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765U -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765U
KR20110007765U KR2020100001056U KR20100001056U KR20110007765U KR 20110007765 U KR20110007765 U KR 20110007765U KR 2020100001056 U KR2020100001056 U KR 2020100001056U KR 20100001056 U KR20100001056 U KR 20100001056U KR 20110007765 U KR20110007765 U KR 201100077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oupling
coupling protrusion
fram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권환
Original Assignee
안권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권환 filed Critical 안권환
Priority to KR2020100001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765U/ko
Publication of KR201100077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7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6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문의 실내측 프레임에 관통되어 장착되고 탄성적으로 후퇴 및 전진되도록 이루어진 결합돌기와, 창문의 실외측 프레임에 형성되어 후퇴 후 전진되는 결합돌기의 끝단부가 수용되는 결합홈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창문이 닫히게 되면 자동으로 창문이 잠금 상태가 된다.

Description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Locking apparatus for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창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이 닫힐 때 자동으로 잠궈지도록 된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문에는 외부인 침입이나 도난 방지를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통상적인 잠금장치들은 수동 조작에 의해서 잠금장치를 열거나 잠그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외출시에 주의 소홀에 의해서 창문 잠금장치를 잠그지 않고 외출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도난이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야간에 외부인 침입에 의한 강도 등과 같은 불미스로운 사고가 발생되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200)의 실내측 프레임(220)에 고정되고 일부위가 회전되도록 제작된 걸림편(20)과, 창문(200)의 실외측 프레임(210)에 고정된 고리(30)가 포함되어 이루어졌다.
상기 걸림편(20)은 실내측 프레임(220)에 고정되는 고정부(21)와, 이 고정부(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결합부(22)가 포함되었고, 이 결합부(22)의 일단부에는 결합부(22)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23)가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고리(30)는 일단부가 돌출되면서 후크 형상의 걸림부(31)가 형성되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걸림편(20)과 고리(30)는 창문(200)이 닫혔을 때 실내ㆍ외측 프레임(2,3)이 중첩되는 일부 프레임의 옆면에 각각 장착되었다.
이들 걸림편(20)과 고리(30)의 잠금 결합은 상기 손잡이(23)를 통해 결합부(22)가 회전하면서 걸림부(31)에 끼워져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창문(200)이 폐쇄되어 잠긴 상태가 되었다.
또한, 상기 걸림편(20)과 고리(30)의 잠금 해제는 잠금 결합과 반대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졌었고, 이로 인해 창문(200)이 개폐 가능한 상태가 되었다.
이러한 구조의 잠금장치(10)는 매우 보편적인 것으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미닫이 창문의 잠금 장치(10)는 걸림편(20)의 위치와 고리(30)가 결합 위치, 즉 창문(200)이 열린 상태에서 걸림편(20)과 고리(30)의 결합이 실행되면 결합이 올바르게 행해지지 않고, 걸림편(20)의 결합부(22)가 헛돌게 되었다.
따라서, 창문(200)을 잠그고자 할 때에는 실내측 프레임(220)과 실외측 프레임(210)의 위치가 정위치의 닫힌 상태가 된 다음 걸림편(20)이 동작되어야만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22)와 걸림부(31)가 결합되는 도중에 서로 마찰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용자는 이 마찰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가하여야만 결합부(22)와 걸림부(31)의 결합이 이루어졌으며, 상기 결합부(22)와 걸림부(31)의 결합 해제에도 유사한 크기의 힘이 요구되었다.
만약 실내ㆍ외측 프레임(220,210)이 닫힘 정위치에서 약간 어긋나 있을 경우, 정위치에 있을 경우 보다 상기 결합부(22)와 걸림부(31)가 결합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더 크게 발생되었고, 이 큰 마찰력을 극복하기 위해 제공된 힘에 의해 특히 고리(30)의 형상이 변형되어 결국에는 파손되기도 하였다.
