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022U -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 Google Patents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022U
KR20110008022U KR2020100001372U KR20100001372U KR20110008022U KR 20110008022 U KR20110008022 U KR 20110008022U KR 2020100001372 U KR2020100001372 U KR 2020100001372U KR 20100001372 U KR20100001372 U KR 20100001372U KR 20110008022 U KR20110008022 U KR 201100080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ive touch
touch screen
conductive
portable terminal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2280Y1 (ko
Inventor
이승희
Original Assignee
이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희 filed Critical 이승희
Priority to KR2020100001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28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0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0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2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터치수단을 이용하여 제공하되, 그 제공되는 터치수단이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과 사용자의 신체 간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통전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터치스크린 상에 신체를 접촉하지 않고서도 좌표를 감지할 수 있게 구현하고 이와 더불어, 터치수단을 도전성 고무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의 훼손을 최소화시켜주며, 터치수단 및 통전수단을 플라스틱 재질을 갖는 필기구에 구비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절감시켜줄 뿐만 아니라 일반필기용도 및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로 선택하여 사용가능한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필기수단이 구비된 필기구용 몸체(110)와; 상기 필기구용 몸체(110)의 필기수단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것으로, 선단에 인입공간(121)이 형성된 볼펜캡(120)과; 상기 볼펜캡(120)의 선단에 형성된 인입공간(121)에 일부가 끼워지는 전도성 터치부재(130)와; 일단부가 상기 볼펜캡(120)의 선단에 형성된 인입공간(121)에 걸려 상기 전도성 터치부재(130)와 접촉되는 전도성 중계부재(14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Touch pen both use note tool of system for electric capacity}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터치수단을 이용하여 제공하되, 그 제공되는 터치수단이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과 사용자의 신체 간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통전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터치스크린 상에 신체를 접촉하지 않고서도 좌표를 감지할 수 있게 구현하고 이와 더불어, 터치수단을 도전성 고무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의 훼손을 최소화시켜주며, 터치수단 및 통전수단을 플라스틱 재질을 갖는 필기구에 구비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절감시켜줄 뿐만 아니라 일반필기용도 및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로 선택하여 사용가능한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모바일폰, PDA, PMP, MP3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크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장치의 키 버튼 입력 방식 또한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정보 입력 또는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방식은 스크린을 통해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하여 직접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의 접촉이 있으면 그 접촉된 위치의 좌표를 파악한다. 그리고 접촉된 좌표값을 통해 해당 좌표값에 대응하는 기능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은 정보 표시부로서의 기능과 입력부로서의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동작 원리에 따라 크게 저항막방식, 표면초음파방식, 적외선방식, 정전용량방식 등으로 나뉘어진다.
먼저, 저항막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판 위에 저항 성분의 물질을 코팅하고 그 위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덮어씌운 구조를 가진다. 두 면이 서로 닿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절연봉이 설치되어 있는데, 스크린을 터치하는 경우 저항값이 변화하고 이에 의해 전압이 변화하는 것을 검출하여 터치 지점을 감지한다.
그리고 표면초음파방식은 음파를 발사하는 트랜스미터를 유리의 한쪽 모서리에 부착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음파를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부착하고 그 반대쪽에 리시버를 부착한 형태로 구성되는데, 손가락 등의 물체가 스크린을 터치하여 음파의 진행 경로를 방해하게 될 때 그 시점을 계산하여 터치 지점을 감지한다.
그리고 적외선방식은 적외선의 직진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발광소자인 적외선 LED와 수광소자인 포토 트랜지스터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여 매트릭스를 구성한다. 상기 매트릭스 내부로 손가락 등의 물체가 접근하여 적외선을 차단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터치 지점을 감지한다.
