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953U - 대걸레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대걸레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953U
KR20110007953U KR2020110000543U KR20110000543U KR20110007953U KR 20110007953 U KR20110007953 U KR 20110007953U KR 2020110000543 U KR2020110000543 U KR 2020110000543U KR 20110000543 U KR20110000543 U KR 20110000543U KR 20110007953 U KR20110007953 U KR 201100079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plate
inner pipe
fixed
ou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전
Original Assignee
정찬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찬전 filed Critical 정찬전
Priority to KR2020110000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953U/ko
Publication of KR201100079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9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8Hinged, pivoted, swivelling, or folding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척용구인 대걸레의 세척 및 탈수작업시 소음, 진동을 최소화하여 보다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세척 및 탈수기능을 갖는 대걸레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나선편이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 외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의 하단에 끼워 연결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나선편과 맞물리어 나선을 따라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회동수단이 내부에 삽입 고정설치된 내측파이프 및 잠금장치로 된 걸레봉과 캠고정장치에 의해 결합되는 걸레판으로 구성되어 대걸레의 세척 및 탈수작업을 대걸레의 손잡이 자체에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보다 청결하게 걸레의 면사를 세척함과 아울러 탈수작업시에도 소음, 진동을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대걸레 회전장치{APPARATUS FOR SPINNING A MAP}
본 고안은 세척용구인 대걸레의 세척 및 탈수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걸레의 손잡이 자체에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보다 청결하게 걸레의 면사를 세척하도록 함과 아울러 탈수작업시에도 소음, 진동을 최소화하여 보다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세척 및 탈수기능을 갖는 대걸레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걸레는 건물의 바닥면을 청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청소도구로서 흡수성이 탁월한 다수의 굵은 면사를 꼬아 만든 꼰사를 여러 겹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그 상단부를 천에 고정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않은 상태에서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자루에 의하여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대걸레는 사용시 물로 세척한 후 탈수하여 물기를 적당히 머금게 한 다음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자루를 잡고 밀거나 당기면서 바닥면을 청소하는 것이다.
이러한 대걸레를 사용하는 경우 걸레포가 더러워지면 물에 빨아 사용하여야 하며, 대걸레를 빨아준 후에는 걸레포의 물을 짜주어 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걸레는 다수의 꼰사를 여러 겹으로 배열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에 세척한 후 손으로 비틀어 탈수시키는 방식으로는 물기를 제대로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특히 상단부에 기다란 자루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다루기 세척 및 탈수작업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대걸레의 걸레포를 세탁한 후 짜주기 위해서는 별도의 걸레탈수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기존의 걸레 탈수기는 단순히 수동으로 압착을 하여 걸레포에 묻어 있는 물기를 털어 주는 정도에 지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밀대 걸레는 바닥을 닦아줄 때 편리하게 사용되어지나, 걸레포의 세탁과 세탁 후의 탈수가 어려워 청소를 하는 사람이 가장 피하는 작업이며, 이같이 걸레포의 세탁과 탈수가 힘들어 질수록 더러운 상태로 청소를 할 수 밖에 없어 청소를 하는 시간에 비하여 깨끗해지는 정도가 덜하여 청소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 대걸레에 대한 세척작업이 더러운 바닥면 등을 닦아낸 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손으로 세척하는 것이 위생적으로 크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공개 실용신안 20-2009-0012540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 공개 실용신안 20-2009-0012540호의 탈수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수 부재를 탈수하기 위한 탈수 장치로서, 수용부 및 설치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와 설치부 사이에 구획벽이 배치되는 본체;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며 함수 부재를 수용하는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설치부에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 부재에 연결되는 전동 축을 포함하는 회전 유닛; 상기 설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동 축에 연결되며, 기어열, 제 1 기어, 제 2 기어, 및 일방향 기어를 포함하는 전동 유닛; 및 페달과 태핏을 포함하는 태핏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열과 제 1 기어는 서로 맞물리며, 상기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는 동일한 축을 가지며, 상기 일방향 기어와 상기 전동 축은 동일한 축을 가지며, 상기 일방향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는 서로 맞물리며, 상기 제 1 기어, 제 2 기어 및 일방향 기어의 축과 상기 전동 축은 모두 평행하며, 상기 태핏은 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단부, 제 2 단부 및 제 3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페달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설치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3 단부는 상기 기어열에 연결되며, 상기 페달이 눌리면, 상기 태핏의 제 3 단부가 상기 기어열을 밀어 상기 전동 유닛을 기계적으로 구동하고, 상기 전동 유닛의 일방향 기어가 상기 전동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함수 