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526B1 -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 - Google Patents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526B1
KR102520526B1 KR1020220168653A KR20220168653A KR102520526B1 KR 102520526 B1 KR102520526 B1 KR 102520526B1 KR 1020220168653 A KR1020220168653 A KR 1020220168653A KR 20220168653 A KR20220168653 A KR 20220168653A KR 102520526 B1 KR102520526 B1 KR 102520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le
terminal box
control box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양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양테크
Priority to KR1020220168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03Access covers or lock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이나 신호등, CCTV와 같은 도로변의 시설을 제어하기 위해 가로등이나 신호등, CCTV구조체에 설치되는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 또는 신호등 및 CCTV의 지주와 일체로 형성하여 단자함이 일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우천시 배선처리된 전원케이블을 타고 단자함 내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단자함 내부에 설치되는 여러 가지 전기 부품은 물론 전자제어기를 침수나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Control box integral metal column with improved waterproofing}
본 발명은 가로등이나 신호등, CCTV와 같은 도로변의 시설을 제어하기 위해 가로등이나 신호등, CCTV구조체에 설치되는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 또는 신호등 및 CCTV의 지주와 일체로 형성하여 단자함이 일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우천시 배선처리된 전원케이블을 타고 단자함 내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단자함 내부에 설치되는 여러 가지 전기 부품은 물론 전자제어기를 침수나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야간에 빛을 비추기 위하여 인도 또는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행이나 사람의 통행을 돕는다. 이러한 가로등은 고속도로, 시가지의 주요 도로, 상업지구의 도로, 주택지구의 도로 등에 설치되며, 설치장소에 따라 그에 적합한 구조(예를 들면, 모양이나 밝기)로 설치될 수 있다.
가로등은 빛을 출력하는 광원, 광원을 지지하는 지주, 그리고 지주의 내부에 설치되어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된다. 이 경우, 전원공급부는 전원 케이블, 단자 및 스위치 등과 같이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들 구성은 가로등 단자함에 내장되며, 이 가로등 단자함을 지주에 장착함으로써 지주에 전원 공급부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주에 설치되는 단자함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 실용신안등록 제20-0457709호(등록일: 2011년 12월 23일) 가로등용 단자함은, 일측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가로등주에 설치되는 수용함과, 상기 수용함의 개방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 가로등용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하 회동되면서 상기 수용함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수용함과 커버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부, 상기 커버를 수용함에 체결시키도록 상기 수용함과 커버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커버의 상측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함의 상측 테두리 부위를 감싸도록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된 가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단자함을 측면에서 바라본 경우 상기 체결부에 비해 상기 가로등주의 표면에 근접되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와 체결부의 연결선이 경사를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 공개 실용신안 제20-2008-0001514호(공개일: 2008년 06월 03일) 가로등 전용 방수형 단자함은, 가로등 전용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 하부 중앙에 체크밸브가 일체로 구비된 J자형 트랩을 설치하고, 상기 단자함 상부측 일면에 전원케이블을 밀폐구조로 배선연결되게 하는 전선유도패킹을 더 설치결합 되게 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로등주의 내부에 설치되는 단자함의 경우 가로등주의 크기에 따라서 단자함의 크기가 한정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근래 IT기기와 연동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을 단자를 내부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가로등주의 외부에 설치되는 단자함의 경우 단자함이 설치되고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 케이블의 연결구멍을 밀폐하는 고무패킹과 같은 밀폐부재가 외부환경에 의하여 부식되어 빗물이 쉽게 케이블을 타고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709호(등록일: 2011년 12월 23일) "가로등용 단자함"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1514호(공개일: 2008년 06월 03일) "가로등 전용 방수형 단자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주의 중앙부분에 단자함을 설치하여 단자함이 형성된 가로등이나 신호등의 돌출정도를 최소화하여 사람이나 차량의 통행에 방해를 최소화 함과 동시에 지주의 상부에서 유입되는 케이블이 단자함의 내불로 직접 인입되지 않고 단자함의 외측으로 통하여 하부에서 인입되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케이블을 통하여 빗물이나 습기가 단자함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누전 및 감전사고 등의 원인의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단자함을 지주의 중앙부분에 설치하더라도 