제어 시그널링(A/N 및 CQI)의 코드 레이트 사이에 반-정적으로 구성된 오프셋이 적용된다
ㆍ 다음 단계들: 오프셋 값들을 정의하라. 다수의 오프셋들이 예컨대 상이한 서비스 품질(QoS)을 갖는 다수의 서비스들이 시간 다중화될 때 필요한지의 여부를 논의하라.
기존 기술은 PUSCH MCS와 PUSCH 상의 제어를 위한 자원들의 양을 어떻게 연관시키는지, 또는 UL 데이터와 다중화될 때 업링크(UL) 제어 신호들을 위해 어떻게 충분한 품질을 보장하는지에 관해 강조하지 않는다. 제어 신호들을 위해 자원들을 할당할 때 고려될 필요가 있는 특정한 이슈들이 존재한다:
1. 제어 채널 품질
ㆍ ACK/NACK 및 CQI는 B(L)ER 성능에 있어서 엄격한 요구사항들을 갖는다
ㆍ 재전송이 지연 요구사항들로 인해 제어 신호들에 적용될 수 없다
2. 데이터 우세
ㆍ 데이터 품질은 MCS 선택 및 PUSCH 전력 제어를 위한 동작 지점을 정의한다
ㆍ 제어 채널들은 주어진 SINR 동작 지점 안으로 채택되어야 한다
ㆍ 정확한 레이트 매칭/디-매칭과 상이한 채널들에 대한 인코딩/디코딩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 및 제어 사이에 분할되는 심볼에 관한 정보는 라디오 링크의 종단들 모두에 사전에 알려져야 한다
3. 상이한 B(L)ER 동작 지점
ㆍ 데이터 채널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ARQ) 및 링크 적응(LA)을 사용하는 반면에 제어 시그널링은 고속 링크 적응으로부터도 HARQ로부터도 혜택을 받지 않는다
ㆍ 채널 코딩
ㆍ 데이터 채널은 터보 코딩 및 훨씬 더 큰 코딩 블록 사이즈를 갖는다
ㆍ 제어 채널은 비교적 작은 코드 블록 사이즈와 더 작은 코딩 이득을 갖는다(ACK/NACK는 반복 코딩만을 갖는다)
위에서 기술된 문제점에 대하여 세부화된 솔루션들을 위해 이용가능한 종래 기술은 본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R1-081295는 데이터 MCS 레벨에 기초하여 제어 구역의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공식을 제시한다. 그러나, R1-081295에 제시된 솔루션의 여러 단점들이 존재한다. 예컨대:
ㆍ 쓸모 없는 항 Kc(오프셋 파라미터와 결합될 수 있음)
ㆍ 쓸모 없는 기능 log2(),(오프셋 파라미터와 결합될 수 있음)
ㆍ 데이터 MCS 및 제어 채널의 사이즈 사이의 "미-정의된" 관계
ㆍ 이러한 공식의 실행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한 성능 결과들이 R1-081295에 제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점들은, 위에서 기술된 문제점들을 적절하게 해결하고 UL 데이터와 다중화될 때 UL 제어 신호들에 대한 충분한 품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솔루션들을 요구한다.
본 발명은 E-UTRAN(LTE 또는 3.9G)의 맥락에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 원리들은 이러한 환경에 제한되지 않으며, 대신에 다양한 다른 현재 및 미래의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들 및 액세스 기술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컨대 릴리스 8 작업 항목 하에서 3GPP에 특정되고 있는 UTRAN 롱텀 에볼루션(LTE)에 관련되고, 또한 PUSCH(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 상에서 UL 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비-데이터-연관 제어 신호들(예컨대 ACK/NACK 및 CQI)에 대한 자원 할당에 관련된다. 데이터 비-연관 제어 시그널링은 시분할 다중화(TDM)에 의해 UL 데이터와 다중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SCH) 변조 및 코딩 방식(MCS)과, PUSCH 상의 제어를 위한 자원들의 양 사이의 연관을 위한 방법 및 장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 채널의 품질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구역의 사이즈의 유연성 있는 적응을 허용하는, 제어 자원들(CQI & ACK/NACK)의 양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메커니즘 및/또는 공식이 제시된다. 이는 목표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UL 제어 시그널링의 품질의 적응을 허용한다.
도 1은 UTRAN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2는 LTE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3은 제안된 자원 할당 방식의 입력 및 출력 파라미터들을 나타낸다.
도 4는 불연속 전송(DTX) 및 ACK/NACK에 대한 심볼 공간의 네 가지 상이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5는 PUSCH MSC 및 PUSCH 상의 제어를 위한 자원들의 양 사이의 연관을 나타낸다.
