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042A -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8042A KR20110008042A KR1020107023209A KR20107023209A KR20110008042A KR 20110008042 A KR20110008042 A KR 20110008042A KR 1020107023209 A KR1020107023209 A KR 1020107023209A KR 20107023209 A KR20107023209 A KR 20107023209A KR 20110008042 A KR20110008042 A KR 201100080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parator
- sheet
- diaper
- sheet member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42 hardness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46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436 anus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247 superabsorbe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48 expandable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68 sex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with faecal cavi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with faecal cavity
- A61F2013/495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with faecal cavity with vertical spacer or separator keeping other components out of cont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뇨와 변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세퍼레이터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이 우수한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의 제공.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1)가 체액 흡수성의 심재를 피복하는 투액성 내면 시트(2)와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배설물 수용부(31)를 형성하도록 내면 시트(2)에 부착된 최내측 시트 부재(20)를 갖는다. 최내측 시트(20)는 배설물 수용부(31)에 뇨를 진입시키는 전방부 개구(33)와 변을 진입시키는 후방부 개구(34)를 갖는다. 최내측 시트 부재(20)는 또한, 전방부 개구(33)와 후방부 개구(34) 사이에 연장되는 부분이 아래로 늘어지고, 아래로 늘어진 하단부(35)가 내면 시트(2)에 접합하고 있는 세퍼레이터(20a)를 갖는다. 세퍼레이터(20a)에는, 1∼10 mm의 두께(N)와, 10∼70 mm의 폭과, 세퍼레이터(20a)의 상하방향의 치수(K)의 30∼100%에 해당하는 높이(L)를 가지며, 세퍼레이터(20a)의 변형을 억제하는 시트형 부재(81)가 부착된다.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1)가 체액 흡수성의 심재를 피복하는 투액성 내면 시트(2)와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배설물 수용부(31)를 형성하도록 내면 시트(2)에 부착된 최내측 시트 부재(20)를 갖는다. 최내측 시트(20)는 배설물 수용부(31)에 뇨를 진입시키는 전방부 개구(33)와 변을 진입시키는 후방부 개구(34)를 갖는다. 최내측 시트 부재(20)는 또한, 전방부 개구(33)와 후방부 개구(34) 사이에 연장되는 부분이 아래로 늘어지고, 아래로 늘어진 하단부(35)가 내면 시트(2)에 접합하고 있는 세퍼레이터(20a)를 갖는다. 세퍼레이터(20a)에는, 1∼10 mm의 두께(N)와, 10∼70 mm의 폭과, 세퍼레이터(20a)의 상하방향의 치수(K)의 30∼100%에 해당하는 높이(L)를 가지며, 세퍼레이터(20a)의 변형을 억제하는 시트형 부재(81)가 부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뇨나 변에 의해 피부가 더러워지지 않는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착용한 기저귀의 내측에서 뇨와 변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기저귀는, 종래 주지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7-296314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에서는, 뇨와 변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세퍼레이터를 형성하는 부직포편이 기저귀의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고, 그 부직포편의 양측 가장자리분이 기저귀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부직포편은 또한, 기저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를 가지며, 이들 양단 가장자리부가 기저귀의 폭을 이등분하는 중심선 상에서 일체화하고 있다. 세퍼레이터의 전방과 후방에는, 뇨와 변을 따로따로 수용할 수 있는 배설물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7-296314호 공보
종래예의 이 기저귀에서는, 착용자가 앉은 자세가 되면, 흡수성의 심재를 피복하고 있는 투액성 내면 시트 위에 세퍼레이터가 쓰러지듯이 겹쳐, 세퍼레이터 후방의 배설물 수용부에 진입했던 변이 그 세퍼레이터를 타고 넘어 전방으로 유출되기 쉬워져, 변에 의해 외성기가 더러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 착용자의 양 다리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움직여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는 심재가 폭방향에서 꺾여 구부러짐으로써 피부에 접근하면, 배설물 수용부의 내용적이 작아져, 배설물 수용부에 들어가지 못한 변에 의해 피부가 더러워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저귀 착용자의 자세가 여러가지로 변화하더라도 세퍼레이터가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종래의 기저귀를 개량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서로 직교하는 전후방향과 가로방향과 상하방향을 가지며, 가랑이 아래 영역의 전방에 앞몸통 둘레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의 후방에 뒤몸통 둘레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이 투액성 내면 시트와 불투액성 외면 시트 사이에 체액 흡수성의 심재가 개재되어 있는 체액 흡수부를 포함하고 있어 아래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상기 전후방향에서 만곡되어 있고,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는 또한 뇨와 변을 분리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이다.
