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558A - 네트워크 거리기반과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한 단대단 네트워크 구성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거리기반과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한 단대단 네트워크 구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558A
KR20110005558A KR1020090063180A KR20090063180A KR20110005558A KR 20110005558 A KR20110005558 A KR 20110005558A KR 1020090063180 A KR1020090063180 A KR 1020090063180A KR 20090063180 A KR20090063180 A KR 20090063180A KR 20110005558 A KR20110005558 A KR 20110005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network
nodes
coordinates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2477B1 (ko
Inventor
이상환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63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4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8Connectivity information upd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거리기반과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한 단대단 네트워크 구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우선 2차원 가상 유클리드 공간에 좌표를 가지는 각각의 노드들에 대해 네트워크 거리를 기반으로 하여 노드들의 좌표를 설정한다. 좌표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노드는 상기 설정된 좌표를 기초로 딜로니 삼각화(delaunay triangulation)를 수행하여 자신이 연결하고자 할 주변 노드들을 선정한다. 주변 노드들이 선정되면 노드 상호간을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만약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노드가 추가되면, 상기 네트워크 구조에 상기 노드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연결이 될 때까지 임시 노드를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하고, 이와 동시에 추가된 노드에 대한 좌표 계산 및 딜로니 삼각화을 수행하여 다른 노드들과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임시 노드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또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노드가 이탈되더라도, 이탈된 노드에 연결되었던 노드들의 좌표를 기초로 딜로니 삼각화를 수행하여 네트워크를 재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노드간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줄어들고, 노드 추가 및 이탈시에도 데이터 중복이나 손실 없이 전송할 수 있어, 안정된 단대단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점이 있다.
네트워크 거리 기반, 딜로니 삼각화, 단대단 네트워크

Description

네트워크 거리기반과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한 단대단 네트워크 구성방법{Method for configuring Peer to Peer Network using a Network distances and Delaunay Triangulation}
본 발명은 단대단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 거리기반과 딜로니 삼각화(Delaunay Triangulation)에 의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대단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는, 소스 노드와 주변 노드들을 단대단 네트워크(Peer to Peer Network)화하고, 상기 소스 노드가 가지는 패킷 데이터를 주변 노드가 받고, 주변 노드는 다시 자신들의 주변에 존재하는 노드들에게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에게 패킷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일 예로, IP 기반 네트워크 상에서 방송 프로그램, 비디오, 오디오, 텍스트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IPTV 서비스가 있다. 상기 IPTV 서비스는 규정된 품질 이상의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사용자 체감 품질(QoE, quality of experience), 보안, 양방향성, 신뢰성 등을 만족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IPTV 서비스는 패킷 손실률, 패킷 지연 시간, 또는 지터(zitter)의 발생률과 같은 통신 품질을 고품질로 유지해야 정상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IPTV 서비스는 시청자의 규모나 그 서비스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전송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송 메커니즘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 단대단 네트워크 구성으로 설계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 단대단 네트워크는 다양한 방법으로 설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각 노드들을 직접 연결하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각 노드들을 트리 구조로 형성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각 노드에 가상의 좌표를 설정하고 각 좌표를 기초로 딜로니 삼각화를 수행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방법 등은 많은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먼저, 노드들을 직접 연결할 경우에는 노드 간의 연결이 쉬울 수 있지만, 노드들 간의 거리가 효율적으로 계산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결되기 때문에, 패킷 데이터의 전송 지연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또 트리 구조로 네트워크 구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서비스 도중 노드가 이탈되거나 장애 발생한 경우에는 네트워크를 재구성해야 한다. 그렇지만, 실제 네트워크를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고, 그동안에는 서비스가 중단되고, 패킷 데이터의 중복이나 손실이 발생할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 단대단 네트워크는 노드의 좌표 계산시 가상 좌표나 임시 좌표를 사 용하고 있어 시스템에 참여하고 있는 노드 상호 간의 좌표 거리와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제 거리가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즉 소스 노드와 주변 노드들의 좌표가 최적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딜로니 삼각화가 적용되어 노드들이 서로 연결되면 설계된 거리와 실제 거리에 오차가 발생하여 패킷 데이터의 전송 지연시간이 증가하고,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가 손실될 가능성이 있다. 결국 이는 IPTV 서비스 이용시 화질 등의 서비스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소스 노드와 그 주변 노드간의 거리를 최적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임의 노드에서 문제 발생시에도 안정되고 효율적인 상태에서 네트워크 구성이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복수 개의 노드가 네트워크 거리를 기반으로 하여 자신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설정된 좌표를 기초로 딜로니 삼각화(delaunay triangulation)를 수행하여 자신이 연결하고자 할 주변 노드들을 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노드가 주변 노드들과 연결되어 상기 노드간에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노드가 새롭게 추가되면, 추가된 노드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임의 노드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추가된 노드와 임의 노드를 임시 경로를 통해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임의 노드를 선정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상기 추가된 노드에 대한 좌표를 네트워크 거리를 기반으로 하여 계산하고 이를 기초로 딜로니 삼각화를 수행하여 상기 추가된 노드가 연결하고자 할 주변 노드들을 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주변 노드들이 선정 완료되면 그 주변 노드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임시 경로는 연결 해제 하여 네트워크를 재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네트워크 거리에 기반한 노드 좌표는 유클리드 공간에서의 거리가 실제 네트워크 거리에 근접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노드가 이탈하면, 이탈된 노드에 연결되었던 각 노드들은 자신과 인접한 노드 및 미 인접한 노드의 좌표를 수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좌표를 기초로 딜로니 삼각화를 수행하여 연결한 노드를 선정하고 네트워크를 재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각 노드들이 네트워크 거리를 기반으로 자신의 좌표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좌표를 기초로 딜로니 삼각화를 수행하여 자신과 연결될 다른 주변 노드들을 선정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 임의의 좌표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에 노드 상호간의 메시지 전송 지연 시간이 감소한다.