견고한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 개방부와 내부에 누전차단기, 안정기, 트랜스, 점멸기 등과 같은 각종 전기/전자기기들이 설치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에 복수 개의 체결공과 하면에 복수 개의 체결공과 구멍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ㄷ" 형태의 단면을 갖으며 내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안내부가 형성되는 함체 형태의 수용함과, 상기 개방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함의 일측에 힌지로 연결되는 도어로 구성된 단자함, 상기 단자함의 상면에 조립되며 가로등이나 신호등의 지주이거나 또는 지주와 연결되며 내부에 가로등램프 또는 신호등램프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형성되며 일측에 케이블관통공이 형성된 지주부와, 하단부에 외주면에 복수 개의 체결구멍과 유도공이 형성된 상부플랜지 및, 상기 지주부와 상부플렌지를 연결하는 보강리브으로 구성된 상부지주, 상기 단자함의 하면에 조립되며 가로등이나 신호등의 지주이거나 또는 지주와 연결되며 일측에 케이블관통공이 형성된 지주부와, 상단부에 중앙부분에 케이블유입공과 외주면에 복수 개의 체결구멍 및 유도공이 형성된 하부플랜지 및, 상기 지주부와 하부플렌지를 연결하는 보강리브으로 구성된 하부지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함의 후방 모서리 부분과 도어의 외측 모서리부분은 보행자와 충돌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라운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함의 케이블안내부 양측으로 복수 개의 고정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어 케이블안내부를 감싸 노출을 방지하는 한 쌍의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지주에 형성된 케이블관통공과 유도공을 연결하고, 하부지주에 형성된 케이블관통공과 유도공을 연결하여 케이블의 노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케이블관통공이나 유도공으로 빗물이나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케이블보호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은, 단자함의 외측으로 형성된 케이블안내부의 구성을 통하여 지주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케이블이 단자함으로 직접 인입되지 않고 케이블안내부를 통하여 단자함의 바닥부분으로 유도된 상태에서 바닥부분에서 단자함 내부로 인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케이블을 통하여 유입되는 빗물이나 습기가 단자함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단자함의 하부에서 외부로 자연제거되는 형태를 갖음으로서 빗물이나 습기가 단자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지함의 내부로 빗물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잡한 구성이 불필요하여 단자함의 제조비용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단자함 내부의 구성에도 변화가 없어 단자함의 정비 및 내부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 안정기, 트랜스, 점멸기 등과 같은 각종 전기/전자 기기들의 설치를 이물감 없이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 중 단자함 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B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6의 C부분의 확대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 중 단자함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B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가로등이나 신호등, CCTV와 같은 도로변의 시설을 제어하기 위해 가로등이나 신호등, CCTV구조체에 설치되는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 또는 신호등 및 CCTV의 지주와 일체로 형성하여 단자함이 일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우천시 배선처리된 전원케이블을 타고 단자함 내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단자함 내부에 설치되는 여러 가지 전기 부품은 물론 전자제어기를 침수나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에 관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이하, '일체형 단자함'이라 한다)(100)는, 크게 단자함(10)과, 상기 단자함(10)의 상부에 조립되며 지주와 연결되는 상부지주(20)와, 단자함(10)의 하부에 조립되며 지주와 연결되는 하부지주(30)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함(10)은 일측에 개방부(11)와 내부에 누전차단기, 안정기, 트랜스, 점멸기 등과 같은 각종 전기/전자기기들이 설치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상면(12)과 하면(13)에 복수 개의 체결공(121, 131)이 형성되는 함체 형태의 수용함(14)과, 상기 개방부(11)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함(14)의 일측에 힌지(미도시)로 연결되는 도어(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함(14)의 하면(13) 중앙부분에는 케이블(200)이 유입되는 구멍(1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방부(11)의 외측으로는 도어(15)가 밀폐시 빗물 또는 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절곡된 밀폐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111)가 도어(15)의 내측으로 끼움되며 결합되어 단자함(10)의 수용공간(S)을 밀폐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함(14)의 후방 모서리 부분과 도어(15)의 외측 모서리부분은 라운드처리되어 만약 보행자가 단자함(100)과 충돌하도라도 보행자가 충돌부분의 찢어짐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함(14)의 양측으로는 대략 "ㄷ" 형태의 단면을 갖으며 내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안내부(16)가 볼트 체결방식 또는 스폿용접방식등으로 수용함(14)의 양측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안내부(16)의 양측으로 복수 개의 고정브라켓(17)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안내부(16)는 고정브라켓(17)에 고정되며 케이블 안내부(16)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 케이블안내부(16)가 노출되는 노출공(181)이 형성된 한 쌍의 커버(18)에 의하여 외부노출이 방지된다.
