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159B1 -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159B1
KR101866159B1 KR1020180010988A KR20180010988A KR101866159B1 KR 101866159 B1 KR101866159 B1 KR 101866159B1 KR 1020180010988 A KR1020180010988 A KR 1020180010988A KR 20180010988 A KR20180010988 A KR 20180010988A KR 101866159 B1 KR101866159 B1 KR 101866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transmitting
media content
unit
conten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5204A (ko
Inventor
배성준
이진영
강정원
정순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80015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1Multimode Transmission, e.g. transmitting basic layers and enhancement layers of the content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or transmitting with different error corrections, different keys or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7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1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using Advanced Video Coding [AV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복수의 시나리오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함에 있어 이용할 수 있는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생성하고,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스트림 ID를 할당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하여 ID를 할당하는 방법은 복수의 시나리오 중 임의의 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스트림 ID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미디어 전송을 위한 헤더(header)를 간소화하면서도 포트의 수, 서버의 수 및 부가 정보의 유무에 관계없이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고, 향후 도입될 어플리케이션을 수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식에 대한 역방향 호환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OF TRANSFERRING MEDIA CONTENTS OVER SINGLE PORT OR MULTIPLE PORT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를 포함하는 다양한 환경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MPEG-2의 표준화 이후, 비디오 압축 표준(또는 오디오 압축 표준)은 과거 10년간 MPEG-4, H.264/AVC, SVC(Scalable Video Coding) 등으로 꾸준히 새로운 표준이 개발되었다. 또한 각각의 새로운 표준들은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면서 MPEG 표준의 활용 영역을 넓혀왔으나, MPEG-2 TS(Transport System)와 같은 전송 기술의 경우 20년 가까운 세월이 흐르는 동안 변함없이 시장에서 디지털방송, 모바일 방송(T-DMB, DVB-H등)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심지어 표준 제정 당시 고려하지 않았던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 전송, 즉 IPTV 서비스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MPEG-2 TS가 개발될 때의 멀티미디어 전송환경과 오늘날의 멀티미디어 전송환경은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예컨대, MPEG-2 TS 표준은 제정 당시 ATM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고려하여 개발되었으나, 오늘날 이러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사례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또한, MPEG-2 TS 표준 제정 당시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전송 등의 요구사항(requirement)이 고려되지 않아 최근의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 전송에 효율적이지 못한 요소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MPEG에서는 변화하는 멀티미디어 환경에 걸맞는 인터넷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고려한 새로운 멀티미디어 전송 표준인 MMT(MPEG Multimedia Transport Layer)의 제정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같이, MMT 표준화가 진행되는 중요한 이유는 20년 전에 만들어진 MPEG2-TS 표준이 최근 IPTV 방송 서비스, 인터넷 환경 등에 최적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최근 다양한 이종망(Heterogeneous Network)에서의 멀티미디어 전송 환경에 최적화된 멀티미디어 전송 국제 표준의 시급한 필요에 의해 MPEG에서 MMT를 새로운 전송 기술 표준으로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 멀티미디어의 다양한 이종망(Heterogeneous Network)을 통한 전송에 있어서, 동시에 복수의 전송 수단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전송 수단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송에 대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IP 환경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송신측과 수신측의 소스 IP 주소(source IP address), 목적 IP 주소(destination IP address), 소스 포트 넘버(source port number), 목적 포트 넘버(destination port number)의 네 가지 값을 단위로 하여 하나의 포트 스트림(port stream)을 구성하고, 이를 단위로 어플리케이션을 형성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몇 개의 포트(port)를 열어서 사용할 것인지, 어떤 L3 프로토콜(UDP 또는 TCP)을 선택할 것인지는 전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구현의 이슈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그 특성상, 콘텐츠 컴포넌트(content component) 별로 포트 매핑(port mapping) 또는 L3 프로토콜(protocol)의 선택 등의 자유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전송 시나리오(transport scenario)의 구성이 가능하다.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10-0065017호("H.264 SVC 데이터의 계층적 부호화를 이용한 MPEG-2 TS 파일 포맷 장치 및 그 방법", 한국 전자통신연구원, 2010.06.15 공개)
전술한 바와 같이, IP 환경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의 경우는 물론, 어떤 프로토콜을 선택할 지의 여부 및 SVC(Scaleable video coding)이나 MVC(Multi view coding)과 같이 부가적인 상보 표현(complementary representation)을 갖는 경우를 포함하는 매우 다양한 전송 시나리오가 존재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라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ID를 위해 별개의 ID 필드를 독립적으로 설정할 경우 ID 필드가 지나치게 많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시나리오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함에 있어 이용할 수 있는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생성하고, 상기 서브스트림 ID를 기반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시나리오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함에 있어 이용할 수 있는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생성하고, 상기 서브스트림 ID를 기반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은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및 시그널링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컴포넌트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포트에 할당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브스트림 