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724A - 비 ip 전송을 통해 ip 흐름을 전환하기 위한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비 ip 전송을 통해 ip 흐름을 전환하기 위한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724A
KR20110006724A KR1020107027813A KR20107027813A KR20110006724A KR 20110006724 A KR20110006724 A KR 20110006724A KR 1020107027813 A KR1020107027813 A KR 1020107027813A KR 20107027813 A KR20107027813 A KR 20107027813A KR 20110006724 A KR20110006724 A KR 20110006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mission
interworking unit
reception
communicatio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암 캐시
Original Assignee
노오텔 네트웍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오텔 네트웍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노오텔 네트웍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06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 H04L65/103Media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0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for transferring content from a first network to a second network,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클라이언트(1)와 서버(2) 사이의 세션 흐름들은 비 IP 기반 통신 경로(9)를 통해 접속된 수신 연동 유닛(7)과 송신 연동 유닛(11)을 통과한다. 이어서, 수신 연동 유닛(7) 및 송신 연동 유닛(11)은 수신된 데이터를 IP 및 비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들 사이에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송신 연동 유닛(11)이 서버(2)로부터 클라이언트(1)에 대한 IP 프로토콜 기반 데이터를 수신할 때, 데이터는 변환되어, 비 IP 기반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 연동 유닛(7)에 전송된다. 수신시에, 수신 연동 유닛(7)은 데이터를 다시 IP 프로토콜 기반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1)에 전송한다. 개시되는 접근법은 클라이언트(1)가 서버(2)로부터 정규 IP 패킷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게 하며, 서버(2)와 클라이언트(1) 사이의 경로의 한 세그먼트(9)는 비 IP 포맷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IP 클라이언트(1)도 서버(2)도 비 IP 세그먼트를 알지 못하며, 그들의 모든 IP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어떠한 변경도 필요하지 않다.

Description

비 IP 전송을 통해 IP 흐름을 전환하기 위한 메커니즘{A MECHANISM TO DIVERT AN IP FLOW OVER A NON-IP TRANSPORT}
본 출원은 통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은 네트워크의 상이한 부분들이 상이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미디어 스트림들의 전송은 단일 동종 전송 계층, 예컨대 완전한 IP를 통한 RTP(all Real-time Transport Protocol over IP), 완전 TDM(Time-Division Multiplexing) 또는 완전 MPEG-TS(MPEG transport stream)를 갖는 링크들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현재, 케이블 회사들은 MPEG-TS 서버들 및 클라이언트들로부터 IP 서버들 및 클라이언트들로 변경하기를 원한다. MPEG-TS 서버들 및 클라이언트들로부터 IP 서버들로의 변경에 대한 동기는 비디오 엔터테인먼트 전달을 전통적인 브로드캐스트 구조로부터 개인화된 유니캐스트 구조로 이동하려는 소망으로 인해 발생한다. 현재, 통상적인 케이블 TV 네트워크에서, 디지털 엔터테인먼트의 배포는 6MHz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채널들에서의 MPEG-TS 패킷들과 같이 하이브리드 광-동축 케이블(HFC)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브로드캐스트로부터 "개인화된" 유니캐스트로의 이동이 시작되고 있지만, IP DOCSIS 전송에서는 현재 브로드캐스트에 의해 지원되는 시청자들의 수를 지원할 대역폭이 부족하다.
따라서, 브로드캐스트에서 유니캐스트로의 이동은 설치된 메트로 네트워크의 용량의 대량 증가를 필요로 한다. IP 기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네트워크의 코어를 바꾸는 것은 비교적 쉽고 비용이 적게 들지만, HFC 퍼스트 마일(first mile)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는 현재 그를 통해 운반되는 모든 비디오가 (유니캐스트) IP 패킷 미디어 스트림들로서 전달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다른 기술로 완전히 교체되어야 할 것이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문제에 대한 접근법들은 어느 곳에서나 IP로의 완전한 전환이 이루어질 때까지 2개의 네트워크를 적절히 유지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예를 들어 DOCSIS(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 3.0과 같이 노드 분할 및 채널 본딩을 이용하는 DOCSIS의 IP 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또는 FTTH(Fibre to the Home) 솔루션에 의한 오버빌딩(overbuilding)에 의해 퍼스트 마일에서 상당한 비용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접근법들은 클라이언트들의 서버 중복 및 교체로 인해 과다한 비용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기존의 전달 시스템으로부터 IP 서버들 및 IP 클라이언트들에 기초하는 전달 시스템으로의 변경을 관리하기 위한 편리한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를 통해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수신 연동 유닛 및 송신 연동 유닛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원격 서버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상기 클라이언트와 원격 서버 사이의 통신 링크의 설정을 위한 요청을 상기 수신 연동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후속 통신들을 상기 송신 연동 유닛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수신 연동 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원격 서버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수신 연동 유닛으로부터 상기 송신 연동 유닛으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후속 통신들을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수신 연동 유닛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 연동 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원격 서버와의 통신 링크의 설정을 위한 요청을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송신 연동 유닛과 상기 원격 서버 사이의 통신 링크의 설정에 대한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의 확인의 수신에 대해, 상기 통신 링크의 설정의 확인을, 상기 수신 연동 유닛과 상기 송신 연동 유닛 사이의 후속 통신을 위한 자원 기술자 데이터(resource descriptor data)와 함께,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수신 연동 유닛으로 전송함으로써 응답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자원 기술자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포맷으로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송신 연동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통신들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통신들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상기 수신 연동 유닛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연동 