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576A - 입체자수방법 - Google Patents

입체자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576A
KR20110005576A KR1020090063206A KR20090063206A KR20110005576A KR 20110005576 A KR20110005576 A KR 20110005576A KR 1020090063206 A KR1020090063206 A KR 1020090063206A KR 20090063206 A KR20090063206 A KR 20090063206A KR 20110005576 A KR20110005576 A KR 20110005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roidery
thread
main fabric
dimensional
embroid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1735B1 (ko
Inventor
조병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풍
Priority to KR1020090063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735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05C17/02Tufte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atic Embroidering For 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자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단가를 높이지 않고도 외관상 미적 입체감 및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입체자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자수방법은 기존의 일반적인 자수기로 자수하되, 메인원단 및 제 1 분리용 시트를 적층한 제 1 자수대상물을 1 차 자수한 후, 제 1 자수대상물에 제 2 분리용 시트를 적층한 후 제 2 자수대상물을 2 차 자수함에 따라, 입체 자수의 길이가 길고 고르기 때문에 입체감 및 미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아랫실을 저온융착사로 형성하여, 이를 저온 융착시켜 메인원단에 고정시킴에 따라 작업시간 감소로 전체적인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 2 자수대상물의 상단 부분을 절단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입체자수방법, 자수(잔디)의 밀도, 저온 융착

Description

입체자수방법{METHOD FOR EMBROIDERING SOLID}
본 발명은 입체자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단가를 높이지 않고도 외관상 미적 입체감 및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입체자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수(刺繡)는 수지나 가죽, 시트 등과 같은 원단에 다수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상표, 문자, 숫자 또는 도형 등과 같은 다양한 자수무늬를 수놓아 미적인 아름다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자수무늬를 특정의 대상물 표면에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다양한 방식의 자수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수기는 대상, 특히, 가죽, 천 등과 같은 원단에 다양한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문지 디스켓에서 지정하는 문양 또는 도안을 자수하게 되는 것으로, 자수기의 바늘 고정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바늘 사이의 간격(4/4, 8/4, 12/4, 16/4 등)에 따라 문지 디스켓에서 동작되는 자수바늘을 선택하여 자수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일반적인 자수기에 의해 가공된 자수무늬는 그 형성된 무늬 의 평면감이 극히 두드러져 입체감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자수무늬의 입체감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 또는 자수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일 예로, 국내실용신안공보 제20-0339540호(선출원)에는 메인원단의 상면에 잔디와 같은 효과를 줌으로써 자수무늬의 입체감 구현이 가능한 입체자수물품 및 이를 위한 자수방법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선출원의 자수방법을 보면, 자수의 대상물을 준비하되, 하부에 우븐원단을 평면 상태로 깔고, 그 우븐원단의 상면에 폴리우레탄을 깔며, 그 폴리우레탄의 상면에 메인원단을 깐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준비된 대상물의 하부로 바늘이 실과 함께 통과하면 대상물의 하부에 위치된 커터를 이용하여 실을 절단하게 되고, 상기 실이 절단된 후 바늘은 상부로 이동되게 된다. 