ID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컴포넌트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컴포넌트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컴포넌트를 IP 망을 포함하는 이종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스트림 ID는 복수의 시나리오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위한 포트의 수,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서버의 수, 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컴포넌트(component)의 타입 및 상기 컴포넌트 간의 상관 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MMT D 계층의 헤더에 포함시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브스트림 ID는 기존의 RTP PT(Payload type)과의 역방향 호환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에서는 하나의 포트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component)를 다중화하여 전송하고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component)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에서는 상기 하나의 포트를 통해 시그널링 스트림(signaling stream)을 더 전송하고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component) 및 상기 시그널링 스트림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에서는 SVC(Scalable video coding), MVC(Multi view coding)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부가적인 상보 표현(complementary representation)을 상기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더 전송하고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부가적인 상보 표현과 상기 콘텐츠 컴포넌트의 상관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에서는 복수의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로 콘텐츠 컴포넌트를 전송하고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복수의 서버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전송 장치는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및 시그널링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컴포넌트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포트에 할당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생성하는 서브스트림 ID 생성부; 상기 서브스트림 ID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서브스트림 ID 전송부; 및 상기 콘텐츠 컴포넌트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컴포넌트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컴포넌트 전송부는 상기 콘텐츠 컴포넌트를 IP 망을 포함하는 이종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스트림 ID는 복수의 시나리오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위한 포트의 수,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서버의 수, 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컴포넌트(component)의 타입 및 상기 컴포넌트 간의 상관 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 전송부는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MMT D 계층의 헤더에 포함시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스트림 ID는 기존의 RTP PT(Payload type)과의 역방향 호환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에서는 하나의 포트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component)를 다중화하여 전송하고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component)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에서는 상기 하나의 포트를 통해 시그널링 스트림(signaling stream)을 더 전송하고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component) 및 상기 시그널링 스트림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에서는 SVC(Scalable video coding), MVC(Multi view coding)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부가적인 상보 표현(complementary representation)을 상기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더 전송하고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부가적인 상보 표현과 상기 콘텐츠 컴포넌트의 상관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에서는 복수의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로 콘텐츠 컴포넌트를 전송하고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복수의 서버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시나리오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함에 있어 이용할 수 있는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생성하고,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스트림 ID를 할당함으로써 다양한 전송 시나리오에 있어서 공동으로 사용되는 단일 ID 필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전송을 위한 헤더(header)를 간소화하면서도 포트의 수, 서버의 수 및 부가 정보의 유무에 관계없이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고, 향후 도입될 어플리케이션을 수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식에 대한 호환성을 제공한다.
도 1은 MMT 계층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단일 포트 스트림 상에서의 단일 콘텐츠 컴포넌트의 전송을 나타낸다.
도 3은 단일 포트 스트림 상에서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콘텐츠 컴포넌트의 전송을 나타낸다.
도 4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포트 스트림 상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보 표현 데이터(COMPLEMENTARY REPRESENTATION DATA)와 함께 콘텐츠 컴포넌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서브스트림 ID를 포함하는 헤더 디스크립션(header description)의 예시도이다.
도 7은 하나의 포트를 통해 하나의 콘텐츠 컴포넌트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8은 하나의 포트를 통해 하나의 콘텐츠 컴포넌트를 전송하되, 상보 표현을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9는 RTP PT(Payload Type)와의 역방향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지원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0은 하나의 포트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 및 시그널링을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1은 복수의 서버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로 콘텐츠 컴포넌트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MMT 계층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MMT 계층은 캡슐화 계층(Encapsulation layer), 전달 계층(Delivery layer) 및 제어 계층(Control layer)의 기능 영역(functional area)을 포함한다. MMT 계층은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위에서 동작한다.
캡슐화 계층(Encapsulation layer; E-layer)은 예를 들어 전송되는 미디어의 패킷화(packetization), 프래그먼테이션(Fragmentation), 동기화(Synchronization), 멀티플렉싱(Multiplexing)등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캡슐화 계층(E-layer)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T E.1 계층(MMT E.1 Layer), MMT E.2 계층(MMT E.2 Layer) 및 MMT E.3 계층(MMT E.3 Layer)으로 구성될 수 있다.
E.3 계층은 미디어 코덱(A) 계층으로부터 제공된 미디어 프래그먼트 유닛(Media Fragment Unit; MFU)를 캡슐화하여 M-유닛(M-Unit)을 생성한다.
