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564A -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564A
KR20110006564A KR1020090074061A KR20090074061A KR20110006564A KR 20110006564 A KR20110006564 A KR 20110006564A KR 1020090074061 A KR1020090074061 A KR 1020090074061A KR 20090074061 A KR20090074061 A KR 20090074061A KR 20110006564 A KR20110006564 A KR 20110006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fixing member
screw portion
bolt structur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298B1 (ko
Inventor
곽한종
Original Assignee
곽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한종 filed Critical 곽한종
Publication of KR20110006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15Ancho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34Spacers
    • E05Y2600/636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앵커볼트 구조물의 고정시 앵커볼트의 회전만으로 제1 스프링, 제2 스프링, 제1 와셔 및 제2 와셔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설치부의 구멍에 더욱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앵커볼트 및 고정부재를 탈거시켜 재사용할 수 있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이 개시된다. 앵커볼트 구조물은 머리부, 머리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몸통부, 몸통부로부터 일직선상으로 고정부가 연장 형성되되, 고정부는 상기 몸통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나사부, 제1 나사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나사부 및 제2 나사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나사부를 포함하는 앵커볼트;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에 차례로 끼워져 제3 나사부에 탄성 고정되는 중공의 중간고정부재; 및 제3 나사부에 끼워져 제2 나사부에 탄성 고정되는 중공의 마감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1 나사부는 몸통부와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며, 제2 나사부는 제1 나사부에 대하여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제3 나사부는 제2 나사부에 대하여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중간고정부재는 제2 나사부에서 제1 나사부로 끼워질 때 확장되어 탄성 고정된다.
탄성, 스프링, 와셔, 앵커볼트, 앵커볼트 구조물.

Description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Anchor bolt structure having elastic fixing function}
본 발명은 앵커볼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앵커볼트의 몸체부에는 직경이 다른 제1,2,3 나사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제1,2,3 나사부에 끼워지도록 제1 스프링, 제2 스프링, 제1 와셔 및 제2 와셔 중 하나로 이루어진 중간 고정부재 및 마감고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앵커볼트 구조물의 고정시 앵커볼트의 회전만으로 제1 스프링, 제2 스프링, 제1 와셔 및 제2 와셔와 같은 중간고정부재 및 마감고정부재 의해 설치부의 구멍에 더욱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앵커볼트 및 고정부재를 탈거시켜 재사용할 수 있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 볼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 볼트 구조물은 문틀 및 창틀과 같은 창호 등을 건축물의 벽체나 바닥면에 고정하거나, 중량물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한 앵커볼트 구조물을 사용하기 위해, 콘크리트 건축물과 같은 바닥면에 구멍을 형성한 다음, 그 구멍에 앵커볼트를 끼워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앵커볼트에는 다른 설치물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앵커볼트 구조물은 앵커볼트와 슬리브가 연동하여 조여지므로 최대 내진성(견디는 힘)을 발휘하여 안전한 시공이 되는 것이고, 건설공사, 전기공사, 위생공사, 냉난방공사, 조작부대공사, 간판공사, 기계 설치공사 등 무척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종래의 앵커볼트 구조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개선되어 사용하고 있는바, 그 대표적인 구성은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앵커볼트 구조물(20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앵커볼트 구조물(200)을 설치부(210)의 구멍(212)에 끼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는 도 10의 상태에서 앵커볼트(220)에 의해 슬리브(230)의 고정부(236)가 확장되어 앵커볼트(220)가 설치부(210)의 구멍(212)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앵커볼트 구조물(200)은 앵커볼트(220)에 슬리브(23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앵커볼트(220)는 머리부(222); 그 머리부(222)로부터 연장되는 몸통부(224); 및 그 몸통부(224)의 일단으로부터 일직선상으로 연장된 나사부(226)가 포함된다. 슬리브(230)는 제1 중공(234)이 내부에 형성된 몸체부(232); 그 몸체부(232)의 일단으로부터 일직선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1 중공(234)과 연이어 통하는 제2 중공(238)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중공(238)과 연이어 통하도록 슬릿(240)이 표면으로 형성되는 고정부(2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부(236)의 표면은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몸체부(232)의 제1 중공(234)은 고정부(236)의 제2 중공(238) 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된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의 앵커볼트 구조물은, 도 7에서와 같이, 슬리브(230)의 제1 중공(234)에 앵커볼트(220)를 끼운다. 