즉, 바늘이 대상물의 상하부를 관통하여 수놓는 공정 도중에, 대상물의 하부에 위치된 커터가 대상물의 하부를 통과하는 실의 일부분을 절단하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그런 다음에, 우븐원단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실이 균일한 높이로 이루어지도록 별도의 커터로 2차 커팅처리하는 마무리 공정을 수행한 후에, 폴리우레탄을 제거함으로써 입체자수가 유지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는 메인원단의 상면에서 실이 분리되지 않도록 별도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입체자수를 완성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바늘에 의해 자수공정이 진행됨과 동시에 대상물의 하부로 노출되는 실을 매번 커팅 처리하여야 하므로, 그 공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커팅 칼이 부착된 특수한 구조의 자수기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제조단가가 매우 상승하게 되고, 메인원단이 평면인 경우에만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입체자수를 형성한 후에 별도의 커터로 불균일하게 노출되는 실을 2차 커팅처리하고, 메인원단의 상면에서 실이 분리되지 않도록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공정이 수행되어야 함에 따라, 작업인력이나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전체적인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인 자수기와 자수 프로그램의 특성상 1㎠ 당 대략 150개의 자수 침수(잔디 수)로 작업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정도의 숫자로 작업된 경우에는 자수(잔디)의 밀도가 떨어져 외관상 미적 입체감 및 시각적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억지로 자수 침수를 높일 경우에는 자수가 서로 엉키는 등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져 불량 자수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팅 칼이 부착된 특수한 구조의 자수기를 이용하지 않고 전체적인 제조단가를 높이지 않으면서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외관상 미적 입체감 및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입체자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원단 및 상기 메인원단의 상면에 제 1 분리용 시트를 적층하여 제 1 자수대상물을 준비하는 제 1 차 자수 준비단계; 상기 제 1 자수대상물의 내부로 자수기의 바늘을 통과시켜 자수하는 1 차 자수단계; 상기 제 1 차 자수단계에서 자수된 제 1 자수대상물의 상면에 제 2 분리용 시트를 적층하여 제 2 자수대상물을 준비하는 2차 자수 준비단계; 상기 제 2 자수대상물을 자수하되, 상기 1 차 자수단계에서의 자수와 간섭되도록 상기 제 2 자수대상물의 내부로 상기 자수기의 바늘을 통과시켜 자수하는 2 차 자수단계; 상기 제2 자수대상물로부터 자수실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자수실을 메인원단에 고정하는 자수실 고정단계; 상기 제 2 자수대상물의 상단 일부분을 절단하는 분리용 시트 절단단계; 및 상기 메인원단의 상면으로 상기 자수실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자수대상물의 상단 일부분이 절단되고 남은 일부분을 상기 메인원단의 상면으로부터 제거하는 분리용 시트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자수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원단 및 메인원단의 상면에 제 1 분리용 시트를 적층하여 제 1 자수대상물을 준비한 후, 제 1 자수대상물을 제 1 자수실 및 제 1 자수실이 연속적으로 걸려지면서 연사될 수 있도록 저온융착사의 제 1 아랫실로 동시에 1 차 자수하고, 자수된 제 1 자수대상물의 상면에 제 2 분리용 시트를 적층하여 제 2 자수대상물을 준비한 후, 1 차 자수와 간섭되도록 제 2 자수실 및 제 2 자수실이 연속적으로 걸려지면서 연사될 수 있도록 저온융착사의 제 2 아랫실로 동시에 2 차 자수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아랫실을 저온 융착한 후 제 2 자수대상물의 상단 일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치밀하게 밀도 높은 자수(잔디)가 가능하여 외관상 입체감 및 미적효과가 증가하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기존의 일반적인 자수기로도 간단한 제조 공정을 거쳐 밀도 높은 자수가 가능함에 따라 품질 좋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제 1 및 2 자수실이 메인원단에 고정되도록 메인원단의 저면을 가열하여 제 1 및 제 2 아랫실을 저온 융착시킴에 따라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시간 감소 및 작업성 증가로 전체적인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넷째, 절단되는 제 2 자수대상물의 상단 일부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자가 원하는 만큼 상기 제 2 자수대상물의 상단 일부분을 절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용도에 따라 자수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자수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입체자수방법에 의해 자수가 자수대상물에 형성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입체자수방법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흐름도와 더불어 도 2에 도시된 개념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1 차 자수 준비단계<S101>
메인원단(111) 및 메인원단(111)의 상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 1 분리용 시트(112)를 적층하여 제 1 자수대상물(110)을 준비한다.