MFU는 미디어 디코더에서 독립적으로 소비될 수 있는 데이터 유닛을 싣을 수 있는, 임의의 특정 코덱(codec)에 독립적인, 포맷을 가질 수 있다. MFU는 예를 들어 비디오의 픽춰(picture) 또는 슬라이스(slice)가 될 수 있다.
M-유닛은 하나 또는 복수의 MFU 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세스 유닛(Access Unit)을 싣을 수 있는, 특정 코덱(codec)에 독립적인, 포맷을 가질 수 있다.
E.2 계층은 E.3계층에서 생성된 M-유닛을 캡슐화하여 MMT 애셋(MMT Asset)을 생성한다.
MMT 애셋은 단일의 데이터 소스로부터의 하나 또는 복수의 M-유닛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엔티티(data entity)로서, 컴포지션 정보(composition information) 및 전송 특성(transport characteristics)이 정의된 데이터 유닛이다. MMT 애셋은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s)에 대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디오, 오디오, 프로그램 정보(program information), MPEG-U 위젯(widget), JPEG 이미지, MPEG 4 파일 포맷(File Format), M2TS(MPEG transport stream)등에 대응될 수 있다.
E.1 계층(E.1 Layer)은 E.2 계층에서 생성된 MMT 애셋을 캡슐화하여 MMT 패키지(MMT Package)를 생성한다.
MMT 패키지는 콤포지션 정보(composition information) 및 전송 특성(transport characteristics)과 같은 부가 정보와 함께 하나 또는 복수의 MMT 애셋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콤포지션 정보(composition information)는 MMT 애셋들 사이의 관계(relationshi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하나의 컨텐츠(content)가 복수개의 MMT 패키지로 이루어질 경우 복수의 MMT 패키지간의 관계(relationship)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 특성(transport characteristics)은 MMT 애셋 또는 MMT 패킷의 전송 조건(delivery condition)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전송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트래픽 기술 파라미터(traffic description parameter) 및 QoS 기술자(QoS descriptor)를 포함할 수 있다. MMT 패키지는 MPEG-2 TS의 프로그램(Program)에 대응될 수 있다.
전달 계층(Delivery layer)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의 네트워크 플로우 멀티플렉싱(Network flow multiplexing), 네트워크 패킷화(Network packetization), QoS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전달 계층 (D-layer)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T D.1 계층(MMT D.1 Layer), MMT D.2 계층(MMT D.2 Layer) 및 MMT D.3 계층(MMT D.3 Layer)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MMT D 계층(전달 계층)의 헤더에 포함되어 클라이언트로 전송될 수 있다.
D.1 계층(D.1-layer)은 E.1 계층에서 생성된 MMT 패키지를 받아서 MMT 페이로드 포맷(MMT Payload format)을 생성한다. MMT 페이로드 포맷은 MMT 애셋을 전송하고, 그리고 MMT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또는 RTP와 같은 다른 기존의 애플리케이션 전송 프로토콜에 의한 소비를 위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페이로드 포맷이다. MMT 페이로드는 AL-FEC와 같은 정보와 함께 MFU의 프래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D.2 계층(D.2-layer)은 D.1 계층에서 생성된 MMT 페이로드 포맷을 받아서 MMT 전송 패킷(MMT Transport Packet) 또는 MMT 패킷(MMT Packet)를 생성한다. MMT 전송 패킷 또는 MMT 패킷은 MMT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전송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데이터 포맷이다.
D.3 계층(D.3-layer)은 교차 계층 설계(cross-layer Design)에 의해 계층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QoS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D.3 계층은 MAC/PHY 계층의 QoS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 계층(Control layer)은 예를 들어 전송되는 미디어의 세션 초기화/제어/관리(session initialization/control/management), 서버 기반 및/또는 클라이언트 기반의 트릭 모드, 서비스 디스커버리(Service discovery), 동기화(Synchronization)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계층 (C-layer)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T C.1 계층(MMT C.1 Layer) 및 MMT C.2 계층(MMT D.2 Layer)으로 구성될 수 있다.
C.1 계층은 서비스 디스커버리(Service discovery), 미디어의 세션 초기화/종료(media session initialization/termination), 미디어의 세션 표현/제어(media session presentation/control), 전달(D) 계층 및 캡슐화(E) 계층과의 인터페이스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C.1 계층은 미디어 표현 세션 관리(presentation session management)를 위한 애플리케이션들간의 제어 메시지들의 포맷을 정의할 수 있다.
C.2 계층은 흐름 제어(flow control), 전달 세션 관리(delivery session management), 전달 세션 모니터링(delivery session monitoring), 에러 제어(error control), 하이브리드망 동기화 제어(Hybrid network synchronization control)에 관한 전달 계층(D-layer)의 전달 엔드-포인트들(delivery end-points)간에 교환되는 제어 메시지의 포맷을 정의할 수 있다.