이러한 팬츠형 기저귀에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이하와 같다. 상기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와 상기 내면 시트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내면 시트에 접합하고 있는 최내측 시트 부재와 상기 내면 시트가 상기 상하방향에서 서로 이격 가능한 부분에서 배설물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설물 수용부로의 뇨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는 전방부 개구와 변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는 후방부 개구가 상기 최내측 시트 부재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최내측 시트 부재는, 상기 전후방향에서 상기 전방부 개구와 상기 후방부 개구 사이에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전후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꺾여 구부러지고 상기 기저귀의 상기 전후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여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 상에서 직접적 및 간접적 중 어느 한 형태로 서로 접합하여 상기 전방부 개구와 상기 후방부 개구 사이에서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을 향하여 아래로 늘어지고, 그 아래로 늘어진 하단부가 상기 내면 시트에 접합함으로써 상기 세퍼레이터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에는, 상기 중심선 상에서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전후방향으로 1∼10 m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가로방향으로 10∼70 mm의 폭을 가지며, 상기 상하방향으로 상기 세퍼레이터의 상기 상하방향의 치수의 30∼100%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최내측 시트 부재의 상기 세퍼레이터에서의 변형을 억제하는 시트형 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에서, 상기 시트형 부재는, JIS K 6400-2의 섹션 6에 규정된 경도 측정 방법의 D법에 기초한 경도가 40∼130 N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에서, 상기 시트형 부재가, 상기 전후방향에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앞쪽, 뒤쪽 및 상기 최내측 시트 부재의 사이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세퍼레이터에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에서는, 뇨와 변을 분리하여 이들의 혼합을 방지하는 세퍼레이터를 형성하고 있는 최내측 시트 부재에 대하여, 그 가로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중심선 상에 1∼10 mm의 두께와, 10∼17 mm의 폭과, 세퍼레이터의 높이의 30∼100%의 높이를 갖는 시트 부재가 부착되어 있어 세퍼레이터의 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에, 기저귀 착용자의 자세가 여러가지로 변화하더라도, 세퍼레이터는 잘 꺾여 구부러지지 않아, 세퍼레이터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세퍼레이터는 또한, 체액 흡수성의 심재가 피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꺾여 구부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심재가 꺾여 구부러짐으로써 배설물 수용부의 용적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팬츠형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팬츠형 기저귀를 분해하여, 늘려서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본 도면.
도 5는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팬츠형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6은 도 5의 VI-VI선 단면도.
도 7은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 6과 동일한 도면.
도 2는 팬츠형 기저귀를 분해하여, 늘려서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본 도면.
도 5는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팬츠형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6은 도 5의 VI-VI선 단면도.
도 7은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 6과 동일한 도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1)에 관한 것으로, 그것이 착용 상태에 있을 때의 부분 파단 사시도로서, 기저귀(1)의 전후방향과 가로방향과 상하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쌍두 화살표 A, B, C로 표시되어 있다. 기저귀(1)는, 투액성의 내면 시트(2)와, 불투액성의 외면 시트(3)와, 체액 흡수성 심재(4)를 포함하고 있는 팬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피부 피복부(10)를 갖는다. 피부 피복부(10)는, 가랑이 아래 영역(6)과, 가랑이 아래 영역(6)의 전방에 형성된 앞몸통 둘레 영역(7)과, 가랑이 아래 영역(6)의 후방에 형성된 뒤몸통 둘레 영역(8)을 가지며, 앞뒤몸통 둘레 영역(7, 8)의 측가장자리부(7a, 8a)끼리 합장형으로 서로 겹치며, 도면의 상하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나열된 접합 영역(9)에서 서로 용착되어, 몸통 둘레 개구(11)와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몸통 둘레 개구(11)의 둘레 가장자리부(11a)에서는, 내외면 시트(2, 3)의 사이에 있고 몸통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14a)가 내외면 시트(2, 3) 중의 한쪽 이상에 신장 상태로 접합하고 있다. 또, 다리 둘레 개구(12)의 둘레 가장자리부(13)에서는, 다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다리 둘레 탄성 부재(14b)가 내외면 시트(2, 3)의 사이에 있고, 이들 시트(2, 3) 중의 한쪽 이상에 신장 상태로 접합하고 있다. 다리 둘레 탄성 부재(14b)와 내외면 시트(2, 3) 삼자가 다리 둘레를 따르는 환상의 탄성 영역(41)을 형성하고 있다. 기저귀(1) 중의 적어도 가랑이 아래 영역(6)은,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 사이에 심재(4)가 개재됨으로써 형성되는 체액 흡수부(45)를 포함하며, 전후방향(A)에서 아래쪽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만곡되어 있고, 최하부(6a)를 갖는다.
도 2는, 도 1의 앞뒤몸통 둘레 영역(7, 8)을 접합 영역(9)에서 박리하여, 기저귀(1) 전체를 전후방향(A)과 가로방향(B)으로 전개한 상태의 전개 기저귀(1a)의 부분 파단 평면도로서, 도면에는 그 전개 기저귀(1a)의 내면측이 나타나 있다. 전개 기저귀(1a)에서는, 도 1의 피부 피복부(10)가 모래시계형의 기저귀 기체(10a) 로 되어 나타나 있다. 도 1에서의 몸통 둘레 개구(11)의 둘레 가장자리부(11a)는, 기저귀 기체(10a)의 전단 가장자리부(7b)와 후단 가장자리부(8b)로 되어 나타나 있고, 다리 둘레 개구(12)의 둘레 가장자리부(13)는, 기저귀 기체(10a)의 가랑이 아래 영역 측가장자리부(13b)로 되어 나타나 있다. 가랑이 아래 영역 측가장자리부(13b)는, 기저귀 기체(10a)를 가로방향(B)에서 이등분하는 전후방향 중심선(P-P)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만곡되어 있지만, 앞뒤몸통 둘레 영역(7, 8)의 측가장자리부(7a, 8a)는 각각, 전후방향 중심선(P-P)에 거의 평행하게 전후방향(A)으로 연장되어 있다. 심재(4)도 또한 모래시계형이며,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의 혼합물(4a)이 티슈 페이퍼를 일례로 하는 체액의 흡수성과 확산성이 우수한 피복 시트(4b)에 의해 덮이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 기체(10a)에서, 그 내면을 형성하고 있는 내면 시트(2)의 가랑이 아래 영역(6)에는, 세퍼레이터(20a)(도 3 참조)를 형성하기 위해, 소수성의 부직포, 플라스틱 필름 또는 이들 양자로 이루어진 복합 시트 등의 시트 재료,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이며 불투액성인 부직포, 플라스틱 필름 또는 이들 양자로 이루어진 복합 시트 등의 시트 재료로 이루어진 최내측 시트 부재(20)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개 기저귀(1a)는, 전후방향 중심선(P-P)에 관해 대칭으로 만들어져 있다. 가랑이 아래 영역(6)의 최하부(6a)는, 전개 기저귀(1a)에서의 전후방향(A)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로방향 중심선(Q-Q) 상에 있다.