여기서, 제 1 분리용 시트(112)는 자수되는 제 1 자수실(113)에 의해 형성되는 입체 자수 무늬를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원단(111)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제 1 및 제 2 자수실(113, 12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 1 분리용 시트(112)의 두께는 3mm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분리용 시트(112)는 하기 단계 S102에서 제 1 자수대상물(110)에 자수될 때, 압축되었다가 원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제 1 자수실(113)을 보다 팽팽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EVA는 연성 및 탄성을 가진 재질로, 외관밀도가 0.05j/㎤ 내지 0.07j/㎤, 열전도율이 0.03kcal/mh℃ 내지 0.05kcal/mh℃, 열수축율이 1% 내지 5%, 인장강도가 5k/㎠ 내지 15k/㎠, 경도가 300gf 내지 700gf의 특성을 가지는 것이 상기 제 1 자수실(113)이 보다 팽팽하게 배치되어 특수한 커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일반 커터에 의해서 이후에 설명하는 제 1 자수대상물(100)의 절단시 커팅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2. 1 차 자수단계<S102>
제 1 자수대상물(110)의 내부로 자수기의 바늘(n)을 통과시켜 자수하되, 메인원단(111)의 저면에는 제 1 자수실(113)이 연속적으로 걸려지면서 연사될 수 있도록 제 1 아랫실(114)이 동시에 자수된다.
즉, 제 1 자수실(113)을 제 1 자수대상물(110)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통과시켜 자수하되, 동시에 제 1 자수대상물(110)의 저면을 통과한 제 1 자수실(113)을 제 1 아랫실(114)에 걸어주는 작업을 반복하면서 제 1 자수대상물(110)에 다양한 무늬와 형상을 갖는 자수를 할 수 있다.
제 1 아랫실(114)은 하기 단계S105와 같이 열에 의해 융착되기 위해서 저온 융착사(low melting fiber)가 코팅된 합사이거나, 제 1 아랫실(114) 자체가 저온융착사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온융착사는 저온 융착 폴리에스테르사(Low melting polyester사) 또는 저온 융착 폴리에스테르사가 함유된 합사일 수 있다.
상기 저온 융착 폴리에스테르사는 융점이 150도 내지 180도로서 낮은 온도에도 별도의 접착제 없이 서로 녹여 붙일 수 있는 것으로, 별도의 접착제를 쓰지 않아 환경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아랫실(114)은 메인원단(111)의 저면에 열을 가해도 메인원단(111)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동시에 제 1 아랫실(114)이 제 1 자수실(113)에 잘 융착되어 메인원단(111)에 고정되도록 14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100%의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3. 2 차 자수 준비단계<S103>
단계S102에서 자수된 제 1 자수대상물(110)의 상면에 소정 두께의 제 2 분리용 시트(122)를 적층하여 제 2 자수대상물(120)을 준비한다.
여기서, 제 2 분리용 시트(122)는 자수되는 제 2 자수실(123)에 의해 형성되는 입체 자수 무늬를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하기 단계S104의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 두께가 1mm 내지 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분리용 시트(122)는 하기 단계S104에서 제 2 자수대상물(120)에 자수되는 제 2 자수실(123)을 보다 팽팽하게 고정시키도록 EVA로 이루어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수 커터에 의하지 않고 일반 커터에 의해서라도 제 2 자수대상물이 커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4. 2 차 자수단계<S104>
단계S102에서의 자수와 간섭되도록 제 2 자수대상물(120)의 내부로 자수기의 바늘(n)을 통과시켜 자수하되, 메인원단(111)의 저면에는 제 2 자수실(123)이 연속적으로 걸려지면서 연사될 수 있도록 제 2 아랫실(124)을 동시에 자수한다.