도 6은 PUSCH 상의 데이터와 동일한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PUSCH 상의 CQI/PMI를 나타낸다.
도 7은 CQI 품질 목표에 따라 제어 자원들의 양이 어떻게 가변하는지를 나타낸다.
도 8은 거의 동등하게 수행하는 상이한 BW 옵션들을 나타낸다.
도 9는 지속적 할당을 이용하는 가장 중요한 경우인 2RB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은 PUSCH 상의 제어 시그널링에 관한 결정들 및 오픈 이슈들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안된 방식을 나타낸다.
도 12는 BW 할당을 이용한 offset_dB를 나타낸다.
도 13은 BLER 예이다.
도 14는 40% 미만의 BLER 데이터를 갖는 오프셋에 대한 수치 값들을 나타낸다.
도 15는 50% 미만의 BLER 데이터를 갖는 오프셋에 대한 수치 값들을 나타낸다.
도 16은 20% 미만의 BLER 데이터를 갖는 오프셋에 대한 수치 값들을 나타낸다.
도 17은 20% 미만의 BLER 데이터 및 10% 미만의 BLER_CQI를 갖는 오프셋에 대한 수치 값들을 나타낸다.
도 18은 수치 값들의 요약이다.
도 19는 시그널링의 양상들을 기술한다.
도 20은 관찰들을 열거한다.
도 21은 향상된 DTX 검출을 기술한다.
도 22는 시뮬레이션 가정들을 제공한다.
도 23은 10%에 동등한 CQI BLER을 갖는 제어 채널 성능 2RB들(단기간)을 나타낸다.
도 24는 5%에 동등한 CQI BLER을 갖는 제어 채널 성능 2RB들(단기간)을 나타낸다.
도 25는 1%에 동등한 CQI BLER을 갖는 제어 채널 성능 2RB들(단기간)을 나타낸다.
도 26은 상이한 PUSCH BW 옵션들에 대한 제어 채널 성능 (단기간) 성능 비교를 나타낸다.
도 27은 제어 채널 성능(장기간)을 나타낸다.
도 28은 RAN1 상태를 나타낸다.
도 29는 데이터 MCS에 기초하여 제어 구역의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제안된 공식을 나타낸다.
도 30은 제어 및 데이터 채널 사이의 성능 차이를 보상하는 offset_dB를 나타낸다.
도 31은 제어 채널(단기간)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도 32는 20% 미만의 BLER 데이터를 갖는 오프셋(단기간)에 대한 수치 값들을 제공한다.
도 33은 40% 미만의 BLER 데이터를 갖는 오프셋(단기간)에 대한 수치 값들을 나타낸다.
도 34는 50% 미만의 BLER 데이터를 갖는 오프셋(단기간)에 대한 수치 값들을 나타낸다.
도 35는 20% 미만의 BLER 데이터를 갖는 오프셋(단기간)에 대한 수치 값들을 나타낸다.
도 36은 수치적 오프셋 값들 2RB들(단기간)의 요약이다.
도 37은 오프셋에 대한 수치적 값들 2RB들(장기간)을 나타낸다.
도 38은 결론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이제 기술될 것이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어딘가에 기술되는 내용의 범위 또는 커버리지를 제한함 없이, 본 발명을 구현하는 한 가지 방식을 단지 예시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다수의 미리-정의된 입력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 구역의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절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입력으로서 사용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목표는 UE 및 e노드B 모두가 사용할 방법 및 절차를 표준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커버되는 다른 토픽은 eNB에서 ACK/NACK의 향상된 DTX 검출을 지원하는 어레인지먼트이다. 이는 특별 ACK/NACK 디멘셔닝에 의해 달성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DTX 상황은 DL 자원 할당 승인의 실패와 관련된다. DL 자원할당이 실패할 때, PDCCH와 연관된 ACK/NACK(들)는 주어진 UL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누락되는데, 그 이유는 UE가 DL 할당을 누락시켰고 그러므로 ACK/NACK를 포함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ACK/NACK의 존재가 UL 승인 내에서 시그널링되지 않으면, 노드 B는 ACK/NACK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없고 그러므로 수신을 부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다. 수신의 성능은 A/N 비트의 존재가 UL PUSCH 내에서 시그널링된다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맥락에서, 우리는 이러한 시그널링을 DTX 시그널링으로서 지칭한다.
