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072U -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 Google Patents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072U
KR20110009072U KR2020100002758U KR20100002758U KR20110009072U KR 20110009072 U KR20110009072 U KR 20110009072U KR 2020100002758 U KR2020100002758 U KR 2020100002758U KR 20100002758 U KR20100002758 U KR 20100002758U KR 20110009072 U KR20110009072 U KR 201100090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in body
closing
pane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윤구
Original Assignee
남윤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윤구 filed Critical 남윤구
Priority to KR2020100002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072U/ko
Publication of KR20110009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0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 하우스에 설치되어 상층과 하층으로 나누어진 정체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도록 한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결합되는 송풍장치; 상기 본체 하부로부터 이격하여 결합되면서 다수 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확산 패널; 및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상기 개폐 패널의 조작에 따라 공기의 순환 방향을 측방향과 하부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Air mixer for vinyl-house}
본 고안은 비닐 하우스에 설치되어 상층과 하층으로 나누어진 정체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도록 한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소, 과수, 화훼작목(이하, "작물" 이라 통칭함) 등을 속성으로 재배하여 수확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비닐 하우스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비닐 하우스를 사용하는 속성 재배과정에서 온도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여름철에는 실내 온도가 너무 많이 올라가지 않도록 조절하고, 겨울철에는 실내 온도가 너무 많이 내려가지 않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여름철에 비닐 하우스의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외부에 물을 뿌려주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에는 물이 뿌려지기 시작하는 비닐 하우스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온도가 낮아지는데, 이렇게 차가워진 공기가 하부로 내려가면서 지열이나 실내 온도에 의해서 다시 뜨거워지기 때문에 작물과 지면까지 쉽게 순환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겨울철에 비닐 하우스의 실내 온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온풍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에는 뜨거운 공기가 위로 뜨는 특성 때문에 작물과 지면까지 쉽게 순환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비닐 하우스의 실내 온도가 대류의 특성에 의해 상층과 하층으로 구분된 상태로 장시간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특허0357057호에는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는 +자형 패널의 단부에 소정 길이를 갖는 고정로드가 구비된 프레임; 상기 패널의 밑면에 고정된 망사 형태의 이물유입방지부; 다수개의 날개를 갖는 팬과 모터로 구비되어 상기 패널과 이물유입방지부의 중심에 고정된 풍향발생부; 나사를 형성한 간격유지봉을 고정한 리브를 하단에 구비하며 상단에 나팔형태의 흡입 안내구를 구비하고, 내측면 중간에 링 형태를 갖는 걸림부를 일체로 형성한 중공의 원통형 몸체; 상기 걸림부에 고정되는 블레이드를 방사상으로 구비한 풍향조절부; 및 상협하광의 원뿔 형태를 갖는 안내부가 중심에 구비되며 안내부의 가장자리로 상기 간격유지봉의 나사가 삽입되는 구멍을 갖는 고정부가 일체로 구비된 풍향확산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는 풍향발생부를 사용하여 몸체 상부의 공기를 빨아들인 후 하부로 신속히 배출시키는데, 이때 상기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풍향확산부에 의해 측 방향으로 넓게 뿌려지듯 배출되면서 상기 작물과 지면까지 순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풍향확산부가 상협하광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하부로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막혀있기 때문에 그 아래에 있는 작물과 지면까지 상부측 공기가 쉽게 순환되지 못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를 통해 상부의 공기를 하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상기 본체 하부로부터 이격하여 결합되고, 상기 본체 하부로 순환되는 공기를 측방향으로 확산시키도록 중앙이 높고 테두리가 낮게 형성되면서 그 경사면 상에 상하로 관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확산 패널; 및 상기 확산 패널의 배출구를 통해 바람이 배출되는 것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 패널은 상기 확산 패널의 중심에 축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개폐 패널의 상부 또는 하부를 커버하고, 상기 배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폐구가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폐 패널은 상기 확산 패널의 하단에 결합 고정되고, 상하로 관통된 통풍구가 형성된 상부부재; 및 상기 상부부재의 중심에 축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를 커버하고, 상기 통풍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폐구가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통풍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하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 상부에는 비닐 하우스에 매달아 설치하기 위한 행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장치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순환되는 바람의 선회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 개의 날개가 중심으로부터 방사 형태로 설치된 풍향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용 공기 교반기에 의하면 확산 패널 상에 하부로 직접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 패널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개폐 패널의 조작에 따라 공기의 순환 방향을 측방향과 하부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설치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개폐 패널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작용 단면도.
