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9236A -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9236A
KR20020059236A KR1020010085520A KR20010085520A KR20020059236A KR 20020059236 A KR20020059236 A KR 20020059236A KR 1020010085520 A KR1020010085520 A KR 1020010085520A KR 20010085520 A KR20010085520 A KR 20010085520A KR 20020059236 A KR20020059236 A KR 20020059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ball
pipe
valve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9723B1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티에이시 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72558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5923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티에이시 코리아(주) filed Critical 티에이시 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1-0085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723B1/ko
Publication of KR20020059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7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2Fluid-propelled scrapers, bullets, or like solid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4Feeding and driving arrangements, e.g. pow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부분 쉘앤드튜브(Shell end tube)형태의 콘덴서 내에 설치되어 있는 유체수송관을 세정하기 위하여 종래의 구성보다 간단히 하여 볼분리관에 원통형 체를 설치하여 유체 출구관과 볼회수관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종래에 사용하던 압축기와 유체저장부를 제거하는 동시에 볼저장탱크을 설치하여 간소화함으로써 유체수송관을 세정하기 위하여 설치에 따른 설치비용과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볼저장탱크에 저장된 볼의 유입량을 눈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며, 순환펌프를 설정타이머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작동시켜 유체수송관을 세정하는 볼을 이송하여 유체 유입관을 순환하는 유체에 의하여 볼을 자연 순환시켜 유체를 수송하는 유체수송관의 내면을 효율적으로 청소 및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어 흐르는 유입관(2)에 연결되는 콘덴서(11)의 내부에 유체를 수송하는 병렬로 된 다수개의 유체수송관(12)이 설치되고, 상기 콘덴서(11)의 출구관(3)에 직결되게 밸브(27)가 설치되고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의 출구관(6)에 연결되며 우측에 밸브(28)가 설치되고, 상기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관(2)과 유체를 배출하는 출구관(3)에는 연통되게 유체이송도관(18)과 유체회수도관(19)이 설치되고, 상기 유체이송도관(18)의 유로에는 밸브(25)와 체크밸브(25')가 설치되며, 유체회수도관(19)의 유로에는 체크밸브(24')와밸브(24)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출구관(3)과 유체출구관(6)의 사이에는 내부에 원통형 체(13)와 원통형체(13)의 끝부분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입구가 좁아지는 볼출구(5)가 유체회수도관(19)에 밀폐되게 관통 설치되는 볼분리관(8)이 설치되고, 상기 유체이송도관(18)과 유체회수도관(19)이 교차되는 하부에 플랜지(44)에 의해 연결되는 투입구(35)를 통하여 투입된 볼(10)이 저장되는 볼저장부(40)와 볼(10)의 양을 측정하는 사이드글라스(39)가 형성되며 그 아래쪽에는 유체와 볼(10)을 분리하는 체(31)가 부착된 원통형상의 볼저장탱크(30)가 설치되고, 상기 볼저장탱크(30)의 하부에 플랜지(43)에 의해 연결되어 유입관(2)과 연통되는 도관(16)의 사이에는 유체수송관(12)에서 제거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필터(41)와, 볼(10)을 이송하는 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2)와, 도관(16)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5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A cleaning apparatus of fluid transport pipe in a condenser}
본 발명은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부분 쉘앤드튜브(Shell end tube)형태의 콘덴서 내에 있는 설치되어 있는 유체수송관을 세정하기 위하여 종래의 구성보다 간단히 하여 볼분리관에 원통형 체를 설치하여 유체 출구관과 볼분리관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종래에 사용하던 압축기와 유체저장부를 제거하는 동시에 볼저장탱크를 설치하여 간소화함으로써 유체수송관을 세정하기 위하여 설치에 따른 설치비용과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볼저장탱크에 저장된 볼의 유입량을 눈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며, 순환펌프를 설정타이머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작동시켜 유체수송관을 세정하는 볼을 이송하여 유체 유입관을 순환하는 유체에 의하여 볼을 자연 순환시켜 유체를 수송하는 유체수송관의 내면을 효율적으로 청소 및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알려져 있는 콘덴서 내에 설치되어 있는 유체수송관의 내부면에 스케일 부착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콘덴서를 해체하거나 분해하여 이를 제거하였으나, 이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며 유체수송관이 설치되어 있는 콘덴서내에 스펀지등으로 제조되는 볼을 투입하여 유체를 유동시켜 유체수송관에 부착되어 있는 스케일을 제거하는 기술이 미국 특허 제3,919,372호 (1975,11,15),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238397호(1988,10.4 공개), 미국특허 제4,865,21호 (1989,9,12)외 다수 알려져 있다.
