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625A -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625A
KR20110008625A KR1020090066048A KR20090066048A KR20110008625A KR 20110008625 A KR20110008625 A KR 20110008625A KR 1020090066048 A KR1020090066048 A KR 1020090066048A KR 20090066048 A KR20090066048 A KR 20090066048A KR 20110008625 A KR20110008625 A KR 20110008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unit
flow hol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1221B1 (ko
Inventor
남유영
김진민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2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8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Abstract

주위 환경조건에 따라 가습기능으로 구동되거나 가습기능 없이 공기 청정기능만으로 구동될 수 있는 기능 가변이 가능한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가 개시된다.
상기한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는 내부에 외기를 유입시켜 토출하기 위한 송풍부가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부, 및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에서 상기 가습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선택적으로 상기 가습부를 통과하도록 공기의 유동 경로를 변경하는 격벽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에 의하면, 격벽유닛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유동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거나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주위 환경조건에 따라 공기 청정기를 가습기능으로 구동시키거나 가습기능 없이 공기 청정기능만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공기 청정기, 격벽유닛, 유동 경로 변경, 기능가변

Description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AIR CLEANER HAVING PARTITION WALL UNIT}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필터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가습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공기 청정기능만으로 구동될 수 있는 격벽유닛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 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내어, 흡입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킨다. 이와 같이 정화된 공기가 공기 청정기의 외부, 즉 실내로 다시 토출된다.
다시 말해,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주위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면서 공기 청정기가 설치된 주위 공기를 정화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주위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 장치와,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 입자 등을 걸러내는 필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즉, 공기 청정기는 다수개의 필터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정화한다.
한편, 이러한 공기 청정기 중 가습형 공기 청정기는 다양한 필터들에 의해 청정화된 공기가 물을 머금은 가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습공기로 변하는 것을 이용 한 장치이다.
다시 말해, 가습형 공기 청정기는 정화된 공기가 수분을 함유하도록 하여 건조한 주위환경에서 공기 청정기능도 수행하면서 가습기능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가습형 공기 청정기는 단순히 가습기능 없이 구동되지 못하고 언제나 가습기능과 공기 청정기능을 함께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가습형 공기 청정기가 설치된 주위 환경이 다습한 경우에도 가습형 공기 청정기를 구동하면 정화된 공기에 가습을 수행하게 되므로, 습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따라서 높아진 습도에 의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가습형 공기 청정기의 기능 가변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주위 환경조건에 따라 가습기능으로 구동되거나 가습기능 없이 공기 청정기능만으로 구동될 수 있는 기능 가변이 가능한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는 내부에 외기를 유입시켜 토출하기 위한 송풍부가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부, 및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에서 상기 가습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선택적으로 상기 가습부를 통과하도록 공기의 유동 경로를 변경하는 격벽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가습부를 통과하도록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유동홀과, 상기 제1 유동홀의 폐쇄시 유입된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유동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격벽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유동홀과 상기 제2 유동홀을 개방하는 격벽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격벽유닛은 상기 격벽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격벽부재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격벽부재의 승강시 상기 격벽부재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격벽유닛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유동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거나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주위 환경조건에 따라 공기 청정기를 가습기능으로 구동시키거나 가습기능 없이 공기 청정기능만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100, 이하 '공기 청정기'라 함)는 일예로서, 하우징(120), 필터부(140), 송풍부(150), 가습부(160), 및 격벽유닛(180)을 포함한다.
하우징(120)은 공기 청정기(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필터부(140)와 송풍부(150) 등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또한, 하우징(120)은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미도시)와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22)를 구비한다. 즉,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필터부(140)를 거쳐 정화되고, 최종적으로 토출구(122)를 통해 하우빙(120)으로부터 토출된다.
한편, 하우징(120)은 유입되는 공기가 가습부(160)를 통과하도록 공기의 유 동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유동홀(124)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송풍부(150)에 의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부(140)를 통과한 후 제1 유동홀(124)을 거쳐 가습부(160)로 유입된다.
이후, 제1 유동홀(124)을 통과하여 가습부(160)로 유입된 공기는 가습부(160)에 의해 가습된 후 토출구(122)로 토출된다.