제어 구역의 사이즈를 정의하기 위한 기본 기능이 도 3에 도시된다. 제안된 자원 할당 방식은 상위 계층들을 통해 시그널링되는 "반-정적" 입력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주어진 제어 채널 및 PUSCH 데이터 채널 사이의 품질 차이인 offset_dB; 및 (주어진 제어 시그널링 타입에 대하여)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인 N. 정적 입력 파라미터들(UL 데이터 MCS-특정)은: UL 데이터 채널의 주어진 MCS의 코딩 레이트(CR)(예컨대, 3/1); 및 주어진 UL 데이터 MCS에 대하여 코딩되지 않은 비트들/심볼의 개수[QPSK, 16QAM, 64QAM을 이용한 2, 4 또는 6]인 Mmod(즉, Mmod)이다. 출력 파라미터 Mctrl(즉, Mctrl)은 특정한 개수의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N)에 대한 제어 심볼들/TTI의 개수이다.
Mctrl은 UL 내에서 사용되는 주어진 변조 및 코딩 방식과 관련된다. Mctrl를 계산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하기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분자의 부분(fraction)은 주어진 데이터 MCS에 대한 (코딩된) 비트들/자원 엘리먼트(즉, 심볼)의 개수이고,
Figure pct00002
는 양의 무한대를 향해 가장 가까운 정수들의 엘리먼트들을 반올림하는 실(ceil) 연산이다. 항
Figure pct00003
가 또한 하기의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이 언급되어야 한다:
ㆍ 입력 비트들의 개수
Figure pct00004
(코드 블록 세그멘테이션 이후 전송된 비트들의 개수)
Figure pct00005
(PUSCH를 운반하는 SC-FDMA 심볼들의 개수로 곱해진, PUSCH를 운반하는 서브프레임당 서브-캐리어들의 총 개수)
이러한 관계는 하기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6
향상된 DTX 검출은 명시적 DTX 시그널링(예컨대, UL 승인 내에 포함된 1 비트와 같은)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Mctrl 심볼들을 항상 예약하고 이러한 심볼 공간을 이용하여 NACK 또는 DTX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의 문제점은 과도한 제어 오버헤드이다.
DTX 검출을 향상시키기 위한 한 방법은 특정한 개수의 ACK/NACK 심볼들이 항상 예약되도록 제어 시그널링 사이즈를 정의하는 것이다. 이 아이디어는 하기와 같이 제시될 수 있다:
Figure pct00007
여기서, K는 미리결정된 숫자, 예컨대 8-10이다. 이러한 숫자는 상기 숫자가 합리적인 제어 오버헤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충분한 DTX 검출 성능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이 절차는 ACK/NACK가 존재할 때 A/N(즉, ACK/NACK) 심볼들의 개수가 예컨대 위의 등식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경우를 위한 것이다. ACK/NACK가 부재할 때, K개 심볼들은 여전히 예약된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UE는 NACK든 또는 DTX든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러한 어레인지먼트의 이점은 제어 오버헤드가 감소되고 동시에 DTX 성능이 항상 보장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기능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서, UE 및 eNB 모두가 Mctrl을 정의하기 위한 동일한 기능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1) eNB가 offset _ dB를 정의한다; (2) eNB가 offset _ dB 파라미터를 UE에 시그널링한다; (3) UE가 Mctrl을 계산하고, 미리-결정된 장소들 상에 위치된 Mctrl 자원 엘리먼트들(심볼들)을 이용하여 주어진 제어 시그널링 타입을 전송한다; (4) eNB가 Mctrl을 계산하고, 미리-결정된 장소들 상에 위치된 Mctrl 자원 엘리먼트들(심볼들)을 이용하여 주어진 제어 시그널링 타입을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offset _ dB는 상이한 PUSCH 대역폭들에 대하여(또는 바람직하게는 그룹 PUSCH 대역폭들에 대하여) 별개로 정의된다. 이것의 예는 하기와 같이(두 개의 그룹들로) 도시된다:
ㆍ BW < K개 RB들의 경우 offset_dB_1 (K는 미리-결정된 숫자, 예컨대 5이다)
ㆍ BW = K개 RB들의 경우 offset_dB_2
또 다른 실시예에서, offset _ dB는 상이한 MCS들에 대하여(또는 바람직하게는 MCS들의 그룹에 대하여) 별개로 정의된다. 이것의 예는 하기와 같이(두 개의 그룹들로) 도시된다:
ㆍ QPSK의 경우 offset_dB_1
ㆍ 16QAM 및 64QAM의 경우 offset_dB_2
또 다른 실시예에서, offset_dB 파라미터는 상이한 서비스 타입들에 대하여 별개로 정의된다
ㆍ 지연 핵심 서비스들의 경우 offset_dB_1
ㆍ 지연 비-핵심 데이터(낮은 HARQ 동작 지점)의 경우 offset_dB_2
또 다른 실시예에서, offset_dB 파라미터는 상이한 제어 채널들에 대하여 별개로 정의된다
ㆍ ACK/NACK(N=1 또는 2 비트들)의 경우 offset_dB_1
ㆍ CQI, N=5 비트들의 경우 offset_dB_2
ㆍ CQI, N=100 비트들의 경우 offset_dB_3
또 다른 실시예에서, X dB의 안전 마진이 offset_dB-파라미터의 위(top)에 적용된다.