또한 국내 국제특허출원의 출원공개 공개번호 96-706061호(1996,11,8 공개)로 알려져 있는 콘텐서 내에 설치된 유체수송관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체가 펌프(1)에 의해 유입되는 유입관(2)에 연결되는 콘덴서(11)가 설치되고. 상기 콘덴서(11)의 내부에는 유체가 흐르는 다수개 병렬로 설치된 유체수송관(12)와, 증기나 냉각가스와 같은 유체(이하 "작동유체"라 한다)가 흐르는 작동유체유로(12')가 설치되며 상기 콘덴서(11)의 타측에는 밸브(21)가 설치되어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관(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출구관(3)의 상부에는 서로 연통되게 내부에 원통형 체(13)가 형성되어 되어 있는 볼분리관(14)이 설치되고 출구관(3)의 입구와 연통되는 볼분리관(14)의 출구에는 밸브(22)(2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볼분리관(14)의 타측 중앙부에는 볼(10)의 포집을 위하여 유체저장장치(36)로 유도되는 중간에 밸브(24)와 체크밸브(24')가 설치된 도관(15)이 설치되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2)의 하부에 밸브(25)와 체크밸브(25')가 설치된 도관(16)이 분기되고, 상기 도관(15)과 도관(16)이 교차되는 도관 아래에는 저부에 유체가 채워지며 중상부에는 볼(10)을 걸러는 체(31)가 설치되고, 하부에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저장부(32)와 관(33)이 형성되어 있는 체(34)의 상부에 볼저장부로 되는 회수부(34)가 설치되며 볼(10)을 투입하는 투입구(35)가 형성되어 있는 유체저장장치(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체저장장치(36)의 일측에는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37)가 자동밸브(26)가 설치된 공기관(38)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유체저장장치(36)의 타측에는 유체저장장치(36)에 공급된 압축공기를 감압하는 자동밸브로 된 감압장치(39)가 드레인(4)에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국내 국제특허출원의 출원공개 공개번호 96-706061호(1996,11,8 공개)의 작용은 콘덴서(11)의 내부에 병렬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유체수송관(12)의 내벽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펌프(1)를 가동하여 유체가 계속 흐르는 상태에서 출구관(3)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21)를 폐쇄시키며 볼분리관(14)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22)와 출구측 밸브(23)를 개방하며, 도관(15)와 도관(16)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24)(25)를 개방한 상태에서 공기관(3a)에 연결되어 있는 도시되지 않은 타이머의 설정에 의하여 자동밸브(26)를 개방하면 압축기(37)에 압축되어 저장되어 있는 공기가 유체저장장치(36)로 공급되면, 유체저장장치(36)의 유체저장부(32)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는 압축기(37)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관(33)을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면 회수부(34)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체(31)의 상면에 있는 볼(10)은 체크밸브(25')와 밸브(25)가 개방되어 있는 도관(16)을 통과 한 후 자동밸브(26)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어유체저장장치(36)에 가하는 압축공기가 정지되는 동시에 볼(10)은 유입관(2)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관(2)에 도달된 볼(10)은 유체가 흐르고 있는 유동력에 의하여 콘덴서(11) 내부로 유입된 볼(10)은 유체가 흐르는 유체의 유동압력에 의하여 콘덴서(11) 내부에 병렬로 설치되어 있는 각 유체수송관(12)의 내벽을 통과하여 볼(10)은 유체수송관(12)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스케일 제거한 후, 출구관(3)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21)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볼(10)은 유체와 함께 개방되어 있는 밸브(22)을 통하여 볼분리관(14)으로 유입되며, 볼분리관(14)으로 유입된 유체는 원통형 체(13)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부를 통하여 걸러진 후 열려 있는 밸브(23)를 통과한 후 출구관(3)을 통과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이 