또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임의 노드가 추가되는 경우, 그 노드는 임시 선택된 노드와의 임의 설정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계속 수신받을 수 있고, 그 동안 임의 노드는 자신의 좌표를 계산한 후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아울러 노드가 이탈하는 경우에도 그 주변의 노드들이 딜로니 삼각화에 의해 네트워크를 재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설계의 미완성이나 불안정성으로 인해 노드가 추가되거나 이탈되더라도 데이터의 중복이나 손실 없이 전송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안정된 단대단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네트워크 거리기반과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한 단대단 네트워크 구성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소정 개수의 노드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네트워크 거리 기반과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하여 단대단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2차원 유클리디 공간에 존재하는 각각의 노드들은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자신들의 좌표를 결정하기 위해 노드간 거리를 측정한다(s101). 상기 거리측정은 어느 하나의 노드가 주변에 있는 몇 개의 노드에 대해 네트워크 거리를 기반으로 한 좌표 계산법을 이용하여 실시한다. 실시 예에서 상기 좌표 계산법은 특정한 좌표 계산법을 이용하지는 않는다. 좌표 계산법의 예로는 'GNP(Golbal network positioning)', 'Vivaldi' 등이 있다.
그와 같이 노드 간의 거리 측정이 완료되면 각각의 노드는 자신의 좌표를 계산하여 설정한다(s102). 상기 노드들의 좌표가 설정되면, 노드는 자신과 실제로 가까운 곳에 위치한 노드들이 주변 노드로 선정된다. 이는 임의 좌표를 사용하지 않고 네트워크 거리기반 좌표를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그와 같이 네트워크 거리에 기반한 좌표를 사용하기 때문에 메시지 송수신 시간과 실제 노드 간의 거리가 비슷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노드 간의 메시지 지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노드들의 좌표가 설정되면, 각 노드는 주변 노드들 중에서 연결할 노드 를 선택한다(s103). 이는 딜로니 삼각화를 수행하여 자신의 주변 노드를 검색하면서 주변 노드와의 관계를 결정한다.
상기 딜로니 삼각화에 의해 노드 간의 네트워크 구성이 완료되면(s104), DT 프로토콜의 패킷 전송방식에 따라 패킷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s105).
즉 그와 같이 네트워크 거리 기반에 의한 좌표 설정 및 딜로니 삼각화에 의해 주변 노드를 결정하여 네트워크가 구성되면, 어느 하나의 노드는 자신과 가까운 노드가 주변 노드로 선정되기 때문에, 주변 노드로의 패킷 데이터의 전송 지연이 감소하고, 네트워크 구조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도 1의 방법에 의해 구성된 네트워크 구조의 예를 도 2에 나타내고 있다.
즉, 도 2는 각 노드들이 네트워크 거리를 기반으로 노드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자신의 좌표값을 부여받고, 상기 좌표값을 기초로 딜로니 삼각화 방식을 수행하여 주변 노드를 선택한 상태의 네트워크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도 2의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노드의 추가 또는 이탈될 경우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단대단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노드가 추가되는 경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4에는 도 3의 과정을 보인 네트워크 구성도로서, 이는 도 2의 네트워크 구성을 인용한다.
일단, 도 4a와 같이 단대단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노드 'p'가 추가되 었다고 가정한다(s110).
