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133U - 공기 살균 탈취기 - Google Patents

공기 살균 탈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133U
KR20110008133U KR2020100001531U KR20100001531U KR20110008133U KR 20110008133 U KR20110008133 U KR 20110008133U KR 2020100001531 U KR2020100001531 U KR 2020100001531U KR 20100001531 U KR20100001531 U KR 20100001531U KR 20110008133 U KR20110008133 U KR 201100081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cal
ions
air
ion generator
air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8029Y1 (ko
Inventor
이병채
Original Assignee
이병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채 filed Critical 이병채
Priority to KR2020100001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02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1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1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0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존 발생장치의 단순 내장형에 비해 공기 살균 탈취기능이 우수한 공기 살균 탈취기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체(1)의 유입그릴(2)로 들어오는 혼탁한 실내공기가 내부통로(4)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라디칼 이온발생기(5)에서 방출되는 이온으로 살균 및 탈취되고, 이어서 UV 램프(9)를 거쳐 가는 동안 그 자외선에 의해 마저 살균된 후 크로스 팬(6)에 의해 확산그릴(3)을 거쳐 강제로 확산되게 한 공기 살균 탈취기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이온발생기(5)는 1∼15㎛의 파라듐으로 코팅된 라디칼 이온 발생용 석영관이 내장되고, 고온 및 습한 곳에서 라디칼 이온의 발생에 안전한 카본 나노 튜브를 저온 촉매로 사용한 공기 살균 탈취기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살균 탈취기{AIR STERLIZATION DEODORIZER}
본 고안은 오존 발생장치 내장형에 비해 공기 살균 탈취기능이 우수한 공기 살균 탈취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정화를 수반하는 종래의 공기 살균 탈취기는 오존 발생장치를 내장하여 거기서 생성되는 오존으로 공기 중에 섞인 각종 냄새를 탈취하고 살균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오존의 위험성, 특히 과다한 오존의 생성으로 인하여 인체에 대한 유해성과, 오존이 발생할 때 함께 생성되는 질소 산화물로 인한 제2 공기 오염이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 오존 발생장치 내장형에 비해 공기 살균 탈취기능이 우수한 공기 살균 탈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흡입그릴로 유입되는 혼탁한 실내공기를 통로 상에 설치된 라디칼 이온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음이온과 UV램프의 자외선으로 살균 및 탈취한 후 크로스 팬으로 방출하여 실내분위기를 쾌적하게 조성하는 공기 살균 탈취기를 바탕으로 하되, 라디칼 이온발생기에 내장된 석영관에 1∼5㎛의 파라듐을 코팅하여 라디칼 이온의 발생량을 극대화함으로써 혼탁한 공기 중의 살균과 탈취력을 높이고, 고온 및 습한 곳에서 라디칼 이온의 발생에 안전한 카본 나노 튜브를 저온 촉매로 사용한 공기 살균 탈취기로 달성할 수 있다.
라디칼 이온 발생기내에서 이온을 발생시키는 석영관이 1∼5㎛의 파라듐으로 코팅되어 있어서 라디칼 이온의 발생량이 극대화되어 2차 오염원인 질소 산화물의 발생이 최대한 억제되므로 강력한 공기 살균과 탈취로 위생적으로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실내분위기로 조장할 수 있다.
또, 카본 나노 튜브가 저온 촉매로 적용된 라디칼 이온발생기는 특히 고온 및 습한 곳에서 라디칼 이온의 발생에 안전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공기 살균 탈취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에서, 공기 살균 탈취기는 본체(1) 하부에 형성된 유입그릴(2)로 들어오는 혼탁하고 오염된 실내공기(a)가 내부통로(4)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1차적으로 라디칼 이온발생기(5)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으로 살균 및 탈취된 후에 UV 램프(9)를 거쳐서 자외선에 의해 마저 살균되어 맑고 깨끗한 공기(b)로 바뀌어 크로스 팬(6)에 의해 확산그릴(3) 밖으로 강제 확산되어 실내분위기를 위생적이고 쾌적하게 조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라디칼 이온발생기(5)에 내장된 석영관 위의 발생체와 대전체를 파라듐으로 코팅하여 2차 오염원인 질소 산화물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한다.
상기 라디칼 이온 발생기(5)는 고압에서 형성되는 -전류값을 알루미늄 또는 동판 대신에 스틸 화이버(원사)를 사용한다. 이는 이온이 생성될 때 부산물로 생성되는 질소 산화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알루미늄과 동판의 위험성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것이다.
파라듐은 스틸 화이버에서 미량이라도 발생할 수 있을 질소 산화물을 중성화하기 위하여 백금 대용으로 사용한 것이다. 파라듐을 이용함으로써 라디칼 이온의 생존기가 연장돼 원거리까지 소멸되지 않고 확산, 실내분위기를 쾌적하게 조장하여 실내생활인의 건강을 돕는다.
또, 라디칼 이온발생기(5)에 내장되는 저온 촉매로는 고온 및 습한 곳에서 라디칼 이온의 발생에 안전한 카본 나노 튜브를 한다. 라디칼 이온 발생기(5)에 Tio2 발생용 모듈을 추가하면 보다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으며, 음이온만 선택할 경우 오존은 전혀 생성되지 않으므로 순수 라디칼 이온만으로 수험생이나 노약자에게 특히 유리한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그리고, UV 램프(9)에서 발하는 파장 240∼400㎚의 자외선으로는 산화티타늄으로 코팅된 벽면과 반응시켜 휘발성 유기용제를 제거하고, 강력한 탈취력도 발휘토록 한다.
라디칼 이온은 실내용적에 준하여 그에 적합한 양으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자동 프로그램화한 메인 콘트롤러(8)를 설치하여 공기의 살균과 탈취를 돕는다.
라디칼 이온 발생기(5)와 크로스 팬(6)용 컨트롤러(8)는 LED의 빛깔에 따라 크로스 팬(6)의 회전속도 변화와 함께 라디칼 이온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용 보조 컨트롤러(7)는 LED의 디스플레이로 풍량값과 라디칼 이온의 발생량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공기 살균 탈취기의 가동 상황확인수단이다.
4: 통로
5: 라디칼 이온발생기
6: 크로스 팬
7: 보조 콘트롤러
8: 메인 콘트롤러
9: UV 램프

