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992U - 배선용 키트 - Google Patents

배선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992U
KR20110006992U KR2020100000054U KR20100000054U KR20110006992U KR 20110006992 U KR20110006992 U KR 20110006992U KR 2020100000054 U KR2020100000054 U KR 2020100000054U KR 20100000054 U KR20100000054 U KR 20100000054U KR 20110006992 U KR20110006992 U KR 201100069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kit
terminal
magnetic
magnetic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7362Y1 (ko
Inventor
조현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0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36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9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9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3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5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for connecting electrical apparatus mounted side by side on a r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복수 개의 전자접촉기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접촉기에 배선용 차단기를 연결할 때 모듈화된 배선용 키트를 사용함으로써 배선공수를 간소화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배선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필요공간을 줄여 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배선용 키트{KIT FOR WIRING}
본 고안은 배선용 키트(kit for wiring)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제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작업시 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모듈화한 배선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회로의 개폐를 행하는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는 과부하 보호를 위한 열동형 과부하계전기(Thermal Relay)와 조합되어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를 구성하는 것으로 정,역회전 운전을 빈번히 수행하는 시스템에서는 가역형 전자접촉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역형 전자접촉기(이하, 전자접촉기로 약칭함)는 모터 보호용 배선용 차단기(이하, 배선용 차단기로 약칭함)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전자접촉기에 연결되는 배선장치의 일례를 보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선장치는 한 쌍의 전자접촉기(1) 사이에서의 쇼트를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방지하는 인터록(미도시)과 주회로 배선을 사용자가 손쉽게 설치하도록 상기 전자접촉기(1)에 각각 끼워 맞춤방식으로 체결되는 전원측 통전부와 부하측 통전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통전부들은 각각 구리 소재로 이루어져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복수 개의 통전판(10)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통전판(10)들은 각각 판상으로 된 이격부(11)와 그 이격부(11)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이격부(11)의 판면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꺾여 연장되는 배선안내부(1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배선안내부(12)의 끝단에는 상기 전자접촉기(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통전판(10)들은 통상 3상 전압을 이용할 수 있도록 3개로 이루어져 있고, 각 통전판(10)들 사이에는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이격부재(20)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4는 이격부재가 결합되는 관통구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선장치는 복수의 통전판(10)들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통전판(10)들을 전자접촉기(1)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 통전판(10)들의 배선안내부(12)들을 상기 전자접촉기(1)의 단자에 얹은 후 그 배선안내부(12)들에 구비된 결합홈(13)에 나사단자(미도시)를 체결하여 상기 통전판(10)들이 전자접촉기(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선장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통전판(10)들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전자접촉기(1)에 전원측 통전부와 부하측 통전부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 통전부를 이루는 통전판(10)들을 상기 전자접촉기(1)에 각각 개별적으로 체결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배선작업을 위한 공정수가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공간이 넓지 않은 경우에는 배선작업 자체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각 통전부를 전자접촉기 등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배선용 키트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바디; 및 복수 개의 전기기기에 구비되는 각각의 단자들에 삽입되어 그 복수 개의 전기기기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컨넥터;를 포함한 배선용 키트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바디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는 단자부들과, 그 단자부들을 쌍으로 연결하여 상기 바디에 고정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연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들은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그 일측면으로 돌출된 단자부들에 각각의 전기기기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단자부들은 상기 바디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 바디의 양측면으로 돌출된 단자부들에 각각의 전기기기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에는 각각의 커넥터들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바디에는 제1 바디의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복수 개의 결합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키트는, 복수 개의 전자접촉기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접촉기에 배선용 차단기를 연결할 때 모듈화된 배선용 키트를 사용함으로써 배선공수를 간소화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배선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필요공간을 줄여 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가역형 전자접촉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통전판들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통전판들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배선용 키트에 의해 복수 개의 전자접촉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따른 배선용 키트들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배선용 키트에 의해 복수 개의 전자접촉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따른 배선용 키트를 양쪽에서 각각 보인 사시도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배선용 키트들에 의해 복수 개의 전자접촉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배선용 키트를 일측에서 보인 정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키트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배선용 키트에 의해 복수 개의 전자접촉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따른 배선용 키트들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키트, 즉 전원측 