C.2 계층은 전달 계층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하여 전달 세션 설정 및 해제(delivery session establishment and release), 전달 세션 모니터링, 흐름 제어, 에러 제어, 설정된 전달 세션에 대한 리소스 예약, 복합 전달 환경하에서의 동기화를 위한 시그널링, 적응적 전달(adaptive delivery)를 위한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측(sender)와 수신측(receiver)간에 필요한 시그널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C.2 계층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달 계층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하여 송신측(sender)와 수신측(receiver)간에 필요한 시그널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2 계층은 전달 계층 및 캡슐화 계층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IP망은 일반적으로 송신측과 수신측의 소스 IP 주소(source IP address), 목적지 IP 주소(destination IP address), 소스 포트 넘버(source port number), 목적지 포트 넘버(destination port number)의 네 가지 값을 단위로 하여 하나의 포트 스트림(port stream)을 구성하고, 이를 단위로 어플리케이션을 형성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몇 개의 포트(port)를 열어서 사용할 것인지, 어떤 L3 프로토콜(UDP 또는 TCP)을 선택할 것인지는 전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구현의 이슈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그 특성상, 콘텐츠 컴포넌트(content component) 별 포트 매핑(port mapping) 또는 L3 프로토콜(protocol)의 선택 등의 자유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전송 시나리오(transport scenario)의 구성이 가능하다.
시나리오 1 : 단일 포트 스트림을 통한 단일 콘텐츠 컴포넌트의 전송(Single content component over a single port stream)
도 2는 단일 포트 스트림 상에서의 단일 콘텐츠 컴포넌트의 전송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에서 클라이언트(20)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함에 있어, 하나의 포트별로 각각 하나의 콘텐츠 컴포넌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포트 A(210)를 통해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을 상기 클라이언트(20)로 전송하고, 포트 B(220)를 통해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을 상기 클라이언트(20)로 전송할 수 있다. 하나의 포트별로 각각 하나의 콘텐츠 컴포넌트를 전송하는 시나리오 1은 일반적인 기존 UDP/RTP 기반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시나리오이며,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시나리오이므로 기본적인 종래 기술에 대환 역방향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지원되어야 하는 시나리오이다(예를 들어, 종래의 RTP 기반의 시나리오).
시나리오 2 : 단일 포트 스트림을 통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콘텐츠 컴포넌트의 전송(Multiplexing two or more content components (and/or signaling data) over a single port stream)
도 3은 단일 포트 스트림 상에서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콘텐츠 컴포넌트의 전송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에서 클라이언트(20)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함에 있어, 하나의 포트 A(230)를 통해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 및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을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를 상기 클라이언트(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포트 A(230)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20)로 시그널링 스트림을 더 전송할 수 있다.
현재 UDP/RTP 기반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포트 스트림에 여러 개의 콘텐츠 컴포넌트 및 시그널링 스트림(signaling stream)을 다중화하기 위한 공식적인 표준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다양한 기존 솔루션(proprietary solutions)을 기반으로 구현되고 있다. UDP 기반의 스트림을 기반으로 스트리밍하는 경우 사용하는 포트 수를 최소화해야 하는 이유 등으로, 하나의 포트 스트림 내에 시그널링 스트림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세션을 서비스하는 시나리오 2는 IP망에서 중요한 필요성을 갖는다.
시나리오 3 : 두개 또는 그 이상의 포트 스트림을 통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보 표현 데이터 및 콘텐츠 컴포넌트의 전송(Multiple content components with one or more complementary representation data over two or more port streams)
도 4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포트 스트림 상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보 표현 데이터(complementary representation data)와 함께 콘텐츠 컴포넌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부호화 기술의 경향을 살펴보면 SVC(Scalable video coding)이나 MVC(Multi view coding), 3차원 영상 등과 같이 부가적인 상보 표현(complementary representation)을 가지는 부호화 기법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어, 전송 시나리오 상에서 상기 상보 표현들을 별도의 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송/수신하거나, 별도의 서버로부터 송/수신하는 시나리오 3 또한 점차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예를 들어 L0 및 L1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SVC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A(10) 및/또는 서버 B(12)로부터 클라이언트(20)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함에 있어서,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을 포트 A(240)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20)로 전송하고, 비디오 L0 스트림(Video L0 stream)을 포트 B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20)로 전송하며, 비디오 L1 스트림(Vido L1 stream)을 포트 C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2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IP 환경에서의 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은 예를 들어 시나리오 1 내지 시나리오 3의 경우와 같이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시나리오는 ID를 필요로 하는 과정(oper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시나리오 1의 경우 기본적으로 전송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림이 어떤 미디어 타입(media type)을 전송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ID가 필요하다. 또한 미디어 타입(media type)을 구분하는 ID의 경우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RTP PT(Real Time Protocol Payload type : 7-bit 필드)와의 역방향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유지하여야 한다. MMT에서 E.1 계층을 표준화의 범위에 포함하고 있으나 기존의 코덱 별로 정의되어 있는 IETF의 RTP PT(Payload type) 풀(pool)은 코덱별로 특징지어진(codec-specific)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MMT에서 재사용할 경우 매우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시나리오 2의 경우 하나의 포트 스트림(port stream) 내에 다중화되는 다양한 콘텐츠 컴포넌트(content component) 또는 시그널링 스트림(signaling stream)간의 구분을 위한 ID가 필요하다.