상기 단대단 네트워크 구성에서는 그와 같이 상기 노드 'p'가 추가되면(s111), 곧바로 임의 노드를 랜덤(random)하게 선택한다(여기서는 노드 'b'라고 한다)(s112). 그러면 상기 노드 'p'는 상기 임의 노드인 노드 'b'와 임시 경로를 통해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임시 경로를 통해 상기 노드 'p'는 그 임의 노드 'b'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s113). 이때 상기 임시 경로는 상기 노드 'p'가 네트워크 거리 기반에 의해 좌표 계산이 완료되고 네트워크 구조에서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어 연결이 될 때까지 유지된다.
한편, 상기 추가된 노드 'p'와 임의 노드(b)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이유는 그 노드 'p' 가 네트워크에 완전하게 참여하기 이전에 다른 노드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단대단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는 자신의 좌표를 설정하고, 이를 기초로 딜로니 삼각화에 의해 주변 노드와의 연결을 하고 있는바, 상기 노드 'p'도 자신의 좌표를 계산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이 경우 상기 좌표 계산은 그 자체만으로 소정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그 좌표 계산 동안 다른 노드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전송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임의 노드 선택과정은 랜덤 워크(random walk) 방식 등이 적용된다. 상기 랜덤 워크 방식은 단대단 네트워크 구성에서 상기와 같이 노드 'p'가 추가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상기 노드 'p'는 임의 노드가 선택되도록 요청하는데, 이러한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은 노드가 자신의 주변 노드에게 전달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를 받은 노드는 다시 자신의 주변 노드들에게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 최종적으로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은 노드가 임의 노드가 되게 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상기 방식으로 임의 노드를 반드시 선택하지 않고 다른 방식에 의해 얼마든지 선택 가능하다.
한편, 상기 노드 'p'가 임시 경로를 통해 노드 'd'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도중, 동시에 단대단 네트워크에서는 상기 노드 'p'의 좌표를 계산하기 시작한다(s114). 상기 좌표 계산은 주변 노드와 'Linear least square' 방식과 같은 근사 해법을 사용한다.
상기 노드 'p'의 좌표가 계산되면 상기 좌표를 기초로 하여 딜로니 삼각화를 수행하여 자신의 주변 노드, 즉 노드 'a', 노드 'b', 노드 'c'를 선정한다(s115).
그와 같이 임시 경로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노드 'p'가 딜로니 삼각화에 의해 선정된 자신의 주변 노드들과 연결되어 패킷 데이터를 전송받게 되면(s116), 상기 임시 경로의 연결은 해제한다(s117). 임시 경로가 해제된 네트워크 구성은 도 4b에 도시하고 있다. 만약 노드 'p'가 자신의 주변 노드인 노드 'a', 노드 'b', 노드 'c'와 연결이 설정되지 않으면 상기 임시 경로를 통해 계속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단대단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노드가 이탈되는 경우, 네트워크를 재 구성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5 및 도 6에서 노드가 이탈할 때의 과정을 보인 네트워크 구성도로서, 이는 도 2의 네트워크 구성을 인용한다.
우선, 단대단 네트워크에서 노드가 이탈하는 경우는, 2가지로 생각할 수 있 다. 첫 번째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 중 임의의 노드가 정상적으로 이탈하는 경우, 두 번째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 중 임의의 노드가 비정상적으로 이탈하는 경우이다. 이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노드의 정상적 이탈 모드
이 경우는 도 5 및 도 7을 참조한다.
도 7a에서 이탈되는 노드를 'd'라고 가정한다.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s120), 정상적인 이탈 모드는 상기 노드 'd'가 이탈할 때(s121), 자신의 주변 노드인 노드 'b', 노드 'e', 노드 'f', 노드 'g', 노드 'c'에게 자신의 좌표를 모두 제공한다(s122).
그러면, 상기 노드 'b', 노드 'e', 노드 'f', 노드 'g', 노드 'c'은 다른 노드들에 대한 좌표를 알 수 있다. 예컨대, 노드 'b' 는 노드 'c' 및 노드 'e'와는 직접 연결되어 있어, 그로부터 좌표를 직접 전달받을 수 있고, 노드 'f'와 노드 'g'의 좌표는 상기 노드 'd'로부터 전달받는 것이다. 물론 상기 노드 'c' 및 노드 'e'의 좌표도 상기 노드 'd'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드 'd'는 주변 노드들에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제공한 후 이탈하기 때문에, 상기 노드 'b', 노드 'e', 노드 'f', 노드 'g', 노드 'c'은 서로 각각의 좌표를 알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노드 'b', 노드 'e', 노드 'f', 노드 'g', 노드 'c'은 네트워크 거리 기반에 의한 좌표를 계산할 필요가 없다.