키트(101)와 부하측 키트(102)는, 각각 크게 바디(body)(110)와, 그 바디(110)에 결합되어 후술할 전자접촉기의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커넥터(connector)(120)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10)는 배선용 키트(101)(102)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선용 키트가 복수 개(도면에선, 2개)의 전자접촉기(1)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바디(110)가 절연재질로 된 직사각형 모양의 판체로 형성되고, 그 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술할 커넥터(120)의 단자부(121)들이 상기 바디(110)의 일측면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20)는 상기 바디(110)의 일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자부(121)들과, 상기 단자부(121)들 사이를 각각의 쌍으로 연결하여 상기 바디(110)의 표면에 노출되거나 또는 상기 바디(110)에 매립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122)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120)는 상기 바디(110)를 제작한 후에 별도로 조립할 수도 있지만, 제조공정을 간소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바디(110)를 제작하기 전에 금형에 커넥터(120)를 배치한 후 몰딩재를 주입하여 바디(11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커넥터(1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소위 인서트 몰딩 공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122)는 바디(110)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키트는, 복수 개의 전자접촉기(1)들을 연이어 배열하고 그 복수 개의 전자접촉기(1)들에 구비된 단자들, 즉 전원측 단자들과 부하측 단자들에 상기 배선용 키트들, 즉 전원측 키트(101)와 부하측 키트(102)의 단자부들을 각각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전자접촉기(1)들이 배선용 키트(101)(102)들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키트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배선용 키트에 의해 복수 개의 전자접촉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따른 배선용 키트를 양쪽에서 각각 보인 사시도들이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전자접촉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배선용 키트에 관한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접촉기에 배선용 차단기 또는 열동형 과부하계전기(이하, 과부하 계전기로 약칭함)와 같은 다른 전기제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배선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에서와 같이 상기 전자접촉기(1)의 전원측에 배선용 차단기(2)를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전자접촉기(1)와 배선용 차단기(4) 사이에 놓이는 배선용 키트(103)는 바디의 전후 양측면으로 단자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선용 키트(103)는 상기 전자접촉기(1)와 배선용 차단기(2) 사이에 위치하는 한 개의 바디(110)와, 그 바디(110)의 전후 양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커넥터(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디(110)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져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그 중간 높이에는 후술할 제1 단자부(123)와 제2 단자부(124)가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10)는 그 하단면에 결합돌기(111)가 형성되어 상기 전자접촉기(1)에 구비된 결합홈(미도시)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결합력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20)는 상기 바디(110)의 전자접촉기(1) 쪽으로 돌출되는 제1 단자부(123)와, 상기 배선용 차단기(2) 쪽으로 돌출되는 제2 단자부(124)와, 상기 제1 단자부(123)와 제2 단자부(12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120)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바디(110)의 제작시 함께 결합될 수 있도록 인서트 몰딩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바디(110)를 제작한 후 압입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자부(123)와 제2 단자부(124)는 동일한 높이에서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전자접촉기(1)의 단자와 배선용 차단기(2)의 단자 높이를 고려하여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키트에서도, 상기 전자접촉기(1)와 배선용 차단기(2)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상기 전자접촉기(1)와 배선용 차단기(2) 사이에 바디를 배치하고 그 바디(110)에 결합된 제1 단자부(123)는 상기 전자접촉기(1)의 단자에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반면 상기 제2 단자부(124)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2)의 단자에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자접촉기와 배선용 차단기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키트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배선용 키트들에 의해 복수 개의 전자접촉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배선용 키트를 일측에서 보인 정면도이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배선용 키트가 각각 한 개씩만 구비되는 것이었으나, 본 실시예는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배선용 키트(103)를 서로 결합하여 그 중 제1 배선용 키트(105)는 복수 개의 전자접촉기(1)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반면 나머지 제2 배선용 키트(106)는 상기 전자접촉기(1)와 배선용 차단기(2)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배선용 키트(105)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배선용 키트와 같이 구성되는 반면 상기 제2 배선용 키트(106)는 전술한 제2 실시예의 배선용 키트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배선용 키트(105)가 제2 배선용 키트(106)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배선용 키트(106)에는 키트 안착홈(106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선용 키트(106)에는 상기 제1 배선용 키트(105)의 단자부(미도시)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트 안착홈(106a)은 상기 제1 배선용 키트(105)가 횡방향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배선용 키트(106)의 측벽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키트는, 상기 제2 배선용 키트(106)의 키트 안착홈(106a)에 제1 배선용 키트(105)가 안착되도록 삽입하고, 상기 제2 배선용 키트(106)의 관통공(미도시)들에는 상기 제1 배선용 키트(105)의 단자부 일부가 관통되도록 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배선용 키트(105)의 단차부들은 복수 개의 전자접촉기(1)에 구비된 단자들에 각각 삽입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전자접촉기(1)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배선용 키트(106)의 제1 단자부(123)는 상기 전자접촉기(1)의 단자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배선용 키트(106)의 제2 단자부(미도시)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2)의 단자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전자접촉기(1)와 배선용 차단기(2)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25는 연결부이다.
이렇게 하여, 복수 개의 전자접촉기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접촉기에 배선용 차단기를 연결할 때 모듈화된 배선용 키트를 사용함으로써 배선공수를 간소화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배선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필요공간을 줄여 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101,102,103,104,105 : 키트 110 : 바디
111 : 결합돌기 120 : 커넥터
121 : 단자부 122 : 연결부