최내측 시트 부재(20)는, 기저귀(1)가 착용되었을 때 내면 시트(2)와 착용자의 피부(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개재되도록 기저귀 기체(10a)에 부착되는 것으로, 기저귀 기체(10a)에서의 가랑이 아래 영역 측가장자리부(13b)에 각각 핫멜트 접착제(24)를 통해 고정되어 있는 측가장자리 부분(23)과, 가랑이 아래 영역(6)의 최하부(6a)보다 전방에 있고 측가장자리 부분(23) 사이에서 가로방향(B)으로 연장되어 있는 앞가장자리 부분(21)과, 가랑이 아래 영역(6)의 최하부(6a)보다 후방에 있고 측가장자리 부분(23) 사이에서 가로방향(B)으로 연장되어 있는 뒤가장자리 부분(22)을 갖는다. 도시예의 최내측 시트 부재(20)는, 측가장자리 부분(23)과 후기 도 3에 나타나 있는 하단부(35)를 제외하면, 내면 시트(2)에 대하여 이격 가능한 비접합 상태로서, 내면 시트(2)와의 사이에 포켓형의 배설물 수용부(31)를 형성할 수 있다(도 3 참조). 앞가장자리 부분(21)과 뒤가장자리 부분(22)에는 각각, 최내측 시트 부재(20)를 접는 것에 의해 가로방향(B)으로 연장되는 슬리브(21a와 2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리브(21a와 22a)는, 각각의 내측에 전방 탄성 부재(21b)와 후방 탄성 부재(22b)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가랑이 아래 영역 측가장자리부(13b) 사이에 연장되는 전방 탄성 영역(42)과 후방 탄성 영역(43)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탄성 영역(42, 43)은, 기저귀 기체(10a)의 탄성 영역(41)과 교차하고 있다. 앞가장자리 부분(21)과 뒤가장자리 부분(22)은 또한, 가로방향 중심선(Q-Q)으로부터의 거리 Hf와 Hr이 거의 동일하다.
최내측 시트 부재(20)의 앞가장자리 부분(21)에는, 전후방향 중심선(P-P)의 위에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가 부착되어 있다.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는, 스폰지,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에틸렌, 펠트, 부직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기저귀(1)를 착용했을 때 작용하는 체압에 의해 변형되기는 하지만, 최내측 시트 부재(20)와 같이 용이하게 변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바람직한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는 변형 후에 신속하게 복원되는 탄성을 겸비하고 있다. 최내측 시트 부재(20)의 뒤가장자리 부분(22)에 가상선으로 표시된 부위(82)는, 기저귀 기체(1a)가 측가장자리부(7a, 8a)가 접합하여 팬츠형 기저귀(1)가 될 때,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가 접합하는 부위이다(도 3, 4 참조).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로서, III-III선은 도 2의 전후방향 중심선(P-P)에 일치하고 있다. 팬츠형상의 피부 피복부(10)에서는, 앞몸통 둘레 영역(7)과 뒤몸통 둘레 영역(8)이 서로 측가장자리부(7a, 8a)에서 접합하고 있다. 가랑이 아래 영역(6)은 전후방향(A)에서 U자형으로 만곡되어 있고, 최하부(6a)가 그 U자형의 바닥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 2의 가랑이 아래 영역 측가장자리부(13b)는, 다리 둘레 개구(12)를 구획하는 둘레 가장자리부(13)로 되어 나타나 있다. 최내측 시트 부재(20)는, 앞가장자리 부분(21)과 뒤가장자리 부분(22)이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를 통해 접합하고 있고, 도 2에서 앞가장자리 부분(21)과 뒤가장자리 부분(22) 사이에서 전후방향(A)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36)이 최하부(6a)를 향하여 아래로 늘어져 있어, 가랑이 아래 영역(6)을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으로 구획하는 세퍼레이터(20a)를 형성하고 있다.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는, 전후방향(A)으로 두께(N)를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높이(L)를 갖는 것이며, 최내측 시트 부재(20)에 대하여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가 뒤가장자리 부분(22)과 접합하고 있는 부위(82)는, 도 2에 부위(82)로서 가상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세퍼레이터(20a)는, 아래로 늘어져 있는 하단부(35)가 가랑이 아래 영역(6)의 최하부(6a)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접합하고 있고,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로부터 최하부(6a)에서의 내면 시트(2)까지의 치수인 높이(K)를 갖는다. 