시그널링에 관하여, offset_dB-파라미터는 상위 계층들(예컨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시그널링된다. ACK/NACK와 관련된 (초기) offset_dB는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의 일부일 수 있다. 지속적 UE들(즉, 이용가능한 동적인 UL 승인을 갖지 않는 UE들)은 자원 할당 승인 내에 포함되는 offset_dB-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offset_dB-값의 정의에 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법을 포함하여, 상기 방법에서는 offset_dB가 하기의 절차에 따라 정의된다: UL 데이터 채널(HARQ 없음)의 블록 에러 비율(BLER)이 특정한 수(예컨대, 40%)로 제한된다; 제어 채널의 BLER이 특정한 수(예컨대, 10%)로 제한된다; offset_dB-파라미터(채널 프로파일, UE 속도와 같은 동작 환경에 따라 좌우될 수도 있음)에 대한 초기 값이고 NB에서 디폴트 offset_dB-파라미터로서 표로 만들어질 수 있는 품질 기준을 충족시키는 offset_dB 값을 찾아라; 그리고 측정된 데이터/제어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offset_dB 값을 증가시켜라/감소시켜라.
다양한 수정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유지되면서 동시에 DTX 이슈에 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 두 가지 신규한 실시예들이 기술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들을 옵션 1 및 옵션 2로 부르기로 하자.
PUSCH 상에서 시그널링될 ACK/NACK가 없다면, 옵션 1은 K개 심볼들을 항상 예약하는 것을 동반한다. 그러나, 옵션 2는 L1개 심볼들을 항상 예약하는 것을 동반하며, 상기 L1은 데이터 MCS 및 다른 offset_dB-파라미터(offset_DTX_dB)에 따라 좌우된다.
Figure pct00008
ACK/NACK가 PUSCH 상에서 시그널링된다면, 옵션 1은 A/N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L2개 심볼들을 사용하는 것을 동반한다. 대안적으로, 옵션 2는 A/N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L3개 심볼들을 예약하거나, 또는 A/N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Mctrl 심볼들을 사용하는 것을 동반한다.
Figure pct00009
본 발명의 추가적 실시예는, DTX 및 ACK/NACK가 오버랩핑 심볼 공간을 공유하는 실시예이다. ACK/NACK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X와 상이한 심볼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DTX/NACK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심볼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DTX 및 ACK/NACK가 넌-오버랩핑 심볼 공간을 갖는 실시예이다. ACK/NACK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X와 상이한 심볼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X/NACK는 동일한 심볼 공간을 사용할 수 있는 반면에 ACK는 상이한 심볼 공간을 사용한다.
DTX 및 ACK/NACK가 넌-오버랩핑 심볼 공간을 갖는다면, DTX는 A/N과 동시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DTX는 A/N이 전송될 때 시그널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PUSCH에 대하여 제어 채널을 사이징하기 위한 강건한 방식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비-지속적 및 지속적 경우들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모든 종류의 제어 신호들(ACK/NACK 및 CQI)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방식은 상이한 동작 지점들에서 그리고 상이한 PUSCH 대역폭들에서 동작한다. 시그널링 필요가 최소화되고, DTX 검출이 감소된 오버헤드에 의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개념들을 포함하고, 상기 개념들 중 일부가 하기와 같이 간략하게 기술될 수 있다. 하기의 개념들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임의의 다수의 종속적 방식으로 서로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는 단계; 다수의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 및 상기 다수의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로부터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양에 대하여 전송 시간 간격당 제어 심볼들의 개수를 표시하는 출력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인 제1 개념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출력 파라미터는 업링크에 대한 변조 및 코딩 방식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개념에서, 상기 출력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가 심볼당 코딩되지 않은 비트들의 개수로 나누어진 코딩 레이트와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의 곱(product)을 포함하는 양(quantity)에 대해 실 연산(ceil operation)을 사용하는 제2 개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개념에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가 상기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 중 하나인 제3 개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 다수의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 및 상기 다수의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로부터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양에 대하여 전송 시간 간격당 제어 심볼들의 개수를 표시하는 출력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인 제4 개념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출력 파라미터는 업링크에 대한 변조 및 코딩 방식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4 개념에서, 상기 출력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이 심볼당 코딩되지 않은 비트들의 개수로 나누어진 코딩 레이트와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의 