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519U - 식품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보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519U
KR20110007519U KR2020100000727U KR20100000727U KR20110007519U KR 20110007519 U KR20110007519 U KR 20110007519U KR 2020100000727 U KR2020100000727 U KR 2020100000727U KR 20100000727 U KR20100000727 U KR 20100000727U KR 20110007519 U KR20110007519 U KR 201100075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torage
storage container
food
space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5968Y1 (ko
Inventor
오영숙
Original Assignee
오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숙 filed Critical 오영숙
Priority to KR2020100000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96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5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5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9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65D75/36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and forming o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각종 식품을 넣어 보관하는 식품 보관 용기는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는 각각 일정 형상의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와 수직하도록 상기 하면부의 외주연에 연장 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하면부 및 측면부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수납 공간을 갖는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일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분리턱을 갖는다.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 상부에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적층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분리턱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의 하면부와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하면부 사이에 유격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적층되는 식품 보관 용기들 사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을 형성하여 밀착되어 있는 식품 보관 용기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공간부에 담긴 식품을 외부에서 확인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 보관 용기{A Packing Vessel}
본 고안은 식품을 포장하여 보관하는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되는 식품 보관 용기들 사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을 형성하여 밀착되어 있는 식품 보관 용기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공간부에 담긴 식품을 외부에서 확인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각종 식품, 예컨대, 쥐포, 구운 쥐포, 김, 과자, 또는 사탕을 보관하여 판매하기 위해서는 식품 형상에 상응하는 식품 보관 용기를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에는, 전술한 식품 보관 용기를 개별적으로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한 후, 후속하는 식품 보관 및 밀폐 공정으로의 식품 보관 용기의 운반시 운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다수의 식품 보관 용기를 밀착 적층하여 운반하게 된다. 이후, 식품 보관 및 밀폐 공정을 위해서 밀착 적층된 식품 보관 용기를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하게 된다.
하지만, 다수의 적층된 식품 보관 용기는, 운반시 자체 하중에 의해서 보다 밀착되어 인접하는 식품 보관 용기 사이에 유격이 거의 없어져 진공 상태를 형성하거나, 식품 보관 용기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 및 마찰력에 의해서, 후속하는 식품 보관 및 밀폐 공정을 위한 식품 보관 용기의 개별적인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는, 전체 공정상에서, 식품 보관 용기의 제조 효율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제기되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인접하는 식품 보관 용기 사이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유격이 형성된 식품 보관 용기를 개발할 필요성이 절실히 제기되었다. 또한, 식품 보관 용기의 공간부에 담긴 식품을 항상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필요성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적층되는 식품 보관 용기들 사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을 형성할 수 있는 식품 보관 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공간부에 담긴 식품을 외부에서 확인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식품 보관 용기를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종 식품을 넣어 보관하는 식품 보관 용기는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는 일정 형상의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와 수직하도록 상기 하면부의 외주연에 연장 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하면부 및 측면부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수납 공간을 갖는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일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분리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2 식품 포장 용기는 일정 형상의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와 수직하도록 상기 하면부의 외주연에 연장 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하면부 및 측면부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수납 공간을 갖는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일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분리턱이 형성된 위치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2 분리턱을 갖는다.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 상부에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적층시, 상기 제1 분리턱 및 제2 분리턱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의 하면부와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하면부 사이에 유격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리턱은 상기 각 측면부에 일정 높이를 가진 반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리턱은 상기 각 측면부에 적어도 세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각 측면부에는, 상기 하면부에서 일정 높이로 다수의 요철면이 형성되며, 상기 요철면은,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 상부로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적층시, 적층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요철면은 상기 분리턱 보다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는 각각, 상기 측면부의 일단에서 상기 하부면에 대향하고 상기 공간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는 일정 형상의 커버가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 상부에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적층시, 상기 제1 분리턱의 일측면은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하면부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의 테두리부와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테두리부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는 각각,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 및 측면부는 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는 각각, 상기 각 하면부에는 상기 수납 공간으로 삽입된 식품이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탑재면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분리턱 보다는 적어도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은 상기 제1 및 제2 분리턱 안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적층되는 식품 보관 용기들 사이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을 형성하여서 밀착되어 있는 식품 보관 용기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후속하는 각 분리된 식품 보관 용기의 식품 보관 및 밀폐 공정상의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간부에 담긴 식품을 외부에서 확인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식품 보관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식품 보관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는 제2 식품 보관 용기 위에 제1 식품 보관 용기를 적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식품 보관 용기 위에 제1 식품 보관 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식품 보관 용기에 식품이 포장 보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식품이 포장 보관된 식품 보관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110,120)는,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턱(112-1.122-1)의 형성 위치에 차이가 있는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식품 보관 용기(110,120)는, 각종 식품, 예컨대, 건조되거나 구운 쥐포, 오징어, 김, 과자, 또는 사탕을 넣은 후 포장하여 보관하는 보관 용기를 이른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110,120)로서 두 종류를 예시하였지만, 분리턱(112-1.122-1)의 형성 위치가 다른 식품 보관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는 분리턱(112-1,122-1)의 형성 위치를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은 제1 테두리부(112-3)와, 제1 테두리부(112-3)의 중심 부분에 하향 단차지게 형성된 제1 공간부(113)를 포함한다.