시나리오 3의 경우 서로 다른 포트 스트림(port streams)에 나뉘어 보내지는 특정 콘텐츠 컴포넌트(content component)와 상보 표현(complementary representation) 사이의 상관 관계(coupling relation)를 기술하기 위한 ID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시나리오 1 내지 3과 같이 IP기반의 전송 시나리오는 대부분 ID를 필요로 하는 과정을 가진다. 여기서, 할당된 ID가 어떤 의미(semantic)를 가지는지 여부는 일반적으로 OOB(out of band) 또는 IB(in band)로 전달되는 세션 기술 정보(session description information) - 예를 들어 종래의 어플리케이션 내의 SDP - 내에서 설정된다. 따라서 IP망에서는 각 시나리오별로 다른 의미(semantic)를 가지는 모든 과정별로 ID 필드를 모두 독립적으로 둘 필요가 없으며 실제 세션 형성이 되는 시기에 해당 ID의 의미(semantic)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공동으로 사용되는 단일 ID 필드로서의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이용하는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은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및 시그널링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컴포넌트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포트에 할당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생성하는 단계(S510), 상기 서브스트림 ID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S520) 및 상기 콘텐츠 컴포넌트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S530)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컴포넌트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S530)는 상기 콘텐츠 컴포넌트를 IP 망을 포함하는 이종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스트림 ID는 복수의 시나리오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위한 포트의 수,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서버의 수, 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컴포넌트(component)의 타입 및 상기 컴포넌트간의 상관 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즉, IP 환경에서 미디어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포트를 이용하거나, 하나 이상의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 또는 다양한 타입의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SVC, MVC 또는 3차원 영상과 같이 부가적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경우와 같이 다양한 시나리오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는 전술한 시나리오 1 내지 3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시나리오 1 내지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5을 참조하면,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S520)는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MMT D 계층의 헤더에 포함시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6은 서브스트림 ID를 포함하는 헤더 디스크립션(header description)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하여 ID를 할당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서브스트림 ID(600)는 2-바이트(bytes) 필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바이트(bytes)는 다음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결정된 길이이다.
(1) 향후 새롭게 도입될 어플리케이션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할 것.
(2)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미디어 콘텐츠(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표현(presentation) 내의 모든 콘텐츠 컴포넌트(content component) 및 다양한 시그널링 스트림들(signalling streams)을 구분하기에 충분할 것.
(3) RTP PT(Payload Type)의 7-bit를 완전히 수용하여 기존의 RTP PT(Payload type) 표준과 SDP 기반의 운영(operation) 방식에 대해 역방향 호환성(backward compatible)을 갖출 것.
(4) MPEG2-TS의 steram_type(8-bit) stream_id (8-bit)을 수용할 수 있을 것.
(5) MPEG2-TS의 PID (13-bit)를 수용할 수 있을 것.
(6) 바이트 정렬 친화적일 것(Byte alignment friendly).
시나리오 예시
도 7은 하나의 포트를 통해 하나의 콘텐츠 컴포넌트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스트림 ID는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는 하나의 포트를 통해 하나의 콘텐츠 컴포넌트(component)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로부터 클라이언트(20)로 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함에 있어, 포트 A(270)을 이용하여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을 전송하고, 포트 B(280)를 이용하여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콘텐츠 컴포넌트의 타입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페이로드 타입(Payload Type)을 사용하고 있음을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통해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스트림 ID는
i. Audio : 0000 0001 0000 0001 (binary)
ii. Video : 0000 0001 0000 0010 (binary)
*와 같이 할당할 수 있다.
