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481A - 누전 방지용 가로등 - Google Patents

누전 방지용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481A
KR20110006481A KR1020090064131A KR20090064131A KR20110006481A KR 20110006481 A KR20110006481 A KR 20110006481A KR 1020090064131 A KR1020090064131 A KR 1020090064131A KR 20090064131 A KR20090064131 A KR 20090064131A KR 20110006481 A KR20110006481 A KR 20110006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llast
support frame
column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6197B1 (ko
Inventor
김찬희
Original Assignee
김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희 filed Critical 김찬희
Priority to KR1020090064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1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6Fastening of transformers or ball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전방지용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등의 침수시 등주 내부에 설치된 안정기가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여 누전 및 행인의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램프유니트가 설치된 등주와, 등주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압력에 의해 상부는 물이 차오르지 않도록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통형의 커버와,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된 친수성 코팅막과, 등주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커버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안정기를 포함하는 안정기 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로등의 침수시 등주 내부에 설치된 커버의 내부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부측까지 물에 잠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누전기 등 전기 기기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행인의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된 친수성 코팅막에 의해 커버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나, 커버의 하부를 통해 유입되는 습기에 의해 커버 내측면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현상을 방지하여 안정기 모듈을 습기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다.
가로등, 등주, 커버, 안정기, 누전, 침수, 감전, 코팅막