또한, 상기 걸림편(20)과 고리(30)는 창문(200)의 실내ㆍ외측 프레임(2,3)의 외측면에 돌출ㆍ장착되어 있어 시각적으로 미감이 저해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미닫이용 창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미닫이용 창문의 잠금장치는 창문의 실외측 프레임에 장착되면서 결합홈을 갖는 수용부재와, 창문의 실내측 프레임을 관통하여 장착된 하우징에 내장된 탄성체를 통해 탄성적으로 왕복 운동하게 결합돌기가 배치되어 이루어진 체결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상기 결합홈에 결합돌기가 수용되는 간단한 작동으로 창문이 잠기고, 특히 실내ㆍ외측 프레임이 닫히면서 탄성적 왕복 운동을 하는 결합돌기가 결합홈과 자동으로 수용되어 창문이 닫힘과 동시에 잠금 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진 미닫이용 창문의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용 창문의 잠금장치는, 미닫이 창문의 실내ㆍ외측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창문을 잠그도록 된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실내측 프레임에 관통되어 장착되고 내부 공간에 탄성체가 내장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관통되어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후퇴 및 전진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결합돌기가 포함된 체결부재; 상기 일측부위에 형성된 결합홈과, 이 결합홈에 인접된 일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과 함께 이동하는 결합돌기의 끝단과 접촉되면서 결합돌기의 탄성적 후퇴 이동을 유도하는 경사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창문의 실외측 프레임에 표출되도록 삽입 설치된 수용부재; 가 포함되고, 상기 창문이 닫힐 때, 결합돌기의 끝단이 결합부재의 경사부에 접촉되면서 결합돌기가 탄성적 후퇴 이동된 다음, 창문이 완전히 닫히면 결합돌기가 탄성적 전진 이동되어 결합돌기의 끝단부가 수용부재의 결합홈에 수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의 탄성적 전진 이동 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결합돌기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의 상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1제한돌기, 상기 결합돌기의 후퇴 이동시 탄성체에 압축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결합돌기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면서 스프링이 안착되는 제2제한돌기;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재에는 경사부와 인접되게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돌기의 끝단부가 경사부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제시하는 안내부가 더 포함되고, 이 안내부가 형성된 일부위의 높이가 결합홈이 형성된 일부위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제작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는 실외측 프레임의 외표면과 결합홈 부위의 상면이 동일 높이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안내부에 인접된 실외측 프레임의 측면과 상기 안내부의 상면이 요(凹)홈을 형성하게 되고 이 요홈을 따라 결합돌기의 끝단부가 경사부까지 안내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용 창문의 잠금장치는, 결합돌기가 탄성적으로 왕복 운동하므로, 창문이 닫히게 되면 자동으로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수용되어 창문이 잠금 상태가 됨에 따라 이용자가 창문을 잠그기 위한 별도의 동작이 요구되지 않아 편의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종래의 문제점에서 제시되었던, 창문을 잠글 때 발생되었던 마찰력이 제거되면서 이 마찰력을 극복하기 위한 힘 역시 제거되므로 잠금장치의 중요 부위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를 갖는 체결부재가 창문 프레임에 관통되어 내부 설치되고, 결합홈을 갖는 수용부재 역시 창문 프레임에 내향(內向)된 위치에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창문 프레임에 돌출 부착되지 않아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미닫이 창문이 설치된 상태 및 이 미닫이 창문에 장착된 잠금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및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장착된 미닫이용 창문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창문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창문의 실외측 프레임이 도시된 정면도 및 Ⅰ-Ⅰ선 부분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창문의 실내측 프레임이 도시된 정면도 및 Ⅱ- Ⅱ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잠금장치의 결합 동작이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장착된 미닫이용 창문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창문이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창문의 실외측 프레임이 도시된 정면도 및 Ⅰ-Ⅰ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창문의 실내측 프레임이 도시된 정면도 및 Ⅱ- Ⅱ선 부분 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잠금장치의 결합 동작이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100)는, 창문(200)의 실외측 프레임(210)에 표출되도록 삽입 설치되면서 일측 부위에 결합홈(111)이 형성된 수용부재(110)와, 상기 창문(200)의 실내측 프레임(220)에 후퇴 및 전진이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장착되면서 일측 끝단부가 결합홈(111)에 수용되는 결합돌기(121)를 갖는 체결부재(1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부재(110)는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일측부위에 결합홈(111)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111)에 인접되게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112)가 형성되며, 이 경사부(112)에 인접되어 연장되면서 상기 결합돌기(121)의 끝단부가 경사부(112)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제시하는 안내부(1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재(110)는 안내부(113) 부위의 높이가 결합홈(111) 부위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제작되고, 이로 인해 수용부재(110)가 실외측 프레임(210)에 장착된 경우, 실외측 프레임(210)의 외표면과 결합홈(111) 부위의 상면이 동일 높이선상에 위치되도록 하고, 안내부(113)는 실외측 프레임(210)의 외표면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부(112)는 실내측 프레임(220)이 닫힐 때, 결합돌기(121)의 끝단과 접촉되면서 결합돌기(121)의 후퇴 이동을 유도하여 결합홈(111)에 수용되기 직전인 결합돌기(121)의 후퇴된 상태에서의 