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981U - 커넥터용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981U
KR20110008981U KR2020100002654U KR20100002654U KR20110008981U KR 20110008981 U KR20110008981 U KR 20110008981U KR 2020100002654 U KR2020100002654 U KR 2020100002654U KR 20100002654 U KR20100002654 U KR 20100002654U KR 20110008981 U KR20110008981 U KR 201100089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connector
terminal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원
최정욱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케이유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유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2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981U/ko
Publication of KR201100089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98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대편 탭단자에 구비된 탭이 삽입되는 통 형상의 접속부가 마련되고, 접속부와 연결 결합된 상태로 순차되게 U자 형상의 심선 압착부 및 피복 압착부가 마련된 전선고정부를 구비한 접속단자에 있어서, 접속부의 내측부에는 횡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내향 돌출된 적어도 한 쌍의 유동방지돌기부를 마련하고, 접속부 내부에는, 전선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태로 종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접촉 리프를 구비하며, 접촉 리프는 접속부 내부에서 자유롭게 확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탭을 접속부에 삽입시, 각각의 접촉 리프는 접속부 내부에서 각각 종방향으로 변형되면서 탭을 탄력적으로 압착시킴과 동시에 유동방지돌기부는 탭의 횡방향에 대한 유동발생을 억제시키는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터용 접속단자{Terminal structure for a connector}
본 고안은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삽입되는 상대편 탭단자를 안정적으로 접압시키는 커넥터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각종 전기, 전자부품들이 구비되며, 이러한 부품들은 차량의 전원부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부품과 와이어들은 연결시 배선작업의 편리함을 기하기 위하여 커넥터를 사용하는 데, 이러한 커넥터는 부품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와 접속되는 숫커넥터(연결커넥터)와, 상기 숫커넥터에 결합되며 차량의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와 접속되는 암커넥터(접속커넥터)로 나뉘어진다.
한편, 상기 숫커넥터와 암커넥터에는 각각의 단자들이 내장되는데, 이러한 단자는 다시 상기 숫커넥터에 결합되는 탭단자와, 상기 암커넥터에 결합되는 접속단자로 나뉘어진다. 즉, 암, 수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탭단자가 상기 접속단자에 삽입됨으로서 암, 수 커넥터는 전기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종래의 탭단자와 접속단자의 접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탭단자(10)의 전방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탭(11)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20)의 전방에는 상기 탭(11)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21)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상기 삽입홀(21)로 삽입된 탭(11)을 압착하며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탄성편(22)이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탭단자(10)와 상기 접속단자(20)는 접속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야기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접속단자(20)에 구비된 탄성편(22)은 접속단자(120)의 하단에 부착된 상태에서 중앙의 압착부(23)가 상향으로 만곡 형성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탄성편(22)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먼저, 탭단자(10)와 접속단자(20)간의 접속은 탭(11)을 압착시키는 탄성편(22)의 텐션력에 의해 이루어지나, 만일 탄성편(22)의 텐션력이 너무 강할 경우에는 탭(11)의 초기 삽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와 반대로 탄성편(22)의 텐션력이 너무 약할 경우에는 탭(11)의 초기 삽입에는 문제가 없으나, 삽입된 후의 탭(11)과 탄성편(22)과의 접압력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탭(11)의 초기 삽입시에는 원활한 삽입을 위해 저삽입력을 요하고, 또한 삽입된 후에는 견고한 결합을 위해 고접압력을 요하도록 탄성편(22)의 텐션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탄성편(22)에는 이러한 기능 즉, 저삽입력과 고접압력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로 탄성편(22)을 제작하게 되면 삽입홀(21)과 압착부(23)와의 거리가 비교적 먼 거리를 가질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탭단자(10)가 접속단자(20)에 접속되기 위해서는 탭단자(10)의 탭(11) 길이가 상기 삽입홀(21)과 압착부(23)와의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해야만 하며, 이는 길어진 길이만큼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탭(11)이 쉽게 휘어지거나 처지는 현상을 유발하게 됨으로서 결합시 탄성편(22)과의 접속불량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대편 탭단자와의 접속과정에서 탭단자의 삽입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고, 삽입된 후의 탭단자를 보다 강하게 접압시킬 수 있는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대편 탭단자에 구비된 탭이 삽입되는 통 형상의 접속부가 마련되고, 상기 접속부와 연결 결합된 상태로 순차되게 U자 형상의 심선 압착부 및 피복 압착부가 마련된 전선고정부를 구비한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내측부에는 횡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내향 돌출된 적어도 한 쌍의 유동방지돌기부를 마련하고, 상기 접속부 내부에는, 상기 전선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태로 종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접촉 리프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 리프는 상기 접속부 내부에서 자유롭게 확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탭을 상기 접속부에 삽입시, 각각의 상기 접촉 리프는 상기 접속부 내부에서 각각 종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탭을 탄력적으로 압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동방지돌기부는 상기 탭의 횡방향에 대한 유동발생을 억제시키는 커넥터용 접속단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속부 외측부에는 커넥터에 삽입 설치시, 상기 커넥터 내측과의 접압력이 증대되도록 외향 돌출되게 커넥터걸림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전선고정부에는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고정홈 및 위치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전선고정부가 연결 결합된 상태에서 형합되며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리프의 각 선 단부는 상기 접속부(100)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용 접속단자는, 상대편 탭단자의 탭이 삽입되는 접속부 내부에 횡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유동방지돌기부 및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확개되도록 상호 대향되게 한 쌍의 접촉 리프를 구비한다. 