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699A - 휴대단말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699A
KR20110008699A KR1020090066181A KR20090066181A KR20110008699A KR 20110008699 A KR20110008699 A KR 20110008699A KR 1020090066181 A KR1020090066181 A KR 1020090066181A KR 20090066181 A KR20090066181 A KR 20090066181A KR 20110008699 A KR20110008699 A KR 20110008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ata
user data
user
phone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3587B1 (ko
Inventor
김상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587B1/ko
Priority to US12/804,394 priority patent/US8862549B2/en
Publication of KR20110008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6/2308Concurrency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06F16/113Details of arch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48Management of the data involved in backup or backup restore
    • G06F11/1451Management of the data involved in backup or backup restore by selection of backup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메모리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데이터 저장 방안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데이터의 백업 요청 시 백업할 확장영역을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데이터를 상기 확장영역으로 백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단말, 메모리, 내부영역, 확장영역, 기본영역, 백업, 이동, 복사

Description

휴대단말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 메모리부의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는 사용자데이터에 대한 이동/복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메모리 사용에 따른 사용자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의 메모리(memory)는 휴대단말의 제어 시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롬(ROM, Read Only Memory)과, 다양한 사용자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NVM, Non-Volatile Memory)와, 상기 프로그램 제어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여 처리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휴대단말의 전원(power)이 꺼지더라도 정보를 유지하여, 이후 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저장된 정보를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억장치로, 상기 휴대단말이 구동될 때 사용되는 특정 메모리를 나타낸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의 예시를 살펴보면, 마지막 다이얼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재다이 얼(Redial) 메모리, 수신한 호(Call)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수신호(Received Call) 메모리, 응답을 하지 않은 수신호에 대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미수신호(Missed Call) 메모리 및 일반적인 전화번호와 이름 등의 폰북 데이터를 저장하는 폰북(Phonenook) 메모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휴대단말을 사용하다 보면 메모리 관리를 위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의 특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삭제하거나 편집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폰북 데이터의 경우 휴대단말 제조 시마다 저장될 수 있는 개수가 한정된다. 즉, 상기 폰북 메모리의 경우 폰북 데이터 저장을 위해 할당되는 용량이 제한적으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해진 개수(메모리 용량)의 폰북 데이터를 기록한 경우에, 추후 새로운 폰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이전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폰북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폰북 데이터를 삭제하는 경우, 사용자는 필요 여하에 따라 삭제하는 해당 폰북 데이터를 따로 메모하거나 기억해야 한다. 또한, 삭제된 폰북 데이터가 다시 필요한 경우에는 삭제된 폰북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폰북 정보를 재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폰북 메모리의 용량 확보를 위하여,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폰북 데이터를 외부 저장매체로 이동할 수 있다. 하여 백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폰북 데이터의 이동은, 해당 폰북 데이터의 원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휴대단말의 메모리에서 임의의 폰북 데이터에 이미지, 이름, 전화번호1, 전화번호2, 전화번호3, 메일주소, 집주소, 그룹정보 등의 다양한 폰북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한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외부 저장매체로 이동되는 상기 폰북 데이터 형태는, 메모리에 저장된 원본의 폰북 데이터 포맷이 그대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정보 예컨대, 전화번호 및 이름만의 간단한 포맷으로 변환되어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 저장매체로 이동하는 폰북 데이터에 대해서, 추후 삭제된 폰북 정보를 재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메모리 영역 구분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특정 메모리 영역에 대하여 제한적으로 제공되는 메모리 용량을 사용자 임의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 메모리의 비휘발성 메모리 내에 저장되는 사용자데이터의 이동/복사를 통해 메모리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메모리의 사용자데이터를 다른 영역으로 이동 시, 이동되는 사용자데이터의 포맷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복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데이터의 백업 요청 시, 백업할 확장영역을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데이터를 상기 확장영역으로 백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 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 내부의 저장영역에 저장된 사용자데이터의 백업 요청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데이터의 백업 요청 시, 상기 사용자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하는 전송 데이터를 요청되는 내부 확장영역 또는 외부 