유체가 원통형 체(13)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부를 통하여 걸러진 후 열려 있는 밸브(23)를 통과한 후 출구관(3)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동안, 원통형체(13)에 형성되어 있는 비통기부에 의해 볼분리관(14)의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도 관(15) 입구에 모여 있는 볼(10)은 유체저장장치(36)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밸브로 되는 감압장치(39)를 작동하여 유체저장장치(36)내의 압력을 드레인(4)를 통하여 감압하면 도관(15) 입구에 모여 있는 볼(10)은 볼회수관(14)과 도관(15)의 압력차에 의하여 볼(10)은 도관(15)을 통하여 개방되어 있는 밸브(24)와 체크밸브(25')을 거친 후 유체저장장치(36) 내부로 유입되면서 체(31)의 상부면에 있는 볼저장부에 포집되게 하므로서, 콘덴서(1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유체수송관(12)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스케일을 볼(10)에 의하여 제거하게 되는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콘덴서 내에 병렬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유체수송관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시스템은 볼분리관(14)의 중앙부에 볼분리관(14)의 직경보다 적은 도관(15)이 중심부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에 따른 볼(10)의 모임변화에 적절한 조치가 되지 않고 또한 볼(10)이 연속적으로 회수되지 않아 볼(10)의 파손 및 손실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유체저장장치(36)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체(31) 상부에 축적되어 있는 볼(10)을 볼분리관(10)에서 볼(10)을 충분히 회수하기 위하여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저장부(32)로 인하여 유체저장장치(36)의 용적이 크게 될 뿐 만 아니라, 체(31) 상부에 축적되어 있는 유체와 볼(10)을 콘덴서(1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유체수송관(12)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유체저장장치(36)에 주압력을 증가시키는 별도의 공기관(38)과 자동밸브(26)로 이루어진 압축기(37)와 압축기(37)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자동밸브로 되는 감압장치(39)를 필수적으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볼(10)을 유체저장장치(36)로 회수하기 위하여 유체저장장치(36)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드레인(4)을 통하여 상당량의 유체를 폐수로 방출하여야 하며, 볼(10)의 분사를 위한 유체저장장치(36)내에 압축된 공기의 공급을 위한 압축기(37)의 추가설비로 인한 실용화에 어려움이 있으며, 한정된 유체저장장치(36)의 용량으로 볼의 분사 및 회수율 저하로 유체수송관(12)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스케일을 제거하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쉘앤드튜브(Shell end tube)형태의 콘덴서 내에 있는 설치되어 있는 유체수송관을 세정하기 위하여 종래의 구성보다 간단히 하여 볼분리관에 원통형 체를 설치하여 유체의 출구관과 볼회수관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종래에 사용하던 압축기와 유체저장부를 제거하는 동시에 볼저장탱크를 설치하여 간소화함으로써 유체수송관을 세정하기 위하여 설치에 따른 설치비용과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볼저장탱크에 저장된 볼의 유입량을 눈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며, 볼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볼을 설정타이머에 의하여 순환펌프를 작동시켜 유입관에 볼을 송출한 후 유입관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에 의하여 자연 순환시켜 볼에 의하여 유체수송관을 세정한 후 볼출구부에 모여 있는 볼을 볼저장탱크에 회수하기 위하여 순환펌프를 역회전시켜 도관의 압력을 감소시켜 압력차에 의하여 볼은 도관을 통하여 볼저장탱크로 회수하며, 순환펌프를 주기적으로 작동시켜 유체수송관을 세정하는 볼을 유체 유입관을 순환하는 유체에 의하여 볼을 자연 순환시켜 유체를 수송하는 유체 수송관의 내면을 효율적으로 청소 및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어 흐르는 유입관에 연결되는 콘덴서의 내부에 유체를 수송하는 병렬로 된 다수개의 유체수송관이 설치되고, 상기 콘덴서의 출구관에 직결되게 