유닛에 대한 통신 링크의 설정을 확인하는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원격 서버에 대한 후속 통신들을 위한 통신 링크의 설정을 확인하는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수신 연동 유닛으로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와 원격 서버 사이의 통신 링크의 설정을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후속 통신들을,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수신 연동 유닛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송신 연동 유닛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수신 연동 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원격 서버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송신 연동 유닛으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 연동 유닛과 상기 송신 연동 유닛 사이의 후속 통신을 위한 자원 기술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원격 서버와의 통신 링크의 설정에 대한 상기 송신 연동 유닛으로부터의 확인의 수신에 대해, 상기 수신된 자원 기술자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방식으로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송신 연동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통신들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통신들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상기 수신 연동 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신된 요청에 대해, 상기 원격 서버에 대한 후속 통신들을 상기 수신 연동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링크의 설정을 확인하는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응답함으로써, 응답하도록 동작 가능한 수신 연동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송신 연동 유닛으로서,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송신 연동 유닛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수신 연동 유닛으로부터 원격 서버에 대한 통신 링크의 설정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후속 통신들을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수신 연동 유닛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 연동 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원격 서버와의 통신 링크의 설정을 위한 요청을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송신 연동 유닛과 상기 원격 서버 사이의 통신 링크의 설정에 대한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의 확인의 수신에 대해, 상기 통신 링크의 설정의 확인을, 상기 송신 연동 유닛이 상기 수신 연동 유닛과 상기 송신 연동 유닛 사이의 후속 통신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방식을 식별하는 자원 기술자 데이터와 함께,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수신 연동 유닛으로 전송함으로써 응답하도록 동작 가능한 송신 연동 유닛이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수신 연동 유닛 및 송신 연동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 및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에 의해 해석될 때, 컴퓨터가 전술한 바와 같은 수신 연동 유닛 또는 송신 연동 유닛으로서 구성되게 하는 컴퓨터 구현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PTV 셋톱 박스와 같은 IP 미디어 클라이언트가 IPTV VOD(인터넷 프로토콜 TV 주문형 비디오) 비디오 서버와 같은 IP 미디어 서버로부터 정규 IP 패킷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게 하는데,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경로의 하나의 세그먼트는 예를 들어 QAM을 통한 MPEG-TS 패킷들과 같이 비 IP 포맷의 미디어 스트림을 전송하며, IP 미디어 클라이언트도 IP 미디어 서버도 비 IP 세그먼트를 알지 못하고, 또한 그들의 모든 IP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어떠한 변경도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니캐스트 콘텐츠에 대해 QAM 채널들을 이용하면서도 네트워크의 코어 및 분산 부분들을 통한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IP 서버들로부터 유니캐스트 콘텐츠가 생성되고 IP 헤더들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림을 검색하고 제어하기 위한 시그널링이 IP 패킷들을 통해 교환되므로, 어떠한 미디어 서버도 그의 클라이언트들이 순수 IP 클라이언트들인 것처럼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구되는 접근법은 미디어 서버 또는 코어 네트워크 전송이 퍼스트 마일 네트워크(HFC)가 어떻게 QAM 채널들을 기술 또는 할당하는지에 대한 어떠한 지식도 가질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청구되는 시스템은 실제로 순수 IP 클라이언트들인 미디어 클라이언트들 및 기존의 디지털 케이블 STB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것들이 동일한 네트워크 및 서버들로부터 서빙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IPTV 미디어 클라이언트들(구체적으로는 셋톱 박스들)의 사용, 주거지에서의 이더넷/WLAN 분산 및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IP 서버들 및 이더넷을 통한 IP의 사용을 허가하지만, 기존의 QAM 채널들을 통한 MPEG-TS의 액세스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현재의 HFC 투자를 보전하며, IP로의 이전의 비용을 크기 줄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QAM을 통한 MPEG-TS 셋톱 박스들이 IP 미디어 서버들과 함께 동작하는 것을 허가하며, 따라서 케이블 오퍼레이터는 미디어 서버들의 IP로의 전환과 미디어 클라이언트들의 전환을 동기화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또한, QAM 채널들에서 멀티플렉스로 MPEG을 전송하는 것이 IP DOCSIS를 이용하여 등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보다 효율적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그러한 데이터의 더 효율적인 전송을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설명되는 시스템들은 모든 엔터테인먼트 비디오를 QAM 브로드캐스트로서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개인화된 유니캐스트 스트림들로서 전송하는 것으로 이동하므로 케이블 오퍼레이터들에게 유연한 솔루션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 및 이익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메시지 흐름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미디어 클라이언트(1)가 통신 네트워크(3)를 통해 미디어 서버(2)에 접속된다. 미디어 서버(2)는 미디어 게이트웨이(MG) 및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 기능(MGCF)일 수 있으며, 시그널링 엔드포인트들(제어 포인트) 및 MGCF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들은 미디어 스트림의 소스 및 목적지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들과 동일한 필요가 없다.
통상적으로, 미디어 클라이언트(1)는 렌더링 장치에 접속된 셋톱 박스(STB)를 포함할 것이다. MPEG 미디어 스트림들이 미디어 클라이언트(1)로 전송될 때, MPEG 미디어 스트림들은 해독 및 디코딩된 후, 디지털 TV 상에 표시되도록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렌더링된다. 미디어 클라이언트(1)는 이러한 해독 및 디코딩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미디어 클라이언트(1)가 어떠한 미디어 스트림들을 전송하도록 미디어 서버(2)에 요구하는지를 지정하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3)를 통해 미디어 서버(2)에 시그널링하는 제어 포인트이기도 하다.