다시 말해, 하우징(120)으로 유입된 공기는 도 2에 도시된 'A' 경로를 거쳐 흐르게 되어 가습부(180)로 유입된다.
또한, 하우징(120)은 제1 유동홀(124)의 폐쇄시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유동홀(126)을 구비한다. 즉, 제1 유동홀(124)이 폐쇄된 경우 송풍부(150)에 의해 하우징(1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부(140)를 통과한 후 제2 유동홀(126)을 거쳐 토출구(122)로 토출된다.
따라서, 제2 유동홀(126)을 통과하는 공기는 가습부(180)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가습되지 않은 채 하우징(120)으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우징(120)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유동홀(124)이 폐쇄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경로를 거쳐 흐르게 된다.
한편, 하우징(120)은 격벽유닛(180)이 제1,2 유동홀(124,126)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경우 격벽유닛(180)을 안내하는 안내부(128)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필터부(140)는 공기 중의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을 걸러내어 청정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필터링 수단의 결합체이다. 이를 위해 필터부(140)는 프리필 터, 전처리필터, 기능필터, 헤파필터, 및 탈취필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필터부(140)는 하우징(120)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한 필터들에 관한 사항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사항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송풍부(150)는 필터부(140)의 후방에 배치되고, 송풍팬(151)이 내장된 상태로 제공된다. 즉, 송풍부(150)는 실내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송풍팬(151)이 내장되고, 이러한 송풍팬(151)이 실내의 공기를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시켜 이 유입된 공기를 각각의 필터에 통과시키면서 청정 여과한 후 실내 공간으로 재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가습부(160)는 유입된 공기의 유동 경로 상 제1 유동홀(124)의 후방에 배치되며, 필터부(140)에 의해 청정화된 공기는 가습부(140)를 통과하여 습공기로 된다.
이를 위해 가습부(160)는 가습필터(162)와 물통(16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가습필터(162)의 하단부가 물통(164)에 저장된 물에 침지된 상태로 가습필터(162)는 물통(164)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물통(164)에 저장된 물에 침지된 가습필터(162)를 공기가 통과하면, 공기에 가습이 이루어진다.
격벽유닛(180)은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에서 가습부(160)의 전방에 배치되며, 하우징(12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선택적으로 가습부(160)를 통과하도록 공 기의 유동 경로를 변경한다.
즉, 격벽유닛(180)은 제1 유동홀(124)과 제2 유동홀(126)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하우징(12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선택적으로 가습부(16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격벽유닛(180)은 일예로서, 격벽부재(182)와 구동부(184)를 구비할 수 있다.
격벽부재(182)는 하우징(120)의 안내부(128)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제1 유동홀(124)과 제2 유동홀(126)이 개방되도록 한다. 한편, 격벽부재(182)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재(182)가 제1 유동홀(124)을 개방하는 경우, 제2 유동홀(126)은 격벽부재(182)에 의해 폐쇄되고, 이러한 경우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 유동홀(124)을 통해서만 흐르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가습부(160)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가 습공기로 변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재(182)가 제2 유동홀(126)을 개방하는 경우, 제1 유동홀(124)은 격벽부재(182)에 의해 폐쇄되고, 이러한 경우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2 유동홀(126)을 통해서만 흐르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가습부(160)를 통과하지 않고 토출구(12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즉,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청정만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하우징(120)의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재(182)가 제1 유동홀(124)와 제2 유동홀(126)의 일부만을 각각 개방하는 경우, 다시 말해 일예로서, 제1 유동홀(124)의 상부측과 제2 유동홀(126)의 하부측이 개방되도록 격벽부재(182)가 위치하는 경우 제1 유동홀(124)만을 개방하여 유입된 공기에 가습을 수행하는 경우보다 가습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격벽부재(182)가 제1 유동홀(124)을 개방하는 정도를 조절하여 가습부(1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입되는 공기에 함유되는 가습량을 조절하여 하우징(120)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구동부(184)는 격벽부재(182)에 연결되어 격벽부재(182)를 승강시킨다. 이를 위해 구동부(184)는 구동원(184a)와 연결부재(184b)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구동원(184a)는 일예로서 스태핑 모터일 수 있으며, 연결부재(184b)는 스태핑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격벽부재(182)에 전달하는 렉-피니언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구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다. 또한, 구동부(184)는 스태핑 모터와 렉-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격벽부재(182)를 승강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구동부(184)는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2 유동홀(124,126)을 개방하여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거나 가습 없이 하우징(120)으로부터 토출하도록 구동될 수 있 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는 공기 청정기(100)의 외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격벽유닛(180)을 통해 선택적으로 제1,2 유동홀(124,126)을 개방하여 공기 청정기(100)가 공기 청정기능만으로 구동되도록 하거나 가습기능을 추가하여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100)의 주위 환경에 따라 공기 청정기(100)를 공기 청정기능만으로 구동되도록 하거나, 가습기능을 추가하여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격벽유닛(180)이 제1 유동홀(124)을 개방하는 정도를 조절하여 가습부(1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120)으로 토출되는 공기에 함유되는 가습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의 작동을 나타내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
120 : 하우징
140 : 필터부
150 : 송풍부
160 : 가습부
180 : 격벽유닛