최내측 시트 부재(20)가 내면 시트(2)와 협동하여 형성하는 배설물 수용부(31)에서는, 최내측 시트 부재(20)의 앞가장자리 부분(21)과 내면 시트(2)가 서로 이격 가능한 것에 의해 전방부 개구(33)를 구획하고 있고, 최내측 시트 부재(20)의 뒤가장자리 부분(22)과 내면 시트(2)가 서로 이격 가능한 것에 의해 후방부 개구(34)를 구획하고 있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본 도면으로서, 도 1의 팬츠형 기저귀(1)를 몸통 둘레 개구(11)의 위쪽에서 본 도면이기도 하다.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는, 가로방향(B)으로 폭(M)을 가지며, 최내측 시트 부재(20)의 앞가장자리 부분(21)과 뒤가장자리 부분(22)은,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에 의해 가로방향(B)으로 이분되어 있고, 기저귀 착용자(도시하지 않음)의 오른쪽 다리에 접촉 가능한 오른쪽 부분(21R, 22R)과, 왼쪽 다리에 접촉 가능한 왼쪽 부분(21L, 22L)을 갖는다. 오른쪽 부분(21R과 22R)은 가로로 향한 V자형을 그리고 있고, 착용자의 오른쪽 다리가 이들 양쪽 부분(21R과 22R) 사이에 삽입된다. 왼쪽 부분(21L과 22L)도 또한 가로로 향한 V자형을 그리고 있고, 착용자의 왼쪽 다리가 이들 양쪽 부분(21L과 22L) 사이에 삽입된다. 피부 피복부(10)에서의 다리 둘레 개구(12)의 둘레 가장자리부(13)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른쪽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R)와 왼쪽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L)가 있고, 각각의 둘레 가장자리부(13R, 13L)가, 최내측 시트 부재(20)에서의 측가장자리 부분(23)에 대하여 서로 겹치지 않는 위쪽 부분(15a)과, 측가장자리 부분(23)에 대하여 서로 겹치며 접합하고 있는 아래쪽 부분(15b)으로 나뉘어져 있다(도 3을 함께 참조). 도면에서는, 이들 위쪽 부분(15a)과 아래쪽 부분(15b)의 범위가 쌍두 화살표 G와 H에 의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기저귀(1)를 착용할 때의 순서와 기저귀(1)의 거동은, 다음과 같다. 우선, 피부 피복부(10)의 앞뒤몸통 둘레 영역(7, 8)을 전후방향(A)으로 이격시켜, 몸통 둘레 개구(11)를 도 1, 4와 같이 크게 넓히면, 최내측 시트 부재(20)로 형성된 세퍼레이터(20a)의 앞가장자리 부분(21)은 오른쪽 부분(21R)과 왼쪽 부분(21L)이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를 중앙으로 하여 전후방향(A)에서 V자형을 그리도록 변형되고, 동일하게 뒤가장자리 부분(22)도 오른쪽 부분(22R)과 왼쪽 부분(22L)이 전후방향(A)에서 V자형을 그리도록 변형된다(도 4 참조). 이러한 변형에 의해, 배설물 수용부(31)에서의 전방부 개구(33)와 후방부 개구(34)가 자동적으로 크게 개구된다(도 3 참조). 또, 오른쪽 부분(21R과 22R)이 전후방향(A)에서 이격되고, 왼쪽 부분(21L과 22L)이 전후방향(A)에서 이격된다. 다음으로, 기저귀 착용자(도시하지 않음)는,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12) 중의 오른쪽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R)에서의 위쪽 부분(15a)과 세퍼레이터(20a)의 앞가장자리 부분(21)에서의 오른쪽 부분(21R)과 뒤가장자리 부분(22)에서의 오른쪽 부분(22R)이 구획하는 오른쪽 다리용 개구부(41R)에 오른쪽 다리를 진입시킨다. 계속해서, 그 오른쪽 다리를 오른쪽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R)의 위쪽 부분(15a)과 아래쪽 부분(15b)이 구획하는 오른쪽 다리용의 다리 둘레 개구(12)에 진입시킨다. 또 계속해서, 왼쪽 다리를 왼쪽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L) 중의 위쪽 부분(15a)과 세퍼레이터(20a)의 앞가장자리 부분(21)에서의 왼쪽 부분(21L)과 뒤가장자리 부분(22)에서의 왼쪽 부분(22L)이 구획하는 왼쪽 다리용 개구부(41L)에 진입시킨다. 그 왼쪽 다리를 또한 왼쪽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L)의 위쪽 부분(15a)과 아래쪽 부분(15b)이 구획하는 다리 둘레 개구(12)에 진입시킨다.