통신 네트워크(3)는 미디어 클라이언트(1)를 수신 연동 유닛(RIU; 7)에 접속하는 구내(in-residence) 통신 링크(5), RIU(7)를 송신 연동 유닛(TIU; 11)에 접속하는 액세스 네트워크(9) 및 TIU(11)를 미디어 서버(2)에 접속하는 코어 통신 네트워크(13)를 포함한다. RIU(7)는 MPEG1/MPEG2 비디오용의 RTP 페이로드 포맷에 관한 네트워크 워킹 그룹에 대한 표준 트랙의 RFC 2250에서 정의되는 표준들에 따라 특정 수신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전송 스트림들을 캡슐화하도록 구성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TIU(11)는 RFC 2250에 따라 포맷팅된 패킷들로부터 MPEG TS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RIU(7) 및 TIU(11) 양자는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RTSP)에 관한 네트워크 워킹 그룹에 대한 표준 트랙의 RFC 2326에서 정의되는 표준들에 따라 프로토콜 교환을 관찰하고 해석하도록 구성되는 유닛들을 포함한다.
구내 통신 링크(5) 및 코어 통신 네트워크(13)는 IP를 통한 RTP와 같은 IP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미디어 스트림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동작 가능한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이와 달리, 액세스 네트워크(9)는 비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동작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비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은 IP 패킷들에 대한 양방향 전송은 물론, QAM을 통한 MPEG-TS 패킷들과 같이 TIU(11)로부터 RIU(7)로의 미디어 스트림 패킷들의 전송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개요로서, 미디어 스트림 또는 기타 통신들이 미디어 서버(2)와 미디어 클라이언트(1) 사이에서 전송될 때, 먼저 미디어 클라이언트(1)와 미디어 서버(2) 사이에 통신 링크가 설정된다.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통신 링크는 세션 흐름들을, RIU(7)와 TIU(11) 사이의 데이터의 전송을 포함하는 소정의 라우트로 강제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미디어 서버(1)와 미디어 클라이언트(2) 사이의 통신들에 대한 라우팅을 식별하는 흐름 사양도 RIU(7) 및 TIU(11)가 흐름 사양 내의 필드들을 그들이 제어하는 게이트웨이들 사이의 전송 자원에 대한 기술자로서 해석하도록 변경된다. 이어서, RIU(7) 및 TIU(11)는 단지 IP 어드레스 헤더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 스트림을 IP 패킷 전송과 또 하나의 형태의 전송 사이에서 변환(이 실시예에서는 QAM을 통한 MPEG-TS 패킷들로 변환)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통신 네트워크(3)는 미디어 스트림으로 하여금 액세스 네트워크(9)가 지원할 수 있는 비 IP 기반 포맷으로 액세스 네트워크(9)를 통해 TIU(9)와 RIU(7) 사이에 전송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변경된다. 이러한 변경은 RIU(7) 및 TIU(11)의 동작에 대한 변경들로부터 이루어지며, 따라서 미디어 클라이언트(1) 또는 미디어 서버(2)가 비 IP 전송 세그먼트를 알 필요 없이 또는 그들의 IP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을 변경할 필요 없이 달성된다.
이제, 도 1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메시지 흐름도인 도 2를 참조하여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셋업
첫 번째 단계로서, 미디어 클라이언트(1)는 셋업(SETUP) 메시지를 생성한다(s1). 메시지에서, 베어러 흐름(bearer)의 미디어 클라이언트 끝단은 미디어 클라이언트를 식별하는 IP 어드레스 및 포트 번호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지정될 것이다. 그러나, 세션의 시작에서, 베어러 흐름의 끝은 미디어 클라이언트(1)에게 알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셋업 메시지 내에 포함된 흐름 사양은 [Aa,??]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여기서 Aa는 미디어 클라이언트(1)가 RTP MPEG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하기를 원하는 IP 어드레스(A) 및 포트(a)를 식별한다. 이어서, 메시지는 구내 통신 링크(5)를 통해 미디어 클라이언트(1)로부터 RIU(7)로 전송된다.
미디어 클라이언트(1)에 의해 발행된 셋업 메시지가 RIU(7)에 도달할 때, RIU(7)는 베어러 경로가 통과하게 할 TIU(11)를 선택하고, 셋업 메시지의 일부로서 수신된 미디어 클라이언트 및 포트 번호(Aa)에 적용할 맵핑(s2)을 요청 또는 생성한다. 결과가 맵핑 Aa => Bb인 경우, RIU(7)는 흐름 사양을 변경하여, 미디어 클라이언트의 시작 IP 어드레스 및 포트(Aa)를 RIU의 IP 및 포트(Bb)로 대체한다. 이어서, RIU(7)는 변경된 흐름 사양을 포함하는 셋업 메시지를 TIU(11)로 전송한다(s3).
이러한 셋업 메시지가 TIU(11)에 도달할 때, TIU(11)는 액세스 네트워크(9)를 통한 TIU(11)와 RIU(7) 사이의 통신을 위한 QAM 채널 및 멀티플렉스 ID를 할당한다(s4). 또한, TIU(11)는 수신된 IP 어드레스 포트 쌍(Bb)에 적용할 추가 맵핑을 요청 또는 생성한다. 다시, 결과가 Bb => Cc인 경우, 흐름 사양은 [Cc,??]로 변경된다. 이어서, 흐름 사양 [Cc,??]를 포함하는 변경된 셋업 메시지는 코어 통신 네트워크(13)를 통해 미디어 서버(2)로 전송된다(s5).