확장영역으로 백업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데이터 백업 후, 상기 백업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상기 내부의 저장영역에 유지하거나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용도의 데이터를, 원본 소스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메모리 내 다른 영역 또는 외부로 이동/복사하여 백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한적인 메모리 용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데이터 저장 방식에 비해 데이터 관리의 효유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폰북 데이터와 같이 휴대단말 부팅 시 로딩되는 사용자데이터의 분할 관리를 통해, 휴대단말 부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먼저, 하기의 설명에서 메모리의 종류, 메모리의 저장 단위, 각 메모리의 명 칭, 데이터의 종류 등과 같은 예시들에 대한 특정 내용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의 특정 내용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의 특정 내용들이 제외되거나 또는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술되는 사용자데이터는,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되거나, 또는 외부(다른 휴대단말, 특정 서버 등)로부터 획득하여 저장되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로, 폰북(phone book) 데이터와,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및 EMS(E-mail Message Service) 등의 메시지 데이터와, 개인정보관리(PIM,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데이터와, 콜 로그(Call log) 데이터와, 이미지, 정지영상, 동영상 및 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사용자데이터로서 폰북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를 대표적인 예시로서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상기의 폰북 데이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사용자데이터들에도 응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 방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단말의 메모리 특히,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데이터를 메모리 내의 다른 저장영역 또는 외부의 다른 저장매체로 이동하거나 복사하는 백업 기능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에 따라 영역 구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의 각 사용자데이터별로 제한적으로 할당된 각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의 메모리 용량을 사용자 임의로 조절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메모리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서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사용자데이터가 이동되는 목적지의 대상 저장영역을 확장영역이라 칭하기로 한다. 즉, 상기 확장영역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내에서 현재 기능이 수행되는 특정 영역을 제외한 모든 다른 영역들이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또한 휴대단말에 별도로 구비되는 외부 저장매체가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저장된 사용자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내의 다른 영역 또는 외부의 다른 저장매체로 이동/복사하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메모리 활용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특히, 상기 도 1a 및 도 1b에서는 상기 메모리에 분할된 다양한 저장영역들 중 사용자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에 대한 활용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휴대단말의 메모리(100)는 휴대단말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한다. 상기 정보들은 예컨대, 휴대단말의 시스템 구동 제어를 위한 구동 프로그램,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들 및 사용자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데이터들은 전술한 예시들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모리(100)는 휴대단말의 전원이 오프(off)되더라도 상기 정보들을 유지하도록 하는 저장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영역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데이터들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의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115)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115)은 상기 메모리(100)의 저장영역 중 상기 사용자데이터 저장을 위해 소정 용량이 할당된 저장영역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115)은 휴대단말에서 각 사용자데이터별로 기본적으로 할당되는 기본영역과, 상기 사용자데이터의 이동을 위한 확장영역으로 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115)은 사용자데이터 타입(type)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저장영역, B 저장영역, C 저장영역 및 D 저장영역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115)은 사용자의 콜(call) 발신에 따른 정보(발신 전화번호 등)를 저장하는 발신호 저장영역, 다른 휴대단말로부터의 콜 수신에 따른 정보(수신 전화번호 등)를 저장하는 수신호 저장영역, 미수신 콜에 대한 정보(미수신 전화번호 등)를 저장하는 미수신호 저장영역,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동적/정적 영상 데이터, 음악파일 데이터 등)를 저장하는 멀티미디어 저장영역, 메시지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영역, 사용자 설정에 대응하는 폰북 정보(전화번호, 이름, 이미지, 기타정보 등)를 저장하는 폰북 저장영역 등으로 이루 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A 저장영역이 폰북 저장영역(125)인 경우를 가정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예시에 대응하는 상기 A 저장영역, 상기 B 저장영역, 상기 C 저장영역 및 상기 D 저장영역 각각은 상기 기본영역에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100)의 상기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115)에 저장되는 각 사용자데이터들에 대하여 이동 또는 복사에 의한 백업(backup) 기능을 제공한다. 