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243U - 전도성 전달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전도성 장갑 툴 - Google Patents

전도성 전달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전도성 장갑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243U
KR20110008243U KR2020100001674U KR20100001674U KR20110008243U KR 20110008243 U KR20110008243 U KR 20110008243U KR 2020100001674 U KR2020100001674 U KR 2020100001674U KR 20100001674 U KR20100001674 U KR 20100001674U KR 20110008243 U KR20110008243 U KR 201100082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glove
support
coupled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식
Original Assignee
최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식 filed Critical 최병식
Priority to KR2020100001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243U/ko
Publication of KR201100082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2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전도성 전달 유닛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 장착된 기기를 장갑이 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장갑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도성 전달 유닛으로서, 장갑의 내부에서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전도성 물질(conductive material)로 마련되는 전도성 장갑 지지부; 및 장갑의 외부에서 전도성 장갑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도성 물질로 마련되는 전도성 패널 접촉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정전용량 방식이 적용된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장갑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새로이 제작되는 장갑에도 적용될 수 있어 사용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도성 전달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전도성 장갑 툴{Conductive Transferring Unit and Conductive Glove Tool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전도성 전달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전도성 장갑 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정전용량 방식이 적용된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전도성 전달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전도성 장갑 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터치 패널(touch panel)을 구비한 다수의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실제 사용되고 있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직접 키버튼을 눌러서 휴대폰과 같은 장치들을 작동시켰는데, 이제는 키버튼이 아닌 직접 터치 패널을 터치함으로써 휴대폰과 같은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구동 방법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저항막 방식이 적용되는 터치 패널로서, 이러한 터치 패널의 경우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상, 하판으로 구성되며 압력에 의해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을 취한다.
둘째는 정전용량 방식이 적용되는 터치 패널로서, ITO 필름에 흐르는 전류의 정전용량 변화값을 감지함으로써 입력 신호가 전달되는 방식을 취한다.
그런데, 저항막 방식이 적용되는 터치 패널의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직접 접촉되지 않더라도 압력에 의해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나, 정전용량 방식이 적용되는 터치 패널의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직접 접촉되지 않으면 신호를 입력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장갑을 착용하고 있다가, 전술한 정전용량 방식이 적용된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장갑을 벗은 후 신호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정전용량 방식이 적용된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전도성 전달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전도성 장갑 툴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장갑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새로이 제작되는 장갑에도 적용될 수 있는 전도성 전달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전도성 장갑 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전달 유닛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 장착된 기기를 장갑이 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장갑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도성 전달 유닛으로서, 상기 장갑의 내부에서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전도성 물질(conductive material)로 마련되는 전도성 장갑 지지부; 및 상기 장갑의 외부에서 상기 전도성 장갑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도성 물질로 마련되는 전도성 패널 접촉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정전용량 방식이 적용된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장갑 지지부는, 상기 장갑의 내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갑에 관통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되며, 상기 전도성 접착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착용자의 손가락이의 접촉될 때 미끄럼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접촉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갑의 내면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는, 상기 장갑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접착 물질이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 물질은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패널 접촉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터치 패널을 작동시키는 패널 접촉부재; 및 상기 전도성 장갑 지지부를 향하는 상기 패널 접촉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리벳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벳부재에는 상기 돌기부재의 삽입 과정 시 벌어졌다가 삽입 완료 후 오므라질 수 있도록 절취 부분이 절취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도성 장갑 지지부와 전도성 패널 접촉부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전달 유닛은, 상기 장갑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전도성 장갑 지지부의 일면에 결합되며, 전도성 물질로 마련되는 전도성 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장갑 지지부 및 상기 전도성 패널 접촉부는 전도성 물질인 전도성 실리콘(silicon) 및 전도성 러버(rubber)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장갑 툴은, 상기 장갑에 결합되며, 상기 장갑을 착용한 착용자의 손가락 및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부분적으로 접촉 가능하여 상기 손가락으로부터 상기 터치 패널로 전도될 수 있도록 하는 전도성 전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전달 유닛은, 장갑의 내부에서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전도성 물질(conductive material)로 마련되는 전도성 장갑 지지부; 및 상기 장갑의 외부에서 상기 전도성 장갑 지지부에 결합되며, 전도성 물질로 마련되는 전도성 패널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장갑 툴은, 상기 장갑 내의 손가락 부분에 출입 