그리고 정전용량방식은 유리 양면에 투명한 특수 전도성 금속을 코팅하고 스크린의 네 모서리에 전압을 인가하여 터치스크린 표면에 고주파를 생성시켜, 사용자의 손과 같은 신체가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게 되면 일정량의 전류가 사용자의 체내에 흡수되며 이로 인해, 터치스크린에서는 전류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터치 지점을 인지지하는데 도 1을 통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의 적층구조는 정전용량센서(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10)에 설치되는 입력키(20)의 하부에 도전성 접촉부재(31) 및 그 도전성 접촉부재(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계측소자(32)로 이루어진 정전용량센서(30)가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적층구조를 갖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의 구동원리로 입력키(20)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면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계측소자(32)는 도전성 접촉부재(31)에서 발생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전송하고, 제어부에서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소정 크기 이상일 경우에는 유효신호로 판단하여 터치입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처럼, 터치스크린에 정전용량방식을 적용할 경우 접촉만으로도 위치감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터치스크린의 적층간격을 단축할 수 있고, 내구성과 광 투과율까지 높일 수 있으며, 외부압력에 의해 야기되는 오작동을 최소화시켜주는 이점이 있어, 다양한 터치방식 중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신체의 접촉을 통해서 좌표를 감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인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 시 사용자의 손가락에 충격이 전달되는 폐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래치와 같은 훼손이 터치스크린에 발생하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에 적합한 접촉소자로 금속재의 터치펜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데 터치펜의 재질이 금속재질로만 이루어져야 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추가되는 금속재의 터치펜을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과, 추가로 구비되는 금속재의 터치펜의 경우 기본기능인 정보입력수단만 제공할 뿐 추가의 다른 기능은 제공하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터치수단을 이용하여 제공하되, 그 제공되는 터치수단이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과 사용자의 신체 간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통전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터치스크린 상에 신체를 접촉하지 않고서도 좌표를 감지할 수 있게 구현하고 이와 더불어, 터치수단을 터치스크린의 훼손을 최소화시켜주는 도전성 고무를 이용하여 구현된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앞에서 언급한 터치수단 및 통전수단을 플라스틱 재질을 갖는 필기구에 구비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절감시켜줄 뿐만 아니라 일반필기용도 및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로 선택하여 사용가능한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는, 필기수단이 구비된 필기구용 몸체와; 상기 필기구용 몸체의 필기수단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것으로, 선단에 인입공간이 형성된 볼펜캡과; 상기 볼펜캡의 선단에 형성된 인입공간에 일부가 끼워지는 전도성 터치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볼펜캡의 선단에 형성된 인입공간에 걸려 상기 전도성 터치부재와 접촉되는 전도성 중계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펜캡에는 일체로 연결되는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의 외측을 따라 상기 전도성 중계부재가 놓여진다.
상기 클립의 외측을 따라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도성 중계부재는 상기 클립의 외측을 따라 형성된 안착공간에 안착지지된다.
상기 전도성 중계부재의 두께는 상기 클립의 외측에 형성된 안착공간의 깊이보다 크다.
상기 전도성 터치부재는 도전성 고무를 이용하고, 상기 볼펜캡의 재질은 플라스틱을 이용한다.
그리고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는, 필기수단이 내재되도록 관 형상을 갖는 필기구용 몸체와; 상기 필기구용 몸체의 끝단에 일부가 끼워지는 전도성 터치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필기구용 몸체의 끝단에 걸려 상기 전도성 터치부재와 접촉되는 전도성 중계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도성 터치부재는 도전성 고무이고, 상기 전도성 중계부재에는 걸이용 단턱이 구비된다.
상기 필기구용 몸체의 끝단 쪽 외측을 따라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도성 중계부재는 상기 필기구용 몸체의 끝단 쪽 외측을 따라 형성된 안착공간에 안착지지된다.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상기 전도성 중계부재는 돌출되게 제공한다.