부재를 탈수하며, 상기 페달이 해방되면, 상기 기어열이 상기 태핏의 제 3 단부를 밀어 상기 페달을 들어올리도록 구성된 것으로 수용부와 설치부를 포함하는 수조로 된 본체(1)와 상기 수조에 담긴 세척수에 의해 세척한 걸레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베어링부재(21)을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수분을 탈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걸레의 세척이나 탈수시 회전을 위한 패달과 다수의 기어 등 복잡한 구조의 장치를 갖는 수조가 필수적이며, 아울러 패달을 밟을 때 소음과 진동을 수반하여 복층건물이 대부분인 현대의 주택구조에서 이웃에게 피해를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대걸레를 사용할 때 한 쪽 발로는 탈수장치의 패달을 밟아야 하고, 다른 발로는 바닥을 밟고 몸의 중심을 잡아야하기 때문에 작업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똑바로 서지 못하고 넘어질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대걸레의 내부에 자체적으로 구비된 나선회동부에 의하여 하측의 걸레판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대걸레의 자루를 상하 직선운동함에 따라 하부의 걸레판이 회전운동을 하면서 세척작업 및 세척 후 탈수작업을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대걸레 회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서는 하측면에 걸레사가 부착된 원판형 걸레판과 상기 걸레판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걸레봉으로 이루어진 대걸레에 있어서, 상기 걸레봉은 내부에 나선편이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 외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의 하단에 끼워 연결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나선편과 맞물리어 나선을 따라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회동수단이 내부에 삽입 고정설치된 내측파이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내부 바닥면에 상향톱니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나선편통과공이 천공된 걸쇠장치와; 상기 걸쇠장치의 내부에 일정구간 상하 직선운동 및 회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하단면에는 상기 걸쇠장치의 상향톱니와 맞물리는 하향구동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면에는 상기 외측파이프의 나선편이 끼워져 나선을 따라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긴홈이 일체로 구비된 제동장치와; 상기 걸쇠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제동장치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고정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외측파이프와 내측파이프의 연결부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걸레판은 상기 내측파이프의 하단의 고정캠장치에 의해 결합되어 걸레봉을 세우면 고정되고, 상기 걸레봉을 접으면 자유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작용이 단속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장치는 걸레판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마찰판과; 상기 걸레판의 중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 힌지공이 천공된 일정길이의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힌지공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결합된 내측파이프의 하단에 하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내측파이프를 세움시 상기 마찰판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한쌍의 캠돌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대걸레의 자체에서 하측 걸레판의 회전력을 발생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대걸레의 세척 및 탈수 작업시 작업자가 보다 안정된 자세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청소용구인 세척 탈수통의 패달이나 구동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며, 별도의 회전장치 없이 걸레판 바닥중심만 지지시켜 주는 곳에서 언제나 강력한 회전작용을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인 회동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인 제동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인 걸쇠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회동수단의 작동상태로서 외측파이프의 하강상태를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회동수단의 작동상태로서 외측파이프의 상승상태를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의 캠고정장치의 고정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실시예의 캠고정장치 해제상태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탈수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인 회동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인 제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인 걸쇠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하측면에 흡수성이 양호한 소재로 구성된 걸레사(201)가 바닥면에 부착된 원판형 걸레판(200)과 상기 걸레판(200)이 자유자재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선 자세로 바닥을 청소할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된 걸레봉(100)으로 이루어진 대걸레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걸레봉(100)은 외측파이프(20)과 상기 외측파이프(20)에 삽입되어 끼워 결합되면서 길이가 신장 수축가능하게 결합된 내측파이프(10) 및 상기 내측파이프(10)와 외측파이프(20)의 결합부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장금장치(60)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파이프(20)의 내부에는 비교적 기울기가 큰 나선형상의 나선편(50)이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나선편(50)은 일정폭과 두께를 갖는 철판띠를 일정한 피치의 나선을 이루도록 한 것으로 변형이 되지 않는 강철판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파이프(20)의 하단에 끼워 연결되는 내측파이프(10)의 상단부에는 상기 외측파이프(20)의 내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나선편(50)과 맞물리어 나선을 따라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회동수단이 내부에 삽입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동수단은 내측파이프(1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것으로 걸쇠장치(30)와 상기 걸쇠장치(30)와의 상대적 운동으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하는 제동장치(40)로 구성된다.