가능하며, 선단부에 상기 손가락 부분의 내면에 걸림되는 걸림부가 마련되어 상기 손가락 부분을 뒤집을 수 있는 보조 뒤집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정전용량 방식이 적용된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장갑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새로이 제작되는 장갑에도 적용될 수 있어 사용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뒤집기에 의해서 전도성 전달 유닛이 결합된 장갑의 손가락 부분을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어 전도성 전달 유닛의 착탈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전달 유닛이 결합된 전도성 장갑 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도성 전달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도성 전달 유닛의 결합 상태를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용신안등록 청구 가능한 본 고안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전달 유닛이 결합된 장갑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도성 전달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도성 전달 유닛의 결합 상태를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장갑 툴(100)은, 장갑(110)과, 장갑(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도성 전달 유닛(120)과,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111)을 뒤집기 위한 보조 뒤집기(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장갑(110)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하던 장갑(110)일 수 있으며, 또는 제작 과정에서 후술할 전도성 전달 유닛(120)이 일체로 결합되는 장갑(110)일 수 있다. 이러한 장갑(110)은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장갑(110)은 섬유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장갑(110)을 착용한 상태에서 정전용량 방식이 적용된 터치 패널(미도시)을 터치하는 경우 터치 패널은 입력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작동되지 않는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111)에 결합되어 정전용량 방식이 적용된 터치 패널에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도성 전달 유닛(1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도성 전달 유닛(120)은 기존에 사용되던 장갑(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에 암수 구조를 갖는 전도성 전달 유닛(120)을 장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장갑(110)을 낀 상태에서도 터치 패널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전도성 전달 유닛(1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110)의 내측에 결합되는 전도성 장갑 지지부(130)와, 장갑(110) 외측에 결합되어 터치 패널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전도성 패널 접촉부(140)와, 전도성 장갑 지지부(130)의 내측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손가락이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전도성 섬유(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111)에는 관통홀(112)이 형성되어 관통홀(112)의 내측에서 전도성 장갑 지지부(130)와 전도성 패널 접촉부(14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의 전도성 장갑 지지부(130)는, 사람의 손가락이 접촉될 때 전도될 수 있도록 전도성(傳導性, conductivity)이 있는 물질, 예를 들면 전도성 실리콘(silicon) 또는 전도성 러버(rubber)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도성 장갑 지지부(130)는 다른 전도성 물질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전도성 장갑 지지부(130)는,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111)의 내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재(131)와, 지지부재(13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장갑(110)에 형성된 관통홀(112)에 관통되게 결합되며 후술할 전도성 패널 접촉부(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부재(135)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31)는, 본 실시예의 전도성 전달 유닛(120)을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지지부재(131)가 장갑(110)의 내면에 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전도성 전달 유닛(120)이 장갑(1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111)의 내측 형상에 대응되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110)의 내면과 지지부재(131) 사이에는 장갑(110)에 대한 지지부재(131)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한 접착 물질(170), 즉 본 실시예의 양면 테이프(170)가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111)에 손가락이 들어가거나 나올 때 손가락과의 간섭에 의해 전도성 전달 유닛(120)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장갑(110)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지지부재(131)의 일면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접촉 돌기(13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손가락의 끝 부분이 접촉 돌기(132)에 닿을 때 미끄럼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돌기부재(135)는, 후술할 전도성 패널 접촉부(140)에 삽입 결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돌기부재(135)가 전도성 패널 접촉부(140)에 끼움 결합되었을 때 임의로 결합 해제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돌기부재(135)의 상단부에는 걸림 부분(1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재(135)의 가운데 부분은 중공 상태를 갖는다. 즉, 돌기부재(135)에는 돌기부재(135)의 상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홈(13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부재(135)가 중심 방향으로 오므라졌다가 다시 확장되는 것이 가능하여, 돌기부재(135)가 후술할 전도성 패널 접촉부(14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전도성 섬유(150)는, 전도성 있는 얇은 섬유로 마련되며 손가락이 실제로 닿는 부분이다. 이러한 전도성 섬유(150)는 접촉감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장갑(110)을 착용하였을 때, 전도성 전달 유닛(120)에 의한 이물감을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도성 장갑 지지부(130)의 경우 전도성 실리콘 또는 전도성 러버로 마련됨으로써 외부의 날씨에 따라 표면 온도가 쉽게 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착용자의 접촉감을 안 좋게 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전도성 장갑 지지부(130)에 전도성 섬유(150)가 마련됨으로써 접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도성 패널 접촉부(1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에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전체적인 형상이 리벳(rivet)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전도성 패널 접촉부(140)는, 전술한 전도성 장갑 지지부(130)와 마찬가지로 전도성 실리콘 또는 전도성 러버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이 전도성 장갑 지지부(130)에 접촉되고, 전도성 장갑 지지부(130)에 결합된 전도성 패널 접촉부(140)에 터치 패널이 접촉되는 경우, 터치 패널에 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패널 접촉부(140)의 구성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전도성 패널 접촉부(140)는, 터치 패널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패널 접촉부재(141)와, 접촉부 지지부(130)를 향하는 패널 접촉부재(141)의 일면에 형성되어 전술한 접촉부 지지부(130)의 돌기부재(135)가 삽입 결합되는 리벳부재(145)를 포함한다.