착용후의 기저귀(1)에서, 각각의 다리 둘레 개구(12)의 둘레 가장자리부(13), 즉 오른쪽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R)와 왼쪽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L)는, 다리 둘레 개구(12) 각각의 둘레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ㆍ수축 가능하고, 세퍼레이터(20a)의 앞가장자리 부분(21)과 뒤가장자리 부분(22)은 가로방향(B)으로 탄성적으로 신장ㆍ수축 가능하기 때문에, 오른쪽 다리의 허벅지 윗부분 근방에서는, 오른쪽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R)의 위쪽 부분(15a)과 세퍼레이터(20a)에서의 오른쪽 부분(21R과 22R)이 다리 둘레에 탄성적으로 밀착하여, 체액의 누설을 방지하는 제1차 시일(51R)을 형성한다(도 4 참조). 제1차 시일(51R)의 아래쪽에서는, 오른쪽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R)의 아래쪽 부분(15b)과 위쪽 부분(15a)이 일체가 되어 체액의 누설을 방지하는 제2차 시일(52R)(도 4 참조)을 형성하여, 이 제2차 시일(52R)이, 종래의 팬츠형 기저귀에서의 다리 둘레의 시일과 동일하게 작용한다. 왼쪽 다리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왼쪽 다리의 허벅지 윗부분 근방에서는, 왼쪽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L)의 위쪽 부분(15a)과 세퍼레이터(20a)에서의 왼쪽 부분(21L과 22L)이 다리 둘레에 탄성적으로 밀착하여, 제1차 시일(51L)을 형성한다. 제1차 시일(51L)의 아래쪽에서는, 왼쪽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L)의 아래쪽 부분(15b)과 위쪽 부분(15a)이 일체가 된 제2차 시일(52L)을 형성한다. 착용한 기저귀(1)를 신체에 대하여 충분히 당겨 올림으로써,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가 부착되어 있는 세퍼레이터(20a)의 가로방향(B)에서의 중앙 부분이 착용자의 외성기와 항문 사이에서 피부에 접촉한다.
착용 상태가 이와 같은 기저귀(1)에서는, 세퍼레이터(20a)에서의 부분(36)이 기저귀 착용자의 가랑이부를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으로 구분하고 있고, 전방 부분에서는 착용자의 외성기가 앞가장자리 부분(21)으로부터 전방부 개구(33)에 보이고, 후방 부분에서는 착용자의 항문이 뒤가장자리 부분(22)으로부터 후방부 개구(34)에 보임으로써, 뇨는 전방부 개구(33)로부터 포켓형의 배설물 수용부(31)에 확실하게 진입한다. 변은 후방부 개구(34)로부터 배설물 수용부(31)에 확실하게 진입한다. 그 때문에, 팬츠형 기저귀(1)에서는, 뇨와 피부의 접촉 및 변과 피부의 접촉을 세퍼레이터(20a)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 세퍼레이터(20a)에 부착되어 있는 변형 억제 시트(81)는, 착용자의 양 다리가 간격이 좁아지도록 움직였을 때, 체액 흡수부(45)가 피부에 접근하도록 전후방향 중심선(P-P)을 따라서 꺾여 구부러지려 하는 것을 억제하여, 배설물 수용부(31)의 내용적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체액 흡수부(45)가 배설물 수용부(31)의 전방부 개구(33)나 후방부 개구(34)에 접근하여 이들 개구(33 또는 34)를 막도록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체액 흡수부(45)가 이와 같이 꺾여 구부러지려 할 때의 형상은, 도 1과 후기의 도 5에 가상선 J로 표시되어 있다. 도 1의 체액 흡수부(45)와 그 체액 흡수부(45)에 해당하는 도 5의 체액 흡수 부재(122)는, 화살표 E, F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움직여 꺾여 구부러져, 피부에 접근하도록 화살표 G 방향으로 향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는데,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는 그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는 또한, 착용자가 앉은 자세로부터 선 자세로 바뀌었을 때, 앉은 자세에서는 내면 시트(2) 위에 쓰러져 있었던 세퍼레이터(20a)가, 도 3과 같이 전방부 개구(33)와 후방부 개구(34) 사이로부터 내면 시트(2)를 향하여 아래로 늘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촉진하여, 세퍼레이터(20a)가 원래의 기능을 재빨리 발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도 3과 같이 아래로 늘어졌을 때의 하단부(35)가 가랑이 영역(6)의 최하부(6a)에 접합하고 있는 세퍼레이터(20a)는, 가령 그것이 쓰러진 상태라 하더라도, 최내측 시트 부재(20)보다 강성이 높은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가 부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앞가장자리 부분(21)이 전방으로 인장되거나, 뒤가장자리 부분(22)이 후방으로 인장되면, 앞가장자리 부분(21)과 하단부(35) 사이, 환언하면 뒤가장자리 부분(22)과 하단부(35) 사이의 세퍼레이터(20a)가 도 3의 정상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한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는, 기저귀(1)가 유아용인 경우에, 폭(M)이 10∼7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0 mm의 범위이고, 두께(N)가 1∼1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3∼7 mm의 범위이고, 높이(L)가 세퍼레이터(20a)의 높이(K)의 30∼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80%의 범위이다. 그 세퍼레이터(20a)의 높이는, 20∼100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의 치수가 이들 범위에서 벗어날 때에는, 기저귀(1)의 착용감이 나빠지거나, 세퍼레이터(20a)나 체액 흡수부(45)의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가 부족해진다.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는 또한, 가로방향(B)에서의 세퍼레이터(20a)의 중앙부에서의 강성을 높이는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로서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JIS K 6400-2의 섹션 6에 규정된 경도 측정 방법의 D법에 기초하는 경도가 40∼130 N, 보다 바람직하게는 60∼90 N의 범위에 있는 시트 재료로 형성된다. 