Description

누전 방지용 가로등{Electric leakage preventive street lamp}
본 발명은 누전방지용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등의 침수시 등주 내부에 설치된 안정기가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여 누전 및 행인의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 및 인도의 양측을 따라 세워지는 가로등은 지면에 세워진 등주의 상부에 램프가 장착된 구조이다.
주로 램프로 사용되는 형광등이나 수은등과 같은 방전등은 아크방전에 의한 발광을 이용한다. 이러한 방전등은 아크방전을 일으킬 때 램프의 전압을 그대로 인가하게 되면 부하특성에 의해 전류가 계속 증가하므로 전류를 안정시키기 위한 안정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안정기는 등주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가로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등주의 최하부로부터 약 30~40cm 높이에 걸어 고정한 안정기는 인입선 및 인출선을 연결하고, 다시 안정기로부터 램프로 선을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부분들을 고무 또는 비닐 재질의 절연재로 테이핑 하는 것으로 마무리하기 때문에 완전한 방수처리가 되지 못하는 것이다.
안정기는 등주의 내부에 있기는 하지만 등주 자체가 빗물 차단을 크게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둥 속으로 떨어지는 빗물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으며, 특히 등주의 밑에서부터 차 오르는 물에 대해서는 전혀 대비책이 없기 때문에 우천시 도로가 침수되었을 경우, 가로등에 설치된 안정기가 누전되는 실정이다.
더구나 침수로 인해 누전된 상태에서 가로등 근처를 지나는 행인이 감전되는 안전상의 더 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우천 등으로 인한 가로등의 침수시에 등주의 내부에 설치된 안정기가 물에 잠기지 않아 누전을 방지 하고 행인을 보호할 수 있는 가로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로등이 침수되지 않더라도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나 습기의 유입에 의해 안정기가 설치되는 커버의 내측면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기가 수분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로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누전방지용 가로등은 램프유니트가 설치된 등주와; 상기 등주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압력에 의해 상부는 물이 차오르지 않도록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통형의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된 친수성 코팅막과; 상기 등주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커버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안정기를 포함하는 안정기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정기 모듈은 상기 안정기가 장착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상호 마주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및 제 2걸림턱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수직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커버의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시 상기 제 1 및 제 2걸림턱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걸림턱과 대향되는 위치에 제 1 및 제 2절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및 제 2걸림턱의 상면에 각각 안착되는 제 1 및 제 2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로등의 침수시 등주 내부에 설치된 커버의 내부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부측까지 물에 잠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누전기 등 전기 기기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행인의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커버의 내측에 안정기의 탈착구조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된 친수성 코팅막에 의해 커버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나, 커버의 하부를 통해 유입되는 습기에 의해 커버 내측면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현상을 방지하여 안정기 모듈을 습기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전방지형 가로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의 요부를 발췌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커버의 내부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용 가로등은 크게 등주(10)와, 커버(20)와, 안정기 모듈(30)을 구비한다.
등주(10)는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수직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에는 램프유니트가 설치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램프유니트는 등주(10)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되는 연장로드와 연장로드의 단부에 설치되는 발광램프를 포함하는데, 램프유니트(130)는 일반적인 가로등(100)의 램프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등주(10)는 하단에 플랜지(13)가 형성된다. 플랜지(13)에는 앵커볼트(5)가 삽입될 체결공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플랜지(13)의 하부에는 콘크리트 기초물(3)이 위치한다. 콘크리트 기초물(3)에는 다수의 앵커볼트(5)가 설치되어 등주의 플랜지(13)와 체결된다. 콘크리트 기초물(3)의 중앙에는 파이프(7)가 내설되며, 파이프(7)를 통해 등주(10) 외부에서 등주(10) 내부로 인입되어 안정기(37), 램프 등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9)이 설치된다.
등주(10)는 내부가 빈 중공체로 형성되는 데, 등주(10)의 형상은 도시된 원형 외에도 육각형, 팔각형 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등주(10)의 측면에는 등주(10)의 내부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구가 형성되고, 점검구는 등주(10)의 측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탈부착이 가능한 덮개(15)에 의해 평상시에 폐쇄된다. 점검구는 등주(10)의 하단에서 일정 높이로 형성된다.
등주(10)의 내부에는 커버(20)가 설치된다. 커버(2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는 개방된 구성을 갖는다. 커버(20)는 외경이 등주(10)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등주(10)의 하단부를 통해 삽입시켜 등주(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커버(20)의 측면에는 점검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21)이 형성된다. 커버의 상하 길이는 등주의 하단에서부터 점검구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커버(20)는 하단부가 콘크리트 기초물(3)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등주(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커버(20)의 하단부는 콘크리트 기초물(3)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20)를 등주(10)의 내부에 지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지지수단(미도시)이 마련된다. 지지수단의 일 예로 커버(20)의 외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걸림홈과 대응되는 등주(10)의 내주면에는 걸림턱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20)를 등주(10) 하부측에서 상부로 밀어넣게 되면 걸림턱에 걸림홈이 걸려 고정된다. 이외에도 통상적인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등주(10)의 내부에 커버(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커버(10)의 형상은 도면에서 원통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사각 또는 타원형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커버(10)의 상하길이는 안정기 설치높이를 고려하여 물이 차오르지 않는 높이 이상으로 길게 형성되면 충분하다.