패널 접촉부재(141)의 상면은 곡면으로 마련된다. 보다 정확히는, 손가락의 끝 부분이 둥근 형상을 갖는 것처럼 패널 접촉부재(141)의 상면 역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 접촉부재(141)가 터치 패널에 접촉되더라도 터치 패널에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리벳부재(145)는, 전술한 돌기부재(135)가 삽입 결합되되 돌기부재(135)의 걸림 부분(136)이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리벳부재(145)의 내측에는 걸림턱(146)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부재(135)의 걸림 부분(136)이 리벳부재(145)의 걸림턱(146)에 걸림 결합되는 경우, 임의로 전도성 장갑 지지부(130)와 전도성 패널 접촉부(140)가 결합 해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다만, 돌기부재(135)가 리벳부재(145)로 삽입될 때 삽입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돌기부재(135)의 상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갖고, 마찬가지로 리벳부재(145)의 입구 영역은 돌기부재(135)의 상단에 대응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마련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리벳부재(145)에는 돌기부재(135)의 삽입 과정 시 벌어졌다가 삽입 완료 후 오므라질 수 있도록 절취 부분(미도시)이 절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리벳부재(145)에 대한 돌기부재(135)의 삽입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도성 전달 유닛(120)을 장갑(110)에 장착할 때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111)을 원활하게 뒤집을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전도성 장갑 툴(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뒤집기(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보조 뒤집기(180)는 길이 방향을 갖는 납작한 바아(bar) 형상으로 마련되되,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111)으로 인입되는 일단부에는 손가락 부분(111)의 내측 영역에 걸림되기 위한 걸림부(18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부(181)가 걸리도록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111)에 보조 뒤집기(180)를 인입시킨 후 보조 뒤집기(180)를 밖으로 빼내면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111)은 뒤집히게 되며, 이로 인해 전술한 전도성 전달 유닛(120)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보조 뒤집기(180)는 평평한 형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111)에 전도성 전달 유닛(120)을 설치할 때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도성 전달 유닛(120)을 장갑(110)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도성 전달 유닛(120)이 장착될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에 보조 뒤집기를 인입시키고, 보조 뒤집기를 잡아 당겨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을 뒤집는다.
이어서,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에 형성된 관통홀(112)에 전도성 장갑 지지부의 돌기부재가 관통되도록 전도성 장갑 지지부를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에 결합시킨 후 전도성 장갑 지지부의 일면에 전도성 섬유를 결합시킨다.