즉, 종래 휴대단말에서는 상기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115)의 사용자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데이터별로 할당된 해당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삭제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종래 휴대단말에서는 각 사용자데이터별로 구분된 각각의 저장영역 간에 사용자데이터의 이동 또는 복사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며, 단지 특정 저장영역의 사용자데이터만을 외부 저장매체로 이동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예시한 폰북 저장영역(125)을 예시로 살펴보면, 사용자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다양한 폰북 정보 입력 후 폰북 데이터로서 저장을 요청할 시, 휴대단말에서는 상기 폰북 정보를 포함하는 폰북 데이터를 상기 폰북 저장영역(125)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폰북 정보는 이미지, 이름,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 메일, 생일, 사용자별 지정 벨소리, 그룹, 주소 및 메모 등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폰북 저장영역(125)에 할당된 가용 용량이 풀(full) 상태이거나 또는 가용 용량이 부족한 경우, 상기에서 생성한 폰북 데이터의 저장을 취소하거나, 또는 이전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폰북 데이터를 삭제한 후, 다시 상 기 폰북 정보를 새로 작성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는, 사용자는 상기 폰북 저장영역(125)의 폰북 데이터를 외부 저장매체로 이동하여 상기 폰북 저장영역(125)의 용량을 확보한 후 새로운 폰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서는 상기 폰북 데이터를 외부 저장매체로 이동할 시 상기 폰북 데이터를 구성하는 폰북 정보에서 일부가 제거된 간략 폰북 정보만 포함되게 그 포맷이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예시를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폰북 데이터가 이동/복사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여기서, 상기 도 2a는 종래 휴대단말에서 특정 폰북 데이터를 휴대단말의 저장영역에서 외부 저장매체의 외부영역으로 이동/복사하는 경우의 데이터 포맷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2b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 특정 폰북 데이터를 휴대단말의 저장영역(기본영역)에서 확장영역(내부영역 또는 외부영역)으로 이동/복사하는 경우의 데이터 포맷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특정 다른 사용자에 대한 폰북 데이터를 설정함에 있어서, 이름(닉네임),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비롯하여, 이미지, 메일, 생일, 벨소리, 그룹, 주소 및 메모 등의 다양한 필드값을 입력하여 하나의 폰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2a 및 도 2b의 예시와 같이, 사용자는 이미지, 이름, 3개의 전화번호(번호1, 번호2, 번호3), 메일, 생일, 벨소리, 그룹, 주소 및 메모의 필드 값을 각각 입력하여 폰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필득 값을 참조하여, 각각의 필드에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는 폰북 데이터를 생성하여 휴대단말의 저장영역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종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저장하는 폰북 데이터를 외부영역(외부 저장매체)으로 이동/복사 시, 상기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에 따른 필드 값들 중 제한적인 필드 값으로만 구성된 폰북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영역으로 이동/복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외부영역으로 이동/복사된 폰북 데이터에 대하여, 제거된 필득 값들에 대하여 사용자 기억에 의존하여 재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저장하는 폰북 데이터를 휴대단말의 내부의 확장영역 또는 외부의 외부영역으로 이동/복사 시, 상기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 설정된 필드 값의 제거 없이, 이전 설정된 모든 필드 값들을 포함하는 원본 그대로 데이터 포맷을 유지하여 확장영역 또는 외부영역으로 이동/복사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메모리(100)의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115)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사용자데이터 저장에 따른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메모리(100)의 저장영역들 중 각 사용자데이터별로 할당된 상기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115)을 사용자 조작에 따라 영역을 재구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115)의 사용자데이터를 외부 저장매 체로 이동 또는 복사할 시, 이동 또는 복사되는 사용자데이터의 포맷의 변경 없이 그대로 이동 또는 복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115)에서 각 사용자데이터별로 할당된 각각의 기본영역을 확장영역으로서 활용하도록 한다. 상기 확장영역은 상기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115) 중 어느 하나의 저장영역에 저장된 사용자데이터가 이동되는 목적지의 다른 저장영역을 나타낸다. 즉, 상기 확장영역은 상기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115) 내에서 현재 기능이 수행되는 특정 영역을 제외한 모든 다른 영역들이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또한 휴대단말에 별도로 구비되는 외부 저장매체가 대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 1a 및 도 1b에서 상기 A 저장영역이 폰북 저장영역(125)이고, 사용자로부터 폰북 데이터의 이동이 요청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115) 중 상기 폰북 저장영역(125)은 현재 기능이 수행되는 기본영역으로서 운용되는 저장영역이 되고, 상기 폰북 저장영역(125)을 제외한 다른 저장영역(B 저장영역 내지 D 저장영역)(135)은 상기 이동 요청되는 사용자데이터가 이동 가능한 확장영역으로서 운용되는 저장영역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생성하는 사용자데이터 저장 시, 해당 사용자데이터에 해당하는 기본영역의 가용 용량이 부족하거나 풀 상태인 경우에도, 해당 기본영역에서 임의의 사용자데이터를 확장영역으로 이동함으로써 기본영역의 용량을 간편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생성하는 사용자데이터를 초기부터 확장영역으로 바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데이터를 사용자데이터 타입에 따 른 해당 저장영역 즉, 기본영역이 아닌 확장영역으로 저장하거나, 또는 기본영역의 사용자데이터를 확장영역으로 이동/복사할 시, 해당 사용자데이터는 기본영역에 관련된 주소테이블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주소테이블의 예시는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44237373-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상기 확장영역으로 이동/복사되는 사용자데이터의 관리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휴대단말은 확장영역으로 이동/복사되는 사용자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데이터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정보, 해당 사용자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ID), 해당 사용자데이터의 사용자데이터 타입에 대응하게 할당된 기본영역 정보 및 해당 사용자데이터가 이동/복사/저장되는 확장영역 정보를 테이블(table) 형태로 기록저장 관리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이동/복사/저장되는 각 사용자데이터들에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관리를 수행한다.