따라서, 접속부에 기 탭이 삽입될 경우, 접촉 리프는 탭을 종방향으로 압착시켜 종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유동방지돌기부는 탭을 횡방향으로 압착시켜 횡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켜 탭단자를 강하게 접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종래의 탭단자와 접속단자의 접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접속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전선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접속단자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전선고정부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Ⅵ-Ⅵ선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용 접속단자는, 접속부(100), 전선고정부(200), 접촉 리프(3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속부(100)는 상대편의 탭단자(도면미도시)에 구비된 탭이 삽입된다. 즉, 상기 접속부(100)는 이후 설명될 상기 전선고정부(200)의 선단부에 연결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접속부(100)는 상기 전선고정부(200)의 선단부와 용접에 의해 연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100)는 상기 탭단자의 탭이 삽입되게 공간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통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100)의 내측부에는 횡방향, 즉 도 3에서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적어도 한 쌍의 유동방지돌기부(110)를 돌출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유동방지돌기부(110)는 상기 탭단자의 탭이 상기 접속부(100) 내부로 삽입될 경우, 횡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탭을 탄력적으로 압착시켜 상기 탭이 횡방향에 대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접속부(100)의 외측부에는 커넥터걸림돌기부(120)를 외향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커넥터걸림돌기부(120)는 상기 접속부(100)를 커넥터(도면미도시) 상에 삽입 설치시, 상기 커넥터의 홈(도면미도시) 상에 삽입 걸림되면서 접압력을 증대시켜 내진동성이 향상되게 한다.
상기 전선고정부(200)는 전선(도면미도시)의 단부와 연결되어, 전류나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전선고정부(200)는 상기 접속부(100)와 연결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전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접속부(100)에 삽입된 상기 탭을 통해 상대편의 상기 탭단자로 전류나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전선고정부(200)는 상기 전선의 심선을 압착 고정하는 U자 형상의 심선 압착부(210)와, 상기 전선의 피복을 압착 고정하는 U자 형상의 피복 압착부(220)가 상기 접속부(100)를 기준으로 연결상태로 순차 구비된다.
이같은, 상기 접속부(100) 및 상기 전선고정부(200)에는 상호 연결 결합된 상태에서 충격이나 힘이 발생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고정돌기(130) 및 위치고정홈(2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위치고정돌기(130) 및 상기 위치고정홈(230)은 상기 접속부(100) 및 상기 전선고정부(200)를 용접에 의해 상호 연결 결합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상호 형합되면서, 상기 접속부(100)의 유동발생을 억제시키면서 내 진동성을 향상시키게 한다.
상기 접촉 리프(300)는 상기 전선고정부(200)의 상기 심선압착부(210)로부터 선단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100) 내부로 상기 탭단자의 탭이 삽입시, 상기 탭의 상하부를 탄력적으로 압착시켜 상기 탭이 종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접촉 리프(300)는 상기 접속부(100) 내부로 상기 탭단자의 탭이 삽입시, 상기 접속부(100)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확개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접촉 리프(300)는 상기 심선압착부(210)의 선단부로부터 종방향,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게 한 쌍이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상기 접촉 리프(300)의 사이에 상기 탭이 삽입되면서 압착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접촉 리프(300)에는 상기 탭과의 안정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상호 대향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적어도 한 쌍의 접점(31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접촉 리프(300)의 각 선 단부는 상기 접속부(100)의 내측면, 즉 외측 방향인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향하도록 일정각도로 휘어지게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접촉 리프(300)의 선 단부가 상기 접속부(100)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휘어지게 형성할 경우, 이후 상기 탭단자의 탭을 상기 접속부(100)에 삽입시, 한 쌍의 상기 접촉 리프(300)의 사이로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탭단자의 탭이 상기 접촉 리프(300)와 상기 접속부(100)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터용 접속단자의 연결 동작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대편의 상기 탭단자에 구비된 상기 탭을 상기 접속부(100) 내부로 삽입하면, 상기 접촉 리프(300)가 종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확개된다. 이때, 상기 접촉 리프(300)는 상기 접속부(100)의 내측면에 접촉될 때까지 확개된 후, 상기 탭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탭을 탄력적으로 압착하면서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탭이 상기 접속부(100) 내부로 삽입시, 상기 유동방지돌기부(110)는 상기 탭의 양측면부를 각각 압착시키면서 상기 탭이 상기 접속부(100)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커넥터용 접속단자는, 상대편 탭단자의 탭이 삽입되는 상기 접속부(100) 내부에 횡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유동방지돌기부(110) 및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확개되도록 상호 대향되게 한 쌍의 상기 접촉 리프(300)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100)에 상기 탭이 삽입될 경우, 상기 접촉 리프(300)는 상기 탭을 종방향으로 압착시켜 종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동방지돌기부(110)는 상기 탭을 횡방향으로 압착시켜 횡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켜 상기 탭단자를 강하게 접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접속부 110: 유동방지돌기부
120: 커넥터걸림돌기부 130: 위치고정돌기
200: 전선고정부 210: 심선압착부
220: 피복압착부 230: 위치고정홈
300: 접촉 리프 310: 접점