제 2 아랫실(124)은 단계S10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아랫실(114)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단계S102 및 S104에 의해 600침/㎠까지의 자수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자수가 단계S102에서의 1차 자수와 단계S104에서의 2차 자수로 진행됨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더라도 서로 잘 엉키지 않으면서 밀도가 높은 자수가 가능하여 입체감 및 미적 효과가 증가하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일반적인 자수기로도 상기와 같이 밀도 높은 자수가 가능함에 따라 품질 좋은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5. 자수실 고정단계<S105>
제 2 자수대상물(120)로부터 제1 및 제 2 자수실(113, 123)이 이탈되지 않도록 메인원단(111)의 저면을 가열하여 제 1 및 제 2 아랫실(114, 124)을 저온 융착시킨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아랫실(114, 124)은 열에 의해 소정의 온도에서 녹아 상기 제 1 및 제 2 자수실(113, 123)을 메인원단(11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커팅처리가 2 차로 진행됨에 따라 소요되는 작업시간 증가 및 작업성이 저하되어 전체적인 제조 단가가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6. 절단 길이 조절단계<S106>
제 2 자수대상물(120)의 상단 일부분이 절단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로, 별도의 커터(c)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 2 자수대상물(120)의 절단되는 길이(l)를 조절한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적층되는 분리용 시트의 개수로 메인원단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자수의 길이를 조절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입체자수방법에서는 커터(c)의 높이를 조절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만큼 상기 제 2 자수대상물(120)의 상단 일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용도에 따라 자수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7. 분리용 시트 절단단계<S107>
상기 단계S106에서 상기 제 2 자수대상물(120)의 상단 일부분(제 1 분리용 시트(112)의 상단 일부분)을 절단한다.
8. 분리용 시트 제거단계<S108>
메인원단(111)의 상면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자수실(113, 123)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분리용 시트(112)의 상단 일부분을 절단하고, 남은 일부분을 메인원단(111)의 상면으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자수실(113, 123)의 일부가 메인원단(111)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입체자수를 형성시킨다.
즉, 상기 작업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분리용 시트(112, 122)가 제거된 메인원단(111)의 상면에는 기립한 형태(잔디형태)의 상기 제 1 및 제 2 자수실(113, 123)이 얻어진다.
이때, 입체자수의 형상은 제조사의 로고나 문자 등 다양한 무늬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의류나 손수건 등과 같은 평평한 상태의 자수대상물 외에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와 같은 곡면 상태의 자수대상물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입체자수방법으로 제작되는 자수물품의 구조 및 효과 등은 상기 단계에서 살펴본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자수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입체자수방법에 의해 자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Claims (9)

  1. 메인원단 및 상기 메인원단의 상면에 제 1 분리용 시트를 적층하여 제 1 자수대상물을 준비하는 1 차 자수 준비단계;
    상기 제 1 자수대상물의 내부로 자수기의 바늘을 통과시켜 자수하는 1 차 자수단계;
    상기 1 차 자수단계에서 자수된 제 1 자수대상물의 상면에 제 2 분리용 시트를 적층하여 제 2 자수대상물을 준비하는 2 차 자수 준비단계;
    상기 제 2 자수대상물을 자수하되, 상기 1 차 자수단계에서의 자수와 간섭되도록 상기 제 2 자수대상물의 내부로 상기 자수기의 바늘을 통과시켜 자수하는 2 차 자수단계;
    상기 제 2 자수대상물로부터 자수실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자수실을 메인원단에 고정하는 자수실 고정단계;
    상기 제 2 자수대상물의 상단 일부분을 절단하는 분리용 시트 절단단계; 및
    상기 메인원단의 상면으로 상기 자수실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자수대상물의 상단 일부분이 절단되고 남은 일부분을 상기 메인원단의 상면으로부터 제거하는 분리용 시트 제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자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차 자수단계는 상기 메인원단의 저면에 제 1 자수실이 연속적으로 걸 려지면서 연사될 수 있도록 제 1 아랫실을 동시에 자수하고,
    상기 2 차 자수단계는 상기 1 차 자수단계에서의 자수와 간섭되도록 자수하되, 상기 메인원단의 저면에 제 2 자수실이 연속적으로 걸려지면서 연사될 수 있도록 제 2 아랫실을 동시에 자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자수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아랫실은 저온융착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수실 고정단계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자수실이 상기 메인원단에 고정되도록 상기 메인원단의 저면을 가열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아랫실을 저온 융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자수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수대상물의 상단 일부분의 길이를 조절하는 절단 길이 조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자수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리용 시트 또는 상기 제 2 분리용 시트는 탄성이 좋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자수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원단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자수실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분리용 시트의 두께는 3mm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자수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수단계의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제 2 분리용 시트의 두께는 1mm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자수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아랫실은 14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자수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융착사는 저온 융착 폴리에스테르사 또는 저온 융착 폴리에스테르사가 함유된 합사인 입체자수방법.