경도가 40 N을 밑돌 때에는,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가 지나치게 부드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경도가 130 N을 초과할 때에는,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가 세퍼레이터(20a)를 국부적으로 지나치게 딱딱하게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는 또한,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1)에서, 세퍼레이터(20a)를 형성하고 있는 최내측 시트 부재(20)의 앞가장자리 부분(21)은 전방부 개구(33)에서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또, 전후방향(A)에서, 그 앞가장자리 부분(21)은, 착용자의 외성기보다 후방에 있어, 외성기가 전방부 개구(33)에 보이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그 위치가 결정된다. 이와 같은 앞가장자리 부분(21)의 형상은, 도시예와 같이 가로방향(B)으로 직선형으로 뻗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로방향 중심선(Q-Q)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최내측 시트 부재(20)의 뒤가장자리 부분(22)은, 후방부 개구(34)에서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또, 전후방향(A)에서, 그 뒤가장자리 부분(22)은 착용자의 항문보다 전방에 있어, 항문이 후방부 개구(34)에 보이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그 위치가 결정된다. 이와 같은 뒤가장자리 부분(22)도 또한, 도시예와 같이 폭방향(B)으로 직선형으로 뻗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로방향 중심선(Q-Q)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도 2의 기저귀 기체(10a)의 가랑이 아래 영역(6)에서는, 서로 겹치는 내외면 시트(2, 3)에 의해 심재(4)의 외측에 사이드 플랩(25)이 형성되어 있다. 그 사이드 플랩(25)은, 기저귀(1)가 도 1의 상태에 있어, 가랑이 아래 영역(6)이 U자형으로 만곡되어 탄성 영역(41)이 수축하면, 가로방향 중심선(Q-Q)의 근방, 즉 가랑이 아래 영역(6)의 최하부(6a)의 근방에서, 심재(4)의 측가장자리 부분(4c)을 따라서 위쪽으로 기립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한편, 탄성 영역(41)의 내면에 측가장자리 부분(23)이 접합하고 있는 최내측 시트 부재(20)는, 몸통 둘레 개구(11)가 크게 개구되면, 사이드 플랩(25)을 전후방향 중심선(P-P)에 접근하도록 기저귀(1)의 가로방향에서의 내측으로 인장하여, 그 결과, 사이드 플랩(25)은 위쪽으로 기립하는 경향이 강해진다. 또, 앞가장자리 부분(21)과 뒤가장자리 부분(22)이 탄성적으로 수축할 때에는, 그 경향이 한층 더 강해진다. 이러한 경향을 갖는 사이드 플랩(25)은,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대하여 팬츠형 기저귀(1)의 아래쪽으로부터 밀착하여, 다리 둘레로부터의 체액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내면 시트(2)에는, 부직포나 개구 플라스틱 필름 등의 투액성 시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외면 시트(3)에는, 플라스틱 필름이나 플라스틱 필름과 부직포로 이루어진 복합 시트 등의 불투액성 시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심재(4)에는, 분쇄 펄프나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을 티슈 페이퍼 등의 시트 재료로 피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최내측 시트 부재(20)에는,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소수성의 시트 재료,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으로 하여 불투액성의 시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최내측 시트 부재(20)는, 그 앞가장자리 부분(21)과 뒤가장자리 부분(22)이 신장 상태인 탄성 부재(21b, 22b)를 포함하고 있어 가로방향(B)으로 탄성적으로 신장, 수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최내측 시트 부재(20)가 가로방향(B)으로 탄성적으로 신장, 수축 가능한 탄성 시트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탄성 부재(21b, 22b)의 사용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본 발명은, 앞가장자리 부분(21)과 뒤가장자리 부분(22)이 가로방향(B)으로 탄성적으로 신장, 수축하지 않는 양태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팬츠형 기저귀(1)의 부분 파단 사시도로서, 도 1의 팬츠형 기저귀(1)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 즉, 도 5의 팬츠형 기저귀(1)도 또한, 가랑이 아래 영역(6)과, 앞몸통 둘레 영역(7)과, 뒤몸통 둘레 영역(8)을 갖고 있어, 앞뒤몸통 둘레 영역(7, 8)의 측가장자리부(7a, 8a)가 합장형으로 서로 겹치며, 상하방향(C)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 영역(9)에서 서로 용착되어 몸통 둘레 개구(11)와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는 또한, 착용자(도시하지 않음)의 피부와 마주 보는 최내측 시트 부재(120)와, 최내측 시트 부재(120)의 외면(120b)에 부착되어 있는 체액 흡수 부재(122)를 포함하며, 이들 최내측 시트 부재(120)와 체액 흡수 부재(122)가 일체가 됨으로써 팬츠형상의 피부 피복부(10)를 형성하고 있다. 최내측 시트 부재(120)는,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이고 불투액성인 것이며, 앞몸통 둘레 영역(7)과 뒤몸통 둘레 영역(8)에 위치하는 부위의 내면에는 탄성 시트편(52)을 신장 상태로 접합함으로써 몸통 둘레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최내측 시트 부재(120) 중에서 가랑이 영역(6)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전방부 개구(33)와 후방부 개구(34)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부 개구(33)는, 둘레 가장자리부(33b)를 갖는 것이며, 가로방향 중심선(Q-Q)보다 전방에 있어 착용자의 외성기를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다. 또, 후방부 개구(34)는, 둘레 가장자리부(34b)를 갖기 때문에, 가로방향 중심선(Q-Q)보다 후방에 있어 착용자의 항문을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다. 도 5에는 또한, 최내측 시트 부재(120)에서의 둘레 가장자리부(33b)의 아래쪽 부분(33c)과 둘레 가장자리부(34b)의 아래쪽 부분(34c)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양쪽 부분(33c, 34c)을 접합하고 있는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가 나타나 있다(도 6을 함께 참조). 가상선 J는, 체액 흡수 부재(122)가 가랑이 영역(6)에서 화살표 E, F 방향으로 움직여 꺾여 구부러져, 피부에 접근하도록 화살표 G 방향으로 향하려 할 때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변형 억제 시트(81)는, 그 때의 체액 흡수 부재(122)의 움직임을 억제하도록 작용한다.