이에 의하여, 서로 다른 저장영역에 각각 저장되는 하나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즉, 동일한 사용자데이터 타입을 가지는 사용자데이터들 간에 연계가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폰북 저장영역(125)에 데이터1 내지 데이터500의 500개의 폰북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확장영역(135)으로 이용되는 저장영역들 중, 상기 B 저장영역에 데이터501 내지 데이터700의 200개의 폰북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확장영역(135)으로 이용되는 저장영역들 중 상기 D 저장영역에 데이터 701 내지 데이터 1000의 300개의 폰북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가정하여 살펴보면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이 분산된 폰북 데이터들을 다음과 같이 관리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4237373-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은 전체 폰북 데이터를 각 저장영역에 따라 폰북1, 폰북2 및 폰북3과 같이 카테고리를 구분하여 관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폰북1, 폰북2 및 폰북3의 각 카테고리의 모든 폰북 데이터들을 하나의 폰북 카테고리에 속한 데이터들로 관리함으로써, 각 폰북 데이터들의 연결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 2>와 같이 하나의 폰북 카테고리 내에 분할된 소 카테고리(폰북1, 폰북2 및 폰북3)로 구분하여, 각 저장영역별로 데이터들을 관리함으로써, 기본영역과 확장영역으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종래에서는 폰북 저장영역 내에 1000개의 폰북 데이터들이 저장되며, 각 폰북 데이터들 간의 영역 구분이 되지 않음에 따라, 휴대단말은 초기 부팅 시 1000개의 폰북 데이터들에 대한 로딩을 수행해야 한다. 즉, 종래의 휴대단말에서는 폰북 데이터를 하나의 카테고리 안에 전체 폰북 데이터가 저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경우, 휴대단말 부팅 시, 초기 로딩되는 폰북 데이터가 상기 폰북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체 폰북 데이터이므로, 그 개수가 많은 경우 로딩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단말 초기 부팅 시 로딩되는 폰북 데이터를 기본영역(폰북 저장영역)의 폰북 데이터들로 지정할 시, 휴대단말은 데이터1 내지 데이터 500의 500개의 데이터에 대한 로딩만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단말의 폰북 데이터 로딩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결국 휴대단말의 부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휴대단말 부팅 시, 상기 폰북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저장영역들 중 기본영역으로 할당된 폰북 데이터만을 로딩함에 따라 휴대단말 부팅에 따른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115)은 각 사용자데이터별로 기본적으로 소정 용량이 할당되는 기본영역을 포함하며, 또한 각 기본영역에 저장되는 각 사용자데이터들의 이동/복사를 위해 가변적인 용량이 할당되는 확장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확장영역은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115)의 기본영역 및 외부 저장매체의 외부영역을 상기 확장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사용자데이터의 이동(복사)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데이터에 대한 이동(복사) 기능이 요청되면(301단계), 상기 요청되는 해당 사용자데이터를 이동할 저장영역을 확인한다(303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확장영역으로 이동할 것인지, 외부영역으로 이동할 것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아울러, 상기 확장영역으로 이동인 경우, 상기 확장영역으로 할당되는 기본영역들 중 어느 영역에 이동할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데이터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상기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데이터 선택 후 이동(복사) 기능을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사용자데이터에 대한 이동(복사) 방식을 체크한다(305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데이터 이동(복사)이 자동 방식에 의한 것인지, 또는 수동 방식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한다(307단계).
상기 305단계 및 307단계에서 자동 방식에 의한 이동(복사)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이동(복사)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데이터를 분석한다(309단계). 예를 들면, 전술한 도 1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사용자데이터의 포맷 정보를 식별한다. 즉,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폰북 데이터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폰북 데이터를 구성하는 폰북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폰북 데이터 생성 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이름(닉네임),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비롯하여, 이미지, 메일, 생일, 벨소리, 그룹, 주소 및 메모 등의 다양한 필드 값을 식별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사용자데이터 분석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가지는 포맷 정보에 대응하게 전송 데이터를 생성한다(311단계). 상기 전송 데이터는 확장영역 또는 외부영역으로 이동(복사) 시 이용되는 데이터로서, 원본 사용자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버퍼(Buffer) 상에 복사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임시 생성하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확장영역 또는 외부영역으로 이동(복사)하고, 이후 사용자데이터의 이동 또는 복사 여부에 따라 상기 전송 데이터의 원본이 되는 사용자데이터를 기본영역에서 삭제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전송 데이터 생성 후, 확장영역(또는 외부영역)의 가용용량을 확인하여 저장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한다(313단계, 315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이동/복사 요청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데이터 즉, 상기 전송 데이터의 용량과, 상기 전송 데이터를 이동(복사)할 확장영역(내부 확장영역 또는 외부영역) 즉, 상기 303단계에서 판단하는 저장영역의 용량을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전송 데이터가 이동(복사)될 대상 저장영역의 용량이 충분한지 여부를 판별한다.
다음으로, 전송 데이터를 이동(복사)할 확장영역(내부 확장영역 또는 외부영역)의 가용용량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전송 데이터를 해당 확장영역(내부 확장영역 또는 외부영역)으로 전송한다(317단계).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이동(복사)에 따른 처리를 완료한다(319단계). 예를 들면, 사용자데이터의 전송 방식에 따라, 이동인 경우 상기 전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데이터를 기본영역에서 삭제하고, 복사인 경우 상기 전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데이터를 기본영역에 유지한다.