밸브가 설치되고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의 출구관에 연결되며 우측에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관과 유체를 배출하는 출구관에는 연통되게 유체이송도관과 유체회수도관이 설치되고, 상기 유체이송도관의 유료에는 밸브와 체크밸브가 설치되며, 유체회수도관의 유로에는 체크밸브와 밸브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출구관과 유체출구 관의 사이에는 내부에 원통형 체와 원통형 체의 끝 부분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입구가 좁아지는 볼출구가 유체회수도관에 밀폐되게 관통 설치되는 볼분리관이 설치되고, 상기 유체이송도관과 유체회수도관이 교차되는 하부에 플랜지에 의해 연결되는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볼이 저장되는 볼저장부와 볼의 양을 측정하는 사이드 글라스가 형성되며 그 아래쪽에는 유체와 볼을 분리하는 체가 부착된 원통형상의 볼저장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볼저장탱크의 하부에 플랜지에 의해 연결되어 유입관과 연통되는 도관의 사이에는 유체수송관에서 제거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필터와, 볼을 이송하는 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도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가 밀폐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은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은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을 볼에 의해 세정되는 세정과정을 나타내는 작용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볼분리관내에서 볼이 회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작용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도관이 순환펌프로 부터 유체출구관에 연통되어 있는 다른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볼저장탱크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순환펌프의 다른실시예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펌프 2 : 유입관 3 : 출구관
3' : 유체출구관 5 : 볼출구 6 : 유체출구관
8 : 볼분리관 10 : 볼 11 : 콘덴서
12 : 유체수송관 12' : 작동유체유로 13 : 원통형 체
16 : 도관 18 : 유체이송도관 19 : 유체회수도관
24,25 : 밸브 24',25' : 체크밸브 27.28.54 : 밸브
30 : 볼저장탱크 31 : 체 35 : 투입구
39 : 사이드글라스 40 : 볼저장부 41 : 필터
42,42A,42B : 순환펌프 43,44 : 플랜지 45A,45B : 전환밸브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을 볼에 의해 세정되는 세정과정을 나타내는 작용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볼분리관내에서 볼이 회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작용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도관이 순환펌프로 부터 유체출구관에 연통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볼저장탱크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순환펌프의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도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42A, 42B는 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이며, 45A,45B는 전환밸브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2)에 연결되는 콘덴서(11)의 내부에는 유체가 흐르는 다수 개 병렬로 설치된 유체수송관(12)과, 콘덴서(11)의 타 측에는 밸브(21)가 설치되어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관(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콘덴서(11)의 출구관(3)과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출구관(3')에 직결되게 밸브(27)가 설치되며 우측에 밸브(28)가 설치되고, 상기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관(2)과 유체를 배출하는 출구관(3)에 연통되는 유로에는 밸브(25)와 체크밸브(25')가 부착된 유체이송도관(18)과 유체회수도관(19)의 유로에는 체크밸브(24')와 밸브(24)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종래의 구성과 유사하다.
