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838U - 분해 조립없이 청소가 가능한 스트레이너 조립체 - Google Patents

분해 조립없이 청소가 가능한 스트레이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838U
KR20110007838U KR2020100001131U KR20100001131U KR20110007838U KR 20110007838 U KR20110007838 U KR 20110007838U KR 2020100001131 U KR2020100001131 U KR 2020100001131U KR 20100001131 U KR20100001131 U KR 20100001131U KR 20110007838 U KR20110007838 U KR 201100078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pipe
flange
pneumatic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7585Y1 (ko
Inventor
황용완
이충범
Original Assignee
황용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용완 filed Critical 황용완
Priority to KR2020100001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58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8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8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5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5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수배관으로부터 물을 취수할 때 여기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트레이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수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부관 안에 삽입된 스트레이너의 내부 공간에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된 공기압 주입노즐을 배치하고, 외부로 돌출된 공기압 주입노즐의 일단에 공압 라인을 연결하는 구성을 가지고, 따라서 스트레이너의 막힘이 확인되면 고압을 가해 스트레이너에 쌓인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레이너 조립체의 분해와 재조립 없이 청소가 가능한 스트레이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해 조립없이 청소가 가능한 스트레이너 조립체{Strainer assembly cleanable without dismantling and reassembling}
본 고안은 원수배관으로부터 물을 취수할 때 여기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트레이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수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부관 안에 삽입된 스트레이너의 내부 공간에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된 공기압 주입노즐을 배치하고, 외부로 돌출된 공기압 주입노즐의 일단에 공압 라인을 연결한 후 스트레이너의 막힘이 확인되면 고압을 가해 스트레이너에 쌓인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레이너 조립체의 분해와 재조립 없이 청소가 가능한 스트레이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원수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부관을 통하여 각종 장비에 공급되는 물, 예를 들면 냉각수를 취수하는 구조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본 출원인이 개발한 수중겸용 입축 양·배수 펌프는 모터 하우징(100)을 감싸는 모터냉각수 쟈켓(200)으로부터 나오는 고온의 모터냉각수를 차가운 유체와 열교환시켜 온도를 떨어뜨리는 모터냉각수 쿨러(500)가 구비되는데, 이때 저온의 열교환 유체를 원수배관인 토출관로(400)에서 취수하고 있다.
그런데 많은 경우 원수배관으로부터 취수되는 물에는 수많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이물질을 여과하지 않고 사용한다면 취수된 물이 흐르는 배관이나 장비 안의 유로가 막혀 더 이상의 운전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이물질을 걸러내 사용해야만 한다. 이물질의 여과는 기계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 등을 활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요구되는 여과 정도가 낮은 경우에는 간단한 기계적 여과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런 기계적 여과장치 중의 하나가 스트레이너인데, 이는 여과되어야 하는 이물질의 최소크기보다 작은 구멍을 통하여 유체(물)를 취수하는 일종의 거름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이너는 배관의 중간 부위에 버킷(bucket)이나 콘(cone)의 형태로 설치되는데, 이때 스트레이너의 전후단에 각각 밸브를 설치한다. 스트레이너의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스트레이너의 전후단에 설치된 밸브를 폐쇄하여 유체의 흐름을 단속한 후 스트레이너를 배관으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아니면 신품으로 교체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트레이너 취부구조는 스트레이너의 유지 보수시에 배관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폐쇄하고 스트레이너를 분해 청소한 후 재조립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편의성이 상당히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더 큰 문제점은 스트레이너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전체 장비의 운전이 중지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또한 스트레이너의 분해 조립이 빈번하면 배관과의 나사결합 부분이 마모 손상되어 종국에는 배관 자체의 일부를 교체해야할 위험이 있고, 배관 내의 유체 흐름이 저하된 경우 이것이 스트레이너의 막힘에 의한 것인지는 스트레이너를 분해해봐야만 알 수 있기 때문에 점검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트레이너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트레이너의 분해 없이도 스트레이너의 막힘 유무를 점검할 수 있고, 또한 스트레이너를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과정 없이 청소가 가능한 스트레이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이너 조립체는 원수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부관;과, 상기 부관에 체결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부관 안으로 삽입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플랜지의 타면에 일단이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스트레이너의 안에 타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된 파이프 형상체로서, 상기 스트레이너의 안에 위치한 파이프의 표면에는 관통된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된 공기압 주입노즐;과, 상기 플랜지의 타면에 돌출된 상기 공기압 주입노즐의 일단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압 라인의 입력단인 공기압 주입구가 구비된 공기압 조절밸브; 및 상기 스트레이너의 내부 공간과 관통되도록 상기 플랜지의 타면에 고정된 정제수 공급관;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그 단부가 상기 부관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원수배관 