상기 상부지주(20)는 가로등이나 신호등의 지주이거나 또는 상기 지주와 연결되며 내부에 상부의 가로등이나 신호등과 연결되는 케이블(200)이 형성되는 지주부(21)와, 상기 지주부(21)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복수 개의 체결구멍(221)이 형성된 상부플랜지(22)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부(21)는 원통형 또는 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갖는 각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플랜지(22)는 외주면에 상기 수용함(14)의 상면(12)에 형성된 체결공(12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체결구멍(221)과 양측에 대략 "ㄷ" 형태를 갖는 한 쌍의 보강리브(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23)의 내측에는 지주부(21)에 형성되어 내부에 형성된 케이블(200)이 인출되는 케이블관통공(211)과 상부플랜지(22)에는 상기 케이블안내부(16)로 케이블을 유도하는 유도공(222)이 형성되어 지주부(21) 내부에 형성된 케이블(200)이 케이블 관통공(21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유도공(222)을 통하여 케이블안내부(16)로 유입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케이블관통공(211)과 유도공(222)은 외측에서 케이블보호관(24)으로 연결되어 케이블(200)의 외부노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케이블관통공(211)이나 유도공(222)으로 빗물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주(30)는 가로등이나 신호등의 지주이거나 또는 상기 지주와 연결되며 내부로 단자함(10)의 케이블안내부(16)를 통하여 유입되는 케이블(200)이 수용되는 지주부(31)와, 상기 지주부(31)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케이블유입공(321)과 외주면에 복수 개의 체결구멍(322)이 형성된 하부플랜지(32)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부(31)는 원통형 또는 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갖는 각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케이블관통공(31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랜지(32)는 수용함(14)의 하면(13)에 형성된 구멍(132) 연통되게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케이블유입공(321)과 외주면에 상기 수용함(14)의 하면(13)에 형성된 체결공(13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체결구멍(322)과 상기 케이블안내부(16)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유도공(323) 및 양측에 대략 "ㄷ" 형태를 갖는 한 쌍의 보강리브(3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관통공(311)과 유도공(323)은 보강리브(33)의 내부측에 형성되며 특히, 상기 케이블관통공(311)과 유도공(323)은 외측에서 케이블보호관(34)으로 연결되어 케이블(200)의 외부노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케이블관통공(311)이나 유도공(323)으로 빗물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하부지주(30)의 구성에 의하여 단자함(10)의 외측에 형성된 케이블안내부(16)에서 유입되는 케이블(200)이 하부지주(30)의 하부플랜지(32)에 형성된 유도공(323)을 관통하여 지주부(31)에 형성된 케이블관통공(311)을 통하여 지주부(31) 내부로 유입되고, 케이블(200)의 단부가 상부로 이동하여 케이블유입공(321)과 수용함(14)에 형성된 구멍(132)을 관통하여 수용공간(S)에 형성된 누전차단기, 안정기, 트랜스, 점멸기 등과 같은 각종 전기/전자기기들과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의 케이블 연결형태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등이나 신호등의 상부에 형성되는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케이블(200)은 가로등이나 신호등의 하부에 형성된 단자함으로 연결되는데, 상부에서 유입되는 케이블(200)은 상부지주(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지주부(21)에 형성된 케이블관통공(211)을 통하여 지주부(21) 외부로 인출되고, 다시 상부플랜지(22)에 형성된 유도공(222)으로 인입되어 상기 유도공(222)의 하부에 동일선상에 위치된 케이블안내부(16)로 인입되어 전자기기들이 설치된 수용함(14)의 외측에서 하부측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안내부(16)를 통하여 단자함(10)의 하부측으로 이동한 케이블(200)은 상기 케이블안내부(16)와 동일선상에 형성된 하부플랜지(32)의 