도 8은 하나의 포트를 통해 하나의 콘텐츠 컴포넌트를 전송하되, 상보 표현을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스트림 ID는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는 SVC(Scalable video coding), MVC(Multi view coding)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부가적인 상보 표현(complementary representation)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컴포넌트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로부터 클라이언트(20)로 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함에 있어, 포트 A(290)을 이용하여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을 상기 클라이언트(20)로 전송하고, 포트 B(300)를 이용하여 비디오 L0 스트림(Video stream)을 상기 클라이언트(20)로 전송하며, 포트 C(310)를 이용하여 비디오 L1 스트림(Video L1 stream)을 상기 클라이언트(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MVC의 경우 다른 시점의 비디오 스트림을 복수의 포트를 통해 전송할 수 있고, 3차원 영상의 경우 좌영상 및 우영상, 또는 기준 영상(reference image)과 부가 영상(additional)을 복수의 포트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부가적인 상보 표현과 상기 콘텐츠 컴포넌트의 상관관계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콘텐츠 컴포넌트 및 상보 표현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페이로드 타입(Payload Type)을 사용하고 있음을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통해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스트림 ID는
i. Audio : 0000 0001 0000 0001 (binary)
ii. Video : 0000 0001 0000 0010 (binary)
iii. SVC Video Layer-1 : 0000 0001 0000 0011 (binary)
와 같이 할당할 수 있다.
도 9는 RTP PT(Payload Type)와의 역방향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지원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스트림 ID는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는 단일 포트를 통해 단일 컴포넌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RTP PT과의 역방향 호환성을 지원할 수 있다. 서브스트림 ID의 할당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0000 0001의 상위 바이트(byte)를 RTP PT 호환 모드를 위해 남겨놓을 수 있다. 즉, 상기 서브스트림 ID는 기존의 RTP PT(Payload type)과의 역방향 호환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하나의 포트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 및 시그널링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스트림 ID는 복수의 전송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는 하나의 포트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component)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에서 클라이언트(20)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함에 있어서, 포트 A(320)를 통해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 및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을 상기 클라이언트(20)로 전송할 수 있다. SVC의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트 A(320)를 통해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 비디오 L0 스트림(Video L0 stream), 비디오 L1 스트림(Video L1 stream)을 전부 상기 클라이언트(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component)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포트 스트림 내에서 서로 다른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를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스트림 ID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스트림 ID는
i. Audio : 0000 0001 0000 0001 (binary)
ii. SVC Video Layer-0 : 0000 0001 0000 0010 (binary)
iii. SVC Video Layer-1 : 0000 0001 0000 0011 (binary)
와 같이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는 상기 하나의 포트를 통해 시그널링 스트림(signaling stream)을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component) 및 상기 시그널링 스트림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1은 복수의 서버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로 콘텐츠 컴포넌트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스트림 ID는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는 복수의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로 콘텐츠 컴포넌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A(10) 및 서버 B(12)로부터 클라이언트(20)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함에 있어서, 서버 A(10)에서 포트 A(330)를 통하여 클라이언트(20)로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을 전송하고 서버 A(10)에서 포트 B(340)를 통하여 클라이언트(20)로 비디오 L0 스트림(Video L0 Stream)을 전송하며, 서버 B(12)에서 포트 C(350)을 통하여 클라이언트(20)로 비디오 L1 스트림(Video L1 Stream)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복수의 서버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포트 스트림으로 보내지는 서로 다른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 또는 시그널링 스트림을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스트림 ID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브스트림 ID는
i. Audio : 0000 0001 0000 0001 (binary)
ii. SVC Video Layer-0 : 0000 0001 0000 0010 (binary)
iii. SVC Video Layer-1 : 0000 0001 0000 0011 (binary)
와 같이 할당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전송 장치(1200)는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및 시그널링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컴포넌트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포트에 할당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생성하는 서브스트림 ID 생성부(1210), 상기 서브스트림 ID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서브스트림 ID 전송부(1220) 및 상기 콘텐츠 컴포넌트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컴포넌트 전송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 전송부(1230)는 상기 콘텐츠 컴포넌트를 IP 망을 포함하는 이종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스트림 ID는 복수의 시나리오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위한 포트의 수,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서버의 수, 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컴포넌트(component)의 타입 및 상기 컴포넌트 간의 상관 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 전송부(1220)는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를 MMT D 계층의 헤더에 포함시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스트림 ID는 기존의 RTP PT(Payload type)과의 역방향 호환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에서는 하나의 포트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component)를 다중화하여 전송하고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component)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에서는 상기 하나의 포트를 통해 시그널링 스트림(signaling stream)을 더 전송하고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component) 및 상기 시그널링 스트림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에서는 SVC(Scalable video coding), MVC(Multi view coding)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부가적인 상보 표현(complementary representation)을 상기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더 전송하고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부가적인 상보 표현과 상기 콘텐츠 컴포넌트의 상관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에서는 복수의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로 콘텐츠 컴포넌트를 전송하고 상기 서브스트림 ID(substream ID)는 상기 복수의 서버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전송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은 전술한 콘텐츠 전송 방법에 따른다.