상기 걸쇠장치(30)는 내부 바닥면에 상향톱니(35)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나선편통과공(31)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제동장치(40)는 상기 걸쇠장치(30)의 내부에 일정구간 상하 직선운동 및 회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며, 하단면에는 상기 걸쇠장치(30)의 상향톱니(35)와 맞물리는 하향구동톱니(42)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면에는 상기 외측파이프(20)의 나선편(50)이 끼워져 나선을 따라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긴홈(41)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긴홈(41)은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나선편(50)의 규격보다 약간 큰 규격으로서 상대적인 직선운동에 의하여 제동장치가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내측파이프(10)의 상부 끝단에는 상기 걸쇠장치(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제동장치(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고정틀(3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잠금장치(60)는 상기 외측파이프(20)와 내측파이프(10)의 연결부를 고정하거나 풀림 작용을 하여 본 고안의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잠금장치(60)을 해제하여 걸레봉(100)이 수축 신장되도록 한 상태에서 걸레의 세척이나 탈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외측파이프(20)와 내측파이프(10)가 상대적 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걸레의 사용시에는 잠금 고정상태로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걸레판(200)은 상기 내측파이프(10)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캠장치(70)에 의해 결합되어, 걸레봉(100)을 세우면 고정되고, 상기 걸레봉(100)을 접으면 걸레판(200)이 자유 회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캠장치(70)는 걸레판(200)과 걸레봉(100)의 결합부위로서 걸레봉(100)에 대하여 걸레판(200)이 고정되거나 자유자재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걸레판(200)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마찰판(210)과; 상기 걸레판(200)의 중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 힌지공(221)이 천공된 일정길이의 회동축(220)과;상기 회동축(220)의 힌지공(221)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결합된 내측파이프(10)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된 한 쌍의 캠돌기(71)로 구성된다.
상기 캠돌기(71)는 내측파이프(10)의 하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내측파이프(10)를 세움시 상기 마찰판(210)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접은 상태에서는 상기 마찰판(210)과 분리되면서 상기 걸레판(200)이 자유자재로 회동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청소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회동수단의 작동상태로서 외측파이프의 하강상태를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회동수단의 작동상태로서 외측파이프의 상승상태를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의 캠고정장치의 고정상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실시예의 캠고정장치 해제상태 사시도이다.
본 고안 실시예의 사용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레판(200)의 면과 수직하게 걸레봉(100)을 세워줌으로써 상기 걸레봉(100)과 상기 걸레판(200)이 고정캠장치(70)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즉, 고정캠장치(70)의 캠돌기(71)가 힌지공(2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걸레판(200)의 마찰판(210)에 밀착되면서 걸레봉(100)의 하부인 내측파이프(10)과 걸레판(200)이 고정되어 일체로 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걸레판(200)의 하단 중심을 받침대(300)에 올려놓거나, 탈수장치의 탈수통에 삽입하여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한 다음 걸레봉(100)의 상측인 외측파이프(20)을 잡고 누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수단에 의해 직선운동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면서 걸레판(200)이 회전하게 된다.
즉, 외측파이프(20)가 하강하면 일체로 고정되어 함께 하강하는 나선편(50)이 상기 제동장치(40)의 긴홈(41)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나선편(50)에 의해 제동장치(40)가 회전하게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고, 상기 제동장치(40)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동장치(40)의 하단에 형성된 하향구동톱니(42)가 걸쇠장치(30)의 상향톱니(35)와 맞물리어 걸쇠장치(30)를 회동시키며, 아울러 상기 걸쇠장치(30)가 일체로 고정된 하측파이프(10)가 회동하면서 걸레판(200)을 회전시키게 된다.
반대로 외측파이프(20)를 상승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편(50)이 상승하면서 제동장치(4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나 제동장치(40)가 함께 상승하여 하단의 하향구동톱니(42)가 걸쇠장치(30)의 상향톱니(35)가 상호 이탈된 상태가 되면서 제동장치(4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걸레판(200)의 회전운동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외측파이프(20)가 상승하여 원상태가 최초 누름작업 전의 상태로 된다.
따라서, 걸레봉(100)을 연속으로 상/하 직선운동을 함에 따라 걸레판(200)은 더욱 가속되면서 한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의 내부에 형성된 받침대(300)에 올려진 상태에서 회동하면서 세척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탈수통에 걸레판(200)을 삽입하여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원심분리에 의해 탈수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탈수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캠고정장치(70)를 해제하여 걸레판(200)이 자유자재로 회동가능한 상태로 하여 청소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대걸레의 탈수장치를 보다 간편한 구조로 형성한 것으로 세척이나 탈수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하여 원활한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많은 수요를 창출하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큰 기술이다.