유도공(323)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다시 하부지주(30)의 지주부(31)에 형성된 케이블관통공(311)을 통하여 하부지주(30) 내부로 인입되고, 인입된 케이블(200)은 하부플랜지(32)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케이블유입공(321)과 동일선상에 형성된 수용함(14)의 구멍(132)을 관통하여 전자기기들이 설치된 수용공간(S)으로 유입되어 각종 전자기기들과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에서 단자함으로 유입되는 케이블(200)은 단자함(10)의 내부로 직접 인입되지 않고 단자함(10)의 외부에 형성된 케이블안내부(16)를 통하여 단자함(10)의 하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단자함(10)의 바닥부분을 통하여 수용공간(S)으로 유입되는 대략 "U" 형태로 케이블이 유입됨으로써 케이블을 타고 유입될 수 있는 빗물이나 습기가 "U" 형태로 꺽인부분을 통하여 하부지주(3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지면으로 배출되어 제거됨으로서 단자함(10)으로 빗물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빗물 또는 습기가 단자함 내부로 유입되어 발생될 수 있는 누전이나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은, 단자함의 외측으로 형성된 케이블안내부의 구성을 통하여 지주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케이블이 단자함으로 직접 인입되지 않고 케이블안내부를 통하여 단자함의 바닥부분으로 유도된 상태에서 바닥부분에서 단자함 내부로 인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케이블을 통하여 유입되는 빗물이나 습기가 단자함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단자함의 하부에서 외부로 자연제거되는 형태를 갖음으로서 빗물이나 습기가 단자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으며, 더욱이, 단지함의 내부로 빗물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잡한 구성이 불필요하여 단자함의 제조비용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단자함 내부의 구성에도 변화가 없어 단자함의 정비 및 내부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 안정기, 트랜스, 점멸기 등과 같은 각종 전기/전자 기기들의 설치를 이물감 없이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단자함 11 : 개방부
111 : 밀폐부 12 : 상면
121 : 체결공 13 : 하면
131 : 체결공 132 : 구멍
14 : 수용함 15 : 도어
16 : 케이블안내부 17 : 고정브라켓
18 : 커버 181 : 노출공
20 : 상부지주 21 : 지주부
211 : 케이블관통공
22 : 상부플랜지 221 : 체결구멍
222 : 유도공 23 : 보강리브
24 : 케이블보호관
30 : 하부지주 31 : 지주부
311 : 케이블관통공
32 : 하부플랜지 321 : 케이블유입공
322 : 체결구멍 323 : 유도공
200 : 케이블

Claims (4)

  1.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에 있어서,
    상기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100)은,
    일측에 개방부(11)와 내부에 누전차단기, 안정기, 트랜스, 점멸기 등과 같은 각종 전기/전자기기들이 설치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상면(12)에 복수 개의 체결공(121)과 하면(13)에 복수 개의 체결공(131)과 구멍(132)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ㄷ" 형태의 단면을 갖으며 내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안내부(16)가 형성되는 함체 형태의 수용함(14)과, 상기 개방부(11)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함(14)의 일측에 힌지(미도시)로 연결되는 도어(15)로 구성된 단자함(10);
    상기 단자함(10)의 상면(12)에 조립되며 가로등이나 신호등의 지주이거나 또는 지주와 연결되며 내부에 가로등램프 또는 신호등램프와 연결되는 케이블(200)이 형성되며 일측에 케이블관통공(211)이 형성된 지주부(21)와, 하단부에 외주면에 복수 개의 체결구멍(221)과 유도공(222)이 형성된 상부플랜지(22) 및, 상기 지주부(21)와 상부플렌지(22)를 연결하는 보강리브(23)으로 구성된 상부지주(20);