KR1020090063206A 2009-07-10 2009-07-10 입체자수방법 KR101111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206A KR101111735B1 (ko) 2009-07-10 2009-07-10 입체자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206A KR101111735B1 (ko) 2009-07-10 2009-07-10 입체자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576A true KR20110005576A (ko) 2011-01-18
KR101111735B1 KR101111735B1 (ko) 2012-02-15

Family

ID=4361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206A KR101111735B1 (ko) 2009-07-10 2009-07-10 입체자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7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548B1 (ko) * 2013-01-11 2014-04-11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3d입체 자수물의 제조방법
CN109208201A (zh) * 2018-11-19 2019-01-15 广州番禺职业技术学院 一种凸面浮雕刺绣品及其加工方法
WO2021182931A1 (ko) * 2020-03-13 2021-09-16 위그코리아(주) 입체감있는 잔디자수 형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2901B (zh) * 2015-05-29 2016-12-07 鞍山顺丰科技有限公司 金银丝线绣花定捻衬垫工艺
KR102089727B1 (ko) 2018-09-13 2020-03-17 위그코리아(주) 입체감있는 잔디자수 형성방법
KR102298264B1 (ko) 2020-01-29 2021-09-07 (주)크라운제이 재봉기용 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기용 해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720B1 (ko) * 2001-11-13 2008-06-17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용접부 절단시편 검사장치
KR200339540Y1 (ko) 2003-11-03 2004-01-24 문성흠 입체 자수 물품
KR100616554B1 (ko) 2004-07-02 2006-08-29 박용성 입체자수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548B1 (ko) * 2013-01-11 2014-04-11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3d입체 자수물의 제조방법
CN109208201A (zh) * 2018-11-19 2019-01-15 广州番禺职业技术学院 一种凸面浮雕刺绣品及其加工方法
CN109208201B (zh) * 2018-11-19 2024-01-12 广州番禺职业技术学院 一种凸面浮雕刺绣品及其加工方法
WO2021182931A1 (ko) * 2020-03-13 2021-09-16 위그코리아(주) 입체감있는 잔디자수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735B1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735B1 (ko) 입체자수방법
US8021735B2 (en) Stitchbonded fabric with a substrate having diverse regional properties
CN1349574A (zh) 缝编绒头表面结构及它的生产过程和系统
US20050087113A1 (en) Method for making a 3D embroidery
US6994044B2 (en) Embroidered patc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9309614B2 (en) Stitch pattern and method of embroidering
CN101768842A (zh) 仿镂空编织绣品的制作方法
CN108823939B (zh) 一种正反都不露线迹的双面呢拼接工艺
CN104060424A (zh) 一种丝带刺绣的制作工艺
CN108729053A (zh) 刺绣产品及其刺绣方法
KR101067349B1 (ko) 자카드 형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049765B1 (ko) 명찰
KR102089727B1 (ko) 입체감있는 잔디자수 형성방법
CN209383948U (zh) 一种刺绣产品
CN106192253B (zh) 贴布绣绣品及其贴布绣方法
CN214032946U (zh) 一种夹层刺绣纱
KR101595947B1 (ko) 아플리케 타입 포의 제조방법 및 그 포
CN108611842A (zh) 一种规则花型面料服装裁片复合裁剪方法
CN214032928U (zh) 一种缝纫针安装结构
CN202626555U (zh) 超声波缝口装置
CN219423135U (zh) 医用绷带
KR200307911Y1 (ko) 누비직물의 테두리단 및 테두리단 봉재장치
JP3218287U (ja) 不織布
CN101283875A (zh) 裁剪拼缝绣的生产工艺
US730886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embroidery having a pil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