도 5는 도 2의 개폐 패널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작용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이 적용된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고안의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태의 본체(100), 상기 본체 내부에 결합되는 송풍장치(200), 상기 본체 하부로부터 이격하여 결합되면서 다수 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확산 패널(300) 및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 패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비닐 하우스(10)에 매달듯 설치하여 상층의 정체된 공기를 하층으로 순환시키도록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상단 테두리는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상측으로 벌어지고, 본체(100)의 하단 테두리는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하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는 형태가 쉽게 찌그러지지 않도록 돌출되거나 요입된 보강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 하부에 상기 확산 패널(300)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볼트와 너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0)의 하단 테두리에는 플랜지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장치(200)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를 통해 상부의 공기를 하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전동기와 회전 날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200)는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를 "+"로 가로지르는 브래킷에 고정할 수 있고, 본체(100) 측면에 직접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확산 패널(300)은 상기 본체(100) 하부로부터 이격하여 결합되고, 상기 본체(100) 하부로 순환되는 공기를 측방향으로 확산시키도록 중앙이 높고 테두리가 낮게 형성되는 한편, 그 경사면 상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하부로 순환되는 공기를 하부로 직접 통과시키도록 다수 개의 배출구(310)가 형성된다.
상기 확산 패널(300)은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유선형으로 둥글게 도출되거나, 직선형으로 곧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확산 패널(300)의 테두리에는 앞서 설명된 본체(100) 하단의 플랜지와 같은 플랜지가 형성되어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확산 패널(300)의 중심에 형성된 배출구(310)는 예를 들어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으로부터 방사 형태로 등 간격에 형성되면서 슬릿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고, 배출구(310)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 패널(400)의 제1 실시 예로서 상기 확산 패널(300)의 중심에 축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확산 패널(300)의 상부 또는 하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배출구(310)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폐구(410)가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배출구(310)를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폐 패널(400)은 확산 패널(300)의 배출구(310)를 개폐하기 위해서 확산 패널(300)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고, 서로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어야 한다. 상기 개폐 패널(400)은 확산 패널(300)의 상부나 하부 중 어느 한 면을 커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폐 패널(400)은 그 중심이 상기 확산 패널(300)의 중심에 축 결합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상기 개폐구(410)는 상기 배출구(310)와 마찬가지로 중심으로부터 방사 형태로 등 간격에 형성되면서 슬릿 형태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개폐 패널(400)의 테두리 일측에는 개폐 패널(400)을 쉽게 회전시켜 배출구(310)를 개폐하도록 회전 손잡이(42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로서 상기 개폐 패널(400')은 상기 확산 패널(300)의 하단에 결합 고정되고, 상하로 관통된 통풍구(410'a)가 형성된 상부부재(400'a) 및 상기 상부부재(400'a)의 중심에 축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상부부재(400'a)의 하부를 커버하고, 상기 통풍구(410'a)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폐구(410'b)가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통풍구(410'a)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하부부재(40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 예에서 본 고안의 개폐 패널(400')은 상기 확산 패널(300)의 배출구(310)를 직접 개폐하는 것이 아니고, 그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310)를 통해 빠져나가는 바람이 상부부재(400'a)의 통풍구(410'a)를 통해서 빠져나가는 것을 하부부재(400'b)의 배출구(410'b)가 개폐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부재(400a)를 확산 패널(300)에 고정하는 수단으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산 패널(300)의 플랜지를 접어서 그 사이에 끼워 고정하거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핀 볼트를 관통하여 너트로 조일 수 있다.