미디어 서버(2)의 관점에서, 그가 수신한 셋업 메시지는 Cc의 엔드포인트를 갖는 베어러 흐름을 요청하고 있다.
미디어 서버(2)가 200 OK 메시지로 응답(s6)하는 경우, 이것은 (예를 들어, Zz와 같은) 베어러 스트림의 그의 끝단을 지정할 것이며, 따라서 200 OK 메시지(34)의 단순 직접 미디어 계층(SDL) 내의 흐름 사양은 [Cc, Zz]일 것이다.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목적지 흐름 사양 부분을 운반하는 응답 메시지가 180 링잉 메시지(Ringing message)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200 OK 메시지는 셋업 메시지의 반대 경로를 통과하여, TIU(11)에 다시 도달한다. TIU(11)는 다른 맵핑(예를 들어, Yy <= Zz)을 요청 또는 생성할 것이며(s7), 이어서 Bb <=> Cc, Yy <=> Zz의 풀 IP 헤더 양방향 네트워크 어드레스 변환을 활성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TIU(7)는 200 OK 메시지 내의 흐름 사양을 변경하여, 베어러 흐름 소스 어드레스 및 포트를 Yy.QAMch로서, 그리고 목적지를 Bb로서 나타내며, 여기서 QAMch는 RIU(7)와 TIU(11) 사이의 통신들을 위해 TIU(11)에 의해 할당된 QAM 채널 및 멀티플렉스 ID를 식별하는 데이터이다. 이어서, 흐름 사양 [Bb,Yy.QAMch]를 포함하는 변경된 RTSP 200 OK 메시지가 TIU(11)로부터 RIU(7)로 전송된다(s8).
RIU(7)에서, 200 OK 메시지의 수신은 RIU(7)가 튜너를, 메시지 내에 포함된 QAMch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바와 같은, RIU(7)와 TIU(11) 사이의 통신들을 위해 TIU(11)에 의해 할당된 QAM 채널로 설정하게 한다(s9). 이어서, RIU는 맵핑 Xx <= Yy를 요청 또는 생성하며, 양방향 맵핑 Aa <=> Bb, Xx <=> Yy를 활성화한다. 이어서, RIU(7)는 [Aa, Xx]의 흐름 사양을 갖는 200 OK 메시지를 미디어 클라이언트로 역전송한다(s10).
위의 셋업 프로세스는 베어러 흐름을 3개의 베어러 흐름 세그먼트로 효과적으로 분할하고, RIU(7) 및 TIU(11) 내에 맵핑들을 설치하여 패킷들을 "다시 라벨링"하며, 따라서 이들은 다음 세그먼트 상에서 전송된다.
따라서, 미디어 클라이언트(1)가 베어러 패킷들을 미디어 서버(2)로 전송하기를 원할 때, 미디어 클라이언트(1)는 그들 상에 Xx의 목적지 어드레스를 부과하며, Xx를 갖는 200 OK 흐름 사양에서 그가 수신한 목적지 어드레스는 RIU(7)에 의해 제공된 어드레스 및 포트 번호이다. 또한, 제2 세그먼트는 RIU(7)와 TIU(11) 사이의 교환 세그먼트이며, 제3 세그먼트는 TIU(11)(코어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 C의 광고주)와 미디어 서버(2)(어드레스 Z) 사이의 세그먼트이다.
특히, 이러한 분할은 미디어 클라이언트(1) 또는 미디어 서버(2)가 라우팅이 고정되도록 지정할 필요 없이 그리고 미디어 클라이언트(1) 및 미디어 서버(2) 양자에 투명한 방식으로 RIU(7) 및 TIU(11)를 통해 미디어 클라이언트(1)와 미디어 서버(2) 사이에 흐르도록 데이터의 전송을 강제한다. 미디어 클라이언트(1)가 관련되는 한, 미디어 서버(2)로 발행되는 셋업 요청은 목적지 IP 및 포트 어드레스(Xx)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미디어 서버(2)가 관련되는 한, 미디어 서버(2)는 시작 IP 및 포트 어드레스(Cc)로부터 개시되는 요청에 응답하여 목적지 IP 및 포트 어드레스(Zz)를 식별한다.
또한, 전술한 셋업 프로세스는 RIU(7) 및 TIU(11)로 하여금 미디어 스트림이 후속 통신을 위해 사용할 자원 기술자(QAM 채널, 멀티플렉스 ID)를 식별하는 데이터도 교환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이러한 데이터를 TIU(11)로부터 RIU(7)로 전송된 변경된 흐름 사양의 일부로서 인코딩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를 이와 같이 전송함으로써, QAM 전송을 셋업하기 위해 추가적인 시그널링이 필요 없게 된다.
데이터 전송 및 해제
최초 셋업 단계에 이어서, 재생(PLAY) 명령이 미디어 클라이언트(1)에 의해 생성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 서버(2)로 전송(s11)될 때까지 어떠한 미디어 스트림 패킷도 미디어 서버(2)로부터 미디어 클라이언트(1)로 전송되지 않는다.
재생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미디어 서버(2)는 IP 미디어 스트림 패킷들 형태의 미디어 스트림을 생성하여, 미디어 서버(2)로부터 TIU(11)로 전송한다(s12). 이러한 IP 미디어 패킷들은 TIU(11)에 의해 미디어 서버(2)로 전송된 셋업 메시지(s5)에서 미디어 서버(2)에 대해 이전에 식별된 IP 어드레스 및 IP 포트(Cc)로 전송된다.