그리고, 상기 출구관(3)과 유체출구관(6)의 사이에는 내부에 그물 망으로 형성된 원통형 체(13)와 원통형 체(13)의 끝 부분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입구가 좁아지는 볼출구(5)가 유체회수도관(19)에 밀폐 되게 관통 설치되는 볼분리관(8)에 설치되며, 상기 볼출구(5)의 배출구는 원통형 체(13)에 유연한 곡선으로 연결되어 볼(10)을 효율적 송출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상, 중, 하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체이송도관(18)과 유체회수도관(19)이 교차되는 하부에는 연결 플랜지(44)에 의해 원통형상의 볼저장탱크(30)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볼저장탱크(30)는 투입구(35)를 통하여 투입된 볼(10)이 저장되는 볼저장부(40)과 투입된 볼(10)의 양을 측정하는 사이드글라스(39)가 형성되며, 볼저장부(40)의 아래쪽에는 유체와 볼(10)을 분리하는 체(31)가 부착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볼저장탱크(30)의 하부에는 플랜지(43)에 의해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2)과 연통되는 도관(16)의 사이에는 유체수송관(12)에서 제거된 스케일을 걸러서 제거하는 필터(41)와, 볼(10)을 이송하는 유체를 도시되지 않은 타이머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어 정, 역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2)가 설치되며, 도관(16)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54)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도관(16)의 유로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볼저장탱크(30)의 하부에는 플랜지(43)에 의해 연결되어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배출관(6)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도관(16)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54)와 순환펌프(42)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여러 형태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의 작용 관계를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출구관(3)과 유체출구관(6)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27)와 밸브(28)를 개방하고 유체이송도관(18)과 유체회수도관(19)에 설치되어 밸브(25)(24)를 개방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유입관(2)을 통하여 콘덴서(11)와 콘덴서(11)의 내부에 다수 개 병렬로 설치되어 있는 유체수송관(12)을 통하여 볼분리관(8)으로 계속 흐르는 상태에서 콘덴서(11)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헤드입구(7)를 통하여 유입된 작동유체가 작동유체유로(12')를 통하여 헤드출구(9)를 통하여 배출되는 동안 콘덴서(11)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유체수송관(12)의내부를 흐르는 유체는 열교환이 이루어져 유체출구관(6)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콘덴서(11)와 콘덴서(11)의 내부에 병렬로 다수 개 설치되어 있는 유체수송관(12)에 유체가 계속적으로 흐름으로서 유체수송관(12)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스케일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은 타이머에 의하여 순환펌프(42)를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밸브(54)는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되므로 유입관(2)을 흐르는 유체는 순환펌프(42)의 흡입압력에 의하여 흡입된 유체는 필터(41)를 거친 후, 볼저장탱크(30)로 유입되면서 유체는 볼저장부(40)로 유입되어 볼(10)을 도관(18)(19) 쪽으로 밀어 올리면 볼(10)은 유체회수도관(19)에 설치되어 있는 체크밸브(24')에 의하여 이동을 못하고 유체이송도관(18)에 설치되어 있는 콘덴서(11)쪽으로 만 통하는 체크밸브(25')와 개방되어 있는 밸브(25)를 거친 후 유체이송도관(18)을 통하여 유입관(2)의 내부에 도달하면 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순환펌프(42)는 정지하게 된다.
상기의 순환펌프(42)가 정지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입관(2)에 도달된 볼(10)은 유입관(2)의 내부를 따라 흐르고 있는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콘덴서(11) 내부로 유입되면 볼(10)은 콘덴서(1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유체수송관(12)의 내벽을 통과하여 볼(10)은 유체수송관(12)의 내벽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스케일 제거한 후, 출구관(3)에 설치되어 있는 개방된 밸브(27)를 통과한 후 볼(10)은 유체와 함께 볼분리관(8)으로 자연스럽게 이동 유입되며, 볼분리관(8)으로 유입된 유체는 원통형 체(13)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부를 통하여 걸러진 후 유체출구관(6)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볼분리관(8)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형 체(13)의 볼출구(5)에 모여 있는 볼(10)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설정된 타이머에 의하여 순환펌프(42)의 역회전하여 유체회수도관(19)에 유입되어 있는 유체의 흡입력에 의하여 볼(10)는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볼출구부(5)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유체회수도관(19)으로 유입되며, 순환펌프(42)의 흡입력에 의해 유체회수도관(19)으로 유입되는 볼(10)은 개방되어 있는 밸브(24)와 일 방향으로 통하는 체크밸브(24')을 통과한 후 볼저장부(40)에 설치되어 있는 체(31)에 모여지게 된다.