Claims (1)

  1. 본체(1)의 유입그릴(2)로 들어오는 혼탁한 실내공기가 내부통로(4)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라디칼 이온발생기(5)에서 방출되는 이온으로 살균 및 탈취되고, 이어서 UV 램프(9)를 거쳐 가는 동안 그 자외선에 의해 마저 살균된 후 크로스 팬(6)에 의해 확산그릴(3)를 거쳐 강제로 확산되게 한 공기 살균 탈취기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이온발생기(5)는 1∼15㎛의 파라듐으로 코팅된 라디칼 이온 발생용 석영관이 내장되고, 고온 및 습한 곳에서 라디칼 이온의 발생에 안전한 카본 나노 튜브를 저온 촉매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탈취기.
KR2020100001531U 2010-02-11 2010-02-11 공기 살균 탈취기 KR200458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531U KR200458029Y1 (ko) 2010-02-11 2010-02-11 공기 살균 탈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531U KR200458029Y1 (ko) 2010-02-11 2010-02-11 공기 살균 탈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133U true KR20110008133U (ko) 2011-08-18
KR200458029Y1 KR200458029Y1 (ko) 2012-01-18

Family

ID=4559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531U KR200458029Y1 (ko) 2010-02-11 2010-02-11 공기 살균 탈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029Y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6813B1 (en) * 2000-03-16 2006-09-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ed soft-decision based interference cancellation and decoding
KR200310587Y1 (ko) 2003-01-18 2003-04-14 유금자 카트리지형 음이온 발생장치를 가진 조명 램프
JP2006055512A (ja) 2004-08-23 2006-03-02 Denso Corp 空気清浄器
KR20090097677A (ko) * 2008-03-12 2009-09-16 전동현 악취방지 촉매산화 탈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029Y1 (ko) 201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8906A (ko) 공기정화 수산기 발생장치가 장착된 버스정류장
EP2100624A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disinfecting air
KR101075959B1 (ko) 공기 중의 미생물 살균 및 냄새 제거 시스템
KR20110052006A (ko) 살균용 에어커튼
KR20120105702A (ko) 공기청정 겸용 축사환기시스템
CA2620572A1 (en) Air disinfection device
KR102165870B1 (ko) 광촉매제가 포함된 공간 내부 공기살균 및 정화용 셀
JP2006198142A (ja) 脱臭装置
JP2002263181A (ja) 簡易脱臭装置
KR20110004617A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고효율 탈취ㆍ공기살균 장치 및 그방법
JP2013153897A (ja) 空気清浄機
CN208839371U (zh) 一种紫外线光触媒除臭器
KR102033472B1 (ko) 플라즈마 공기정화 살균탈취기
KR20180067990A (ko) 자외선 살균 공조기
KR200458029Y1 (ko) 공기 살균 탈취기
CN101204591A (zh) 一种室内空气污染快速治理装置
JP2005201586A (ja) 空気調和機の空気清浄ユニット
KR100601183B1 (ko) 탈취 및 살균 기능의 플라스마 가습장치
CN215412352U (zh) 一种高辐照剂量紫外线空气净化系统
KR101640865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책상
JP5409978B1 (ja) 二酸化塩素ガス処理構造、二酸化塩素ガス処理装置、滅菌装置および環境浄化装置
CN201070475Y (zh) 厕卫空气净化仪
KR100935624B1 (ko) 가습장치
JP2022113611A (ja) 空間浄化システム
KR20120075798A (ko) 제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