10 : 서버
20 : 클라이언트
210 : 포트 A
220 : 포트 B
1200 : 미디어 콘텐츠 전송 장치
1210 : 서브스트림 ID 생성부
1220 : 서브스트림 ID 전송부
1230 : 컴포넌트 전송부

Claims (18)

  1. 미디어 프래그먼트 유닛(MFU: Media Fragment Unit)을 캡슐화하여 미디어 유닛을 생성하고, 상기 미디어 유닛을 기반으로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미디어 유닛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엔티티인 애셋(asset)을 생성하는 캡슐화부;
    상기 애셋 내에 포함된 미디어 유닛을 패킷화하고, 패킷 내의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를 구분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하여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화부; 및
    상기 생성된 패킷을 수신 측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프래그먼트 유닛은 미디어 유닛의 프래그먼트이고, 상기 미디어 유닛은 디코더에서 독립적으로 소비 가능한 데이터 포멧을 가지는, 패킷 생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를 구분하기 위한 필드는 2 바이트의 크기의 필드로서 패킷 헤더에 포함되는, 패킷 생성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를 구분하기 위한 필드는,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의 타입 및 컴포넌트 간의 상관관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시나리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패킷 생성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는 상기 애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생성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를 구분하기 위한 필드는 기존의 RTP PT(Payload type)과의 역방향 호환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생성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하나의 포트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component)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패킷 생성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하나의 포트를 통해 시그널링 스트림(signaling stream)을 더 전송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를 구분하기 위한 필드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component) 및 상기 시그널링 스트림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생성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SVC(Scalable video coding), MVC(Multi view coding)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부가적인 상보 표현(complementary representation)을 수신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를 구분하기 위한 필드는, 상기 부가적인 상보 표현과 상기 콘텐츠 컴포넌트의 상관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패킷 생성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이종망을 통해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패킷 생성 장치.
  10. 미디어 프래그먼트 유닛(MFU: Media Fragment Unit)을 캡슐화하여 미디어 유닛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유닛을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미디어 유닛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엔티티인 애셋(asset)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애셋 내에 포함된 미디어 유닛을 패킷화하고, 패킷 내의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를 구분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하여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패킷을 수신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프래그먼트 유닛은 미디어 유닛의 프래그먼트이고, 상기 미디어 유닛은 디코더에서 독립적으로 소비 가능한 데이터 포멧을 가지는, 패킷 생성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를 구분하기 위한 필드는 2 바이트 크기의 필드로서 패킷 헤더에 포함되는, 패킷 생성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를 구분하기 위한 필드는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의 타입 및 컴포넌트 간의 상관 관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시나리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패킷 생성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는 상기 애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생성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를 구분하기 위한 필드는 기존의 RTP PT(Payload type)과의 역방향 호환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패킷 생성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하나의 포트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component)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패킷 생성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포트를 통해 시그널링 스트림(signaling stream)을 추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를 구분하기 위한 필드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컴포넌트(component) 및 상기 시그널링 스트림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생성 방법.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SVC(Scalable video coding), MVC(Multi view coding)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부가적인 상보 표현(complementary representation)을 수신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컴포넌트를 구분하기 위한 필드는 상기 부가적인 상보 표현과 상기 콘텐츠 컴포넌트의 상관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패킷 생성 방법.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이종망을 통해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패킷 생성 방법.