상기 순환펌프(42)의 역회전에 의하여 역류된 유체에 섞여 있는 스케일은 필터(41)에 의해 걸러지며, 필터(41)에 의해 걸러진 유체는 도관(16)을 통하여 유입 관(2)으로 이동되어 콘덴서(11)로 순환되어 출구관(3)에 설치되어 있는 개방된 밸브(27)를 통과한 후 볼분리관(8)으로 자연스럽게 이동 유입되며, 볼분리관(8)으로 유입된 유체는 원통형 체(13)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부를 통하여 유체출구관(6)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순환펌프(42)의 구동은 도시되지 않은 타이머를 설정하여 주기적으로 구동되며 볼(10)을 순환시키는 유체의 흐름은 순환펌프(42)에 의하여 유입, 배출 전환되며, 또한 순환펌프(42)의 구동시간은 볼(10)의 축적 양에 따라 조절하여 변화시킬 수 있으며, 순환펌프(42)의 구동시간에 따라 유체의 배출 양과 볼(10)의 토출양이 변화하므로 순환펌프(42)의 회전량 즉, 순환펌프(42)의 구동시간을 조정하여 유체의 유입양을 적절히 조절하여서 볼분리관(8)에서 분리된 볼(10) 모두를회수하여 볼저장탱크(30)에 축적하고, 유체의 배출양을 적절히 조절하여 볼저장탱크(30)에 축적된 볼(10) 모두를 토출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타이머에 의하여 순환펌프(42)의 구동시간을 적절히 조절하여 유체수송관(12)에 부착되는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볼저장탱크(30), 필터(41)와 순환모터(42)를 보수 및 수리할 경우에는 유체이송도관(18)과 유체회수도관(19)에 부착되어 있는 밸브(24)(25')를 폐쇄하고 도관(16)에 부착되어 있는 밸브(54)를 폐쇄하여 유입관(2)을 흐르는 유체가 볼저장탱크(30), 필터(41) 및 순환모터(42)에 유입되지 않도록 폐쇄한 후 볼저장탱크(30), 필터(41)와 순환모터(42)를 보수 및 수리하며, 볼분리관(8)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형 체(13)의 통기부가 막혀 있거나 기타의 사정으로 인하여 볼분리관(8)을 보수 및 수리할 경우에는 유입관(2)을 흐르는 유체가 볼분리관(8)과 유체출구관(6)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출구관(3)과 유체(6)에 부착되어 있는 밸브(27)과 밸브(28)을 폐쇄한 후, 양단의 플랜지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볼분리관(8)을 분리하여 원통형체(13)을 청소 및 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볼분리관(8)로부터 볼(10)을 완전히 회수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볼분리관(8)은 첫째, 콘덴서(11)의 유체수송관(12) 내면의 단면적과 출구관(3)과 유체출구관(6)의 단면적을 같게 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하며, 둘째, 상기 원통형 체(13)의 내, 외의 압력 차이가 거의 없어야 볼(10)이 원통형 체(13)의 벽면에 부착 및 마모가 되지 않으며, 볼(10)을 순환시키는 유체와 유체의 흐름에 따라 볼(10)이 최상의 운동조건과 유체의 안정적 흐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볼분리관(8)의 입구관(3)과 출구관(3)단면적을 같게 하고 원통형 체(13)의 단면적은 보다 크게 하며, 원통형 체(13)의 전체 개방면적은 원통형 체(13)의 단면적 보다 2배에서 4배로 충분한 기공부로 되어 있으며, 셋째, 볼출구(5)는 작업유체나 유체의 흐름에 의해 볼(10)의 모임에 따라 설치 방향을 상, 중, 하로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볼 회수 도관(19)내의 압력이 순환펌프(42)의 작동으로 출구관(16)의 내압 이하로 될 때 충분한 와류가 형성되어 볼분리관(8)으로부터 볼(10)을 완전히 회수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순환펌프(42)에서, 볼(10)을 회수하여 축적하는 양과 분사하여 토출되는 양은 볼(10)을 이송하는 유체의 유입양과 배출양으로 조절되는 순환펌프(42)의 구동은 상기와 같이 타이머로 조절하며, 또한 순환펌프(42)의 회전에 의해 순환되는 유체는 흐름속도, 압력에 따라 볼(10)의 움직임이 변화되므로 볼분리관(8)에서 볼의 모임, 볼의 운동, 볼 출구(25) 주위의 난류형성, 볼의 회수 등의 조건에 따라 순환펌프(42)를 도시되지 않은 타이머의 시간을 적정하게 조절하여 유체의 흐름을 조정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쉘앤드튜브(Shell end tube)형태의 콘덴서 내에 있는 설치되어 있는 유체수송관을 세정하기 위하여 종래의 구성보다 간단히 하여 볼분리관에 원통형 체를 설치하여 유체의 출구관과 볼회수관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종래에 