이후, 상기 노드 'b', 노드 'e', 노드 'f', 노드 'g', 노드 'c'은 딜로니 삼각화를 수행하여 각각의 노드는 자신과 연결하게 될 주변 노드를 선택하고(s123), 네트워크 재 구성을 완료한다(s124). 이 상태는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도 7b는 딜로니 삼각화가 수행되어 노드 'b', 노드 'e', 노드 'f', 노드 'g', 노드 'c'의 내부가 최적의 삼각형으로 되었다고 하기로 한다.
노드의 비정상적 이탈 모드
이 경우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한다.
이는 임의의 노드가 장애 발생하였거나 또는 전원이 갑자기 오프(off) 된 상태 등을 가리킨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기한 노드의 정상적 이탈 모드에서와 같이 노드가 이탈될 때 주변 노드로 좌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상기 예와 마찬가지로 도 7a에서 비정상적으로 이탈되는 노드를 'd'라고 가정한다.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s130), 상기 노드 'd'는 이탈하면(s131), 자신의 주변 노드인 노드 'b', 노드 'e', 노드 'f', 노드 'g', 노드 'c'에게 자신이 가지고 있는 노드들의 좌표값을 제공하지 못한다.
그래서, 노드 'b'는 노드 'c' 및 노드 'e'의 좌표값만을 알 수 있고, 노드 'e'는 노드 'b' 및 노드 'f'의 좌표값만을 알 수 있고, 노드 'f', 'g', 'c'도 각각 인접한 두 개의 노드에 대한 좌표값만을 알고 있다. 다시 말해 노드 'b'는 노드 'd'의 이탈로 인하여 노드 'g' 및 노드 'f'와는 연결 경로가 단절되기 때문에, 그 노드 'g' 및 노드 'f'의 좌표값은 알지 못한다.
이 경우, 주변 노드 중 하나의 노드가 소정 방향으로 자신의 좌표값을 전송하고, 상기 방향에 위치한 노드는 상기 전송된 좌표값과 함께 자신의 좌표값을 함께 같은 방향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면 제일 처음 자신의 좌표값을 전송한 노드는 모든 노드들의 좌표값을 알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노드 'b'가 자신의 좌표값을 노드 'e'에게 전송하고, 노드 'e'는 노드 'b'의 좌표값과 자신의 좌표값을 노드 'f'에게 전송하고, 노드 'f'는 노드 'b', 'c' 및 자신의 좌표값을 노드 'g'에게 전송하고, 노드 'g'는 노드 'b', 'e', 'f' 및 자신의 좌표값을 노드 'c'에 전송하고, 노드 'c'는 노드 'b', 'e', 'f', 'g' 및 자신의 좌표값을 노드 'b'에게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노드 'b'는 상기 노드 'e', 노드 'f', 노드 'g', 노드 'c'의 좌표값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모든 노드들의 좌표값을 제공받은 노드 'b'는 다른 노드인 노드 'e', 노드 'f', 노드 'g', 노드 'c'에게 각 노드의 좌표값을 통보한다(s132). 그렇게 하면 상기 이탈된 노드 'd'를 중심으로 인접하고 있던 노드 'b', 노드 'e', 노드 'f', 노드 'g', 노드 'c'은 각각의 좌표값을 알 수 있다.
이후, 상기 각 노드의 좌표값을 기초로 하여 딜로니 삼각화를 수행하고, 상기 딜로니 삼각화에 의해 각각의 노드는 자신과 연결하게 될 주변 노드를 새롭게 선택한다(s133). 이후 각각의 노드는 선택된 노드와 연결하여 네트워크 재 구성을 완료한다(s134). 네트워크 재 구성된 실시 예의 상태는 도 7b와 같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소정 개수의 노드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네트워크 거리 기반과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하여 단대단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2는 도 1에 의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단대단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노드가 추가되는 경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는 도 3의 과정을 보인 네트워크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도 2의 단대단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노드가 이탈되는 경우, 네트워크를 재 구성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서 노드가 이탈할 때의 과정을 보인 네트워크 구성도

Claims (4)

  1. 복수 개의 노드가 네트워크 거리를 기반으로 하여 자신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설정된 좌표를 기초로 딜로니 삼각화(delaunay triangulation)를 수행하여 자신이 연결하고자 할 주변 노드들을 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노드가 주변 노드들과 연결되어 상기 노드간에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거리기반과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한 단대단 네트워크 구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노드가 새롭게 추가되면, 추가된 노드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임의 노드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추가된 노드와 임의 노드를 임시 경로를 통해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임의 노드를 선정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상기 추가된 노드에 대한 좌표를 네트워크 거리를 기반으로 하여 계산하고 이를 기초로 딜로니 삼각화를 수행하여 상기 추가된 노드가 연결하고자 할 주변 노드들을 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주변 노드들이 선정 완료되면 그 주변 노드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 어지게 하고 상기 임시 경로는 연결 해제하여 네트워크를 재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거리기반과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한 단대단 네트워크 구성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거리에 기반한 노드 좌표는 유클리드 공간에서의 거리가 실제 네트워크 거리에 근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거리기반과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한 단대단 네트워크 구성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노드가 이탈하면, 이탈된 노드와 연결되었던 각 노드들은 자신과 인접한 노드 및 미 인접한 노드의 좌표를 수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좌표를 기초로 딜로니 삼각화를 수행하여 연결한 노드를 선정하고 네트워크를 재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거리기반과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한 단대단 네트워크 구성방법.