10: 내측파이프 20: 외측파이프
30: 걸쇠장치 31: 나선편통과공
34: 고정틀 35: 상향톱니
40: 제동장치 41: 긴홈
42: 하향구동톱니 50: 나선편
60: 잠금장치 70: 캠고정장치
71: 캠돌기 100: 걸레봉
200: 걸레판 210: 마찰판
220: 회동축 221: 힌지공
300: 받침대

Claims (5)

  1. 하측면에 걸레사가 부착된 원판형 걸레판(200)과 상기 걸레판(20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걸레봉(100)으로 이루어진 대걸레에 있어서,
    상기 걸레봉(100)은
    내부에 나선편(50)이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 외측파이프(20)와;
    상기 외측파이프(20)의 하단에 끼워 연결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나선편(50)과 맞물리어 나선을 따라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회동수단이 내부에 삽입 고정설치된 내측파이프(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회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내부 바닥면에 상향톱니(35)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나선편통과공(31)이 천공된 걸쇠장치(30)와;
    상기 걸쇠장치(30)의 내부에 일정구간 상하 직선운동 및 회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며, 하단면에는 상기 걸쇠장치(30)의 상향톱니(35)와 맞물리는 하향구동톱니(42)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면에는 상기 외측파이프(20)의 나선편(50)이 끼워져 나선을 따라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긴홈(41)이 일체로 구비된 제동장치(40)와;
    상기 걸쇠장치(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제동장치(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고정틀(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회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파이프(20)와 내측파이프(10)의 연결부에는 잠금장치(6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회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판(200)은
    상기 내측파이프(10)의 하단의 고정캠장치(70)에 의해 결합되어 걸레봉(100)을 세우면 고정되고, 상기 걸레봉(100)을 접으면 자유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작용이 단속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회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장치(70)는
    걸레판(200)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마찰판(210)과;
    상기 걸레판(200)의 중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 힌지공(221)이 천공된 일정길이의 회동축(220)과;
    상기 회동축(220)의 힌지공(221)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결합된 내측파이프(10)의 하단에 하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내측파이프(10)를 세움시 상기 마찰판(210)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한쌍의 캠돌기(7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회전장치.
KR2020110000543U 2010-02-04 2011-01-19 대걸레 회전장치 KR201100079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543U KR20110007953U (ko) 2010-02-04 2011-01-19 대걸레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ZL201029180054.5 2010-02-04
KR2020110000543U KR20110007953U (ko) 2010-02-04 2011-01-19 대걸레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953U true KR20110007953U (ko) 2011-08-10

Family

ID=4559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543U KR20110007953U (ko) 2010-02-04 2011-01-19 대걸레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95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4133B2 (en) Mopping device with a multi-turn actuator
JP3142275U7 (ko)
US8756750B2 (en) Mop wringer
CN101828893B (zh) 拖把及与其配套的拖把桶
WO2012109812A1 (zh) 拖把结构
CN101919677B (zh) 拖把清洗装置
KR100936643B1 (ko) 페달식 회전탈수장치
CN201727470U (zh) 拖把及与其配套的拖把桶
JP3159468U (ja) 回転式モップ構造
CN201879632U (zh) 一种离心式脱水地拖系统
CN201798703U (zh) 拖把清洗装置
KR20110007953U (ko) 대걸레 회전장치
CN101828894B (zh) 拖把桶及与其配套的拖把
CN103735230A (zh) 清洁工具
CN201668362U (zh) 拖把桶及与其配套的拖把
KR20140051008A (ko) 감속장치를 구비한 회전걸레청소기
KR200464298Y1 (ko) 세척기능을 갖는 탈수장치
TW201350072A (zh) 搥打清洗用之旋轉脫水式拖把清洗器
CN104367288A (zh) 拖把组件及拖把的清洗和脱水方法
KR200455295Y1 (ko) 회전식 대걸레
CN103222837B (zh) 拖把的清洗方法及拖把的清洗和脱水方法
KR101178899B1 (ko) 자루형 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
KR101210109B1 (ko) 밀대형 청소도구
CN211022504U (zh) 清洁工具
CN211862727U (zh) 一种两端挤水拖把及其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