사용되던 압축기와 유체저장부를 제거하고 볼저장탱크를 설치하여 간소화 함으로써 유체수송관을 세정하기 위하여 설치에 따른 설치비용과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볼저장탱크에 저장된 볼의 유입량을 눈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며, 볼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볼을 타이머의 설정에 의하여 순환펌프를 주기적으로 작동시켜 유입관에 볼을 송출한 후 유입관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에 의하여 자연 순환시켜 볼에 의하여 유체수송관을 세정한 후 볼출구부에 모여 있는 볼을 볼저장탱크에 회수하기 위하여 순환펌프를 역회전시켜 도관의 압력을 감소시켜 압력 차에 의하여 볼은 도관을 통하여 볼저장탱크로 회수하며, 순환펌프를 주기적으로 작동시켜 유체수송관을 세정하는 볼을 유체 유입관을 순환하는 유체에 의하여 볼을 자연 순환시켜 유체를 수송하는 유체수송관의 내면을 효율적으로 청소 및 유지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유체가 유입되어 흐르는 유입관(2)에 연결되는 콘덴서(11)의 내부에 유체를 수송하는 병렬로 된 다수개의 유체수송관(12)이 설치되고,
    상기 콘덴서(11)의 출구관(3)에 직결되게 밸브(27)가 설치되고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의 출구관(4) 연결되며 우측에 밸브(28)가 설치되고,
    상기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관(2)과 유체를 배출하는 출구관(3)에는 연통되게 유체이송도관(18)과 유체회수도관(19)이 설치되고,
    상기 유체이송도관(18)의 유로에는 밸브(25)와 체크밸브(25')가 설치되며, 유체회수도관(19)의 유로에는 체크밸브(24')와 밸브(24)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출구관(3)과 유체출구관(6)의 사이에는 내부에 원통형 체(13)와 원통형 체(13)의 끝 부분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입구가 좁아지는 볼출구(5)가 유체회수도관(19)에 밀폐 되게 관통 설치되는 볼분리관(8)이 설치되고,
    상기 유체이송도관(18)과 유체회수도관(19)이 교차되는 하부에 플랜지(44)에 의해 연결되는 투입구(35)를 통하여 투입된 볼(10)이 저장되는 볼저장부(40)와 볼(10)의 양을 측정하는 사이드글라스(39)가 형성되며 그 아래쪽에는 유체와 볼(10)을 분리하는 체(31)가 부착된 원통형상의 볼저장탱크(30)가 설치되고,
    상기 볼저장탱크(30)의 하부에 플랜지(43)에 의해 연결되어 유입관(2)과 연통되는 도관(16)의 사이예는 유체수송관(12)에서 제거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필터(41)와, 볼(10)을 이송하는 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2)와, 도관(16)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54)가 밀폐 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
KR10-2001-0085520A 2001-12-18 2001-12-18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 KR100389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520A KR100389723B1 (ko) 2001-12-18 2001-12-18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520A KR100389723B1 (ko) 2001-12-18 2001-12-18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059U Division KR200227922Y1 (ko) 2000-12-29 2000-12-29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236A true KR20020059236A (ko) 2002-07-12
KR100389723B1 KR100389723B1 (ko) 2003-07-04

Family

ID=2772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520A KR100389723B1 (ko) 2001-12-18 2001-12-18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7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918A (ko) * 2002-10-28 2002-11-23 안익대 콘덴서 유체수송관 세정장치의 세척볼 스케일제거장치