안쪽에 위치하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부관 안에 위치한 스트레이너의 표면은 타공판 또는 그물망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시시예에서 상기 정제수 공급관과 연결된 정제수 관로에는 플로우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상기 플로우 스위치로부터 측정된 유량 신호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 미만일 경우 상기 공기압 주입구에 연결된 공압 라인이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정제수 공급관과 연결된 정제수 관로에는 압력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는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스위치로부터 측정된 압력 신호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 미만일 경우 상기 공기압 주입구에 연결된 공압 라인이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 조립체는 스트레이너의 분해와 조립 없이도 스트레이너의 막힘 유무를 점검하고 청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스트레이너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스트레이너가 설치된 장치의 운전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으며, 스트레이너의 분해 조립 빈도가 현저히 감소하여 배관과의 나사결합 부분이 마모 손상될 우려가 적기 때문에 배관의 가동연한이 길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개발한 수중겸용 입축 양·배수 펌프에서 원수배관인 토출관로에서 쿨러냉각수를 취수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이너 조립체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스트레이너 조립체에 제어부와 유량감지 센서가 더 포함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이너 조립체(1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다. 또한 도면을 참조할 때에는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이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며 사용된 전후, 좌우, 상하 등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의하는 용어는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상대적인 위치의 정의는 고안의 본질적인 부분에는 변경이 없이 이와 동등한 배치로 변경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이너 조립체(10)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스트레이너 조립체(10)에 제어부(700)와 유량감지 센서인 플로우 스위치(710)가 더 포함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이너 조립체(10)는 원수배관(20)으로부터 분기된 부관(100)과, 상기 부관(100)에 체결되는 플랜지(200)와, 상기 플랜지(200)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부관(100) 안으로 삽입되는 스트레이너(300)와, 상기 플랜지(200)에 고정되어 스트레이너(300)의 안으로 삽입된 공기압 주입노즐(400)과, 상기 공기압 주입노즐(400)의 일단에 결합된 공기압 조절밸브(500) 및 상기 스트레이너(300)의 내부 공간과 관통되도록 상기 플랜지(200)의 타면에 고정된 정제수 공급관(600)을 포함한다.
상기 원수배관(20)은 원수(原水)가 흐르는 도관이고, 부관(100)은 취수를 위하여 원수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도관을 말한다. 상기 부관(100) 안에 위치한 스트레이너(300)의 표면은 타공판 또는 그물망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원수가 취수된다.
한편 공기압 주입노즐(400)은 플랜지(200)의 타면에 일단이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스트레이너(300)의 안에 타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된 파이프 형상체인데, 스트레이너(300)의 안에 위치한 파이프의 표면에는 관통된 다수의 노즐공(4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압 조절밸브(500)는 플랜지(200)의 타면에 돌출된 공기압 주입노즐(400)의 일단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압 라인(40)의 입력단인 공기압 주입구(510)가 구비된다.
따라서 스트레이너(300)의 외면에 이물질이 붙어있어 여과된 정제수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에는, 스트레이너(300)를 분리할 필요 없이, 공기압 주입구(510)에 공압 라인(40)을 연결하고 고압의 공기를 불어 넣음으로써 이물질의 이탈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스트레이너(300)의 막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를 분해할 필요 없으며, 단순히 공기압 조절밸브(500)를 열어 공기압 주입구(510)로부터 얼마만큼의 물이 나오는지를 검사함으로써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거된 이물질은 원수에 포함되어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레이너(300)는 그 단부가 상기 부관(100)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원수배관(20) 안쪽에 위치하는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수의 흐름에 스트레이너(300)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어서, 원수의 유속에 의해 스트레이너(300)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또한 본 고안은 스트레이너(300)의 막힘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그리고 정기적으로 검사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정제수 공급관(600)과 연결된 정제수 관로(30)에는 정제수의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인 플로우 스위치(7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상기 플로우 스위치(710)로부터 측정된 유량 신호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 미만일 경우에, 상기 공기압 주입구(510)에 연결된 공압 라인(40)이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700)는 플로우 스위치(710)로부터 입력된 신호로 계산된 유량이 기준치 미만인 것으로 감지되면, 공압 라인(40)을 개방하여 공기압 주입노즐(400)이 작동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세정 과정에 의하여 정제수의 유량이 정상적인 수준으로 복귀되면 공압 라인(40)은 다시 폐쇄된다. 공압 라인(40)의 개폐는 솔레노이드 밸브나 공압 밸브 등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제어부(700)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플로우 스위치(710)를 대신하여 정제수의 압력(수압)을 측정하는 압력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압력 스위치는 정제수의 공급량을 압력으로부터 계산한다는 것만이 다를 뿐이며, 그 밖의 제어부(700) 등의 구성은 동일하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트레이너 조립체 20 : 원수배관
30 : 정제수 관로 40 : 공압 라인
100 : 부관 200 : 플랜지
300 : 스트레이너 400 : 공기압 주입노즐
410 : 노즐공 500 : 공기압 조절밸브
510 : 공기압 주입구 600 : 정제수 공급관
700 : 제어부 710 : 플로우 스위치