반면, 전송 데이터를 이동(복사)할 확장영역(내부 확장영역 또는 외부영역)의 가용용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은 설정된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가용용량 부족으로 인하여 요청된 사용자데이터의 이동(복사)이 불가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부족한 가용용량만큼만 사용자데이터 일부는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와 전송되지 않는 데이터 및 에러 이류를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05단계 및 307단계에서 수동 방식에 의한 이동(복사)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303단계에서 판단하는 확장영역의 상태를 표시한다(331단계).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확장영역에 이전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폴더, 사용자데이터 등)가 존재할 시 그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영역(상위 카테고리, 또는 폴더 진입을 통한 하위 카테고리)을 지정받고, 저장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33단계). 상기 333단계의 결과 저장 요청이 있으면, 상기 휴대단말은 전술한 309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사용자데이터에 대한 이동(복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333단계의 결과 저장 요청이 없으면, 상기 휴대단말은 요청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301단계에서 수행된 이동(복사) 기능 종료, 이동할 사용자데이터의 재선택 절차, 이동(복사) 방식의 재설정 절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사용자데이터를 기본영역 외의 다른 저장영역(메모리부 내부의 확장영역, 외부 저장매체의 저장영역)으로 이동/복사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자데이터를 이동 및 복사하는 운용 동작에 대한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운용 동작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사용자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4에서는 상기 사용자데이터로서 폰북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를 일실시 예로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데이터는 폰북 데이터 외에 메시지 데이터(SMS, MMS 등), 콜 데이터(발신/수신 데이터 등), 촬영 데이터(사진/동영상 데이터 등) 등과 같이 휴대단말에서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4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의 폰북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참조부호 410의 예시와 같이, 이름, 전화번호(휴대단말, 집, 직장 등), 그룹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도 4를 예시로 살펴보면, 상기 폰북 데이터는 '이름:ABC, 번호1:01012345678, 번호2:02345987, 번호3:025559876, 그룹:친구'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조부호 410에서는 생략되었으나, 상기한 사용자 정보 외에, 이미지, 메일, 주소, 벨소리, 메모리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 입력에 의하여 폰북 데이터를 구성하여 희망하는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 정보 입력 후 해당 폰북 데이터에 대한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참조부호 4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정보가 입력된 폰북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을 선택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참조부호 4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된 '기본영역'과 '확장영역' 중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저장영역이 선택되면, 해당 저장영역으로 상기 폰북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설정 방식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설정 방식에 따른 저장은 자동방식에 의한 저장과 수동방식에 의한 저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폰북 데이터에 대한 저장영역으로 상기 '확장영역'이 선택되고 저장방식이 자동방식인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이 입력되는 폰북 데이터에 대한 저장이 요청되면, 상기 자동방식에 따라 상기 폰북 데이터를 식별하여 상기 폰북 데이터의 타입 및 카테고리를 구분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저장 요청되는 상기 데이터가 폰북 데이터임을 식별하고, 상기 폰북 데이터의 카테고리가 '친구' 그룹에 해당함을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은 상기 폰북 데이터 설정 시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의 파싱을 통해 식별 가능하며,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전술한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폰북 데이터의 포맷으로부터 파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은 식별 과정에 의하여, 저장 요청되는 데이터가 폰북 데이터이고, '친구'라는 카테고리에 해당함을 인지하고, 상기 확장영역 중 '친구' 카테고리를 검색하여 상기 폰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확장영역에 '친구' 카테고리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확장영역에 '친구' 카테고리를 생성한 후 상기 폰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4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폰북 데이터가 '확장영역/친구' 영역에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폰북 데이터에 저장영역으로 상기 '확장영역'이 선택되고 저장방식이 수동방식인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이 입력되는 폰북 데이터에 대한 저장이 요청되면, 상기 수동방식에 따라 참조부호 4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확장영역 중 상기 폰북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을 선택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참조부호 4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확장영역으로서 상기 휴대단말의 메모리 내부에 할당된 확장영역인 '내부영역'과 상기 휴대단말 외부에 별도로 결합되는 외부 확장매체(외부 저장매체)인 '외부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지를 팝업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내부영역' 및 '외부영역' 중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확장영역이 선택되면, 해당 확장영역으로 상기 폰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내부영역'이 선택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4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부영역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부에 할당된 내부의 확장영역에 이전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데이터가 존재할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데이터를 제공하며, 만약 상기 내부의 확장영역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그룹 폴더가 존재할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그룹 폴더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데이터 및 그룹 폴더가 동시에 존재할 시 사용자데이터 및 그룹 폴더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450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폰북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하는 영역을 지정한 후 저장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폰북 데이터를 저장 요청되는 해당 영역에 저장하고, 참조부호 4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폰북 데이터가 요청된 영역 예컨대, '확장영역/친구' 영역에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사용자데이터를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의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5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 메모리 중 사용자데이터의 타입별로 할당된 임의의 기본영역(예컨대, 폰북 데이터 영역)에서 임의의 사용자데이터를 상기 내부 메모리의 확장영역으로 이동하는 동작의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 5에서는 상기 사용자데이터로서 폰북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를 일실시 예로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데이터는 폰북 데이터 외에 메시지 데이터(SMS, MMS 등), 콜 데이터(발신/수신 데이터 등), 촬영 데이터(사진/동영상 데이터 등) 등과 같이 휴대단말에서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5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에 따른 사용자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5에서는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폰북 데이터인 것을 예로 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폰북 데이터에 대한 요청이 있을 시 내부 메모리 중 상기 폰북 데이터의 저장영역으로 할당된 기본영역을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폰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510과 같은 폰북 데이터들 중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폰북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폰북 데이터를 하이라이트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선택되지 않은 다른 폰북 데이터와 구별되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부호 5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참조부호 510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폰북 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을 통해 '이동' 명령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5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선택된 폰북 데이터에 대하여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530에서는 이동 방식을 선택하는 메시지를 팝업으로 제공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즉, 상기 참조부호 5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에서 선택된 폰북 데이터에 대하여 자동 이동방식에 의해 이동할 것인지, 또는 수동 이동방식에 의해 이동할 것인지를 요청하는 '자동 이동하시겠습니까?'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참조부호 5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이동 방식이 선택되면, 해당 이동 방식으로 상기 폰북 데이터를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 이동방식과 수동 이동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참조부호 530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예'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은 자동 이동방식에 의한 이동 절차를 수행하고, '아니오'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은 수동 이동방식에 의한 이동 절차를 수행한다.