이어, 도 8에서와 같이, 콘크리트와 같은 설치부(210)의 구멍(212)에 앵커볼트 구조물(200)을 끼운다. 마지막으로, 도 9에서와 같이, 앵커볼트(220)를 회전시키면, 앵커볼트(220)의 나사부(226)는 고정부(236)의 제2 중공(238)에 끼워진다. 이렇게 하면, 앵커볼트(220)의 고정부(236)는 바깥 방향을 향하여 확장된다. 그 결과, 앵커볼트 구조물(200)은 설치부(210)의 구멍(212)에 밀착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앵커볼트 구조물은 슬리브가 플라스틱재로 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앵커볼트의 회전에 의한 압력을 견디지 못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리브의 재사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앵커볼트 구조물의 설치 이후 견고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고정부재 및 마감 고정부재에 의해 이중으로 고정함으로써 고정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재사용이 용이한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의 설치부의 구멍에 고정되는 앵커볼트 구조물로서,
머리부, 상기 머리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로부터 일직선상으로 고정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통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나사부, 상기 제1 나사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나사부 및 상기 제2 나사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나사부를 포함하는 앵커볼트;
상기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에 차례로 끼워져 제3 나사부에 탄성 고정되는 중공의 중간고정부재; 및
상기 제3 나사부에 끼워져 제2 나사부에 탄성 고정되는 중공의 마감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나사부는 몸통부와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나사부는 제1 나사부에 대하여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나사부는 제2 나사부에 대 하여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고정부재는 제2 나사부에서 제1 나사부로 끼워질 때 확장되어 탄성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부, 및 상기 제2 나사부와 제3 나사부의 경계 부위는 경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고정부재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고정부재의 바깥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고정부재는 원형 단면을 갖는 제1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고정부재는 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2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고정부재는 다수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고정부재는 제1 중공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와셔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와셔의 일측은 절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고정부재는 역 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2 중공을 갖는 제2 와셔로 형성되되, 상기 제2 와셔의 일측은 절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와셔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고정부재에는 상기 제3 나사부에 끼워져 고정되되며, 한 쪽면이 개방되며 다른 쪽면이 폐쇄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고정부재에는 상기 고정홈의 폐쇄된 단면 위치에 로케이션공이 연 이어 관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고정부재의 외부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고정부재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고정홈과 연이어 통하도록 절개 유도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절개 유도공은 앵커 볼트가 상기 고정홈으로 끼워져 확장될 때 쉽게 절단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고정부재의 개방된 단부에는 상기 중간고정부재의 하단과 접촉되어 상승시키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에 의하면, 앵커볼트의 몸체부에는 직경이 다른 제1,2 나사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부재는 제1,2 나사부에 끼워지도록 제1 스프링, 제2 스프링, 제1 와셔 및 제2 와셔 중 하나로 이루어진다. 앵커볼트에는 제1 스프링, 제2 스프링, 제1 와셔 및 제2 와셔와 같은 고정부재를 끼운 상태에서 설치부의 구멍에 끼운다음, 앵커볼트 구조물은 앵커볼트를 회전시켜 설치부의 구멍에 견고한 상태의 결합이 가능하다. 게다가, 필요한 경우, 앵커볼트 및 고정부재를 탈거시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하기의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100)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서 " A "의 부분 확대도로, 제1 나사부(126)와 제2 나사부(128) 사이의 경계선이 경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 B "의 부분 확대도로, 제2 나사부(128)와 제3 나사부(129) 사이의 경계 부위면이 경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볼트 구조물(100)은 설치부(110)의 구멍(112)에 고정된다. 앵커볼트 구조물(100)은 앵커볼트(120)에 중간고정부재 및 마감고정부재를 차례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앵커볼트(120)는 원형이나 삼각 형상의 머리부(122)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몸통부(123)는 머리부(122)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고정부(124)는 몸통부(123)로부터 일직선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부(124)는 몸통부(123)로부터 연장되는 제1 나사부(126)를 포함한다. 