곱을 포함하는 양에 대해 실 연산을 사용하는 제5 개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5 개념에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가 상기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 중 하나인 제6 개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업링킹 모듈; 다수의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계층; 및 상기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 및 상기 다수의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로부터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양에 대하여 전송 시간 간격당 제어 심볼들의 개수를 표시하는 출력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인 제7 개념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출력 파라미터는 업링크에 대한 변조 및 코딩 방식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7 개념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심볼당 코딩되지 않은 비트들의 개수로 나누어진 코딩 레이트와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의 곱을 포함하는 양에 대해 실 연산을 사용하는 제8 개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8 개념에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가 상기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 중 하나인 제9 개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인 제10 개념을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다수의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고; 다수의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 및 상기 다수의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로부터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양에 대하여 전송 시간 간격당 제어 심볼들의 개수를 표시하는 출력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적응되고, 이때 상기 출력 파라미터는 업링크에 대한 변조 및 코딩 방식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0 개념에서, 상기 출력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이 심볼당 코딩되지 않은 비트들의 개수로 나누어진 코딩 레이트와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의 곱을 포함하는 양에 대해 실 연산을 사용하는 제11 개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1 개념에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가 상기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 중 하나인 제12 개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CR이 제어 신호들 및 가능한 사운딩 기준 신호(즉, MCS의 CR에 기초하지 않음)의 영향을 포함하는 실제 코딩 레이트에 기초하여 반복적으로(iteratively) 계산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 다른 추가적 실시예는 CR이 제어 신호들 및 가능한 사운딩 기준 신호의 영향을 포함하지 않는 명목 코딩 레이트에 기초하는 실시예이다. 또 다른 실시예는 ACK/NACK 및 CQI가 offset_dB 파라미터에 대하여 상이한 동적 범위를 갖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또한 시그널링 및 하기의 항의 관계가 미리결정된 방식으로(즉, offset _ dB를 바로 시그널링하지 않음) 표로 만들어지는 실시예를 포괄한다:
Figure pct00010
PUSCH MCS 및 PUSCH 상의 제어를 위한 자원들의 양 사이의 연관에 관하여, 아테네에서 열린 RAN1#50에서는, TSG-RAN WG1#50, R1-073842(위에서 기술되고 참조에 의해 통합됨)에 기술된 바와 같이, PUSCH 상에서의 제어 시그널링에 관련된 많은 가정들이 합의되었다:
ㆍ 데이터 및 상이한 제어 필드들(ACK/NACK, CQI/PMI)이 별개의 변조 심볼들에 맵핑된다
ㆍ 제어를 위한 상이한 코딩 레이트들이 상이한 개수의 심볼들을 점유함으로써 달성된다
ㆍ 제어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되는 코딩 레이트는 PUSCH MCS에 의해 주어진다. 그 관계가 표에 나타난다.
RAN1#52bis(위에서 기술되고 참조에 의해 통합됨)에서, 어떤 추가적 세부사항들이 합의되었다:
ㆍ PUSCH 상의 CQI/PMI는 PUSCH 상의 데이터와 동일한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ㆍ 데이터 MCS 및 제어 시그널링(A/N 및 CQI)의 코드 레이트 사이에 반-정적으로 구성된 오프셋이 적용된다
여기서, 데이터 MCS에 기초하여 제어 구역의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공식이 제안된다. 또한, 여기서 오프셋 파라미터에 대한 수치 값 세트가 제시된다. 이러한 값들은 오프셋 파라미터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설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안된 공식은 상위 계층들을 통해 시그널링되는 하기의 반-정적 입력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ㆍ 상기 주어진 제어 채널 및 PUSCH 데이터 채널 사이의 offset _ dB 성능 차이(dB 단위)
ㆍ N: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주어진 제어 시그널링 타입에 대하여)
사전에 알려진 UL 데이터 MCS-관련 입력 파라미터들은:
ㆍ CR: 주어진 PUSCH MCS의 코딩 레이트(예컨대, 3/1)
ㆍ MMOD: QPSK, 16QAM, 64QAM를 이용한 PUSCH MCS의 (코딩되지 않은) 비트들/심볼의 개수 [2, 4 또는 6].
M ctrl 은 제어 심볼들/TTI의 개수이고, 하기와 같이 계산된다:
Figure pct00011
여기서,
Figure pct00012
은 (양의) 무한대를 향해 가장 가까운 지원되는 정수 값으로 제어 채널 사이즈를 반올림한다. 지원되는 정수들은 PUSCH 상에서의 주어진 제어 시그널링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코딩/반복/펑처링 가정들에 기초한다. 또한, 구현 이유들로 인해 offset _ dB를 바로 시그널링하는 대신에 offset _ dB 시그널링 및 항
Figure pct00013
의 관계를 표로 만드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는 것이 언급된다.