이러한 IP 미디어 패킷들이 TIU(11)에 의해 수신될 때, IP 어드레스 및 IP 포트(Cc)는 단계 s4에서 TIU(11)에 의해 얻어진 맵핑에 의해 IP 어드레스(Bb)와 관련된 RIU(7)로 전송되도록 요구되는 바와 같은 수신 패킷들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이어서, TIU(11)는 IP 미디어 패킷들을 MPEG-TS 미디어 스트림 패킷들과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9)를 통한 전송을 위한 데이터로 변환한다. 미디어 스트림이 어떻게 미디어 서버(2)와 TIU(11) 사이에서 코어 네트워크(13)를 통해 IP 미디어 스트림으로서 전송되는지에 따라, 이러한 변환은 (예를 들어, MPEG-TS 패킷들이 RTP를 통해 전송되고, 이들이 직접 MPEG-TS 패킷들로서 전송될 때) 사소한 작업일 수 있거나, 스트림의 완전한 직렬화 및 재패킷화를 수반할 수 있다.
이어서, 미디어 스트림이 TIU(11)에 의해 재포맷팅된 경우, TIU(11)는 (단계 s4에서) 전송을 위해 이전에 할당된 QAM 채널 및 저장된 맵핑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바와 같은 (단계 s3에서) RIU(7)로부터 이전에 수신된 IP 및 포트 어드레스들(Bb)을 이용하여 액세스 네트워크(9)를 통해 재포맷팅된 미디어 스트림을 RIU(7)로 전송하는 단계(s13)로 진행한다.
이어서, 할당된 QAM 채널에서 MPEG-TS 미디어 스트림을 청취하도록 (단계 s9에서) 튜닝된 RIU(7)에서 제공된 튜너는 TIU(11)에 의해 이전에 수행된 변환 동작에 대한 역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액세스 네트워크(9)를 통해 RIU(7)에 의해 수신된 MPEG-TS 미디어 스트림을 IP 미디어 스트림 패킷들로 역변환한다.
마지막으로, 이어서, RIU(7)는 Aa를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식별하기 위한 맵핑 Aa <=> Bb와 관련된 IP 및 포트 어드레스(Bb)를 이용하여 구내 통신 링크(5)를 통해, 변환된 미디어 스트림을 IP 미디어 스트림 패킷들로서 미디어 클라이언트(1)로 전송한다(s14).
미디어 서버(2)에 의해 수신되는 추가 재생 명령들 또는 다른 RTSP 미디어 제어 명령들에 응답하여 단계들 s11-s14가 반복된다. 마지막으로, 세션이 종료되어야 하는 것이 미디어 클라이언트(1)에게 지시될 때, 미디어 클라이언트(1)는 해제(TEARDOWN) 요청을 RIU(7)로 전송한다(s15). 이것은 RIU(7)에 의해 수신되며, RIU는 요청을 리-어드레싱하여, 이를 TIU(11)로 중계하고(s16), TIU(11)가 해제 요청을 미디어 서버(2)로 전송하게 한다(s17). 이러한 메시지들의 각각은 RTSP 세션에 대한 상태의 대응하는 수신 확인 응답(s18-s20), 대응하는 제거를 유발하며, 통신 세션이 종료된다.
다른 실시예들 및 변형들
위에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미디어 클라이언트(1)와 미디어 서버(2) 사이의 라우팅이 식별된 RIU(7) 및 TIU(11)를 통과하도록 정해질 수 있는 방식의 특정 예가 설명되었다. 본 발명은 개시된 접근법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적절한 수단들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IP 베어러 흐름들의 라우트를 정하기 위한 다른 적절한 접근법들의 예는 본 출원인의 공동 계류중인 US 2008-0144615로서 공개된 US11/610,794 및 WO 2008/070957로서 공개된 PCT 출원 PCT/CA2007/002045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출원들은 모두 참고 문헌으로 포함된다.
HFC 세그먼트를 북엔딩(bookending)하는 연동 유닛들에, 데이터가 변환되고 비 IP 기반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다른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도 알 것이다. 이것은 QAM 채널을 통한 전송이 아니라 다른 채널들을 통한 전송을 위한 데이터에 대한 변환과 다른 방식들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것을 포함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비 IP 기반 전송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데이터는 상이한 타입의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 자원을 전반적으로 기술하도록 NAT 맵핑에 의해 제어되는 대역내 흐름 사양을 변경함으로써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HFC 데이터 경로를 통해 접속된 노드들에 이러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다른 방법들도 가능하다. 또한, 다음 시그널링 홉이 그들이 제어하는 게이트웨이들 사이의 전송 자원에 대한 기술자로서 해석하는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다양한 다른 포맷들이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세션 시그널링이 수반되지 않는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도 이해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스위치되는 디지털 브로드캐스트의 전송으로 확장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에서는, 소정 방식으로, 예를 들어 채널 변경 메시지 내에서 자원 기술자 데이터를, 예를 들어 IGMP 연결 메시지들 내의 IP 멀티캐스트 어드레스 내에서 QAM 채널 및 PID를 제공하는 대안 방법이 필요하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장치 내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들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들, 특히 본 발명을 실시하도록 적응되는 캐리어 상의 또는 캐리어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도 확장된다. 프로그램은 소스 또는 객체 코드의 형태이거나,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들의 구현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캐리어는 프로그램을 운반할 수 있는 임의의 엔티티 또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는 ROM, 예를 들어 CD-ROM 또는 반도체 ROM, 또는 자기 기록 매체,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는 전기 또는 광 케이블을 통해 무선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전기 또는 광 신호와 같은 전송 가능 캐리어일 수 있다.