KR1020180010988A 2011-01-19 2018-01-29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866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489 2011-01-19
KR20110005489 2011-01-1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374A Division KR101827800B1 (ko) 2011-01-19 2012-01-19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734A Division KR101951650B1 (ko) 2011-01-19 2018-05-31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204A KR20180015204A (ko) 2018-02-12
KR101866159B1 true KR101866159B1 (ko) 2018-06-08

Family

ID=46715252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374A KR101827800B1 (ko) 2011-01-19 2012-01-19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180010988A KR101866159B1 (ko) 2011-01-19 2018-01-29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180062734A KR101951650B1 (ko) 2011-01-19 2018-05-31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190018749A KR101990125B1 (ko) 2011-01-19 2019-02-18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190068672A KR102019101B1 (ko) 2011-01-19 2019-06-11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374A KR101827800B1 (ko) 2011-01-19 2012-01-19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734A KR101951650B1 (ko) 2011-01-19 2018-05-31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190018749A KR101990125B1 (ko) 2011-01-19 2019-02-18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190068672A KR102019101B1 (ko) 2011-01-19 2019-06-11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53912B2 (ko)
KR (5) KR101827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3350B2 (en) * 2012-01-31 2017-11-07 Sharp Kabushiki Kaisha Generation device, reproduction device, data structure, generation method, reproduction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2147475B1 (ko) 2012-07-11 2020-08-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peg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56438B1 (ko) 2012-10-12 2019-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12218B1 (ko) * 2013-01-18 2018-01-30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데이터스트림들 중에서 동기화된 시작 심벌 식별자들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의 심벌들을 갖는 소스 블록들을 사용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KR20160052313A (ko) 2014-11-04 201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US9948753B2 (en) * 2014-11-04 2018-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JP6386353B2 (ja) * 2014-12-04 2018-09-05 シャープ株式会社 受信装置、テレビジョン装置、プログラム、記憶媒体、及び受信方法
KR102111572B1 (ko) * 2015-02-13 2020-05-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저지연 생방송 컨텐츠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장치
KR102519209B1 (ko) 2015-06-17 2023-04-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mmt 장치 및 방법
KR102153554B1 (ko) 2015-06-17 2020-09-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디어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mmt 장치 및 방법
CN105933728A (zh) * 2016-04-20 2016-09-0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点播方法、装置及系统
CN105847386A (zh) * 2016-04-20 2016-08-10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直播流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102421791B1 (ko) * 2016-05-26 2022-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Mmt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미디어 시간 정보를 전송 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7434A (ko) * 2005-01-28 2006-08-02 스탠다드 마이크로시스템즈 코포레이션 우선순위 큐잉과 단일 또는 다중 전송 스트림 인터페이스를가지는 필터 기반 이더넷 패킷 라우터를 지닌 고속이더넷 mac 및 phy 장치
KR20060101219A (ko) * 2005-03-15 2006-09-2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계전기에 의해 할당된 포트들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및 시스템
KR20090037334A (ko) * 2007-10-10 2009-04-15 엔이씨 액세스 테크니카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분배 장치, 데이터 분배 방법 및 분배 제어 프로그램
US20090287841A1 (en) * 2008-05-12 2009-11-19 Swarmcast, Inc. Live media delivery over a packet-based computer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784B1 (ko) 2008-12-05 2011-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264 svc 데이터의 계층적 부호화를 이용한 mpeg-2 ts 파일 포맷 장치 및 그 방법
US8832751B2 (en) * 2010-08-30 2014-09-09 Deutsche Telekom Ag Enhanced video streaming to mobile cli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7434A (ko) * 2005-01-28 2006-08-02 스탠다드 마이크로시스템즈 코포레이션 우선순위 큐잉과 단일 또는 다중 전송 스트림 인터페이스를가지는 필터 기반 이더넷 패킷 라우터를 지닌 고속이더넷 mac 및 phy 장치
KR20060101219A (ko) * 2005-03-15 2006-09-2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계전기에 의해 할당된 포트들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및 시스템
KR20090037334A (ko) * 2007-10-10 2009-04-15 엔이씨 액세스 테크니카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분배 장치, 데이터 분배 방법 및 분배 제어 프로그램
US20090287841A1 (en) * 2008-05-12 2009-11-19 Swarmcast, Inc. Live media delivery over a packet-based computer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019A (ko) 2018-06-11
KR20180015204A (ko) 2018-02-12
KR101827800B1 (ko) 2018-02-12
KR20190019112A (ko) 2019-02-26
KR20120084275A (ko) 2012-07-27
KR101990125B1 (ko) 2019-09-30
US9553912B2 (en) 2017-01-24
KR101951650B1 (ko) 2019-02-25
KR102019101B1 (ko) 2019-09-06
KR20190068513A (ko) 2019-06-18
US20130297817A1 (en)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650B1 (ko) 단일 포트 또는 다중 포트에서 미디어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73739B1 (ko) 오버헤드를 최소화한 헤더를 가지는 패킷 기반의 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US11196786B2 (en)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dia data
US9967582B2 (en) Hybrid delivery method and reception method for MMT packaged SVC video contents
US9635394B2 (en) Method and device for flexible MMT ass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2852002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in hybrid network
EP2784953A1 (en) Method for hybrid delivery of mmt pakcage and content and method for receiving content
AU20122077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frame in broadcast system
KR20140012596A (ko) 동일 포트에 멀티플렉싱 된 다중 패킷 스트림의 패킷오류 구분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100799A (ko) 미디어 데이터의 제공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KR20130058541A (ko) 그룹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mpeg 미디어 전송 시스템에서의 패킷 생성 장치 및 방법
Kordelas et al. Transport Protocols for 3D Video
KR20150035857A (ko) 복합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58539A (ko) 하이브리드 전송시 동기화 방법
KR20130058540A (ko) 하이브리드 전송시 동기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