제2 나사부(128)는 제1 나사부(126)의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 나사부(129)는 제2 나사부(128)의 일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탄성을 갖는 중간고정부재는 제1,2 나사부(126)(128)에 차례로 끼워져 제3 나사부(129)에 탄성 고정된다. 중간고정부재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간고정부재의 바깥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1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고정부재는 원형 단면을 갖는 제1 스프링(134)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나사부(126)는 다수개가 구비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나사부(126)는 몸통부(123)와 동일 직경으로 형성된다. 제2 나사부(128)의 직경(L2)는 제1 나사부(126)의 직경(L1)에 대하여 작게 형성된다. 중간고정부재는 제2 나사부(128)에서 제1 나사부(126)로 끼워질 때 확장된다. 제1 나사부(126)와 제2 나사부(128)의 경계 부위는 경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제3 나사부(129)의 직경(L3)는 제2 나사부(128)의 직경(L2)에 대하여 작게 형성된다. 고정부재는 제3 나사부(129)에서 제2 나사부(128)로 끼워질 때 확장된다. 제2 나사부(128)와 제3 나사부(129)의 경계 부위는 경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도 4는 도 1의 중간고정부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4a는 중간고정부재의 단면이 판형상을 갖는 제2 스프링(136)이고, 도 4b는 중간고정부재가 제1 와셔(140)이고, 도 4c는 중간고정부재가 역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제2 와셔(144)이고, 도 4d는 중간고정부재가 연속된 역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제2 와셔(144)이다. 도 5는 도 1에서 마감고정부재를 확대하여 보여준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중간고정부재가 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2 스프링(136) 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중간고정부재는 제1 중공(142)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와셔(140)로 형성되되, 제1 와셔(140)의 일측은 절개 형성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중간고정부재는 역 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2 중공(146)을 갖는 제2 와셔(144)로 형성되되, 제2 와셔(144)의 일측은 절개 형성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제2 와셔(144)는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감고정부재는 제3 나사부(129)에 끼워져 제2 나사부(128)에 탄성 고정되는 것으로, 마감 고정구(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 고정구(150)는 제3 나사부(129)에 끼워져 고정되며, 한 쪽면이 개방되며 다른 쪽면이 폐쇄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고정홈(15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 고정구는 고정홈(152) 폐쇄된 단면 위치에 로케이션공(154)과 연이어 관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 고정구(150)의 외부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15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 고정구(150)의 외부 표면에는 고정홈(152)과 연이어 통하도록 절개 유도공(158)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절개 유도공(158)은 앵커볼트(120)가 고정홈(152)으로 끼워져 확장될 때 쉽게 절단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 고정구(150)의 개방된 단부에는 제1 스프링(134)의 하단과 접촉되어 상승시키도록 걸림턱(159)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의 작용 설명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100)을 끼우기 위해 설치부(110)에 구멍(112)을 형성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는 도 6에서 형성된 설치부(110)의 구멍(112)에 앵커볼트 구조물(100)을 끼운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상태에서 설치부(110)의 구멍(112)에 앵커볼트 구조물(100)을 고정한 상태의 도면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중간고정부재인 제1 스프링(134)은 앵커 볼트(120)의 제3 나사부(129)를 거져 제2 나사부(128)에 끼운다. 이어, 앵커볼트(120)의 제3 나사부(129)에는 마감 고정구(150)와 같은 마감 고정부재를 끼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앵커볼트 구조물(100)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콘크리트와 같은 설치부(110)에 구멍(112)을 판다. 이때, 구멍(112)의 직경은 앵커볼트(12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앞서 설치부(110)에 형성된 구멍(112)에는 앞서 조립 완료된 앵커볼트 구조물(100)을 끼운다. 이때, 앵커볼트(120)의 제2 나사부(128)에는 제1 스프링(134)가 끼워져 있으며, 제3 나사부(129)에는 마감 고정구(150)가 각각 끼워져 있는 상태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도 7의 상태에서 앵커볼트(120)를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앵커볼트(120)는 하강하게 되고, 제1 스프링(134)은 앵커볼트(120)의 회전에 의해, 앵커볼트(120)의 제2 나사부(128)에 있다가, 경사상의 경계면을 경유하여 제1 나사부(126)로 이동된다. 이때, 제1 스프링(134)은 제1 나사부(126)의 직경 만큼 확장된다. 그 결과, 제1 스프링(134)은 설치부(110)의 구멍(112) 벽면을 파고들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 상태가 되면, 앵커볼트(120)는 설치부(110)의 구멍(112)에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제1 스프링(134)의 바깥 면에는 돌기(132)가 형성되어 더욱 견고한 결합을 이룬다. 즉, 제1 스프링(134)과 함께 돌기(132)는 설치부(110)의 구멍(112) 벽면으로 파고든다.