먼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자동 이동방식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5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폰북 데이터를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영역을 결정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이동하고자 하는 폰북 데이터를 메모리부 내부의 확장영역으로 이동할 것인지 또는 외부의 다른 저장매체의 외부영역으로 이동할 것인지를 결정 요청하는 메시지를 팝업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참조부호 5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장영역'과 '외부영역' 중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저장영역이 선택되면, 해당 저장영역으로 상기 폰북 데이터를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폰북 데이터에 대한 저장영역으로 상기 '확장영역'이 선택될 시, 상기 휴대단말은 이동할 각 폰북 데이터들을 식별하여 각 폰북 데이터들의 타입 및 카테고리를 구분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이동 요청되는 데이터들이 폰북 데이터임을 식별하고, 상기 폰북 데이터들의 각 카테고리 예컨대, 그룹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구', '가족', '직장' 등의 그룹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도 5에서는 하나의 폰북 데이터가 선택되고, 상기 폰북 데이터가 '가족'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은 식별 과정에 의하여, 이동 요청되는 데이터가 폰북 데이터이고, '가족'이라는 카테고리에 해당함을 인지하고, 상기 확장영역 중 '가족' 카테고리를 검색하여 상기 폰북 데이터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확장영역에 '가족' 카테고리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확장영역에 '가족' 카테고리를 생성한 후 상기 폰북 데이터를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5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요청된 폰북 데이터가 '확장영역/가족' 영역에 이동되었음을 알리는 '확장영역/가족에 이동되었습니다.' 등과 같은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수동 이동방식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5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폰북 데이터를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 영역을 결정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참조부호 5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의 메모리 내부에 할당된 확장영역과 상기 휴대단말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외부 저장매체인 외부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지를 팝업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확장영역 및 외부영역 중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저장영역이 선택되면, 해당 저장영역으로 상기 폰북 데이터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영역'이 선택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5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확장영역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영역에 이전에 이동/복사되어 저장된 사용자데이터가 존재할 시, 상기 휴대단말은 해당 사용자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영역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그룹 폴더가 존재할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그룹 폴더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데이터 및 그룹 폴더가 동시에 존재할 시 사용자데이터 및 그룹 폴더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560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폰북 데이터를 이동하고자 하는 영역을 지정한 후 이동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이동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폰북 데이터를 이동 요청되는 해당 영역으로 이동하고, 참조부호 6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폰북 데이터가 요청된 영역 예컨대, '확장영역/가족' 영역으로 이동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휴대단말에서 사용자데이터를 다른 영역으로 복사하는 과정의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6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 메모리 중 사용자데이터의 타입별로 할당된 임의의 기본영역(예컨대, 폰북 데이터 영역)에서 임의의 사용자데이터를 상기 내부 메모리의 확장영역으로 이동하는 동작의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 6에서는 상기 사용자데이터로서 폰북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를 일실시 예로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데이터는 폰북 데이터 외에 메시지 데이터(SMS, MMS 등), 콜 데이터(발신/수신 데이터 등), 촬영 데이터(사진/동영상 데이터 등) 등과 같이 휴대단말에서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6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에 따른 사용자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6에서는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폰북 데이터인 것을 예로 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폰북 데이터에 대한 요청이 있을 시 내부 메모리 중 상기 폰북 데이터의 저장영역으로 할당된 기본영역을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폰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610과 같은 폰북 데이터들 중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폰북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폰북 데이터를 하이라이트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선택되지 않은 다른 폰북 데이터와 구별되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부호 6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참조부호 610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폰북 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을 통해 '복사' 명령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6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선택된 폰북 데이터에 대하여 복사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630에서는 복사 방식을 선택하는 메시지를 팝업으로 제공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즉, 상기 참조부호 6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에서 선택된 폰북 데이터에 대하여 자동 복사방식에 의해 복사할 것인지, 또는 수동 복사방식에 의해 복사할 것인지를 요청하는 '자동 복사하시겠습니까?'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참조부호 6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복사 방식이 선택되면, 해당 복사 방식으로 상기 폰북 데이터를 복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사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 복사방식과 수동 복사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참조부호 630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예'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은 자동 복사방식에 의한 복사 절차를 수행하고, '아니오'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은 수동 복사방식에 의한 복사 절차를 수행한다.