그리고 커버(20)의 내측면에 친수성 코팅막(70)이 형성된다. 친수성 코팅막(70)은 안정기 모듈이 설치되는 상부측 내측면에 형성된다. 이와 달리 커버(20) 내측면 전체에 친수성 코팅막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친수성 코팅 막(70)에 의해 커버(20)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나, 커버(20)의 하부를 통해 유입되는 습기에 의한 커버(20) 내측면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내부에 설치되는 안정기 모듈을 습기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다. 친수성 코팅막(70)은 커버(20)의 내부로 유입된 습기가 커버(2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경우 물방울을 맺게 하지 않은 채 확산시켜 커버(20)의 내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흘러내리도록 한다.
상기 친수성 코팅막(70)은 실란 화합물 TEOS(tetraethyl orthosilicate) 또는 TMOS(tetramethyl orthosilicate)를 초친수화 화학반응이 가능한 실란화합물 및 계면활성제와 액상에서 혼합 반응시킨 실리카 코팅용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초친수화 화학반응이 가능한 표면작용기를 가진 실란화합물은 형성된 친수성 코팅막(70)의 기공 내외부에 초친수화 화학반응이 가능한 표면작용기를 도입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표면작용기는, 바람직하게는 -메르캅토(mercapto), -페닐(phenyl), -비닐(vinyl)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작용기를 가진 실란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트리알콕시(trialkoxy)기를 가진 실란 커플링(silane coupling) 화합물 또는 트리할로겐 (trihalogen)기를 가진 실란 커플링 화합물이다. 그리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pluronic type)이다.
커버(20)의 내부에는 안정기 모듈(30)이 설치된다. 안정기 모듈(30)은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장착된 안정기(40)로 구비된다. 지지프레임은 수평플레이트(31)와, 수평플레이트(31)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플레이트(37)로 이루어진다. 안정기(40)는 통상적인 구조로서, 박스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41)로 둘러싸인다. 안정기(40) 표면은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수재로 코팅처리된다. 안정기(40)는 등주(10)로 인입된 전원케이블(9)과 연결되어 전류의 증가를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램프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커버(20)의 내부에는 누전을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누전차단기(80)가 설치될 수 있다. 안정기(40)의 상부에 고리(43)가 형성되고, 고리(43)는 수직플레이트(37)에 형성된 돌기(45)에 걸리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안정기 모듈(30)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커버(20)의 내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커버(20)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50)가 형성된다. 고정부(50)는 등주(10)의 침수시 물이 차오르지 않는 높이에 설치된다.
고정부(50)는 커버(20)의 내주면에 상호 마주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및 제 2걸림턱(51)(55)으로 구비된다. 제 1걸림턱(51)은 커버(20) 내주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커버(2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걸림턱(55)은 제 1걸림턱(51)과 마주하는 방향에 형성되고, 제 1걸림턱(51)을 향해 돌출된다. 제 1걸림턱(51) 및 제 2걸림턱(55)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수평플레이트(31)는 일측에 절제되어 형성된 제 1절제부(33)가 마련되고, 제 1절제부(33)의 건너편 방향에 절제되어 형성된 제 2절제부(34)가 마련된다. 제 1절제부(33)와 제 2절제부(34) 사이의 거리는 제 1걸림턱(51)과 제 2걸림턱(55)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절제부 사이에는 호형으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안착부(35)(37)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안정기 모듈(30)을 커버(20)의 내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개방된 커버(20)의 하부 또는 커버(2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21)을 통해서 안정기 모듈(30)을 삽입한 후 제 1 및 제 2걸림턱(51)(55)의 높이까지 안정기 모듈(30)을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걸림턱(51)(55)에 대하여 제 1및 제 2절제부(33)(34)가 나란하도록 지지프레임을 위치시킨다. 제 1절제부(33)와 제 2절제부(34) 사이는 제 1걸림턱(51)과 제 2걸림턱(55)의 이격거리보다 더 좁기 때문에 안정기 모듈(30)은 제 1걸림턱(51) 및 제 2걸림턱(55)을 통과한다. 안정기 모듈(30)을 제 1걸림턱(51) 및 제 2걸림턱(55)보다 더 높게 통과시킨 후 안정기 모듈(30)을 약 90도 회전시키면 수평플레이트의 제 1안착부(35)가 제 1걸림턱(51)의 상면에 안착되고, 제 2안착부(36)는 제 2걸림턱(55)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안정기 모듈(30)을 가만히 놓게 되면 안정기 모듈(30)이 커버(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정기 모듈을 커버의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정기 모듈(30)의 탈부착이 간편하다.
한편, 도시된 바와 달리 고정부는 커버(2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수직플레이트(37)에는 상기 돌기에 걸리는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35)(37)을 생략한 채 안정기(40) 자체를 커버(20)의 내측 상부에 고정시켜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가로등은 우천시 등주(10)가 물에 잠기더라도 안정기(40) 등의 전기장치가 설치된 커버(20)의 내측 상부가 물에 잠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커버(20)의 내부 상부측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이 대기압 이상으로 압축되면 더 이상 물이 차오르지 않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의 요부를 발췌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커버의 내부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콘크리트 기초물 9: 전원케이블
10: 등주 13: 플랜지
20: 커버 30: 안정기 모듈
31: 수평플레이트 37: 수직플레이트
40: 안정기 51: 제 1걸림턱
55: 제 2걸림턱 70: 코팅막