여기서, 마감 고정구(150)는 앵커볼트(120)의 제3 나사부(129)에 있다가 제2 나사부(128)로 이동 된다.이 과정에서, 앵커볼트(120)의 선단이 고정홈(152)을 거쳐 로케이션공(154)으로 관통된다. 이후, 앵커볼트(120)의 선단이 로케이션공(154)을 좀 더 통과하면, 절개 유도공(158)이 벌어져, 결국에는 마감 고정구(150)의 폐쇄된 단면 부위가 절개된다. 이렇게 되면, 마감 고정구(150)의 고정날개(156)는 설치부(110)의 구멍(112) 벽면을 파고 들어가 고정된다. 이때, 마감 고정구(150)는 걸림턱(159)에는 제1 스프링(134)의 하단과 접촉하여 앵커볼트(120)의 회전에 따라 제1 스프링(134)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제1 스프링(134)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 제2 스프링(136), 제1 와셔(140) 및 제2 와셔(144)와 같은 중간고정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 와셔(140) 및 제2 와셔(144) 또한 상기한 제1 스프링(134)과 마찬가지로, 앵커볼트(120)의 제2 나사부(128)에 위치해 있다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나사부(126)로 이동하면서 확장된다. 이때, 제1 와셔(140) 및 제2 와셔(144)는 절개 면을 중심으로 벌어져 확장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1 와셔(140)는 앵커볼트(120)의 제1 나사부(126) 및 제2 나사부(128)에 끼워질 때 제1 중공(142)이 접촉되는 것이고, 제2 와셔(144)는 앵커볼트(120)의 제1 나사부(126) 및 제2 나사부(128)에 끼워질 때 제2 중공(146)이 접촉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상기한 실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통상의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 A "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에서 " B "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에서 중간고정부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4a는 마감고정부재의 단면이 판형상을 갖는 스프링이고, 도 4b는 마감고정부재가 와셔이고, 도 5c는 마감고정부재가 역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와셔이고, 도 4d는 마감고정부재가 연속된 역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와셔;
도 5는 도 1에서 마감고정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을 끼우기 위해 설치부에 구멍을 형성한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6에서 형성된 설치부의 구멍에 앵커볼트 구조물을 끼운 상태의 도면; 및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설치부의 구멍에 앵커볼트 구조물을 고정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앵커볼트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앵커볼트 구조물을 설치부의 구멍에 끼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및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앵커볼트에 의해 슬리브의 고정부가 확장되어 앵 커볼트가 설치부의 구멍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앵커볼트 구조물
110: 설치부 112: 구멍
120: 앵커볼트 122: 머리부
124: 고정부 126: 제1 나사부
128: 제2 나사부 129: 제3 나사부
132: 돌기 134: 제1 스프링
136: 제2 스프링 140: 제1 와셔
142: 제1 중공 144: 제2 와셔
146: 제2 중공 150: 마감 고정구
152: 고정홈 154: 로케이션공
156: 고정날개 158: 절개 유도공
159: 걸림턱

Claims (15)

  1.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의 설치부의 구멍에 고정되는 앵커볼트 구조물로서,
    머리부, 상기 머리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로부터 일직선상으로 고정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통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나사부, 상기 제1 나사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나사부 및 상기 제2 나사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나사부를 포함하는 앵커볼트;
    상기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에 차례로 끼워져 제3 나사부에 탄성 고정되는 중공의 중간고정부재; 및
    상기 제3 나사부에 끼워져 제2 나사부에 탄성 고정되는 중공의 마감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나사부는 몸통부와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나사부는 제1 나사부에 대하여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나사부는 제2 나사부에 대하여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고정부재는 제2 나사부에서 제1 나사부로 끼워질 때 확장되어 탄성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 및 상기 제2 나사부와 제3 나사부의 경계 부위는 각각 경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고정부재는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고정부재의 바깥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고정부재는 원형 단면을 갖는 제1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고정부재는 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2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