상기 개폐 패널(400')의 통풍구(410'a)와 개폐구(410'b)는 상기 배출구(310)와 마찬가지로 중심으로부터 방사 형태로 등 간격에 형성되면서 슬릿 형태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개폐 패널(400')에서 상기 하부부재(400'a)의 테두리 일측에는 상기 하부부재(400'b)를 쉽게 회전시켜 통풍구(410'a)를 개폐하도록 회전 손잡이(42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상기 비닐 하우스(10)에 매달아 설치하기 위한 행거(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행거(110)는 예를 들어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내부에 송풍장치(200)를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에 결합하거나, 본체(100) 테두리에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행거(110)는 본체(10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식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 상부에는 상기 송풍장치(200)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5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500)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물망 형태의 필터(500)는 비닐 하우스 내부에 있는 작물의 입이나 비닐 등이 본체 내부로 빨려들어 송풍장치에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상기 송풍장치(200)에 의해 순환되는 바람의 선회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 개의 날개가 중심으로부터 방사 형태로 설치된 풍향조절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풍향조절장치(600)는 날개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하부로 배출되는 바람이 회오리 형태로 선회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풍향조절장치(600)의 각 날개는 동시에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확산 패널(300) 상에 하부로 직접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배출구(310)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배출구(310)를 개폐하도록 개폐구(410)가 형성된 개폐 패널(40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개폐 패널(400)의 조작에 따라 공기의 순환 방향을 측방향과 하부로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0: 비닐 하우스
100: 본체 110: 행거
200: 송풍장치
300: 확산 패널 310: 배출구
400: 개폐 패널 410: 개폐구
400': 개폐 패널 400'a: 상부부재
400'b: 하부부재 410'a: 통풍구
410'b: 배출구 420: 회전 손잡이
500: 필터
600: 풍향조절장치

Claims (6)

  1.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를 통해 상부의 공기를 하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상기 본체 하부로부터 이격하여 결합되고, 상기 본체 하부로 순환되는 공기를 측방향으로 확산시키도록 중앙이 높고 테두리가 낮게 형성되면서 그 경사면 상에 상하로 관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확산 패널; 및
    상기 확산 패널의 배출구를 통해 바람이 배출되는 것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 패널은 상기 확산 패널의 중심에 축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개폐 패널의 상부 또는 하부를 커버하고, 상기 배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폐구가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 패널은 상기 확산 패널의 하단에 결합 고정되고, 상하로 관통된 통풍구가 형성된 상부부재; 및
    상기 상부부재의 중심에 축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를 커버하고, 상기 통풍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폐구가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통풍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하부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부에는 비닐 하우스에 매달아 설치하기 위한 행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장치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순환되는 바람의 선회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 개의 날개가 중심으로부터 방사 형태로 설치된 풍향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KR2020100002758U 2010-03-17 2010-03-17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KR201100090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758U KR20110009072U (ko) 2010-03-17 2010-03-17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758U KR20110009072U (ko) 2010-03-17 2010-03-17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072U true KR20110009072U (ko) 2011-09-23

Family

ID=4509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758U KR20110009072U (ko) 2010-03-17 2010-03-17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07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813B1 (ko) * 2015-11-06 2016-02-23 (주)서부전기 지중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KR20180137739A (ko) * 2017-06-19 2018-12-28 박지성 동식물의 생육 공간용 실내외 공기 분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813B1 (ko) * 2015-11-06 2016-02-23 (주)서부전기 지중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KR20180137739A (ko) * 2017-06-19 2018-12-28 박지성 동식물의 생육 공간용 실내외 공기 분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330B1 (ko) 원심형 천장팬
CA2803775C (en) A passive roof vent
US10386090B2 (en) Reconfigurable system allowing air flow through an open window while blocking precipitation
US20140259908A1 (en) Configurable modular hydroponics system and method
KR101856600B1 (ko) 천장형 환풍장치
KR20110009072U (ko)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KR101976264B1 (ko) 동식물의 생육 공간용 실내외 공기 분산 장치
KR200304896Y1 (ko) 비닐하우스의 병충해 예방용 훈증장치
TWI693883B (zh) 農業用屋舍
KR200450791Y1 (ko) 보온시설물용 환풍기
KR200444493Y1 (ko) 전방향 저온,가습선풍기
KR102044215B1 (ko) 태양열 집열기를 적용한 야외 테라스용 천장부재
KR200207863Y1 (ko)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KR100357057B1 (ko)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GB2488443A (en) Laundry dryer comprising side wall with movable elements
CN208590442U (zh) 一种林蛙圈养用大棚
KR101425169B1 (ko) 시설재배하우스의 환기장치
CN208927122U (zh) 消毒柜
KR200458624Y1 (ko) 양돈축사용 환기장치.
US11666008B2 (en) Systems and methods of improved plant cultivation and elongate airflow assembly for the same
KR20090006344U (ko) 우산 건조장치
KR200296260Y1 (ko) 물받이 구조를 갖는 환풍기
KR101518116B1 (ko)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
KR101590999B1 (ko) 날개없는 환풍기
JP2010060198A (ja) 調湿ルー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