상기 필기구용 몸체의 재질은 플라스틱을 이용한다.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터치수단을 이용하여 제공하되, 그 제공되는 터치수단이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과 사용자의 신체 간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통전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터치스크린 상에 신체를 접촉하지 않고서도 좌표를 감지할 수 있게 구현하고 이와 더불어, 터치수단을 도전성 고무를 이용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의 훼손을 최소화시켜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고안은 터치수단 및 통전수단을 플라스틱 재질을 갖는 필기구에 구비함으로써, 제조단가가 절감되고, 일반필기용도 및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로 선택하여 사용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를 나타낸 분해상태 사시도,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를 나타낸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6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의 사용상태 도면,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를 나타낸 분해상태 요부사시도,
도 8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의 종단면도,
도 9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의 횡단면도,
도 10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의 구성 중 전도성 중계부재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 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 제 1 실시예 -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를 나타낸 분해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를 나타낸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도 6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의 사용상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는 필기구용 몸체(110), 볼펜캡(120), 전도성 터치부재(130), 전도성 중계부재(14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 구성의 세부구성 및 결합관계는 먼저, 필기구용 몸체(110)에는 필기수단이 구비되어 진다. 이러한, 필기수단으로는 볼펜심, 유성펜 및 수성펜 등 다양한 필기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필기구용 몸체(110)에 구비되는 필기수단이 보호될 수 있도록 그 필기수단이 노출된 필기구용 몸체(110)의 선단 쪽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볼펜캡(120)이 구비된다.
여기서, 볼펜캡(120)의 선단에는 인입공간(121)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전도성 터치부재(130)가 끼워질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볼펜캡(120)은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는데 그 이유로, 플라스틱 재질의 비용은 금속재질보다 저렴할 뿐만 아니라 필기수단의 종류에 따라 볼펜캡(120)의 내부 형상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용이한 성형공정을 제공하는 사출성형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볼펜캡(120)의 선단에 형성된 인입공간(121)에 전도성 터치부재(130)의 일부를 끼우기 전에 전도성 중계부재(140)의 일단부를 볼펜캡(120)의 선단에 형성된 인입공간(121)에 걸쳐진 상태에서 전도성 터치부재(130)를 끼움으로서, 전도성 터치부재(130)가 전도성 중계부재(140)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제공한다.
여기서, 전도성 터치부재(130)의 재질로는 터치스크린 접촉 시 스크래치 등의 훼손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도전성 고무를 사용하고, 전도성 중계부재(140)의 재질로는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황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볼펜캡(120)에 전도성 중계부재(140)를 연결 시 클립(150)의 외측에 연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볼펜캡(120)에 일체로 연결된 클립(150)의 외측을 따라 전도성 중계부재(140)가 놓여지되,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클립(150)의 외측을 따라 안착공간(151)을 형성시키고, 그 형성된 안착공간(151)에 전도성 중계부재(140)를 안착지지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안착공간(151)을 따라 안착지지되는 전도성 중계부재(140)의 두께(T)는 안착공간(151)의 깊이(D)보다 큰 두께를 갖도록 하여 전도성 중계부재(140)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에 접촉에 따라 흐르는 전류가 보다 원활하게 흐르도록 함으로써, 접촉되는 곳의 좌표감지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제공한다.
이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인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의 일반필기용도 및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의 선택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필기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용자는 필기구용 몸체(110)에 끼워진 볼펜캡(120)을 제거한 상태에서 필기를 수행하면 된다. 그리고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용자는 필기구용 몸체(110)에 볼펜캡(120)을 끼운 상태에서 이용자의 신체인 손을 이용하여 필기구용 몸체(110)를 파지하되, 그 파지하는 이용자의 신체(여기서는 손가락)가 볼펜캡(120)에 연결된 전도성 중계부재(140)에 접촉되도록 파지한다.
이후,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PT)의 터치스크린 중 볼펜캡(120)의 끝단에 연결된 전도성 터치부재(130)를 소망하는 위치에 접촉하게 되면 터치스크린 상에 흐르는 전류가 전도성 터치부재(130)를 통해 전도성 중계부재(140)로 흐르게 되고, 전도성 중계부재(140)로 흐르는 전류는 사용자의 신체를 따라 사용자의 체내로 흡수됨으로써,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PT)는 변화된 전류의 양을 인식하여 접촉된 부분을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일반필기용도 및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제 2 실시예 -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의 구성 및 결합관계의 설명 중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가급적 언급을 제외하기로 한다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를 나타낸 분해상태 요부사시도이고, 도 8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의 종단면도이며, 도 9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의 횡단면도이고, 도 10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의 구성 중 전도성 중계부재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을 볼펜캡에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필기구의 끝단에 구비되는 것이 그 큰 특징이다.