Claims (3)

  1. 램프유니트가 설치된 등주와;
    상기 등주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압력에 의해 상부는 물이 차오르지 않도록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통형의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된 친수성 코팅막과;
    상기 등주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커버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안정기를 포함하는 안정기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방지용 가로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 모듈은 상기 안정기가 장착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방지용 가로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상호 마주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및 제 2걸림턱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수직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커버의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 시 상기 제 1 및 제 2걸림턱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걸림턱과 대향되는 위치에 제 1 및 제 2절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및 제 2걸림턱의 상면에 각각 안착되는 제 1 및 제 2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방지용 가로등.
KR1020090064131A 2009-07-14 2009-07-14 누전 방지용 가로등 KR101156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131A KR101156197B1 (ko) 2009-07-14 2009-07-14 누전 방지용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131A KR101156197B1 (ko) 2009-07-14 2009-07-14 누전 방지용 가로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481A true KR20110006481A (ko) 2011-01-20
KR101156197B1 KR101156197B1 (ko) 2012-06-18

Family

ID=4361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131A KR101156197B1 (ko) 2009-07-14 2009-07-14 누전 방지용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1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1051A (zh) * 2016-03-30 2016-08-10 龚燕玲 一种稳固耐用led路灯用固定装置
CN112304368A (zh) * 2020-10-26 2021-02-02 南京南邮信息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具有倒伏预警和漏电检测功能的智慧路灯杆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330Y1 (ko) 2001-08-13 2001-12-01 안희석 가로등 누전방지장치
KR100588312B1 (ko) * 2001-12-12 2006-06-13 김구환 상부 밀폐형 전력용 제어함
KR100711835B1 (ko) * 2006-09-04 2007-05-02 주식회사 삼광산전 가로등의 침수시 기기보호를 위한 누전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1051A (zh) * 2016-03-30 2016-08-10 龚燕玲 一种稳固耐用led路灯用固定装置
CN112304368A (zh) * 2020-10-26 2021-02-02 南京南邮信息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具有倒伏预警和漏电检测功能的智慧路灯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6197B1 (ko)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37084A1 (en) Mast lighting system
KR100978210B1 (ko) 배전함 지중 승하강 장치
KR101807991B1 (ko) 가로등용 지주의 방습구조.
US6303857B1 (en) Mast lighting system
KR101156197B1 (ko) 누전 방지용 가로등
KR100711835B1 (ko) 가로등의 침수시 기기보호를 위한 누전방지장치
KR100913486B1 (ko) 2개의 절연링을 구비한 감전예방 가로등
KR102520526B1 (ko)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
KR200391984Y1 (ko) 가로등주의 방습 및 방진용 고무 밑판
KR200378336Y1 (ko) 가로등 지주 설치구조
KR101118682B1 (ko) 지주의 결합구조
KR100954832B1 (ko) 지주 매입형 분전함
KR100905889B1 (ko) 등주 설치용 기초 구조체
KR101350834B1 (ko) 점검구에 대한 보강구조를 갖는 가로등용 지주
KR100793440B1 (ko) 가로등
KR200254330Y1 (ko) 가로등 누전방지장치
CN210637928U (zh) 一种路灯微电流控制器
KR200278459Y1 (ko) 절연기능을 갖는 지주
KR200464098Y1 (ko) 가로등 단자함이 포함된 가로등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기구
KR101155499B1 (ko) 방수 구조의 가로등주
KR20120110851A (ko) 가로등지주 고정용 기초블록
KR100538676B1 (ko) 절연기능을 갖는 등주
KR20160033889A (ko) 가로등
KR200429820Y1 (ko) 탄성부재를 구비한 등주
KR100708008B1 (ko) 건축외곽 가로등의 감전예방 시설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