Claims (5)

  1.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바디; 및
    복수 개의 전기기기에 구비되는 각각의 단자들에 삽입되어 그 복수 개의 전기기기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커넥터;를 포함한 배선용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바디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는 단자부들과, 그 단자부들을 쌍으로 연결하여 상기 바디에 고정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배선용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들은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그 일측면으로 돌출된 단자부들에 각각의 전기기기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배선용 키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들은 상기 바디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 바디의 양측면으로 돌출된 단자부들에 각각의 전기기기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배선용 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에는 각각의 커넥터들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바디에는 제1 바디의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복수 개의 결합공들이 형성되는 배선용 키트.
KR2020100000054U 2010-01-05 2010-01-05 배선용 키트 KR200457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054U KR200457362Y1 (ko) 2010-01-05 2010-01-05 배선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054U KR200457362Y1 (ko) 2010-01-05 2010-01-05 배선용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992U true KR20110006992U (ko) 2011-07-13
KR200457362Y1 KR200457362Y1 (ko) 2011-12-16

Family

ID=4556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054U KR200457362Y1 (ko) 2010-01-05 2010-01-05 배선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3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3751A1 (fr) * 2021-07-02 2023-01-04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raccorder un appareil électrique à une barre de distribution d'électricité, ensembl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de connexion et un tel appareil électriqu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177B1 (ja) 1998-07-09 2000-01-24 日東工業株式会社 分電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3751A1 (fr) * 2021-07-02 2023-01-04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raccorder un appareil électrique à une barre de distribution d'électricité, ensembl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de connexion et un tel appareil électrique
EP4113750A1 (fr) * 2021-07-02 2023-01-04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raccorder un appareil électrique à une barre de distribution d électricité, ensembl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de connexion et un tel appareil électr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362Y1 (ko) 201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4346B1 (en) Electric distribution box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1461300B1 (ko) 퓨즈 유닛
KR100910100B1 (ko) 전기기기의 단자 장치
US9570722B2 (en) Power storage device
KR101550229B1 (ko) 플러그인 유닛
US8573987B1 (en) Power distribution box assembly
EP2515318B1 (en) Compact bus bar assembly, switching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US20120149237A1 (en) Modular Electrical Assembly with Jumper Storage
CN108140799B (zh) 蓄电模块和电池连接模块
JPH03210724A (ja) レール上のパッケージ内に設けられた複数のモジューラ自動回路遮断器を同時に電気的接続するための組立品部材セット
KR20170079582A (ko)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EP2867914B1 (en) Fus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113266U (ja) ユニット式分電盤
KR200457362Y1 (ko) 배선용 키트
KR101584296B1 (ko) 배전반
EP1544971B1 (en) Busbar adapter
KR200419127Y1 (ko) 플러그 및 콘센트
WO2017183175A1 (ja) 直流給電用分電盤
JP5197555B2 (ja) 配線用電気機器
JP3157647U (ja) 電気回路の遮断開閉電気機器
KR20080003858U (ko) 전자접촉기의 도선연결장치
JP4983640B2 (ja) 低圧配電設備
CN117855894B (zh) 一种多功能端子台
EP1189321A1 (en) Wiring circuit breaker and switchboard
JP7229803B2 (ja) 切替開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