이동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상기 안내부(113)는 결합돌기(121)의 끝단부의 이동 경로를 제시함과 더불어, 이 안내부(113)에 인접된 실외측 프레임(210)의 측면(211)과 상기 안내부(113)의 상면이 요(凹)홈을 형성하게 되고, 이 요홈을 따라 결합돌기(121)의 끝단부가 경사부(112)까지 경로 이탈없이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113)의 상면과 실외측 프레임(210)의 측면(211)으로 형성된 요홈은 전적으로 실외측 프레임(210)에 홈을 형성시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121)의 끝단부가 결합홈(111)에 항상 안정되게 수용되도록 구조적으로 보장이 된다면 상기 요홈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안내부(113)는 실내측 프레임(220)이 닫힐 때, 전진 위치된 상태에서의 결합돌기(121)의 끝단이 실외측 프레임(210)에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긁힘 자국은 물론, 실내측 프레임(220)이 흔들리면서 결합돌기(121)의 끝단에 실외측 프레임(210)이 찍혀서 발생되는 자국 역시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부(113)는 전진 위치된 상태에서의 결합돌기(121)의 끝단 위치가 실외측 프레임(210)과 충분히 이격될 수 있으면 제거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120)에는 도 6a 및 도6b에서와 같이, 상기 실내측 프레임(220)에 관통 설치된 하우징(122)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탄성체(122c)에 내장된 탄성체(123)가 더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122)에 관통되면서 탄성체(123)에 의해 탄성적으로 전진 및 후퇴 왕복 이동되도록 결합돌기(121)가 배치된다.
상기 탄성체(123)는 원형 스프링 및 이 외의 스프링, 고무 등이 포함된, 상기 결합돌기(121)에 외력이 작용되었을 때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물질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상기 결합돌기(121)에는 결합돌기(121)의 전진 및 후퇴 왕복 이동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결합돌기(121)의 상ㆍ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제1,2제한돌기(121a,121b)와, 상기 제1제한돌기(121a)의 상측에 손잡이(121c)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제한돌기(121a)는 결합돌기(12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하우징(122)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제한돌기(121b)는 결합돌기(12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수용탄성체(122c) 내부에 위치되면서 탄성체(123)가 안착된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121)의 탄성적 왕복 이동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탄성체(123)의 팽창력에 의해 제1제한돌기(121a)가 하우징(122)의 상면과 맞닿은 상태로, 결합돌기(121)가 전진된 상태이면서 결합돌기(121)의 초기 위치이다.
이후, 상기 결합돌기(121)가 후퇴 이동하게 되면 제1,2제한돌기(121a,121b) 역시 후퇴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제한돌기(121a)는 하우징(122)의 상면과 이격되면서 제2제한돌기(121b)는 탄성체(123)를 압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123)는 수용탄성체(122c)의 상측 내면과 제2제한돌기(121b) 사이에 배치된 상태으므로 제2제한돌기(121b)의 후퇴 이동으로 압축되어 결합돌기(121)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려는 탄성력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21)의 후퇴 이동을 위한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체(123)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결합돌기(121)가 전진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원되고, 제1제한돌기(121a)가 하우징(122)의 상면과 맞닿게 되면 결합돌기(121)의 전진 이동이 멈춰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121)의 후퇴 이동을 위한 외력은 이용자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지만, 본 고안에서는 창문(200)이 닫힐 때, 상기 실내측 프레임(220)의 이동과 더불어 결합돌기(121)가 이동되면 결합돌기(121)의 끝단이 상기 결합부재(121)의 경사부(112)와 접촉되면서 결합부재(121)가 후퇴 이동하게 된다.
이후, 결합돌기(121)의 일단부가 결합홈(111)에 수용되는 위치에 오게 되는 순간 결합돌기(121)의 끝단과 경사부(112)의 접촉이 제거되면서 탄성체(123)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돌기(121)가 전진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결합돌기(121)의 일단부가 결합홈(111)에 수용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22)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서와 같이 중공(中空)이면서 일면이 개방된 몸통(122a)과, 이 몸통(122a)의 일면을 폐쇄시키는 뚜껑(122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122b)을 제거하여 탄성체(123)를 몸통(122a) 내부에 넣고 결합돌기(121)의 일부를 넣은 다음 뚜껑(122b)을 닫아 완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몸통(122a)과 뚜껑(122b)의 결합은 일반적인 후크 결합, 접착, 융착, 이외의 다른 공지된 기술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몸통(122a)과 뚜껑(122b)과 결합돌기(121)의 결합 역시 대상부재가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해 왕복 이동되도록 설계된 공지된 많은 기술이 이용되어 간단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를 작동 순서에 의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창문이 닫힐 때, 실내측 프레임(220)이 이동되면서 결합돌기(121)의 끝단부가 결합부재(121)의 안내부(113) 부위에 형성된 요홈을 따라 경사부(112)까지 이동된 다음, 결합돌기(121)의 끝단이 경사부(112)와 접촉되면서 결합돌기(121)가 탄성적 후퇴 이동되고, 이후 결합돌기(121)의 끝단부가 결합홈(111)에 수용되면 창문(200)은 잠금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기 탄성체(123)에 의한 결합돌기(121)의 탄성적 후퇴 및 전진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창문(200)이 닫힐 때의 잠금 상태는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창문(2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기 위해서는 이용자가 결합돌기(121)의 손잡이(121c)를 잡고 결합돌기(121)를 후퇴시켜 탄성체(123)의 팽창력이 극복되면서 결합돌기(121)의 끝단부가 결합홈(111)에서 이탈되도록 하면 창문(200)은 자유롭게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100...잠금장치 110...수용부재,
111...결합홈 112...경사부,
113...안내부 120...체결부재,
121...결합돌기 122...하우징,
123...탄성체 200...창문,
210..실외측 프레임 220..실내측 프레임.

