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628U - 호안블럭 조립체 - Google Patents

호안블럭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628U
KR20110008628U KR2020100002186U KR20100002186U KR20110008628U KR 20110008628 U KR20110008628 U KR 20110008628U KR 2020100002186 U KR2020100002186 U KR 2020100002186U KR 20100002186 U KR20100002186 U KR 20100002186U KR 20110008628 U KR20110008628 U KR 201100086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portion
main body
block
raft blo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3554Y1 (ko
Inventor
노강호
권기록
권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트리온토아코리아주식회사
노강호
권기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트리온토아코리아주식회사, 노강호, 권기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100002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55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6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6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5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안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이나 하천의 경사면에서 발생하는 모래유실 하천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면에 설치되는 호안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양측단에 간격유지부재가 돌출형성되며 중앙에는 어소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단에 형성되는 수결착부와, 상기 본체의 타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수결착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암결착부로 구성되는 호안블럭을 포함하되,상기 호안블럭은 다수가 인접하여 결합 되어지며, 상기 어느 한 암결착부는 이웃하는 다른 호안블럭의 수결착부에 서로 결합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 조립체를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호안블럭 조립체{Assembly for revetment block}
본 고안은 호안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이나 하천의 경사면에서 발생하는 모래유실 하천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면에 설치되는 호안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하천이나 유수지의 호안에는 경사진 법면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경사진
법면이 강우 등에 의해 붕괴되거나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진 법
면에 다수의 호안 블럭을 설치하는 공법이 사용되는 것은 일반적이다.
경사진 법면에 설치되는 호안 블럭은 수류의 압력이나 양력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도록 인접하는 호안 블럭과 연결 가능한 체결부를 가지거나 일정한 무게를 가
질 수 있도록 콘크리트 블럭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인접하는 호안 블럭과의 체결
을 위해 볼트나 리벳 등 금속 소재의 결합부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호안 블럭은 설치되는 하천 등을 자연친화적인 환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초목의 식생이 가능하거나 어패류의 서식을 도울만한 어소 등이 형성되는 구
조를 가지도록 고안되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인접한 호안 블럭 간의 결합 시 금속 소재의 결합부재 사용 없이
호안 블럭만으로 일체로 체결될 수 있는 호안 블럭 조립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
다.
또한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하부로부터 적층하거나 상부로부터 적층 가능하
며, 설치되는 경사지 법면의 다양한 각도에 적용 가능한 호안 블럭 조립체의 제공
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블럭 사이의 공간에 자갈, 모래 등의 주입이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어소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호안 블럭 조립체의 제공을 추가적인 목적으로한다.
본 고안은 양측단에 간격유지부재가 돌출형성되며 중앙에 어소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단에 형성되는 수결착부와, 상기 본체의 타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수결착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암결착부로 구성되는 호안블럭을 포함하되,상기 호안블럭은 다수가 인접하여 결합 되어지며, 상기 어느 한 암결착부는 이웃하는 다른 호안블럭의 수결착부에 서로 결합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 조립체를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인접한 연속 블럭 간의
결합 시 금속 소재의 결합부재 사용 없이 연속 블럭만으로 일체로 체결될 수 있어,
어소 블럭도 이에 손쉽게 체결되도록 하여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사지 법면의 경사 각도, 하천 등의 와류나 유속 등 다양한 현장 조건
에 대응 가능한 호안 블럭 조립체의 설치가 가능하며, 어소 기능의 제공을 통해 자연친화적인 하천 생태 환경의 제공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서로 이웃하는 호안블럭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는 간격유지부재가 형성되어 각각의 호안블럭의 움직임을 적절하게 제어할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호안블럭의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호안블럭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호안블럭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호안블럭이 연속으로 결합되어 완성되는 호안블럭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양측단에 간격유지부재(2a)가 돌출형성되며 중앙에는 어소(B)가 형성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 일측단에 형성되는 수결착부(3)와, 상기 본체의 타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수결착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암결착부(1)로 구성되는 호안블럭을 포함하되,상기 호안블럭은 다수가 인접하여 결합 되어지며, 상기 어느 한 암결착부(1)는 이웃하는 다른 호안블럭의 수결착부(3)에 서로 결합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 조립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호안블럭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호안블럭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호안블럭의 평면도로서, 본 고안의 호안블럭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본체(2)는 본 고안의 중심에 위치하며, 그 중앙에는 어소(B)가 형성되어 있다. 어소는 관통되어 바닥까지 보이게 된다. 어소(B)의 일측벽에서 홀이 시작되어 본체(2)의 외측벽까지 홀(4)이 형성된다.
본체(2)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간격유지부재(2a)가 돌출되어 한쌍이 형성되는데 간격유지부재(2a)는 서로 인접하는 호안블럭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각각의 호안블럭이 움직일수 있는 범위를 조정할수 있다.
암결착부(1)는 상기 본체(2)의 일측단에 형성되는데, 둥그런 형태의 표면을 가지는 회전공간(A)이 마주하여 형성된다. 상기 암결착부(1)의 높이는 상기 본체(2)의 높이와 동일하다. 암결착부(1)의 반대편에는 수결착부(3)가 형성된다.
수결착부(3)는 상기 본체(3)의 타측단에 형성되는데, 둘레가 상기 회전공간(A)에 자연스럽게 삽입될수 있도록 구성되며, 수결착부(3)의 직경(W')은
상기 암결착부(1)의 회전공간(A) 직경(W)보다 작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호안블럭이 연속으로 결합되어 완성되는 호안블럭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호안블럭(10)에 의하여 호안블럭 조립체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4에서 보여지는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호안블럭 조립체는 서로 연속하여 상하 좌우로 결합되는데, 수결착부(3)각각은 이웃하는 암결착부(1)에 각각 결합되어 조립된다. 이후, 이러한 각각의 수결착부(3)가 각각 암결착부(1)에 결합되고, 전체의 다수의 호안블럭(10)은 서로 결합되어 도 4의 호안블럭 조립체를 구성하게 된다.
도 4와 같이 조립된 호안블럭 조립체는 중심의 어소(B)에 물고기가 살수 있으며, 각각의 틈새에는 자갈등을 삽입할수 있으며, 간격유지부재(2a)에 의하여 각각의 호안블럭들이 일정간격을 잘 유지할 수 있다.
1 : 암결착부
2 : 본체
3 : 수결착부
4 : 홀
A : 회전공간 B: 어소