제1 테두리부(112-3)는 커버(도 5의 130)가 부착되는 부분이며, 일측에 손잡이부(112-4)가 돌출되어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30)에 의해 밀봉 및 밀폐된 제1 식품 보관 용기(110)를 소비자가 한 손으로는 손잡이부(112-4)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커버(130)를 잡은 상태에서 커버(130)를 벗겨 내면 손쉽게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의 공간부(113)에 보관된 식품(140)을 인출할 수 있다.
제1 공간부(113)는 식품이 삽입되어 보관되는 부분으로서, 제1 하면부(111)와, 제1 하면부(111)와 수직하도록 제1 하면부(111)의 외주연에 연장 형성된 제1 측면부(112)를 포함한다. 제1 하면부(111)와 제1 측면부(112)에 의해서 식품이 보관될 수 있는 제1 수납 공간(113-1)이 형성된다. 제1 측면부(112)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제1 테두리부(112-3)가 연결된다.
이때 제1 측면부(112)에는 제1 수납 공간(113-1)의 내측으로 일정 형상으로 복수의 제1 분리턱(112-1)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 분리턱(112-1)은 제1 식품 보관 용기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가 적층될 때, 제1 테두리면(112-3)에 대해서 일정 높이로 이격되게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분리턱(112-1)은 제1 하면부(111)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다. 제1 분리턱(112-1)은 제1 하면부(111)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진 반원 형상으로 제1 측면부(112)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분리턱(112-1)은 제1 측면부(112)에 적어도 세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제1 분리턱(112-1)이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제1 측면부(112)에는 제1 하면부(111)에서 일정 높이로 요철면(112-2)이 형성되어 있다. 요철면(112-2)의 높이는 적어도 제1 분리턱(112-1) 보다는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요철면(112-2)을 측면에 형성하는 이유는,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적층시 용이하게 정렬하여 적층할 수 있고, 적층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에서 개별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예컨대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위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을 적층할 때, 제1 수납 공간(113-1)에 제2 공간부(123)의 하부가 삽입되어 복수의 제1 분리턱(112-1) 위에 제2 하면부(121)가 탑재된다. 이때 제1 테두리면(112-3) 위로 제2 측면부(122)의 요철면(122-2)의 일부가 돌출되기 때문에, 돌출된 제2 측면부(122)의 요철면(122-2)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와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간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에 적층된 제2 식품 보관 용기(1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특히 요철면(112-2,122-2)은,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상부로의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적층시, 원활한 적층을 위해서 요철면(112-2,122-2)은 적층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납 공간(113-1)의 바닥면 즉, 제1 하면부(111)에서 일정 높이로 식품이 탑재될 수 있는 탑재면(111-1)이 돌출되어 있다. 탑재면(111-1)은 하면부(111)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균일하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8각 링 형태로 형성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탑재면(111-1)은 다양한 형태로 제1 하부면(111)에 형성될 수 있다.
탑재면(111-1)은 제1 분리턱(112-1)의 안쪽의 제1 하부면(111)에 형성되며, 제1 분리턱(112-1)과 동일하거나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재면(111-1)이 제1 분리턱(112-1) 보다 낮게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는 경우, 식품의 가장자리 부분이 제1 분리턱(112-1)과 충돌하여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탑재면(111-1)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제1 수납 공간(113-1)에 수납된 식품은 제1 하면부(111)의 바닥면에 접촉하게 되고, 제1 하면부(111)의 외측면을 통하여 외부 환경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제1 수납 공간(113-1)에 수납된 식품이 탑재면(111-1)을 가질 때보다는 쉽게 변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하면부(111)에 탑재면(111-1)을 형성함으로써, 제1 수납 공간(113-1)에 수납된 식품이 제1 하면부(111)의 외측면을 통하여 외부 환경과 접촉하는 면적을 줄여 식품이 쉽게 변질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탑재면(111-1)을 통하여 식품이 제1 공간부(113)에 떠있는 형태로 수납되기 때문에, 식품을 중심으로 한 제1 공간부(113)에 존재하는 기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은 투명한 재질, 예컨대 식품 팩(pack)에 사용되는 투명한 폴리에틸렌 수지(PET;polyethylen terephthalate)로 이루어짐으로써, 외부에서 제1 공간부(113)에 보관된 식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공간부(113)에 담긴 식품을 외부에서 확인하여 식품을 항상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하면부(111)의 형상은 8각 형상으로 예시하여 도시하였으나, 공간부(113)에 보관되는 식품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식품 보관 용기(120)는 제2 테두리부(122-3)와, 제2 테두리부(122-3)의 중심 부분에 하향 단차지게 형성된 제2 공간부(123)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식품 보관 용기(120)는 제2 측면부(122)에 형성된 제2 분리턱(122-1)의 위치가 제1 분리턱(112-1)의 위치와 상이한 것을 제외하면, 제1 식품 보관 용기(110)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는, 제1 및 제2 분리턱(112-1,122-1)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서, 편의상,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하면부, 측면부, 및 테두리부를 각각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면부, 측면부, 및 테두리부는 하나의 동일한 재질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case)로서 이해되어질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로 두 개의 식품 보관 용기를 예로 들어 상술하였으나, 다수 적층되는 식품 보관 용기는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20)가 교대로 및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적층 구조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위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를 적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위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가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상부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적층시, 제1 식품 보관 용기의 제1 삽입 공간(113-1)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제2 공간부(123)의 일부가 삽입되어 적층된다.