  7.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고정부재는 다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고정부재는 제1 중공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와셔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와셔의 일측은 절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고정부재는 역 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2 중공을 갖는 제2 와셔로 형성되되, 상기 제2 와셔의 일측은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셔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고정부재에는 상기 제3 나사부에 끼워져 고정되되며, 한 쪽면이 개방되며 다른 쪽면이 폐쇄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고정부재에는 상기 고정홈의 폐쇄된 단면 위치에 로케이션공이 연이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고정부재의 외부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고정부재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고정홈과 연이 어 통하도록 절개 유도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절개 유도공은 앵커 볼트가 상기 고정홈으로 끼워져 확장될 때 쉽게 절단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고정부재의 개방된 단부에는 상기 중간고정부재의 하단과 접촉되어 상승시키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KR1020090074061A 2009-07-13 2009-08-12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 KR101141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323 2009-07-13
KR20090063323 2009-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564A true KR20110006564A (ko) 2011-01-20
KR101141298B1 KR101141298B1 (ko) 2012-05-04

Family

ID=4361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061A KR101141298B1 (ko) 2009-07-13 2009-08-12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2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72B1 (ko) * 2011-07-06 2013-08-13 주식회사 젠트로 앵커 장치
KR200468872Y1 (ko) * 2011-06-30 2013-09-11 스프렁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천막의 빔 고정을 위한 펙
KR102106039B1 (ko) * 2019-12-12 2020-04-29 주식회사 이수 이엔씨 철도 콘크리트 침목 보강용 스프링 및 그 제조방법
KR102389022B1 (ko) * 2021-06-15 2022-04-20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통신단자함 고정구
KR20220128690A (ko) 2021-03-15 2022-09-22 김규혁 내진용 앵커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132B1 (ko) * 2019-02-12 2020-05-26 이광하 어스앵커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258Y1 (ko) * 2000-01-19 2000-06-15 주은만 앵커볼트의 로킹장치
KR200346685Y1 (ko) * 2003-12-16 2004-04-08 김대근 일체형 앵커 볼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872Y1 (ko) * 2011-06-30 2013-09-11 스프렁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천막의 빔 고정을 위한 펙
KR101293672B1 (ko) * 2011-07-06 2013-08-13 주식회사 젠트로 앵커 장치
KR102106039B1 (ko) * 2019-12-12 2020-04-29 주식회사 이수 이엔씨 철도 콘크리트 침목 보강용 스프링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28690A (ko) 2021-03-15 2022-09-22 김규혁 내진용 앵커볼트
KR102389022B1 (ko) * 2021-06-15 2022-04-20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통신단자함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298B1 (ko)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298B1 (ko) 탄성 고정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구조물
KR101329054B1 (ko) 지반용 앵커
US5100273A (en) Expansion fastening system with quick lock and release
US20070169820A1 (en) Protective barrier for piping and cabling
KR100825484B1 (ko) 정착식 네일링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145429B1 (ko) 앵커볼트
EP1972799A1 (en) Adjusting screw for door frames and window casings
KR101410397B1 (ko) 타격쐐기를 구비한 다중 확장 영구앵커 구조체
EP2872708B1 (en) A unit fixing insulation to a wall
RU2674038C1 (ru) Трубчатый анкер
KR102328293B1 (ko) 조적 보강 구조물
KR200169397Y1 (ko) 앵커볼트겸용 풀림방지볼트
KR101358994B1 (ko) 다중 확장 영구앵커 시공 방법
KR200416815Y1 (ko)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KR200402350Y1 (ko)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
KR20190002896U (ko) 천장용 세트앵커
KR200446223Y1 (ko) 앵커볼트
KR20050031078A (ko)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
KR20180112357A (ko)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3091993U (ja) 壁面外装地補修部材
KR200412645Y1 (ko) 앵커볼트
KR102199345B1 (ko) 드롭인 앙카 타격용 지그
KR20090001363U (ko) 스트롱 앙카
TWM620327U (zh) 撐開螺絲
CN203822055U (zh) 锚固机构及使用该锚固机构的窗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