케이블 또는 다른 장치 또는 수단에 의해 직접 전송될 수 있는 신호 내에 프로그램이 구현될 때, 캐리어는 그러한 케이블 또는 다른 장치 또는 수단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캐리어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집적 회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집적 회로는 관련 프로세스들을 수행하도록 또는 관련 프로세스들의 수행에 사용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

Claims (21)

  1. 수신 연동 유닛(7)으로서,
    클라이언트(1)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1)와 원격 서버(2) 사이의 통신 링크의 설정을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1)로부터 수신된 후속 통신들을,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해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송신 연동 유닛(11)에 전송하도록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을 구성하고;
    상기 원격 서버(2)와의 통신 링크(13)를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 전송하고;
    상기 수신 연동 유닛(7)과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 사이의 후속 통신을 위한 자원 기술자 데이터(resource descriptor data)를 포함하는, 상기 원격 서버(2)와의 통신 링크(13)의 설정에 대한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으로부터의 확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자원 기술자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방식으로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해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으로부터 수신된 통신들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통신들을 상기 클라이언트(1)에 전송하도록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을 구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1)에 의해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서버(2)에 대한 후속 통신들을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 링크(5)의 설정을 확인하는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1)에 전송하도록
    동작 가능한 수신 연동 유닛(7).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은
    클라이언트(1)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1)에 대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를 식별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1)에 대한 상기 식별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와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 사이의 맵핑을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상기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를 포함하는 요청을,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해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 전송하도록
    동작 가능한 수신 연동 유닛(7).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은
    상기 수신 연동 유닛(7)과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 사이의 후속 통신을 위한 자원 기술자 데이터 - 상기 자원 기술자 데이터는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 대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를 식별하는 데이터, 및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를 식별하는 데이터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상기 원격 서버(2)와의 통신 링크(13)의 설정에 대한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으로부터의 확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 연동 유닛(1)에 대한 상기 수신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와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 사이의 맵핑을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클라이언트(1)에 의해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서버(2)에 대한 후속 통신들을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 링크(5)의 설정을 확인할 때,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수신 연동 유닛(1)에 대한 상기 수신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에 맵핑된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상기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를 상기 클라이언트(1)에 전송하도록
    동작 가능한 수신 연동 유닛(7).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은 직교 진폭 변조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은
    상기 수신 연동 유닛(7)과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 사이의 후속 통신을 위한 직교 진폭 변조 채널 및 멀티플렉스 ID를 식별하는 자원 기술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원격 서버(2)와의 통신 링크(13)의 설정에 대한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으로부터의 확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 연동 유닛(7) 및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으로부터 후속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튜너를 상기 식별된 직교 진폭 변조 채널로 설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수신 연동 유닛(7).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은 상기 식별된 직교 진폭 변조 채널을 통해 수신된 MPEG-TS 패킷들을 상기 클라이언트(1)에의 전송을 위해 IP 미디어 스트림 패킷들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해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으로부터 수신된 통신들을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한 수신 연동 유닛(7).
  6. 송신 연동 유닛(11)으로서,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해 상기 송신 연동 유닛(8)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수신 연동 유닛(7)으로부터 원격 서버(2)에 대한 통신 링크의 설정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서버(1)로부터 수신된 후속 통신들을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해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 연동 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원격 서버(2)와의 통신 링크(13)의 설정을 위한 요청을 상기 원격 서버(2)에 전송하고;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과 상기 원격 서버(2) 사이의 통신 링크(13)의 설정에 대한 상기 원격 서버(2)로부터의 확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링크(13)의 설정의 확인을,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이 상기 수신 연동 유닛(7)과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 사이의 후속 통신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방식을 식별하는 자원 기술자 데이터와 함께,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해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전송하도록
    동작 가능한 송신 연동 유닛(1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은
    수신 연동 유닛(7)으로부터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를 식별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상기 식별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와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 대한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 사이의 맵핑을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 대한 상기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를 포함하는 요청을 상기 원격 서버(2)에 전송하도록
    동작 가능한 송신 연동 유닛(11).