이후, 뒤집힌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을 다시 뒤집어 장갑(110)을 원 상태로 복귀시킨 후, 관통홀(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전도성 장갑 지지부(130)의 돌기부재(135)에 전도성 패널 접촉부(140)의 리벳부재(145)를 결합시킨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111)을 사이에 두고 전도성 패널 접촉부(140)와 전도성 장갑 지지부(130)가 견고히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도성 전달 유닛(120)이 장갑(110)에 장착됨으로써 장갑(110)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정전용량 방식이 적용된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장갑(110)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새로이 제작되는 장갑(110)에도 적용될 수 있고, 아울러 보조 뒤집기에 의해서 전도성 전달 유닛(120)이 결합된 장갑(110)의 손가락 부분을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어 전도성 전달 유닛(120)의 착탈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전도성 장갑 툴 110 : 장갑
120 : 전도성 전달 유닛 130 : 전도성 장갑 지지부
140 : 전도성 패널 접촉부 150 : 전도성 섬유
180 : 보조 뒤집기

Claims (10)

  1.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 장착된 기기를 장갑이 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장갑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도성 전달 유닛에 있어서,
    상기 장갑의 내부에서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전도성 물질(conductive material)로 마련되는 전도성 장갑 지지부; 및
    상기 장갑의 외부에서 상기 전도성 장갑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도성 물질로 마련되는 전도성 패널 접촉부;
    를 포함하는 전도성 전달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장갑 지지부는,
    상기 장갑의 내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갑에 관통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되며, 상기 전도성 접착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부재를 포함하는 전도성 전달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착용자의 손가락이의 접촉될 때 미끄럼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접촉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전도성 전달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의 내면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는, 상기 장갑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접착 물질이 개재되는 전도성 전달 유닛.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널 접촉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터치 패널을 작동시키는 패널 접촉부재; 및
    상기 전도성 장갑 지지부를 향하는 상기 패널 접촉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리벳부재를 포함하는 전도성 전달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부재에는 상기 돌기부재의 삽입 과정 시 벌어졌다가 삽입 완료 후 오므라질 수 있도록 절취 부분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전도성 전달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전도성 장갑 지지부의 일면에 결합되며, 전도성 물질로 마련되는 전도성 섬유를 더 포함하는 전도성 전달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장갑 지지부 및 상기 전도성 패널 접촉부는 전도성 물질인 전도성 실리콘(silicon) 및 전도성 러버(rubber)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제작되는 전도성 전달 유닛.
  9. 장갑; 및
    상기 장갑에 결합되며, 상기 장갑을 착용한 착용자의 손가락 및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부분적으로 접촉 가능하여 상기 손가락으로부터 상기 터치 패널로 전도될 수 있도록 하는 전도성 전달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전달 유닛은,
    장갑의 내부에서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전도성 물질(conductive material)로 마련되는 전도성 장갑 지지부; 및
    상기 장갑의 외부에서 상기 전도성 장갑 지지부에 결합되며, 전도성 물질로 마련되는 전도성 패널 접촉부;
    를 포함하는 전도성 장갑 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 내의 손가락 부분에 출입 가능하며, 선단부에 상기 손가락 부분의 내면에 걸림되는 걸림부가 마련되어 상기 손가락 부분을 뒤집을 수 있는 보조 뒤집기를 더 포함하는 전도성 장갑 툴.
KR2020100001674U 2010-02-17 2010-02-17 전도성 전달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전도성 장갑 툴 KR201100082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674U KR20110008243U (ko) 2010-02-17 2010-02-17 전도성 전달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전도성 장갑 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674U KR20110008243U (ko) 2010-02-17 2010-02-17 전도성 전달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전도성 장갑 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243U true KR20110008243U (ko) 2011-08-24

Family

ID=4559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674U KR20110008243U (ko) 2010-02-17 2010-02-17 전도성 전달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전도성 장갑 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24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024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US20120050165A1 (en) Keyboard pad for touch screen
JP2014501340A (ja) 小物摘取用手袋
US20090278818A1 (en) Thumb worn tap devices and storage holders for use with handheld electronics
CN103677332B (zh) 触摸笔及具有该触摸笔的移动终端
CN203788329U (zh) 一种佩戴式智能手机
KR20110008243U (ko) 전도성 전달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전도성 장갑 툴
CN108390984A (zh) 具备游戏操纵按键的手机
US6883639B1 (en) Stethoscope
KR101586254B1 (ko)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이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JP2014107575A (ja) 携帯端末用カバー
CN106774922B (zh) 一种智能手套
KR101181973B1 (ko) 정전식 감응기구 조작이 가능한 장갑
JP4812598B2 (ja) 握り押しボタン用アタッチメント
KR20120005267U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CN213457907U (zh) 一种便于对凹陷设计电源按钮操作的按压装置
CN103685622A (zh) 一种大屏幕手机手机套的结构
KR101347743B1 (ko) 터치스크린용 스타일러스 펜
WO2019174566A1 (zh) 一种移动终端辅助按键的紧固结构
KR101155195B1 (ko) 착용식 터치펜
CN106033261B (zh) 鼠标
CN110174959B (zh) 一种鼠键两用的便携式输入装置
KR101344009B1 (ko) 전도성 장갑
CN215729578U (zh) 一种电脑电源键防误触装置
KR101617827B1 (ko) 스마트폰의 터치 기능을 갖는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