이 때문에, 필기수단이 내재되도록 관 형상을 갖는 필기구용 몸체(210)의 끝단에 전도성 중계부재(230)의 일단부가 걸린 상태에서 전도성 터치부재(220)를 끼워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의 구성 중 필기구용 몸체(210)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할 수 있고, 전도성 터치부재(220)는 도전성 고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전도성 중계부재(230)는 황동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필기구용 몸체(210)의 끝단 쪽 외측에 연결되는 전도성 중계부재(230)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놓여 질 수 있도록 필기구용 몸체(210)의 끝단 쪽 외측을 따라 안착공간(211)을 형성시키고, 그 형성된 안착공간(211)에 전도성 중계부재(230)를 안착지지켜 제공할 수 있다.
이때에도,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에 접촉에 따라 흐르는 전류가 보다 원활하게 흐르도록 안착공간(151)에 안착되는 전도성 중계부재(140)가 돌출되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전도성 중계부재(230)에 걸이용 단턱(231)이 형성되도록 하여 옷이나 노트 등에 걸 수 있는 겸용기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인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의 일반필기용도 및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의 선택과정은 제 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언급을 제외하기로 한다.
10 : 케이스 20 : 입력키
30 : 정전용량센서 31 : 도전성 접촉부재
32 : 계측소자 110,210 : 필기구용 몸체
120 : 볼펜캡 121 : 인입공간
130,220 : 전도성 터치부재 140,230 : 전도성 중계부재
150 : 클립 151,211 : 안착공간
231 : 걸이용 단턱

Claims (12)

  1. 필기수단이 구비된 필기구용 몸체(110)와;
    상기 필기구용 몸체(110)의 필기수단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것으로, 선단에 인입공간(121)이 형성된 볼펜캡(120)과;
    상기 볼펜캡(120)의 선단에 형성된 인입공간(121)에 일부가 끼워지는 전도성 터치부재(130)와;
    일단부가 상기 볼펜캡(120)의 선단에 형성된 인입공간(121)에 걸려 상기 전도성 터치부재(130)와 접촉되는 전도성 중계부재(1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펜캡(120)에는 일체로 연결되는 클립(150)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150)의 외측을 따라 상기 전도성 중계부재(140)가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150)의 외측을 따라 안착공간(151)이 형성되고,
    상기 전도성 중계부재(140)는 상기 클립(150)의 외측을 따라 형성된 안착공간(151)에 안착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중계부재(140)의 두께(T)는 상기 클립(150)의 외측에 형성된 안착공간(151)의 깊이(D)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터치부재(130)는 도전성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펜캡(120)의 재질은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7. 필기수단이 내재되도록 관 형상을 갖는 필기구용 몸체(210)와;
    상기 필기구용 몸체(210)의 끝단에 일부가 끼워지는 전도성 터치부재(220)와;
    일단부가 상기 필기구용 몸체(210)의 끝단에 걸려 상기 전도성 터치부재(220)와 접촉되는 전도성 중계부재(2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터치부재(220)는 도전성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전도성 중계부재(230)에는 걸이용 단턱(23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용 몸체(210)의 끝단 쪽 외측을 따라 안착공간(211)이 형성되고,
    상기 전도성 중계부재(230)는 상기 필기구용 몸체(210)의 끝단 쪽 외측을 따라 형성된 안착공간(211)에 안착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간(151)에 안착되는 상기 전도성 중계부재(140)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용 몸체(210)의 재질은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KR2020100001372U 2010-02-08 2010-02-08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KR200462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372U KR200462280Y1 (ko) 2010-02-08 2010-02-08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372U KR200462280Y1 (ko) 2010-02-08 2010-02-08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022U true KR20110008022U (ko) 2011-08-17
KR200462280Y1 KR200462280Y1 (ko) 2012-09-04

Family