오프셋 파라미터는 PUSCH 데이터의 BLER 동작 지점 및 CQI에 따라 좌우된다. 여기서는, offset _ dB 파라미터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시그널링된다고 가정된다. 하기를 알아두라:
ㆍ 모든 PUSCH MCS들에 대한 공통 offset _ dB 파라미터가 충분하다
ㆍ 상이한 대역폭 옵션들에 대한 공통 offset _ dB 파라미터가 충분하다. 대역폭 종속적 offset _ dB -파라미터를 요구하는 지속적 스케줄링은 특별한 경우인데, 그 이유는 적응적 전송 대역폭이 지속적 스케줄링과 함께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표 1은 offset _ dB 파라미터에 대한 시뮬레이션된/최적화된 값들을 나타낸다. 우리는 상이한 offset _ dB 파라미터가 ACK/NACK 및 상이한 CQI 사이즈들에 대하여 필요하다고 언급한다. 표 1에 제시되는 수치 값들은 offset _ dB -파라미터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비트들의 개수를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에 기초하여, 제어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우리는
ㆍ A/N 시그널링에 관련된 offset _ dB 파라미터는 3 비트들을 이용하여 구성된다(약 6.5 dB)
ㆍ CQI 시그널링에 관련된 offset _ dB 파라미터는 4-5 비트들을 이용하여 구성된다(약 1.5 dB)
주기적 CQI 및 스케줄링된 CQI는 각자의 고유한 offset _ dB -파라미터를 요구할 수 있다.
PUSCH 상에서 ACK/NACK을 시그널링할 때, 고려될 필요가 있는 중요한 이슈는 DTX-대-ACK 문제이다. 표 1에서의 결과들은 UE가 PUSCH 상에서의 ACK/NACK의 존재에 관한 지식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ACK/NACK의 존재에 관하여 이용가능한 정보가 없다면, 요구되는 ACK/NACK 심볼들의 개수는 매우 오버 디멘셔닝되어야 한다. 또한, UE가 PUSCH 상의 ACK/NACK의 존재에 관한 지식을 갖지 않을 때 상이한 공식이 ACK/NACK 및 CQI에 대해서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 언급된다.
표 1은 offset _ dB -파라미터, 비-지속적 스케줄링, 2RB들, TU 채널, v=3km/h에 대한 수치 값들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4
특히, 본 발명에 대한 이러한 실시예는 데이터 MCS에 기초하여 제어 구역의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세부적인 공식을 제공한다. 또한, 이 공식이 PUSCH 상의 제어 채널을 사이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된다는 것이 제안된다. 상기 제안된 공식은 시그널링 부담을 최소화하고 제어 채널 품질을 목표 레벨에 유지시킨다. 더우기, 지속적으로 및 동적으로 스케줄링되는 데이터와 ACK/NACK 및 CQI와 같은 모든 종류의 제어 타입들 모두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표 2는 M ctrl 파라미터, N=30, offset _ dB에 대한 비-양자화된 수치 값들이 0 dB 및 3 dB 사이에서 가변함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5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각각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을 형성시키는 표준 운영체제 소프트웨어를 갖는, 범용 또는 전용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시스템의 특정한 하드웨어의 동작을 구동시키도록 설계되고, 다른 시스템 컴포넌트들 및 I/O 제어기들과 호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컴퓨터 시스템은, 단일 프로세싱 유닛, 병렬 동작을 할 수 있는 다중 프로세싱 유닛들을 포함하는 CPU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CPU는 하나 이상의 위치들, 예컨대 클라이언트 및 서버 상에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에 걸쳐서 분산될 수 있다. 메모리는 자기 매체, 광학 매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읽기전용 메모리(ROM), 데이터 캐쉬, 데이터 객체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알려진 타입의 데이터 저장소 및/또는 전송 매체를 포함한다. 더우기, CPU와 유사하게, 메모리는 하나 이상 타입들의 데이터 저장소를 포함하는 단일 물리적 위치에 상주할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물리적 시스템들에 걸쳐서 다양한 형태들로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들, 최선 모드 실시예들의 동반되는 이야기체 논의들이 고려 하에 있는 방법, 시스템, 모바일 디바이스, 네트워크 엘리먼트, 및 소프트웨어 물건의 완벽하게 엄격한 처치들일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당업자는 본 출원의 단계들 및 신호들이 다양한 타입들의 중간 상호작용들을 배제하지 않는 일반적인 인과 관계들을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할 것이며, 본 출원에 기술된 다양한 단계들 및 구조들이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세부화될 필요가 없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다양한 상이한 조합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이한 시퀀스들 및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더 이해할 것이다.