  8. 제7항 있어서,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은
    상기 원격 서버(2)에 대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 및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 대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를 식별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과 상기 원격 서버(2) 사이의 통신 링크(13)의 설정에 대한 상기 원격 서버(2)로부터의 확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서버(2)에 대한 상기 수신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와 상기 송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 사이의 맵핑을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원격 서버(2)로부터 수신된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 대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에 맵핑된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
    상기 원격 서버(2)로부터 수신된 상기 원격 서버(2)에 대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에 맵핑된 상기 송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 및
    상기 원격 서버(2)와의 통신 링크(13)의 설정을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대해 확인할 때의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으로의 자원 기술자 데이터
    를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전송하도록
    동작 가능한 송신 연동 유닛(1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은 상기 원격 서버(2)와의 통신 링크(13)의 설정을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대해 확인할 때 상기 송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를 식별하는 데이터에 자원 기술자 데이터를 첨부하도록 동작 가능한 송신 연동 유닛(11).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은 직교 진폭 변조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 연동 유닛(7)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은 상기 원격 서버(2)와의 통신 링크(13)의 설정을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대해 확인할 때 상기 송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상기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를 식별하는 데이터에,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과 수신 연동 유닛(7) 사이의 후속 통신들에서 사용될 직교 진폭 변조 채널 및 멀티플렉스 ID를 식별하는 데이터를 첨부하도록 동작 가능한 송신 연동 유닛(11).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은 직교 진폭 변조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 연동 유닛(7)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송신 연동 유닛(7)은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해 상기 송신 연동 유닛(8)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수신 연동 유닛(7)으로부터의 원격 서버(2)에 대한 통신 링크의 설정에 대한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 연동 유닛(7)과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 사이의 후속 통신을 위한 직교 진폭 변조 채널 및 멀티플렉스 ID를 할당하고;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과 상기 원격 서버(2) 사이의 통신 링크(13)의 설정에 대한 상기 원격 서버(2)로부터의 확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링크(13)의 설정의 확인을, 상기 수신 연동 유닛(7)과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 사이의 후속 통신을 위해 할당된 직교 진폭 변조 채널을 식별하는 자원 기술자 데이터와 함께,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해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전송하도록
    동작 가능한 송신 연동 유닛(11).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은 수신 연동 유닛(7)으로부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설정된 통신 링크(13)를 통한 원격 서버(2)로부터의 통신들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서버(2)로부터 수신된 통신들을 MPEG-TS 패킷들로 변환하고, 상기 MPEG-TS 패킷들을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해 상기 할당된 직교 진폭 변조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송신 연동 유닛(11).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신 연동 유닛(7);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송신 연동 유닛(11); 및
    상기 수신 연동 유닛(7)과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을 접속하는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
    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
  14.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에 의해 해석될 때, 상기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신 연동 유닛(7) 또는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송신 연동 유닛(11)으로서 구성되게 하는 컴퓨터 구현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5.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해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수신 연동 유닛(7) 및 송신 연동 유닛(11)을 통해 클라이언트(1)와 원격 서버(2)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1)와 원격 서버(2) 사이의 통신 링크의 설정을 위한 상기 클라이언트(1)로부터의 요청을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전송하는 단계(s1);
    상기 클라이언트(1)로부터 수신된 후속 통신들을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 전송하도록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을 구성하고(s2), 상기 원격 서버(2)와의 통신 링크(13)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으로부터의 요청을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 전송하는 단계(s3);
    상기 서버(1)로부터 수신된 후속 통신들을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해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 연동 유닛을 구성하고(s4, s7), 상기 원격 서버(2)와의 통신 링크(13)의 설정을 위한 요청을 상기 원격 서버(2)에 전송하는 단계(s5);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과 상기 원격 서버(2) 사이의 통신 링크(13)의 설정에 대한 상기 원격 서버(2)로부터의 확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링크(13)의 설정의 확인을, 상기 수신 연동 유닛(7)과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 사이의 후속 통신을 위한 자원 기술자 데이터와 함께,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해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전송하는 단계(s8);
    상기 수신된 자원 기술자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포맷으로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해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으로부터 수신된 통신들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통신들을 상기 클라이언트(1)에 전송하도록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대한 통신 링크(5)의 설정을 확인하는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원격 서버(2)에 대한 후속 통신들을 위한 통신 링크의 설정을 확인하는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1)에 전송하는 단계(s10)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1)와 원격 서버(2) 사이의 통신 링크의 설정에 대한 상기 클라이언트(1)로부터의 요청은 상기 클라이언트(1)에 대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를 식별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서, 상기 클라이언트(1)에 대한 상기 식별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와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 사이의 맵핑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상기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를,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 전송되는 요청에 포함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서,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 전송된 요청에 포함된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와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 대한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 사이의 맵핑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연동 유닛(1)에 대한 상기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를 상기 원격 서버(2)에 전송되는 요청에 포함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과 상기 원격 서버 사이의 통신 링크(13)의 설정에 대한 상기 원격 서버(2)로부터의 확인은 상기 서버(2)에 대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를 식별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서, 상기 서버(2)에 대한 상기 식별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와 상기 송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 사이의 맵핑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한 상기 수신 연동 유닛(7)과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 사이의 후속 통신을 위한 자원 기술자 데이터에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 대한 상기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를 포함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서,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 대한 수신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와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 사이의 맵핑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서버(2)에 대한 후속 통신들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 링크(5)의 설정을 확인(s10)할 때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대한 상기 취득된 인터넷 어드레스 및 포트 ID를 상기 클라이언트(1)에 전송되는 확인에 포함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연동 유닛(7)과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은 직교 진폭 변조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를 통해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서버(1)로부터 수신된 후속 통신들을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해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을 구성하는 단계(s4, s7)는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과 상기 수신 연동 유닛(7) 사이의 후속 통신들을 위한 직교 진폭 변조 채널 및 멀티플렉스 ID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으로부터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전송되는 자원 기술자 데이터에 상기 할당된 직교 진폭 변조 채널 및 멀티플렉스 ID를 식별하는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직교 진폭 변조 채널 및 멀티플렉스 ID를 식별하는 자원 기술자 데이터의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의한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서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으로부터의 후속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튜너를 상기 할당된 직교 진폭 변조 채널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1. 