체액 흡수 부재(122)는, 투액성 내면 시트(2)와 불투액성 외면 시트(3) 사이에 체액 흡수성의 심재(4)가 개재됨으로써 형성되는 체액 흡수부(45)를 갖는 것이며, 이들 내외면 시트(2, 3)는 심재(4)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에서 서로 겹쳐 서로 접합하고, 전방부 개구(33)와 후방부 개구(34)를 최내측 시트 부재(120)의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양 시트(2, 3) 중의 한쪽 이상이 최내측 시트 부재(120)에 접합하고 있다. 가랑이 아래 영역(6)의 양측 가장자리부(13)에서는,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와 최내측 시트 부재(120)가 서로 겹쳐 접합하고 있다. 그 양측 가장자리부(13)에서는 또한,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 사이에 있고 측가장자리부(13)를 따라서 연장되는 다리 둘레 탄성 부재(14b)가, 이들 양 시트(2, 3) 중의 한쪽 이상에 신장 상태로 접합하고 있다. 양측 가장자리부(13) 사이에서는, 내면 시트(2)와 최내측 시트 부재(120)가 접합하지 않고, 심재(4)의 두께 방향에서 최내측 시트 부재(120)가 내면 시트(2)로부터 이격되어, 이들 양자(2, 120)에 의해 배설물 수용부(31)가 형성되고, 그 배설물 수용부(31)에는 전방부 개구(33)로부터 뇨가 진입하고, 후방부 개구(34)로부터는 변이 진입한다.
도 6은, 도 5의 VI-VI선 단면도로서, 이 VI-VI선은 전후방향 중심선(P-P)에 일치하고 있다. 최내측 시트 부재(120)는, 전방부 개구(33)를 구획하고 있는 둘레 가장자리부(33b) 중의 아래쪽 부분(33c)과, 후방부 개구(34)를 구획하고 있는 둘레 가장자리부(34b) 중의 아래쪽 부분(34c)이, 두께(N)와 높이(K)를 갖는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를 개재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접합하고 있다. 최내측 시트 부재(120)는, 전후방향(A)에서 아래쪽 부분(33c과 34c)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36)이 가랑이 영역(6)의 최하부(6a)를 향하여 아래로 늘어져, 하단부(35)가 내면 시트(2)에 접합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 6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7의 기저귀(1)에서는, 최내측 시트 부재(120)끼리 직접적으로 접합함으로써 세퍼레이터(20a)를 형성하고 있다.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는, 그 세퍼레이터(20a)의 후면(83)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의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는, 배설물 수용부(31)의 진입한 연변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연속 기포를 갖는 스폰지나 권축된 복합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부직포와 같은 간극이 많은 시트 재료가 사용되고 있으면, 연변이 그 간극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수 있다. 유동성이 높은 연변이 그와 같이 들어가면, 후방부 개구(34)의 밖으로 연변이 역류하여 피부가 더러워지는 경우가 매우 적어진다. 단, 본 발명은, 변형 억제 시트 부재(81)를 세퍼레이터(20a)의 후면(83)이 아니라, 전면(82)에 부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팬츠형 기저귀
2 : 내면 시트
3 : 외면 시트
4 : 심재
6 : 가랑이 아래 영역
6a : 최하부
7 : 앞몸통 둘레 영역
8 : 뒤몸통 둘레 영역
10 : 피부 피복부
12 : 다리 둘레 개구
20 : 최내측 시트 부재
20a : 세퍼레이터
31 : 배설물 수용부
33 : 전방부 개구
34 : 후방부 개구
35 : 하단부
45 : 체액 흡수부
81 : 시트형 부재(변형 억제 시트)
120 : 최내측 시트 부재
A : 전후방향
B : 가로방향
C : 상하방향
K : 세퍼레이터의 상하방향의 치수
L : 높이
M : 폭
N : 두께
P-P : 중심선
2 : 내면 시트
3 : 외면 시트
4 : 심재
6 : 가랑이 아래 영역
6a : 최하부
7 : 앞몸통 둘레 영역
8 : 뒤몸통 둘레 영역
10 : 피부 피복부
12 : 다리 둘레 개구
20 : 최내측 시트 부재
20a : 세퍼레이터
31 : 배설물 수용부
33 : 전방부 개구
34 : 후방부 개구
35 : 하단부
45 : 체액 흡수부
81 : 시트형 부재(변형 억제 시트)
120 : 최내측 시트 부재
A : 전후방향
B : 가로방향
C : 상하방향
K : 세퍼레이터의 상하방향의 치수
L : 높이
M : 폭
N : 두께
P-P : 중심선
Claims (3)
- 서로 직교하는 전후방향과 가로방향과 상하방향을 가지며, 가랑이 아래 영역의 전방에 앞몸통 둘레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의 후방에 뒤몸통 둘레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이 투액성 내면 시트와 불투액성 외면 시트 사이에 체액 흡수성의 심재가 개재되어 있는 체액 흡수부를 포함하고 있어 아래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상기 전후방향에서 만곡되어 있고,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는 또한 뇨와 변을 분리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로서,
상기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와 상기 내면 시트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내면 시트에 접합하고 있는 최내측 시트 부재와 상기 내면 시트가, 상기 상하방향에서 서로 이격 가능한 부분에서 배설물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설물 수용부로의 뇨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는 전방부 개구와 변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는 후방부 개구가 상기 최내측 시트 부재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최내측 시트 부재는, 상기 전후방향에서 상기 전방부 개구와 상기 후방부 개구 사이에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전후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꺾여 구부러지고 상기 기저귀의 상기 전후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여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 상에서 직접적 및 간접적 중 어느 한 형태로 서로 접합하여 상기 전방부 개구와 상기 후방부 개구 사이에서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을 향하여 아래로 늘어지고, 그 아래로 늘어진 하단부가 상기 내면 시트에 접합함으로써 상기 세퍼레이터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세퍼레이터에는, 상기 중심선 상에서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전후방향으로 1∼10 m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가로방향으로 10∼70 mm의 폭을 가지며, 상기 상하방향으로 상기 세퍼레이터의 상기 상하방향의 치수의 30∼100%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최내측 시트 부재의 상기 세퍼레이터에서의 변형을 억제하는 시트형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저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부재는, JIS K 6400-2의 섹션 6에 규정된 경도 측정 방법의 D법에 기초하는 경도가 40∼130 N인 기저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부재가, 상기 전후방향에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앞쪽, 뒤쪽 및 상기 최내측 시트 부재의 사이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세퍼레이터에 부착되어 있는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081759 | 2008-03-26 | ||