Claims (28)

  1. 다수의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는 단계;
    다수의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 및 상기 다수의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로부터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양(amount)에 대한 전송 시간 간격당 제어 심볼들의 개수(a number of)를 표시하는 출력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파라미터는 업링크에 대하여 주어진 변조 및 코딩 방식을 이용하는 물리적 자원에 관련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심볼당 코딩되지 않은 비트들의 개수로 나누어진 코딩 레이트와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의 곱(product)을 포함하는 양(quantity)에 대해 실 연산(ceil operation)을 사용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는 상기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 중 하나인,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은 제어 채널 및 물리적 업링크 데이터 채널 사이의 품질 차이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차이를 바로 시그널링하는 대신에, 상기 품질 차이 및 상기 양(quantity) 내의 항(term)의 관계가 표로 만들어지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차이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및 데이터 채널 사이의 품질 차이를 기술하는 오프셋이 상기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 중 하나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심볼당 코딩되지 않은 비트들의 개수로 나누어진 코딩 레이트가 업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 할당으로부터 획득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이한 오프셋 파라미터가 확인응답 및 채널 품질 표시자에 대하여 사용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이 상기 제어 심볼들의 개수에 따라 펑처링되는,
    방법.
  11. 다수의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
    다수의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 및 상기 다수의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로부터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양에 대한 전송 시간 간격당 제어 심볼들의 개수를 표시하는 출력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파라미터는 업링크에 대한 변조 및 코딩 방식에 관련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심볼당 코딩되지 않은 비트들의 개수로 나누어진 코딩 레이트와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의 곱을 포함하는 양에 대해 실 연산을 사용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는 상기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 중 하나인,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은 제어 채널 및 물리적 업링크 데이터 채널 사이의 품질 차이를 포함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차이를 바로 시그널링하는 대신에, 상기 품질 차이 및 상기 양 내의 항의 관계가 표로 만들어지는,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차이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장치.
  17. 다수의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업링킹 모듈;
    다수의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계층; 및
    상기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 및 상기 다수의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로부터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양에 대한 전송 시간 간격당 제어 심볼들의 개수를 표시하는 출력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파라미터는 업링크에 대한 변조 및 코딩 방식에 관련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심볼당 코딩되지 않은 비트들의 개수로 나누어진 코딩 레이트와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의 곱을 포함하는 양에 대해 실 연산을 사용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는 상기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 중 하나인,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은 제어 채널 및 물리적 업링크 데이터 채널 사이의 품질 차이를 포함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차이를 바로 시그널링하는 대신에, 상기 품질 차이 및 상기 양 내의 항의 관계가 표로 만들어지는,
    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차이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장치.
  23.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실행가능한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코드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는 것;
    다수의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는 것; 및
    상기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 및 상기 다수의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로부터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양에 대한 전송 시간 간격당 제어 심볼들의 개수를 표시하는 출력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출력 파라미터는 업링크에 대한 변조 및 코딩 방식에 관련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은, 심볼당 코딩되지 않은 비트들의 개수로 나누어진 코딩 레이트와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의 곱을 포함하는 양에 대해 실 연산을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 비트들의 개수는 상기 시그널링된 입력 파라미터들 중 하나인,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정적인 입력 파라미터들은 제어 채널 및 물리적 업링크 데이터 채널 사이의 품질 차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차이를 바로 시그널링하는 대신에, 상기 품질 차이 및 상기 양 내의 항의 관계가 표로 만들어지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차이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KR1020107026827A 2008-04-28 2009-04-28 변조 및 코딩 방식을 자원들의 양에 연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34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96108P 2008-04-28 2008-04-28
US61/125,961 2008-04-28
US4855408P 2008-04-29 2008-04-29
US4890808P 2008-04-29 2008-04-29
US61/048,554 2008-04-29
US61/048,908 2008-04-29
PCT/IB2009/005772 WO2009133467A1 (en) 2008-04-28 2009-04-28 Method and apparatus to link modulating and coding scheme to amount of resour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201A true KR20110009201A (ko) 2011-01-27
KR101234749B1 KR101234749B1 (ko) 2013-02-19

Family

ID=4120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827A KR101234749B1 (ko) 2008-04-28 2009-04-28 변조 및 코딩 방식을 자원들의 양에 연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503569B2 (ko)
