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116B1 -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116B1
KR101518116B1 KR1020130058504A KR20130058504A KR101518116B1 KR 101518116 B1 KR101518116 B1 KR 101518116B1 KR 1020130058504 A KR1020130058504 A KR 1020130058504A KR 20130058504 A KR20130058504 A KR 20130058504A KR 101518116 B1 KR101518116 B1 KR 101518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hole
ai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687A (ko
Inventor
한민우
Original Assignee
한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우 filed Critical 한민우
Priority to KR1020130058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11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24F5/00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energy from the ground by air circulation, e.g. "Canadian we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3/085The tubes containing an electrically heated intermediate fluid, e.g.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40Geothermal heat-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reenhous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에 외부 공기를 불어넣어 순환시키는 송풍수단과 상기 본체 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 배관과 상기 송풍수단과 연결되어 'ㄷ'자로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본체 상부를 관통하는 제2 배관과 상기 제1, 제2 배관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본체 하부에 물 입자 형태로 분사시키는 다수개의 노즐이 각각 마련된 1개 이상의 분출수단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분출수단 사이에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어 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격벽과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냉교반기를 사용함으로서, 딸기 등의 작물의 분화 조건(온도 등)에 최적으로 맞추어줄 수 있으므로 조기 수확도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생산성있고 질 높은 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 {Cool-stirrer for Vinyl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내의 작물이 생육하기에 최적으로 온도를 가져다 줄 수 있도록 하는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소, 딸기 등의 과일, 화훼 작물 등을 속성으로 재배하여 수확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비닐하우스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비닐하우스를 사용하는 속성 재배 과정에서 온도조절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여름철에는 실내온도가 너무 많이 올라가지 않도록 조절하고 겨울철에는 실내 온도가 너무 내려가지 않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여름철에는 비닐하우스의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외부에 물을 뿌리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에는 물이 뿌려지기 시작한 비닐하우스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온도가 낮아지는데 이렇게 차가워진 공기가 하부로 내려가면서 지열이나 실내온도에 의하여 다시 뜨거워지므로 직물과 지면까지 쉽게 순환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냉지로 육묘를 옮기게 되어 온도가 너무 낮게 되면 육묘기간이 짧아져서 작물의 상품성이 낮아지게 되믄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0357057호에서는 종래 비닐하우스용 공기교반기는 풍향발생부를 사용하여 몸체 상부의 공기를 빨아들인 후 하부로 신속하게 배출하여 상기 배출된 공기는 상기 풍향 확산부에 의하여 측방향으로 넓게 뿌려지듯 배출되면서 상기 직물과 지면까지 순환하게 하는 방법에서 탈피한 상협하광으로 형성된 비닐하우스용 공기교반기를 선보였으나 상기 깃루은 하부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막혀있으므로 그 아래에 있는 작물과 지면까지 상부측 공기가 쉽게 순환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제2011-0009072호에서는 확산패널 상에 하부로 직접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패널을 구성하여 상기 개폐페널의 조작에 의하여 공기의 순환 방향을 측방향과 하부로 쉽게 조절이 가능한 비닐하우스용 공기교반기를 선보였으나, 상기 고안은 전체적인 비닐하우스 내부 공간의 온도를 낮춰지게 하므로 작물의 최적 온도를 맞추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비닐하우스 내부에 냉교반기를 제공함으로서, 비닐하우스 내에 온도를 저온 상태를 유발하여 생육환경을 최적으로 맞추도록 하여, 딸기 등의 작물의 수확량을 늘릴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비닐하우스 내의 작물의 일조시간을 단축하여 작물의 신선도를 우수하게 하여 영양상태가 좋은 작물을 생산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면에 제 1홀과 제 2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둘레면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송풍수단; 상기 본체 외부에서 내부로 설치된 제 1배관; 상기 제 1홀과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부로 물이 이동되도록 설치된 제 2배관; 상기 제1, 제2 배관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본체 하부에 물 입자 형태로 분사시키는 다수개의 노즐이 각각 마련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분출수단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1개 이상으로 구성된 격벽;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접하는 부분에 습기 제거필터가 형성된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통풍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은 본체의 평면상으로 볼 때,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에는 분출수단에서 낙하하는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을 통하여 배수된 물은 상기 제2 배관을 통하여 상기 분출수단의 노즐을 통하여 재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격벽은 수직방향으로 파형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는 상기 제1 배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하수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내부에 수분을 분출함으로서 물 안개를 구성하고 냉각된 바람을 생성하여 비닐하우스의 내부 온도를 딸기 등 과 같은 작물의 발육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서, 딸기 등의 작물의 분화 조건에 최적으로 맞추어줄 수 있으므로 조기 수확도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생산성 있고 질 높은 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교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교반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교반기의 평면도.
도 4는 분출수단에 관한 도면.