먼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자동 복사방식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6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폰북 데이터를 복사하고자 하는 복사영역을 결정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이동하고자 하는 폰북 데이터를 메모리부 내부의 확장영역으로 복사할 것인지 또는 외부의 다른 저장매체의 외부영역으로 복사할 것인지를 결정 요청하는 메시지를 팝업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참조부호 6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장영역'과 '외부영역' 중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저장영역이 선택되면, 해당 저장영역으로 상기 폰북 데이터를 복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폰북 데이터에 대한 저장영역으로 상기 '확장영역'이 선택될 시, 상기 휴대단말은 복사할 각 폰북 데이터들을 식별하여 각 폰북 데이터들의 타입 및 카테고리를 구분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복사 요청되는 데이터들이 폰북 데이터임을 식별하고, 상기 폰북 데이터들의 각 카테고리 예컨대, 그룹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구', '가족', '직장' 등의 그룹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는 하나의 폰북 데이터가 선택되고, 상기 폰북 데이터가 '가족'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은 식별 과정에 의하여, 복사 요청되는 데이터가 폰북 데이터이고, '가족'이라는 카테고리에 해당함을 인지하고, 상기 확장영역 중 '가족' 카테고리를 검색하여 상기 폰북 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확장영역에 '가족' 카테고리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확장영역에 '가족' 카테고리를 생성한 후 상기 폰북 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6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사 요청된 폰북 데이터가 '확장영역/가족' 영역에 복사되었음을 알리는 '확장영역/가족에 복사되었습니다.' 등과 같은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수동 복사방식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6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폰북 데이터를 복사하고자 하는 복사 영역을 결정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참조부호 7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의 메모리 내부에 할당된 확장영역과 상기 휴대단말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외부 저장매체인 외부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지를 팝업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확장영역 및 외부영역 중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저장영역이 선택되면, 해당 저장영역으로 상기 폰북 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영역'이 선택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6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확장영역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영역에 이전에 이동/복사되어 저장된 사용자데이터가 존재할 시, 상기 휴대단말은 해당 사용자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영역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그룹 폴더가 존재할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그룹 폴더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데이터 및 그룹 폴더가 동시에 존재할 시 사용자데이터 및 그룹 폴더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660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폰북 데이터를 복사하고자 하는 영역을 지정한 후 복사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복사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폰북 데이터를 복사 요청되는 해당 영역으로 복사하고, 참조부호 7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폰북 데이터가 요청된 영역 예컨대, '확장영역/가족' 영역으로 복사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분할된 저장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저장영역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데이터에 대한 편집 및 삭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조작으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에 의해 조작하거나, 일반적인 키패드의 키 조작에 의해 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터치스크린 타입의 휴대단말을 비롯하여, 폴더 타입, 바 타입, 슬라이드 타입 등의 모든 타입의 휴대단말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및 휴대게임단말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메모리 활용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폰북 데이터가 이동/복사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사용자데이터의 이동(복사)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사용자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사용자데이터를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의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휴대단말에서 사용자데이터를 다른 영역으로 복사하는 과정의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Claims (18)

  1.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데이터의 백업 요청 시 백업할 확장영역을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데이터를 상기 확장영역으로 백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영역은,
    메모리 내의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을 이루는 다수개의 기본영역들 중 상기 사용자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할당된 기본영역 외의 나머지 다른 적어도 하나의 기본영역들에 의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영역은,
    외부 저장매체의 외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데이터를 상기 확장영역으로 백업한 후, 상기 사용자데이터에 대한 삭제 및 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데이터에 대한 백업이 이동일 시, 상기 전송 데이터 백업 후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에서 삭제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데이터에 대한 백업이 복사일 시, 상기 전송 데이터 백업 후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에서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부팅 시, 상기 사용자데이터에 대한 기본영역 내의 사용자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영역 및 상기 확장영역 간의 동일 카테고리를 가지는 사용자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데이터를 상기 확장영역으로 백업 전, 상기 확장영역의 가용용량을 체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영역으로 백업하는 상기 전송 데이터는 상기 기본영역에 저장된 원본의 상기 사용자데이터 포맷과 동일한 포맷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하는 과정은,
    상기 확장영역의 기본영역들 및 상기 외부영역 중 어느 하나에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은,
    상기 확장영역이 개별적으로 분할된 상기 기본영역들의 어느 하나인지 또는 상기 외부영역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데이터의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장영역에 상기 사용자데이터의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가 존재하는지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확장영역에 동일한 카테고리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사용자데이터의 카테고리를 상기 확장영역에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영역에 동일한 카테고리가 존재할 시,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상기 확장영역의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되도록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14.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 내부의 저장영역에 저장된 사용자데이터의 백업 요청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데이터의 백업 요청 시, 상기 사용자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하는 전송 데이터를 요청되는 내부 확장영역 또는 외부 확장영역으로 백업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데이터 백업 후, 상기 백업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상기 내부의 저장영역에 유지하거나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영역은,
    메모리 내의 사용자데이터 저장영역을 이루는 다수개의 기본영역들 중 상기 사용자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할당된 기본영역 외의 나머지 다른 적어도 하나의 기 본영역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데이터에 대한 백업이 이동일 시, 상기 전송 데이터 백업 후 상기 기본영역의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삭제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데이터에 대한 백업이 복사일 시, 상기 전송 데이터 백업 후 상기 기본영역의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데이터의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되는 해당 확장영역에 상기 사용자데이터의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가 존재하는지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확장영역에 동일한 카테고리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사용자데이터의 카테고리를 상기 확장영역에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영역에 동일한 카테고리가 존재할 시,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상기 요청되는 해당 확장영역의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되도록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이터 관리 방법.