EP (1) EP2286629B2 (ko)
JP (1) JP5356503B2 (ko)
KR (1) KR101234749B1 (ko)
CN (1) CN102150468B (ko)
BR (1) BRPI0910548B1 (ko)
CA (1) CA2722138C (ko)
PL (1) PL2286629T5 (ko)
RU (1) RU2480963C2 (ko)
WO (1) WO20091334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32311A1 (en) * 2009-03-12 2010-09-16 Qualcomm Incorporated Concurrent transmission of ack/nack, cqi and cqi from user equipment
US8792469B2 (en) * 2009-10-02 2014-07-2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oding a control message with determined data code block repetition
WO2011159624A2 (en) 2010-06-18 2011-12-22 Brown, J., Robert, Jr.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in carrier aggregation
AU2011270584B2 (en) 2010-06-21 2014-03-13 Sun Patent Trust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04468025B (zh) * 2013-09-23 2018-03-16 联芯科技有限公司 信道质量指示cqi的选择方法和装置
CN105704762A (zh) * 2014-11-26 2016-06-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移动通信方法、设备及系统
US10015781B2 (en) 2015-01-27 2018-07-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GSM evolution packet data traffic channel resource transmission management—fixed uplink allocation technique
RU2693923C2 (ru) * 2015-01-27 2019-07-05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Управление ресурсами канала трафика пакетных данных в развитии стандарта gsm - технология фиксированного распределения ресурсов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US10075970B2 (en) 2015-03-15 2018-09-11 Qualcomm Incorporated Mission critical data support in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US9936519B2 (en) 2015-03-15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9814058B2 (en) 2015-05-15 2017-11-07 Qualcomm Incorporated Scaled symbols for a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CN111556569A (zh) * 2015-07-01 2020-08-18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上行数据的方法和设备
US9992790B2 (en) 2015-07-20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supporting single and multiple interlace modes
CN117119604A (zh) * 2017-03-22 2023-11-24 索尼公司 终端设备、基站设备、通信方法和存储介质
CN111669823B (zh) * 2019-03-07 2022-11-25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2108A1 (de) * 1996-03-27 1997-10-02 Bosch Gmbh Robert Punkt-zu-Mehrpunkt Funkübertragungssystem
KR100735692B1 (ko) * 2001-07-12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 부호화와 재전송을 이용한 부호화 변환 방법
KR100571806B1 (ko) * 2003-02-11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 ofdma 시스템에서 궤환되는 채널 상태 정보를줄이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적응적 ofdma시스템
US7123580B2 (en) * 2004-01-16 2006-10-17 Nokia Corporation Multiple user adaptive modulation scheme for MC-CDMA
CN101218770B (zh) * 2005-07-08 2015-07-15 富士通株式会社 无线资源分配方法、通信装置
CN101001103A (zh) * 2006-01-12 2007-07-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参考信号定时同步的方法
JP4430052B2 (ja) * 2006-06-19 2010-03-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ユーザ装置及び送信方法
US8954105B2 (en) * 2006-12-18 2015-0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n up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68844A1 (en) 2009-10-29
EP2286629B2 (en) 2017-08-23
RU2480963C2 (ru) 2013-04-27
BRPI0910548A2 (pt) 2015-09-29
CA2722138A1 (en) 2009-11-05
EP2286629B1 (en) 2014-08-13
JP2011519243A (ja) 2011-06-30
EP2286629A1 (en) 2011-02-23
WO2009133467A1 (en) 2009-11-05
CN102150468A (zh) 2011-08-10
PL2286629T3 (pl) 2015-01-30
CN102150468B (zh) 2014-06-25
PL2286629T5 (pl) 2018-04-30
RU2010148052A (ru) 2012-06-10
BRPI0910548B1 (pt) 2019-02-05
KR101234749B1 (ko) 2013-02-19
CA2722138C (en) 2014-12-23
AU2009241283A1 (en) 2009-11-05
JP5356503B2 (ja) 2013-12-04
US8503569B2 (en) 201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749B1 (ko) 변조 및 코딩 방식을 자원들의 양에 연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367062B2 (ja) リソース割り当てサイズに依存するトランスポートブロックサイズのシグナリング
US9247535B2 (en) Resource selection for transmission of multiple ACK/NACK on PUCCH channel
US9450714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8588084B2 (en) Resource restricted allocation in long-term evolution
US8989122B2 (en) Method implemented in a user equipment UE for use in a wireless system
JP5417319B2 (ja)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KR2014011970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13243752A (ja) 符号点を使用してスケジューリングモードを示す制御チャネルシグナリング
JP2014528662A (ja) Pucchフォーマット3リソースを用いるack/nackとチャネル状態情報の同時報告
WO2008041089A2 (en) Adaptive scheme for lowering uplink control overhead
JP7197280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1803261A (zh) 移动设备在无线通信网络中传输信道质量指示符(cqi)的方法和系统
WO2012063575A1 (ja)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TW201212579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WO2015008830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集積回路、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210101002A (ko) 네트워크 협력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3172106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及び制御方法
AU2009241283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link modulating and coding scheme to amount of resources
Asheralieva et al. Performance of LTE network for VoIP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