Claims (7)

  1. 원수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부관;
    상기 부관에 체결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부관 안으로 삽입되는 스트레이너;
    상기 플랜지의 타면에 일단이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스트레이너의 안에 타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된 파이프 형상체로서, 상기 스트레이너의 안에 위치한 파이프의 표면에는 관통된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된 공기압 주입노즐;
    상기 플랜지의 타면에 돌출된 상기 공기압 주입노즐의 일단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압 라인의 입력단인 공기압 주입구가 구비된 공기압 조절밸브; 및
    상기 스트레이너의 내부 공간과 관통되도록 상기 플랜지의 타면에 고정된 정제수 공급관;
    을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그 단부가 상기 부관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원수배관 안쪽에 위치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관 안에 위치한 스트레이너의 표면은 타공판 또는 그물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 공급관과 연결된 정제수 관로에는 플로우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플로우 스위치로부터 측정된 유량 신호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 미만일 경우, 상기 공기압 주입구에 연결된 공압 라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 공급관과 연결된 정제수 관로에는 압력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압력 스위치로부터 측정된 압력 신호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 미만일 경우, 상기 공기압 주입구에 연결된 공압 라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조립체.
KR2020100001131U 2010-02-01 2010-02-01 분해 조립없이 청소가 가능한 스트레이너 조립체 KR2004575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131U KR200457585Y1 (ko) 2010-02-01 2010-02-01 분해 조립없이 청소가 가능한 스트레이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131U KR200457585Y1 (ko) 2010-02-01 2010-02-01 분해 조립없이 청소가 가능한 스트레이너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838U true KR20110007838U (ko) 2011-08-09
KR200457585Y1 KR200457585Y1 (ko) 2011-12-28

Family

ID=4556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131U KR200457585Y1 (ko) 2010-02-01 2010-02-01 분해 조립없이 청소가 가능한 스트레이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5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212B1 (ko) * 2014-02-05 2015-04-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저 파이프라인 고형물 분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106B1 (ko) * 2019-01-09 2021-04-14 주식회사 에너리트 압력 체크 및 표시 기능을 갖는 스트레이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137Y1 (ko) 2002-01-07 2002-04-13 안용욱 공압을 이용한 자동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212B1 (ko) * 2014-02-05 2015-04-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저 파이프라인 고형물 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585Y1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1205B2 (en) Filter cleaning system and method
KR102340341B1 (ko) 무동력 세척 기능을 구비하는 스트레이너
EP2771292B1 (en) Water filter
CN202562329U (zh) 蒸发式换热装置
KR200457585Y1 (ko) 분해 조립없이 청소가 가능한 스트레이너 조립체
KR101210969B1 (ko) 펌프 흡입용 t자형 스트레이너
KR20120114791A (ko) 자체 세척 스트레이너
CN102788528B (zh) 胶球清洗系统
CN107519682A (zh) 一种过滤器及其过滤和清洗方法
KR20180056279A (ko) 무차단 자동 스트레이너
CN106704201A (zh) 一种排污泵
CN203808227U (zh) 一种全自动地下建筑污水提升装置
KR101624037B1 (ko) 터빈의 윤활유 세정장치
CN207356666U (zh) 一种过滤器
KR101169954B1 (ko) 자동 전처리용 필터
CN206020097U (zh) 用于水样采集的流通池以及水质监测系统
RU77172U1 (ru) Фильтр
RU57629U1 (ru) Фильтрова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CN112665370A (zh) 排水机构及冷干装置
KR20020059236A (ko)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
CN208822696U (zh) 一种用于洗碗机的智能自清洁过滤装置及洗碗机
CN218036828U (zh) 一种旁路式油液在线检测装置
CN210442021U (zh) 硫磺生产系统及液硫检测装置
CN214198138U (zh) 一种带过滤器的反冲洗蒸汽疏水阀组
CN218011387U (zh) 一种新型的双气缸自动圆盘过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