Claims (4)

  1. 미닫이 창문의 실내ㆍ외측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창문을 잠그도록 된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실내측 프레임에 관통되어 장착되고 내부 공간에 탄성체가 내장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관통되어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후퇴 및 전진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결합돌기가 포함된 체결부재;
    일측부위에 형성된 결합홈과, 이 결합홈에 인접된 일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과 함께 이동하는 결합돌기의 끝단과 접촉되면서 결합돌기의 탄성적 후퇴 이동을 유도하는 경사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창문의 실외측 프레임에 표출되도록 삽입 설치된 수용부재; 가 포함되고,
    상기 창문이 닫힐 때, 결합돌기의 끝단이 결합부재의 경사부에 접촉되면서 결합돌기가 탄성적 후퇴 이동된 다음, 창문이 완전히 닫히면 결합돌기가 탄성적 전진 이동되어 결합돌기의 끝단부가 수용부재의 결합홈에 수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탄성적 전진 이동 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결합돌기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의 상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1제한돌기, 상기 결합돌기의 후퇴 이동시 탄성체에 압축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결합돌기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면서 스프링이 안착되는 제2제한돌기;
    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에는 경사부와 인접되게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돌기의 끝단부가 경사부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제시하는 안내부가 더 포함되고,
    이 안내부가 형성된 일부위의 높이가 결합홈이 형성된 일부위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실외측 프레임의 외표면과 결합홈 부위의 상면이 동일 높이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안내부에 인접된 실외측 프레임의 측면과 상기 안내부의 상면이 요(凹)홈을 형성하게 되고 이 요홈을 따라 결합돌기의 끝단부가 경사부까지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2020100001056U 2010-01-29 2010-01-29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201100077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056U KR20110007765U (ko) 2010-01-29 2010-01-29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056U KR20110007765U (ko) 2010-01-29 2010-01-29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765U true KR20110007765U (ko) 2011-08-04

Family

ID=4559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056U KR20110007765U (ko) 2010-01-29 2010-01-29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76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479A (ko) * 2014-08-22 2016-03-03 강민성 미닫이식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20230161178A (ko) * 2022-05-18 2023-11-27 황세미 미닫이식 창호의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479A (ko) * 2014-08-22 2016-03-03 강민성 미닫이식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20230161178A (ko) * 2022-05-18 2023-11-27 황세미 미닫이식 창호의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021B1 (ko) 창호 잠금장치
KR102475979B1 (ko) 잠금 여부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CN105370111A (zh) 一种窗户锁及窗户
WO2009072839A1 (en) Locking device for a window
CA2810743C (en) Screen attachment handle with latch
KR20110007765U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101738140B1 (ko) 초기 개폐 기능을 갖는 미닫이문용 수동 잠금장치
KR102274300B1 (ko) 스마트 잠금장치의 구동장치
KR100934321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09479Y1 (ko) 버튼식 창문용 자동잠금장치
US2439057A (en) Door or drawer latch
KR100550454B1 (ko)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
KR100803905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JP5994054B2 (ja) 引戸用錠前
KR101566683B1 (ko) 도어 안전장치
JP5912401B2 (ja) 扉体の施解錠装置
KR100752053B1 (ko) 미닫이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JP4916927B2 (ja) ラッチ付きドア錠
KR100716026B1 (ko)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
CN210422245U (zh) 一种限位器
KR100647860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20120003983U (ko) 미닫이 창문용 버튼가압식 잠금장치
KR20140114122A (ko) 손 끼임 방지 여닫이 문
AU2014100240A4 (en) Hand-cranked window protection chain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