Claims (1)

  1. 양측단에 간격유지부재가 돌출형성되며 중앙에는 어소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단에 형성되는 수결착부와, 상기 본체의 타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수결착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암결착부로 구성되는 호안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호안블럭은 다수가 인접하여 결합 되어지며, 상기 어느 한 암결착부는 이웃하는 다른 호안블럭의 수결착부에 서로 결합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 조립체.
KR2020100002186U 2010-03-03 2010-03-03 호안블럭 조립체 KR200463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186U KR200463554Y1 (ko) 2010-03-03 2010-03-03 호안블럭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186U KR200463554Y1 (ko) 2010-03-03 2010-03-03 호안블럭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628U true KR20110008628U (ko) 2011-09-09
KR200463554Y1 KR200463554Y1 (ko) 2012-11-12

Family

ID=4509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186U KR200463554Y1 (ko) 2010-03-03 2010-03-03 호안블럭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5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679B1 (ko) * 2020-03-25 2020-09-28 (주)네오테크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2160684B1 (ko) * 2020-03-25 2020-09-28 (주)네오테크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234Y1 (ko) * 2003-03-28 2003-06-27 한수정 어도 블럭
JP4247283B2 (ja) * 2007-02-28 2009-04-02 東亜土木株式会社 護岸ブロック
JP5132462B2 (ja) 2008-07-28 2013-01-30 水工技研株式会社 ブロッ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679B1 (ko) * 2020-03-25 2020-09-28 (주)네오테크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2160684B1 (ko) * 2020-03-25 2020-09-28 (주)네오테크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554Y1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501B1 (ko) 환경친화형 친수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463554Y1 (ko) 호안블럭 조립체
KR100530493B1 (ko) 친환경적인 도로부근 하천바닥의 세굴방지구조
CN105887779B (zh) 一种硬质化护坡弯曲渠道的生物逃生通道
KR101225555B1 (ko) 해안 침식방지용 잠제블럭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90876Y1 (ko) 환경친화형 친수호안블록
KR101170789B1 (ko) 친환경 복합 사방댐
KR20090024539A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200463558Y1 (ko) 호안블럭 조립체
KR20150031002A (ko) 어류 서식처가 구비된 사방댐
KR20120005503U (ko) 세굴방지 블록
CN106592549A (zh) 一种柔性蓝藻围隔装置
KR200395276Y1 (ko) 하상 보호용 블록
KR100603498B1 (ko) 택지에 인접하는 비탈면용 제방의 하천에서 유수 보호구조물
KR101270270B1 (ko) 어도블록 및 이를 구비한 반수면 여울형 어도
KR100892375B1 (ko) 조립식 호안블록
KR200414892Y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101387168B1 (ko) 하상용 세굴방지블록
CN219568740U (zh) 一种港口航道边坡防护结构
KR20070082018A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20090076290A (ko) 홍수의 유속 방향을 변환하는 하천 만곡부의 급류를유도하기 위한 제방
US6929422B2 (en) Shore protective barrier system
KR100970500B1 (ko) 하천 만곡부 국소세굴 및 하안침식방지 수제블록과 이를 이용한 날개형 수제공법
KR200263821Y1 (ko) 하천 시공용 다기능블록
CN104912033B (zh) 一种大孔率型三维生态联锁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