    상기 단자함(10)의 하면(13)에 조립되며 가로등이나 신호등의 지주이거나 또는 지주와 연결되며 일측에 케이블관통공(311)이 형성된 지주부(31)와, 상단부에 중앙부분에 케이블유입공(321)과 외주면에 복수 개의 체결구멍(322) 및 유도공(323)이 형성된 하부플랜지(32) 및, 상기 지주부(31)와 하부플렌지(32)를 연결하는 보강리브(33)으로 구성된 하부지주(30);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함(14)의 케이블안내부(16) 양측으로 복수 개의 고정브라켓(17)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17)에 결합되어 케이블안내부(16)를 감싸 노출을 방지하는 한 쌍의 커버(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함(14)의 후방 모서리 부분과 도어(15)의 외측 모서리부분은 보행자와 충돌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라운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주(20)에 형성된 케이블관통공(211)과 유도공(222)을 연결하고, 하부지주(30)에 형성된 케이블관통공(311)과 유도공(323)을 연결하여 케이블의 노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케이블관통공(211, 311)이나 유도공(222, 323)으로 빗물이나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케이블보호관(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
KR1020220168653A 2022-12-06 2022-12-06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 KR102520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653A KR102520526B1 (ko) 2022-12-06 2022-12-06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653A KR102520526B1 (ko) 2022-12-06 2022-12-06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526B1 true KR102520526B1 (ko) 2023-04-12

Family

ID=8598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653A KR102520526B1 (ko) 2022-12-06 2022-12-06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413B1 (ko) * 2023-06-28 2023-09-26 주식회사 세타 신호등주 삽입설치용 브래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514U (ko) 2006-11-29 2008-06-03 곽정주 가로등 전용 방수형 단자함
KR200456571Y1 (ko) * 2010-11-26 2011-11-09 현대위성네트워크(주) 제어함이 일체로 이루어진 분리형 지주
KR200457709Y1 (ko) 2010-03-10 2011-12-29 이행종 가로등용 단자함
KR20210085227A (ko) * 2019-12-30 2021-07-08 루이산업기술(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연약지반용 태양광 구조물 지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514U (ko) 2006-11-29 2008-06-03 곽정주 가로등 전용 방수형 단자함
KR200457709Y1 (ko) 2010-03-10 2011-12-29 이행종 가로등용 단자함
KR200456571Y1 (ko) * 2010-11-26 2011-11-09 현대위성네트워크(주) 제어함이 일체로 이루어진 분리형 지주
KR20210085227A (ko) * 2019-12-30 2021-07-08 루이산업기술(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연약지반용 태양광 구조물 지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413B1 (ko) * 2023-06-28 2023-09-26 주식회사 세타 신호등주 삽입설치용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0526B1 (ko)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
KR100978210B1 (ko) 배전함 지중 승하강 장치
KR200424386Y1 (ko) 가로등 기둥의 결합구조
KR100711835B1 (ko) 가로등의 침수시 기기보호를 위한 누전방지장치
KR100647489B1 (ko) 가로등용 단자함
KR100954832B1 (ko) 지주 매입형 분전함
KR101796182B1 (ko) 삼단 일체형 cctv 지주
KR200442536Y1 (ko) 가로등용 분전함
KR101292282B1 (ko) 프리캐스트 일체형 전기박스 등 기초
KR20080001514U (ko) 가로등 전용 방수형 단자함
KR101350834B1 (ko) 점검구에 대한 보강구조를 갖는 가로등용 지주
KR200254330Y1 (ko) 가로등 누전방지장치
KR20070083133A (ko) 가로등의 누전 방지 장치
KR102040925B1 (ko) 보안 등기구 아암
KR200359003Y1 (ko) 안전커버
KR101156197B1 (ko) 누전 방지용 가로등
KR100793440B1 (ko) 가로등
KR101307975B1 (ko) 무감전장치를 갖는 입설지주
KR100708008B1 (ko) 건축외곽 가로등의 감전예방 시설구조
KR101348397B1 (ko) 폴형 분전함
KR20090004195U (ko) 가로등의 안전장치
KR101144640B1 (ko) 신호등용 frp 맨홀 조립체
KR100880565B1 (ko) 강교용 조명장치
KR20140004887U (ko) 안전기 커버 설치구조가 개선된 가로등주
JP2020036408A (ja) 仮送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