이때 제1 분리턱(112-1) 및 제2 분리턱(122-1)은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교차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의 제1 하면부(111)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제2 하면부(121) 사이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이 형성된다. 즉,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상부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적층시, 제1 분리턱(112-1)의 일측면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제1 하면부(121)의 일측면과 접촉하게 되어서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의 하면부(111)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제2 하면부(121) 사이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이 형성됨으로써, 밀착되어 적층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분리된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후속하는 식품 보관 및 밀폐 공정상의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즉, 전술한 유격에 의해서, 적층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는 상호 진공 상태를 형성하지 않게 되고,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 및 마찰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됨으로써, 적층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분리를 용이해질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를 개별적으로 형성한 후, 후속하는 공정으로의 운반시 앞서 예시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적층 방식으로 식품 보관 용기(110,120)를 다수 적층하여 운반한 후, 식품 보관 및 밀폐 공정을 위해서 적층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를 각각 분리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분리턱(112-1,121-1)에 의해서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의 제1 하면부(111)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제2 하면부(121) 사이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밀착되어 적층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제1 및 제2 측면부(112,122)에는, 일정 높이로 다수의 요철면(112-2,121-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상부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적층시, 각 측면부(112,122)의 요철면(112-2,121-2)에 의해서 제1 및 제2 측면부(112,122)의 마주보는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공기가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의 공간부(113)로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이 증가하여 적층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여기서, 요철면(112-2,121-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기가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의 제1 공간부(113)로 유입될 수 있는 유격이 증가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요철면(112-2,121-2)은,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상부로의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적층시, 원활한 적층을 위해서 요철면(112-2,121-2)은 적층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및 제2 분리턱(112-1,121-1)이 각각 두 개 미만으로 형성되면,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상부로의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적층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적층 균형이 불균일해짐으로써, 식품 보관 용기의 운반 및 보관이 불편해진다. 따라서, 제1 및 제2 분리턱(112-1,121-1)은 제1 및 제2 측면부(112,122)에 적어도 세 개 이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식품 보관 용기(110) 상부로의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적층시, 제1 분리턱(112-1)의 일측면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제2 하면부(121)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의 제1 테두리부(112-3)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의 제2 테두리부(122-3)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됨으로써, 각 테두리부(112-3,122-3)에 의한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의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때 식품 보관 용기를 적층할 때, 특정 식품 보관 용기를 중심으로 상하에 특정 식품 보관 용기와 다른 식품 보관 용기가 배치하는 방식으로 적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110,120)를 적층하는 경우,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와 제2 식품 보관 용기(120)를 교대로 적층한다. 즉 제1 식품 보관 용기(110)를 중심으로 상하에 제2 식품 보관 용기(1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적층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를 이용하여 식품을 포장한 제품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식품 보관 용기에 식품이 포장 보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식품이 포장 보관된 제1 식품 보관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품은 제1 식품 보관 용기(110)의 제1 수납 공간(113-1)에 식품(140)이 삽입되고, 제1 테두리부(112-3) 및 손잡이부(112-4)에 커버(130)의 가장자리 부분이 부착되어 제1 수납 공간(113-1)을 밀봉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식품(140)은 제1 수납 공간(113-1)에 형성된 탑재면(111-1)에 탑재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30)는 제1 테두리부(112-3) 및 손잡이부(112-4)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부착하거나 열압착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다. 커버(130)는 제1 테두리부(112-3) 및 손잡이부(112-4)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이때 커버(130)의 소재로는 제1 공간부(113)에 보관된 식품(140)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 또는 햇볕을 차단하여 식품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는 알루미늄 호일,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용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제1 식품 보관 용기
111 : 제1 하부면
112 : 제1 측면부
112-1 : 제1 분리턱
112-2 : 요철면
112-3 : 제1 테두리부