KR1020090066181A 2009-07-21 2009-07-21 휴대단말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장치 KR101593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181A KR101593587B1 (ko) 2009-07-21 2009-07-21 휴대단말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장치
US12/804,394 US8862549B2 (en) 2009-07-21 2010-07-21 Data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181A KR101593587B1 (ko) 2009-07-21 2009-07-21 휴대단말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699A true KR20110008699A (ko) 2011-01-27
KR101593587B1 KR101593587B1 (ko) 2016-02-12

Family

ID=4349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181A KR101593587B1 (ko) 2009-07-21 2009-07-21 휴대단말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62549B2 (ko)
KR (1) KR1015935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1878A (zh) * 2011-07-18 2013-01-23 索尼公司 无线数据传输方法和传输系统、客户端与服务端控制器
JP6102108B2 (ja) * 2012-07-24 2017-03-29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データ提供方法、及びデータ提供プログラム
AR093909A1 (es) 2012-12-12 2015-06-24 Bayer Cropscience Ag Uso de ingredientes activos para controlar nematodos en cultivos resistentes a nematodos
US9342134B2 (en) * 2013-09-27 2016-05-17 Intel Corporation Power consumption reduction in a computing device
CN104657043A (zh) * 2013-11-19 2015-05-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媒体数据备份方法、用户终端及同步装置
US10120896B2 (en) 2014-02-18 2018-1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nchronizing data-sets
JP6439299B2 (ja) * 2014-07-09 2018-12-19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情報処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ストレージデバイス及びプログラム
CN104572348A (zh) * 2014-12-03 2015-04-2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
CN104572349A (zh) * 2014-12-03 2015-04-2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数据备份方法
JP2022021260A (ja) * 2020-07-21 2022-02-02 富士通株式会社 ストレージ制御装置、ストレージ装置及びストレージ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271A (ko) * 2002-11-13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팅 방법
KR20050069327A (ko) * 2003-12-31 2005-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외부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백업/복원이 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14913A (ko) * 2004-08-12 200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데이터의 백업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1987B (en) * 1995-06-05 2000-01-12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 telephone text transmission system
US20060286971A1 (en) * 2005-06-17 2006-12-21 Maly John W Automatic storage of contact information on a cellular phone
US7849267B2 (en) * 2006-06-30 2010-12-07 Moka5, Inc. Network-extended storage
US8904552B2 (en) * 2007-04-17 2014-1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formation stored in storage
CN101651860A (zh) * 2008-08-15 2010-02-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通讯录传送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271A (ko) * 2002-11-13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팅 방법
KR20050069327A (ko) * 2003-12-31 2005-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외부저장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백업/복원이 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14913A (ko) * 2004-08-12 200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데이터의 백업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22568A1 (en) 2011-01-27
KR101593587B1 (ko) 2016-02-12
US8862549B2 (en)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587B1 (ko) 휴대단말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장치
KR101036697B1 (ko) 컨택 및 아이템을 피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694924B2 (en)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managing file and folder
US8799818B2 (en) Content search method and mobile terminal having content search function
EP2281270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ent use assignment by exploiting social graph information
KR102100952B1 (ko) 데이터 관리를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2498568B1 (en) Method for displaying related inform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90003797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Content Tagging
CN103069722B (zh) 用于在移动终端中的联系人信息管理的方法和设备
US10567498B2 (en) Terminal and serve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CN105210032B (zh) 应用程序的登记和交互
US20140297586A1 (en) Device and method for cloud file management
KR20090091351A (ko) 네트워크 환경에서 콘텐트 선택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EP2103124A2 (en) Systems,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providing for reflective media
CN1946220A (zh) 在移动通信终端中查找用户数据的方法
CN104219356A (zh) 一种显示搜索联系人信息的方法、装置和移动终端
JP507904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生成方法
US200800468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pplication in a portable terminal
KR101182534B1 (ko) 플랫폼 라이브러리내 상호 에이피아이 호출기능이 구비된단말장비, dsl 모듈 생성방법 및 상호 에이피아이호출방법
RU2416173C2 (ru) Метод формировани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информационного списка в мобильном терминале с двумя рабочими и двумя дежурными режимами
KR10064710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7456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저장 방법
KR2005007197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진 파일 관리 방법
KR100548340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목록 관리방법
KR20080071442A (ko) 수신 메시지 저장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