KR1020090063180A 2009-07-10 2009-07-10 네트워크 거리기반과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한 단대단 네트워크 구성방법 KR101032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180A KR101032477B1 (ko) 2009-07-10 2009-07-10 네트워크 거리기반과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한 단대단 네트워크 구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180A KR101032477B1 (ko) 2009-07-10 2009-07-10 네트워크 거리기반과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한 단대단 네트워크 구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558A true KR20110005558A (ko) 2011-01-18
KR101032477B1 KR101032477B1 (ko) 2011-05-03

Family

ID=43612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180A KR101032477B1 (ko) 2009-07-10 2009-07-10 네트워크 거리기반과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한 단대단 네트워크 구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4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2416A1 (ko) * 2013-03-11 201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델로네 삼각분할 기법(delaunay triangulatian)에 기반한 자기구성 네트워크(self-organization network)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9905883A (zh) * 2019-03-29 2019-06-18 福建师范大学 一种连通无线传感器网络的方法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206B1 (ko) * 2004-12-28 2006-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타겟 영역으로 패킷의 전송이 가능한 애드 혹네트워크 및 그 패킷 전송방법
US7809513B2 (en) 2007-04-16 2010-10-05 Acellent Technologies, Inc. Environmental change compensation in a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2416A1 (ko) * 2013-03-11 201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델로네 삼각분할 기법(delaunay triangulatian)에 기반한 자기구성 네트워크(self-organization network)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763184B2 (en) 2013-03-11 2017-09-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self-organization network based on Delaunay triangulation and apparatus for same
CN109905883A (zh) * 2019-03-29 2019-06-18 福建师范大学 一种连通无线传感器网络的方法及终端
CN109905883B (zh) * 2019-03-29 2021-11-09 福建师范大学 一种连通无线传感器网络的方法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477B1 (ko) 201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7701B2 (ja) 移動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AU2013315239B2 (en) Data stream division to increase data transmission rates
JP5754206B2 (ja)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時刻同期方法および装置
CN108323246B (zh) 组网方法、芯片及无线网络系统
US10027574B2 (en) Redundant pathways for network elements
US10164824B2 (en) Indicating a master network controller in a 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
WO2014047784A1 (zh) 报文转发路径确定方法及网络设备、控制设备
EP2597821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configuration, and network node
JP2014519287A (ja) 多重記述コーディングを用いた携帯マルチメディアサービスのためのマルチパス管理アーキテクチャおよびプロトコル
CN105338535A (zh) 一种使用移动终端进行无线组网的方法
JP2017511053A (ja) 無線ピアツーピア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停止時間を短縮するためのグループ再形成メカニズム
KR101032477B1 (ko) 네트워크 거리기반과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한 단대단 네트워크 구성방법
KR101612475B1 (ko) 가십 기반의 p2p 서비스의 파트너쉽 형성 방법 및 장치
US112239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sensors
US20110138073A1 (en) Connection destination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9983734B (zh) 具有中继设备的远程计算设备的子组
JP2009224978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のネットワーク再構築方法
JP5803656B2 (ja) 配信経路構築方法及び端末装置
KR101737697B1 (ko) Sdn 환경에서 컨트롤러의 부하 분산 방법 및 장치
CN114765621A (zh) 检测bgp会话的状态的方法、装置和网络设备
CN112770301A (zh) 无线网络中节点故障后的按需表和路由更新
KR101308089B1 (ko) 고가용성을 지원하기 위한 IPSec VPN 시스템 및 방법
Mercan et al. Virtual direction multicast: An efficient overlay tree construction algorithm
JP6175848B2 (ja)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JP5067259B2 (ja) ツリー型放送システム、ノード接続方法、ノード装置、及びノード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