원격 서버(2)로부터 클라이언트(1)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제20항의 방법에 따라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해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수신 연동 유닛(7)과 송신 연동 유닛(11)을 통해 클라이언트(1)와 원격 서버(2)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2)로부터의 IP 미디어 스트림 패킷들을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 전송하는 단계(s12);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에 의해 수신된 IP 미디어 스트림 패킷들을 MPEG-TS 패킷들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패킷들을 상기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링크(9)를 통해 상기 할당된 직교 진폭 변조 채널 및 멀티플렉스 ID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연동 유닛(11)으로부터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전송하는 단계(s13);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에 의해 수신된 MPEG-TS 패킷들을 IP 미디어 스트림 패킷들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IP 미디어 스트림 패킷들을 상기 수신 연동 유닛(7)으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1)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07027813A 2008-05-12 2009-05-12 비 ip 전송을 통해 ip 흐름을 전환하기 위한 메커니즘 KR201100067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808447.7A GB0808447D0 (en) 2008-05-12 2008-05-12 A mechanism to divert an IP flow over a non-IP transport
GB0808447.7 2008-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724A true KR20110006724A (ko) 2011-01-20

Family

ID=3957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813A KR20110006724A (ko) 2008-05-12 2009-05-12 비 ip 전송을 통해 ip 흐름을 전환하기 위한 메커니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055330B2 (ko)
EP (1) EP2277291A1 (ko)
JP (2) JP5425894B2 (ko)
KR (1) KR20110006724A (ko)
CN (1) CN102090041A (ko)
BR (1) BRPI0912641A2 (ko)
GB (1) GB0808447D0 (ko)
WO (1) WO20091379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7632B2 (en) * 2010-03-08 2018-05-08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Emulated television tuner via execution of software by a computing device
WO2013040438A1 (en) * 2011-09-15 2013-03-21 Fisher-Rosemount Systems, Inc. Communicating data frames across communication networks that use incompatible network routing protocols
EP3220696A1 (en) * 2016-03-15 2017-09-2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Telegram splitting for slotted aloha
JP7326860B2 (ja) * 2019-05-17 2023-08-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7237176B2 (ja) * 2019-10-08 2023-03-10 日立Astemo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電子制御装置及び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7945B2 (ja) * 1997-05-09 2007-02-2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受信方法
JP3584694B2 (ja) * 1997-09-05 2004-11-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Ipアドレス値とpid値との変換方式、変換装置及びビデオ配信システム
JPH11225169A (ja) * 1998-02-06 1999-08-17 Hitachi Ltd 通信網制御装置
AU769419B2 (en) * 1999-08-04 2004-01-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 IP based telephone system
US6937596B2 (en) * 1999-08-04 2005-08-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P based telephone system
WO2001011835A1 (en) * 1999-08-06 2001-02-15 Tellabs Operations, Inc. Bandwidth management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ing circuit-switched and packet-switched networks
US7339895B2 (en) * 2001-08-21 2008-03-04 Hitachi, Ltd. Gatew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IP and IPV6 protocols
DE60129328T2 (de) 2001-09-28 2008-03-13 Motorola, Inc., Schaumbur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P-Mehrfachsendung über einen Rundfunkkanal
US20040125754A1 (en) * 2002-08-01 2004-07-0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non-IP and IP traffic on a home network
US20040165586A1 (en) * 2003-02-24 2004-08-26 Read Christopher Jensen PID filters based network routing
US20060225118A1 (en) * 2005-03-29 2006-10-05 Cox Communication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Internet protocol video over a multicast bonded group
US20070011735A1 (en) * 2005-07-06 2007-01-11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Open standard conditional access system
WO2007071282A1 (en) * 2005-12-19 2007-06-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discovery within a home network
US20080120667A1 (en) * 2006-11-17 2008-05-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ybrid mpeg/ip digital cable gateway device and architecture associated therewith
CA2621090C (en) * 2007-02-28 2012-01-2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content using 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cmts) bypass architecture
US20080209489A1 (en) * 2007-02-28 2008-08-28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content using 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cmts) bypass architecture
US8316409B2 (en) * 2007-10-11 2012-11-20 James Strothmann Simultaneous access to media in a media delivery system
US7716310B2 (en) * 2007-12-21 2010-05-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content manager server for IPTV servic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808447D0 (en) 2008-06-18
JP5425894B2 (ja) 2014-02-26
US9100690B2 (en) 2015-08-04
WO2009137928A1 (en) 2009-11-19
US20120011224A1 (en) 2012-01-12
US20150046963A1 (en) 2015-02-12
JP2011520395A (ja) 2011-07-14
US9055330B2 (en) 2015-06-09
CN102090041A (zh) 2011-06-08
JP2014096803A (ja) 2014-05-22
EP2277291A1 (en) 2011-01-26
BRPI0912641A2 (pt) 201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159B1 (ko)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354289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콘텐츠 우회 아키텍처 내에서 세션 캡슐화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JP4653888B2 (ja) 情報送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論理型ノード識別
EP1965561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content using 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CMTS) bypass architecture
US10171167B2 (en) Multimedia network data processing system
US20100083329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d configuring internet content for bypass encapsulation within a bypass architecture
US9100690B2 (en) Mechanism to divert an IP flow over a non-IP transport
RU263420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коммутации медиапотоков в режиме реального времени
US20200021867A1 (en)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US20090310596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bypass encapsulation of internet content within a bypass architecture
EP2211507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cessing real time streaming protocol
US20090241157A1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band control mediating apparatus, and band control method
CN101572715B (zh) 多媒体服务创建方法及系统
KR101515853B1 (ko) Most 디바이스와 tcp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 방법
US20100002779A1 (en) Mechanism for the management of receivers/decoders connections
EP3595254A1 (en) Multicast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device
KR101368247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터널링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JP3584694B2 (ja) Ipアドレス値とpid値との変換方式、変換装置及びビデオ配信システム
MX2008002770A (es) Sistema y metodo para transmitir contenido digital utilizando arquitectura de derivacion de sistema de terminacion de modem de cable (cmts).
EP3588847A1 (en) Multicast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KR20110070440A (ko) Docsis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멀티캐스트 비디오 서비스의 채널 변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