도 5는 송풍수단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구성적 특징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에 외부 공기를 불어넣어 순환시키는 송풍수단과 상기 본체 상부를 관통하여 내부에 형성된 제1 배관과 상기 송풍수단과 일측이 'ㄷ'자로 연결,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 상부를 관통하는 제2 배관과 상기 제1, 제2 배관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본체 하부에 물 입자 형태로 분사시키는 다수개의 노즐이 각각 마련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분출수단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1개 이상의 격벽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접하는 부분에 습기 제거 필터가 형성된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교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교반기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교반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분출수단에 관한 도면이고 도 5는 송풍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3을 보면,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본체(10)와 송풍수단(20)과 제1 배관(30)과 제2 배관(40)과 분출수단(60a,60b)과 격벽(70)과 통풍구(8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설치가 되며, 배관(30,40)과 통풍구(80)가 본체 (10)의 내부로 관통되거나 외부로 돌출된 정육면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는 송풍수단(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송풍구(미도시)를 통하여 강제로 본체(10)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송풍수단은 모터(M)에 의하여 구동되는 팬(2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수단(20)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모터는 팬(25)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냉교반기(100)의 작동수단과 연동하여 작동할 때만 온(ON) 상태가 된다.
제1 배관(30)과 제2 배관(40)에는 펌프(도시는 생략)등과 같이 외부에 설치된 수단을 통하여 지하수 등의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지하수는 분출수단(60a,60b)을 통과하여 노즐(50)을 통해 분사된다.
그러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분출수단(60a,60b)을 설명하면, 상기 배관(30, 40)과 수직한 방향으로 노즐(50)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50)은 배관(30,40)으로 이송된 물이 작은 물 입자의 형태로 분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물이 분출수단(60a)을 통해 분사되면 상기 본체(10)의 내부 바닥에는 분출수단(60a)에서 낙하하는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제1 홀(90)과 재분사된 물이 배수구(D)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하는 제2 홀(9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홀(90)을 통하여 배수된 물은 상기 제2 배관(40)을 통하여 상기 분출수단(60b)의 노즐(50)을 통하여 재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본체(10) 하부 방향(즉, 본체(10)의 밑바닥)으로 분출된 물이 홀(90,95)을 통한 배수와 재흐름을 통한 계속적인 물의 순환 작용을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분출수단(60a)에서 처음으로 물이 분사되면, 분사된 물이 제 1홀(90)을 통해 배수되어 제 2배관(40)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된 물은 분출수단(60b)를 통해 재 분사되며, 재 분사시 본체(10) 내부의 더운 열기가 물에 포함된 상태이므로 재분사 후에는 제 2홀(95)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본체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고 서늘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체(10)의 하부로 분출되어 낙하된 물은 작은 물입자의 형태로 분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를 테면, 상기 노즐(50)을 샤워기의 노즐 형태로 하여 샤워식의 분사방식 등이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노즐(50) 분사구는 물 방울이 미세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를 보면, 상기와 같이 분사되는 물은 하부로 낙하되지만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70)이 사이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작은 입자로 분사되는 물방울은 외부로 튀게 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격벽(70)은 수직방향으로 파형(波形)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은 물 분자가 부딪힐 경우에 있어서 더욱 시각적 효과를 줄 수 있게 된다. 즉, 물 입자는 낙하하는 과정에서 격벽에 부딪치는 각도가 다양하게 됨에 따라, 물 분자의 부딪치고 터짐 현상에 의해 자연스럽게 물 안개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송풍수단(20)을 통하여 강제 흡입된 외부의 공기는 분출수단(60a,60b)에 의하여 분출되어 낙하되는 물 입자들 사이를 통과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비닐하우스 내부의 공기 온도를 낮추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비닐하우스 내에 공기가 정체되지 않고 계속적인 물 분사의 순환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전체적으로 작물 생육의 최적의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작물의 성장 속도를 높여주므로 많은 수확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딸기 등의 작물은 저온(15℃ ~ 20℃)과 일광 시간이 짧아야 영양분이 상승하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100)를 통하여 딸기 등의 작물이 조기에 수확을 거둘수 있게 되는 장점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5를 보면, 상기 송풍수단(20)에는 이물질의 유입 방지 또는 습도조절, 살균, 탈취 기능을 위한 필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는 보다 쾌적한 바람을 본체(10)의 내부로 송풍하도록 하기 위하여 송풍수단(20)으로 빨려드는 공기를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여과기능을 위한 필터는 송풍수단(20)으로 흘러가는 공기를 여과하도록 활성탄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분출수단(60a,60b)에 의하여 분출된 물 입자 중 일부는 그대로 송풍수단(20)으로 말려들어갈 수 있는데, 상기 수분으로 말미암아 필터의 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격벽(70)이 형성되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공기의 흐름을 차단시켜서는 안되는 것이므로 상기 송풍수단(20)과 격벽(70)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적 여유가 있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2와 도 4를 보면 통풍구(80)가 본체(10)와 접하는 부분에 습기 제거 필터(110)가 형성되어 빈번한 물의 흐름으로 인한 습함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며, 동절기에는 동결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장치의 전원을 켜서 온시키게 되면, 제1 배관(30)을 통해 물이 분출수단(60a)으로 공급된다.
이렇게 분출수단(60a)으로 공급된 물은 제1 홀(90)을 통해 제2 배관(40)으로 흘러들어 분출수단(60b)을 통해 다시 분사된다.
삭제
즉, 제1 배관(30)을 통하여 물이 공급된 후 분사되어 본체(10) 내부의 온도를 어느 정도 하락시킨 후에는 제 1홀(90)을 통해 배수된 후 제2 배관(40)으로 공급되고, 제 2배관(40)과 연결된 분출수단(60b)를 통해 물을 재분사시킴으로써 본체(10) 내부 온도를 효과적으로 하락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재분사된 물은 제 2홀(9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작물의 생육 과정에서 최적의 온도를 제공할 수 있어 작물의 생산성 및 상품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계속적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으므로, 비닐하우스 내의 공기가 정체되지 아니하고 계속 순환되어 전체적으로 일정한 온도와 더불어 습도를 유지하게 함으로서 작물의 성장 속도를 높여 고품질과 조기생산, 작물을 대량으로 효율성있게 수확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격벽(70)은 본체(10)의 평면상으로 볼 때,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송풍수단(20)을 통하여 인입된 공기는 상기와 격벽(70)의 지그재그식 구조로 인하여 공기가 이동하는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이것은 통풍구(80)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시간이 자연히 길어지게 되므로 본체(10) 내부의 열량을 낮출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가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기와 같이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 : 본체 20 : 송풍수단
25 : 팬 30 : 제1 배관 40 : 제2 배관 50 : 노즐 60a : 분출수단 60b : 분출수단
70 : 격벽 80 : 통풍구
90 : 제1 홀 95 : 제2 홀
D : 배수구 100 :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 110 : 습기 제거 필터