JP2008081759A JP5185671B2 (ja) | 2008-03-26 | 2008-03-26 |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8042A true KR20110008042A (ko) | 2011-01-25 |
Family
ID=4111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23209A KR20110008042A (ko) | 2008-03-26 | 2009-01-19 |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054434A1 (ko) |
EP (1) | EP2255763A4 (ko) |
JP (1) | JP5185671B2 (ko) |
KR (1) | KR20110008042A (ko) |
CN (1) | CN102036631A (ko) |
AU (1) | AU2009230460A1 (ko) |
CA (1) | CA2719278A1 (ko) |
WO (1) | WO2009119138A1 (ko)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32093A (en) * | 1968-04-22 | 1970-10-06 | Rose Lovret | Separable compartmented diaper construction |
US6010490A (en) * | 1992-12-18 | 2000-01-04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having an upstanding transverse partition |
SE502549C2 (sv) * | 1994-03-18 | 1995-11-13 | Moelnlycke Ab | Absorberande artikel, såsom en blöja, innefattande ett öppningsförsett toppskikt |
SE508283C2 (sv) * | 1995-02-02 | 1998-09-21 | Moelnlycke Ab | Absorberande byxa |
SE9503669D0 (sv) * | 1995-10-19 | 1995-10-19 | Marlene Sandberg Ab | Anordning vid blöja |
JP3919023B1 (ja) * | 2005-10-14 | 2007-05-23 | 王子ネピア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CN100531697C (zh) * | 2005-10-14 | 2009-08-26 | 王子妮飘株式会社 | 一次性尿布 |
JP4871095B2 (ja) * | 2006-04-06 | 2012-02-0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
JP5074703B2 (ja) * | 2006-04-06 | 2012-11-1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
2008
- 2008-03-26 JP JP2008081759A patent/JP518567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
- 2009-01-19 CN CN2009801180278A patent/CN102036631A/zh active Pending
- 2009-01-19 US US12/934,371 patent/US2011005443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01-19 WO PCT/JP2009/050617 patent/WO200911913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1-19 KR KR1020107023209A patent/KR2011000804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01-19 CA CA2719278A patent/CA271927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01-19 EP EP09725466.8A patent/EP2255763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9-01-19 AU AU2009230460A patent/AU2009230460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185671B2 (ja) | 2013-04-17 |
CN102036631A (zh) | 2011-04-27 |
JP2009233037A (ja) | 2009-10-15 |
AU2009230460A1 (en) | 2009-10-01 |
EP2255763A4 (en) | 2013-04-17 |
CA2719278A1 (en) | 2009-10-01 |
EP2255763A1 (en) | 2010-12-01 |
WO2009119138A1 (ja) | 2009-10-01 |
US20110054434A1 (en) | 2011-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78702B (zh) | Absorbent items | |
KR101591139B1 (ko) | 일회용 착용 물품 | |
KR101162809B1 (ko) |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 | |
JP3406205B2 (ja) | 使い捨ておむつ | |
KR101238533B1 (ko) |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 및 그 팬츠형 기저귀 | |
JP2008061898A (ja) | 使い捨てのおむつ | |
JP2010233905A (ja) | 吸収性物品 | |
JP2007275298A (ja) | 使い捨ておむつ | |
JP2010227152A (ja) | 吸収性物品 | |
WO2009087823A1 (ja) | 吸収性物品 | |
US7803243B2 (en) | Method for making disposable pants-type diaper | |
JP2007125259A (ja) | 使い捨ておむつ | |
WO2009145287A1 (ja) | 吸収性物品 | |
JP5185670B2 (ja) |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 |
KR20090110358A (ko) | 일회용 기저귀 | |
JP2013081718A (ja) | 使い捨て着用物品 | |
JP5185669B2 (ja) |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 |
WO2009119376A1 (ja) |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 |
KR20110008042A (ko) |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 | |
KR20100110317A (ko) | 일회용의 팬츠형 착용 물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