Claims (4)

  1. 상대편 탭단자에 구비된 탭이 삽입되는 통 형상의 접속부가 마련되고, 상기 접속부와 연결 결합된 상태로 순차되게 U자 형상의 심선 압착부 및 피복 압착부가 마련된 전선고정부를 구비한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내측부에는 횡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내향 돌출된 적어도 한 쌍의 유동방지돌기부를 마련하고,
    상기 접속부 내부에는, 상기 전선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태로 종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접촉 리프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 리프는 상기 접속부 내부에서 자유롭게 확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탭을 상기 접속부에 삽입시, 각각의 상기 접촉 리프는 상기 접속부 내부에서 각각 종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탭을 탄력적으로 압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동방지돌기부는 상기 탭의 횡방향에 대한 유동발생을 억제시키는 커넥터용 접속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 외측부에는 커넥터에 삽입 설치시, 상기 커넥터 내측과의 접압력이 증대되도록 외향 돌출되게 커넥터걸림돌기부가 형성된 커넥터용 접속단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전선고정부에는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고정홈 및 위치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전선고정부가 연결 결합된 상태에서 형합되며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키는 커넥터용 접속단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 리프의 각 선 단부는 상기 접속부(100)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휘어지게 형성된 커넥터용 접속단자.
KR2020100002654U 2010-03-15 2010-03-15 커넥터용 접속단자 KR201100089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654U KR20110008981U (ko) 2010-03-15 2010-03-15 커넥터용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654U KR20110008981U (ko) 2010-03-15 2010-03-15 커넥터용 접속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981U true KR20110008981U (ko) 2011-09-21

Family

ID=4509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654U KR20110008981U (ko) 2010-03-15 2010-03-15 커넥터용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98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3622B2 (en) Dual contact beam terminal
US9444172B2 (en) Connector
US8251758B2 (en) Electrical contact
EP3220486A1 (en) Electrical contact device, electrical contact unit as well as electrical connector
CN101546881B (zh) 连接器
EP2965387A1 (en)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US11394153B2 (en) Connector and terminal
EP3540854B1 (en) Connection terminal
CN109980370B (zh) 连接器
KR100982942B1 (ko) 커넥터
KR20110008981U (ko) 커넥터용 접속단자
WO2015012085A1 (ja) コネクタ用端子
CN219760029U (zh) 接线端子及断路器
CN107645079B (zh) 一种防松脱灯具连接器
CN110176680A (zh) 一种接触件及使用该接触件的连接器
TWM499672U (zh) 電連接器
CN220420940U (zh) 一种矩形插孔及大电流连接器
CN215497114U (zh) 电连接结构
CN215418616U (zh) 高载流连接器及连接器端子
KR200464159Y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KR102446801B1 (ko) 암단자
CN216903419U (zh) 插接件及插座
JP2012028084A (ja) コネクタ
KR102067359B1 (ko) 전기 커넥터의 터미널
CN209766685U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205

Effective date: 2014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