Claims (5)

  1. 내부에 외기를 유입시켜 토출하기 위한 송풍부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부; 및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에서 상기 가습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선택적으로 상기 가습부를 통과하도록 공기의 유동 경로를 변경하는 격벽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가습부를 통과하도록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유동홀; 및
    상기 제1 유동홀의 폐쇄시 유입된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유동홀;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유동홀과 상기 제2 유동홀을 개방하거나, 상기 제1 유동홀과 상기 제2 유동홀의 일부만을 각각 개방하여 상기 제1 유동홀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유닛은
    상기 격벽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격벽부재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격벽부재의 승강시 상기 격벽부재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090066048A 2009-07-20 2009-07-20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 KR101631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048A KR101631221B1 (ko) 2009-07-20 2009-07-20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048A KR101631221B1 (ko) 2009-07-20 2009-07-20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625A true KR20110008625A (ko) 2011-01-27
KR101631221B1 KR101631221B1 (ko) 2016-06-16

Family

ID=4361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048A KR101631221B1 (ko) 2009-07-20 2009-07-20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2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8205B2 (en) 2016-05-26 2021-03-16 Koninklijke Philips N.V. Humidification module for an air treatment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092Y1 (ko) * 1994-09-09 1999-03-20 윤종용 공기조화기
KR20090058446A (ko) * 2007-12-04 2009-06-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 청정 및 가습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092Y1 (ko) * 1994-09-09 1999-03-20 윤종용 공기조화기
KR20090058446A (ko) * 2007-12-04 2009-06-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 청정 및 가습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8205B2 (en) 2016-05-26 2021-03-16 Koninklijke Philips N.V. Humidification module for an air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221B1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441B1 (ko) 공기 청정 및 가습 장치
US8282696B2 (en) Apparatus for purifying and humidifying air
US10900671B2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KR101765663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운전 방법
KR20180044568A (ko)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KR20180065355A (ko)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KR20120016901A (ko) 환기유로를 구비한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JP5520901B2 (ja) 空気清浄機
KR20210048156A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CN111076281A (zh) 空调室内机及空调室内机控制方法
JP4630703B2 (ja) 空気清浄機
JP2010243006A (ja) 加湿装置
KR20170131734A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2307537B1 (ko) 외부공기의 유입이 방지되는 공기 청정시스템
KR20120094731A (ko) 공기청정기
KR20090026981A (ko) 문 일체형 공기청정기
KR101631221B1 (ko)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
JP2007010179A (ja) 空気清浄機
KR101876225B1 (ko) 공기 청정기
KR20110041692A (ko) 공기 청정기
CN114413370A (zh) 空气净化器
KR20170031934A (ko) 공기청정기
KR100823632B1 (ko) 공기청정기
KR102474775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200086164A (ko) 가습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