CN102980435A (zh) * 2012-12-11 2013-03-20 机械工业第三设计研究院 换热器列管内壁在线清洗方法
CN108580474A (zh) * 2018-04-11 2018-09-28 盐城中自科技有限公司 一种换热器快速清洗装置及清洗方法
US10371470B2 (en) 2015-11-12 2019-08-06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Condenser tube cleaning apparatus
KR20200058189A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포스코 롤 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203B1 (ko) 2010-04-29 2012-05-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폐열회수장치 세척수의 저장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918A (ko) * 2002-10-28 2002-11-23 안익대 콘덴서 유체수송관 세정장치의 세척볼 스케일제거장치
CN102980435A (zh) * 2012-12-11 2013-03-20 机械工业第三设计研究院 换热器列管内壁在线清洗方法
US10371470B2 (en) 2015-11-12 2019-08-06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Condenser tube cleaning apparatus
CN108580474A (zh) * 2018-04-11 2018-09-28 盐城中自科技有限公司 一种换热器快速清洗装置及清洗方法
KR20200058189A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포스코 롤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9723B1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587457U (zh) 一种管道过滤结构及空调系统
KR101954997B1 (ko) 세미 연속순환방식 열교환기 자동 세정장치
KR101126787B1 (ko) 소형 열교환기 자동 세정장치
JP2010236819A (ja) 熱交換器伝熱管洗浄装置
KR100389723B1 (ko)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
KR200227922Y1 (ko)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
CN102788528B (zh) 胶球清洗系统
WO2005124261A1 (en) A heat exchanger aoto cleaning system using ejector
KR100346769B1 (ko) 유체전도튜브의내부를세척하기위한세척시스템과이에수반된장치
WO2003102487A1 (en) An improved cleaning system
JP4118267B2 (ja) 洗浄装置
KR200302696Y1 (ko)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
KR100607685B1 (ko) 펌프이용 열교환기튜브 자동세정장치
KR100469670B1 (ko)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
KR100472308B1 (ko) 이젝트를 이용한 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
WO2002055174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a feed fluid
KR20020087918A (ko) 콘덴서 유체수송관 세정장치의 세척볼 스케일제거장치
JP2002221296A (ja) 内燃機関のオイル循環路の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CN1969166B (zh) 使用喷射器的热交换器自动清洁系统
KR200294127Y1 (ko) 볼 순환펌프를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KR200237353Y1 (ko) 유체수송관 세정장치
JP3890505B2 (ja) 熱交換器伝熱管洗浄システムおよび関連した装置
JPH11230694A (ja) ボールストレーナ
JP2922820B2 (ja) 循環する弾性ボールによる管洗浄装置の改良
KR200302768Y1 (ko) 콘덴서 유체수송관 세정장치의 세척볼 스케일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1202

Effective date: 200410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1117

Effective date: 20050707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802

Effective date: 200611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206

Effective date: 20070126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