ID=4559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372U KR200462280Y1 (ko) 2010-02-08 2010-02-08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280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588B1 (ko) * 2011-09-20 2012-04-18 박군석 터치펜기능을 가지는 필기구
KR200467312Y1 (ko) * 2011-12-08 2013-06-05 이호천 정전식 터치펜용 팁
KR101281930B1 (ko) * 2011-09-02 2013-07-03 정성욱 정전식 터치기구
KR101342732B1 (ko) * 2012-12-07 2014-01-15 김상욱 터치펜
KR101396376B1 (ko) * 2013-02-27 2014-05-19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전자펜의 펜심 체결구조
CN103802542A (zh) * 2012-11-05 2014-05-21 北星铅笔株式会社 按压式书写笔
KR200476666Y1 (ko) * 2013-12-26 2015-03-18 윤창식 터치팁을 구비한 필기구
US10095354B2 (en) 2014-11-28 2018-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n input device, method for correcting input coordinate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2776B2 (ja) 1998-10-15 2008-09-03 パイロット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入力ペン
JP2000132318A (ja) 1998-10-22 2000-05-12 Plus Kogyo Kk 多機能ペン
US6412998B1 (en) 2001-06-07 2002-07-02 A.T.X. International, Inc. Multi-function writing instrument
JP4676239B2 (ja) 2005-04-20 2011-04-27 株式会社壽 スタイラスペン付きシャープペンシル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930B1 (ko) * 2011-09-02 2013-07-03 정성욱 정전식 터치기구
KR101136588B1 (ko) * 2011-09-20 2012-04-18 박군석 터치펜기능을 가지는 필기구
KR200467312Y1 (ko) * 2011-12-08 2013-06-05 이호천 정전식 터치펜용 팁
CN103802542A (zh) * 2012-11-05 2014-05-21 北星铅笔株式会社 按压式书写笔
KR101342732B1 (ko) * 2012-12-07 2014-01-15 김상욱 터치펜
KR101396376B1 (ko) * 2013-02-27 2014-05-19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전자펜의 펜심 체결구조
KR200476666Y1 (ko) * 2013-12-26 2015-03-18 윤창식 터치팁을 구비한 필기구
US10095354B2 (en) 2014-11-28 2018-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n input device, method for correcting input coordinate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280Y1 (ko) 2012-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280Y1 (ko)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펜 겸용 필기구
US9158394B2 (en) Stylus for use with capacitive touch panel
CN202694289U (zh) 触摸感测系统
US20100084203A1 (en) Electric pen
US20090256824A1 (en) Pointer device for capacitive sensitive touch screens
CN205068322U (zh) 便携式电子装置及其小型化充电式电容触控笔
CN104516598B (zh) 主动式电容触控笔
TW200401220A (en) Touch sensor
CN101957681A (zh) 能够检测其接地状况的触摸敏感设备及其方法和系统
Ikematsu et al. Ohmic-touch: extending touch interaction by indirect touch through resistive objects
US20160266667A1 (en) Touch pen system and touch pen
KR20110127107A (ko) 멀티 터치, 높은 스크래치 내성, 높은 인식 해상도와 압력 감지가 가능한 스타일러스 펜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스타일러스 펜 시스템
AU2019261532B2 (en) Mechanism for pen interoperability with pressure sensor design
CN104898962B (zh)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3197790A (zh) 可携式电子装置及触控感测方法
KR101136588B1 (ko) 터치펜기능을 가지는 필기구
US10191600B2 (en) Device with mechanical keys and capacitance measurement
JP2016106285A (ja) ミニマウス
KR20120082995A (ko) 파우치방식의 휴대기기용 필기정보 입력시스템
CN207557905U (zh) 集成触控组件、触控显示屏和触控电子设备
KR20120082996A (ko)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기기용 필기정보 입력시스템
CN105022502A (zh) 触控笔与电子装置
CN206400491U (zh) 电容式触控笔
CN217982345U (zh) 触控笔
US20190121467A1 (en) Wiping device, touch system and method for erasing handwriting of touch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