Claims (5)

  1. 바닥면에 제 1홀과 제 2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둘레면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송풍수단;
    상기 본체 외부에서 내부로 설치된 제 1배관;
    상기 제 1홀과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부로 물이 이동되도록 설치된 제 2배관;
    상기 제1, 제2 배관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본체 하부에 물 입자 형태로 분사시키는 다수개의 노즐이 각각 마련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분출수단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1개 이상으로 구성된 격벽;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접하는 부분에 습기 제거필터가 형성된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통풍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본체의 평면상으로 볼 때,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에는 분출수단(60a)에서 낙하하는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을 통하여 배수된 물이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상기 분출수단(60b)으로 이동되어 재분사되도록 구성된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수직방향으로 파형(波形)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부에는 상기 제1 배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



KR1020130058504A 2013-05-23 2013-05-23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 KR101518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504A KR101518116B1 (ko) 2013-05-23 2013-05-23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504A KR101518116B1 (ko) 2013-05-23 2013-05-23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687A KR20140137687A (ko) 2014-12-03
KR101518116B1 true KR101518116B1 (ko) 2015-05-06

Family

ID=52457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504A KR101518116B1 (ko) 2013-05-23 2013-05-23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575B1 (ko) 2018-05-15 2019-11-06 정영훈 시설재배장 쿨링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416Y1 (ko) 2001-12-19 2002-03-09 신재호 농축산용 공기의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416Y1 (ko) 2001-12-19 2002-03-09 신재호 농축산용 공기의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687A (ko)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13537B2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EP2031957B1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5912354B2 (ja) 植物栽培室の冷房装置
KR101557197B1 (ko) 수생식물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JP3853269B2 (ja) 植物の栽培または培養方法及び植物の栽培または培養環境装置
KR101729170B1 (ko) 온실용 순환송풍식 냉난방시스템
CN108651171B (zh) 一种食用菌栽培系统
CA2838296C (en) Greenhouse and method for cooling same
KR101518116B1 (ko) 비닐하우스용 냉교반기
JP2009060854A (ja) 遠心噴霧装置
KR101396436B1 (ko) 온실식물 재배시스템
KR200458453Y1 (ko) 온실용 순환기
CN206488399U (zh) 自带水箱的湿帘降温装置
CN203626306U (zh) 农村蔬菜水果绿色保鲜房
CN206118608U (zh) 雨林缸及造景系统
CN212116433U (zh) 一种温室半封闭系统
KR100855392B1 (ko) 저온 저장고용 습도조절 장치
CN109452044B (zh) 基于地埋降温水池的局部自动降温装置及其降温方法
CN108901486B (zh) 一种农业种植大棚
CN109362426B (zh) 一种农业大棚冬季除雪夏季降温的装置
CN112119839A (zh) 一种用于食用菌出菇房的加湿装置
JP5669404B2 (ja) 建屋の局所送風機と、その局所送風方法
CN202035339U (zh) 一种温室换热通风系统
KR980006136U (ko) 열교환 및 온습도 조절이 가능한 버섯재배용 환기장치
CN215421910U (zh) 一种大丽花育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