112-4 : 손잡이부
113 : 제1 공간부

Claims (12)

  1. 각종 식품을 넣어 보관하는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일정 형상의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와 수직하도록 상기 하면부의 외주연에 연장 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하면부 및 측면부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수납 공간을 갖는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일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분리턱을 갖는 제1 식품 보관 용기; 및
    일정 형상의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와 수직하도록 상기 하면부의 외주연에 연장 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하면부 및 측면부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수납 공간을 갖는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일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분리턱이 형성된 위치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2 분리턱을 갖는 제2 식품 보관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 상부에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적층시, 상기 제1 분리턱 및 제2 분리턱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의 하면부와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하면부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는 식품 보관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리턱은 상기 각 측면부에 일정 높이를 가진 반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리턱은 상기 각 측면부에 적어도 세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각 측면부에는,
    상기 하면부에서 일정 높이로 다수의 요철면이 형성되며, 상기 요철면은,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 상부로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적층시, 적층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면은 상기 분리턱 보다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는 각각,
    상기 측면부의 일단에서 상기 하부면에 대향하고 상기 공간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는 일정 형상의 커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 상부에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적층시, 상기 제1 분리턱의 일측면은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하면부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 식품 보관 용기의 테두리부와 상기 제2 식품 보관 용기의 테두리부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는 각각,
    상기 하면부 및 측면부는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품 보관 용기는 각각,
    상기 각 하면부에는 상기 수납 공간으로 삽입된 식품이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탑재면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분리턱 보다는 적어도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은 상기 제1 및 제2 분리턱 안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KR2020100000727U 2010-01-22 2010-01-22 식품 보관 용기 KR200455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727U KR200455968Y1 (ko) 2010-01-22 2010-01-22 식품 보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727U KR200455968Y1 (ko) 2010-01-22 2010-01-22 식품 보관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519U true KR20110007519U (ko) 2011-07-28
KR200455968Y1 KR200455968Y1 (ko) 2011-10-06

Family

ID=4559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727U KR200455968Y1 (ko) 2010-01-22 2010-01-22 식품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9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648A (ko) * 2020-05-08 2021-11-17 와이잭코리아 주식회사 포장 용기
KR200497853Y1 (ko) * 2023-07-14 2024-03-15 주식회사 천년식향 진공 포장된 식품의 플레이팅이 가능한 플레이트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514Y1 (ko) 2002-05-16 2002-08-03 동진기업 주식회사 적층 보관을 위한 용기
JP2006021796A (ja) 2004-07-08 2006-01-26 Seiko Epson Corp トレ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648A (ko) * 2020-05-08 2021-11-17 와이잭코리아 주식회사 포장 용기
KR200497853Y1 (ko) * 2023-07-14 2024-03-15 주식회사 천년식향 진공 포장된 식품의 플레이팅이 가능한 플레이트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968Y1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164B2 (en) Nestable lid for packaging systems
US20120073997A1 (en) Sanitary snap-on can carrier and transport device
US2893550A (en) Package for globular articles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20130017054A1 (en) Package unit and loading method and loading structure therefor
KR200455968Y1 (ko) 식품 보관 용기
US4098400A (en) Returnable packaging system
US3610412A (en) Single-service delivery packages
CN103153809B (zh) 用于安全运输至少一个包装件的外包装装置和方法
CN202006907U (zh) 一种用于盛装未装框太阳能光伏组件的包装箱
US20190241340A1 (en) Packaging tray
US6299919B1 (en) Packaging container for sliced foodstuffs, in particular cheese slices
RU194168U1 (ru) Полимерный лоток
CN100427366C (zh) 鲜蛋包装组件及包装方法
JP2006306403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9142578A (ja) 包装容器
JP5664857B2 (ja) 袋状容器の梱包構造
JP2014530151A (ja) 細長い物品のための容器
US9290304B2 (en) Device for packing bulk products, especially for food
KR200386101Y1 (ko) 컵라면의 덕용 포장 구조
KR20070116478A (ko) 전자부품 포장용 완충재
KR200296312Y1 (ko) 음식용구 세트의 포장을 겸한 진열용 케이스
JP6532027B2 (ja) 緩衝材による果物等の被梱包物の保護方法
RU2112727C1 (ru) Тара для жидких и полужидких продуктов и способ ее пакетирования
JP3187378B2 (ja) 食品カップの輸送用トレー及びこのトレーを用いた輸送方式
EP2927170B1 (en) Method for forming a stack of pack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