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183A -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복합 팽이말뚝을 이용한 연장지반 보강공법 - Google Patents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복합 팽이말뚝을 이용한 연장지반 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183A
KR20110005183A KR1020090062759A KR20090062759A KR20110005183A KR 20110005183 A KR20110005183 A KR 20110005183A KR 1020090062759 A KR1020090062759 A KR 1020090062759A KR 20090062759 A KR20090062759 A KR 20090062759A KR 20110005183 A KR20110005183 A KR 20110005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reinforcement
groove
formwor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중
Original Assignee
전동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동중 filed Critical 전동중
Priority to KR1020090062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183A/ko
Publication of KR20110005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복합 팽이말뚝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팽이와 말뚝을 분리하여 팽이는 거푸집을 제작하여 현장에서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말뚝은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시공 가능하면서 체결이 용이 하도록 복합화한 팽이말뚝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을 특징으로 한다.
거푸집팽이, 말뚝, 팽이말뚝

Description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복합 팽이말뚝을 이용한 연장지반 보강공법 {Possible to separate and assemble complex soft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a top stakes }
본 발명은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복합 팽이말뚝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히는 팽이는 거푸집을 제작하여 현장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말뚝은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단순히 설치함으로서 시공 가능하면서 체결이 용이 하도록 복합화한 팽이말뚝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시공되는 공장형과 현장타설형 팽이말뚝을 이용하여 연약지반을 보강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의 팽이말뚝은 일체화 구조에서 동일 형태 및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 구조에서 공장형은 주어진 환경에서 생산되는 관계로 정량적 품질의 팽이말뚝 생산은 가능하나 개당 중량이 50 ~ 75kg 인 점을 감안하면 잣은 거치와 운반으로 시공과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타설형은 제작과 운반은 용이한 편이나 설치가 복잡하고 시공 공정이 대부분 현장에서 이루어짐으로써 현장 환경에 따라 품질 및 시공 공종에 영향을 많이 받는 다.
전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따라 종래기술의 장단점을 구분하여 개량 가능한 대안을 아래와 같이 제안한다.
첫째, 팽이와 말뚝을 분리 및 조립하는 것이며,
둘째, 말뚝은 공장에서 제작하고 팽이는 거푸집만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실치 후 콘크리트 타설 하는 것이며,
셋째, 팽이말뚝의 연설시 자착 연결시스템을 이용한 단순조립으로 연약지반을 보강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팽이는 거푸집을 제작하여 현장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말뚝은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단순히 설치함으로써 시공 가능하면서 체결이 용이하도록 복합화한 팽이말뚝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을 목적으로 한다.
팽이와 말뚝을 분리 및 조립함으로써 기존 공장형과 현장 타설형의 장점의 독창성을 최대한 살려 품질, 안정성, 시공성, 경제성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거푸집의 재질은 목재, pvc 등으로 할 수 있다.
[도1]은 팽이의 측면으로서,
팽이(10) 거푸집(17)의 개구면(11)과 수직 접지면(12)과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13) 및 세로 연결철근 배근홈(14) 그리고 45 경사각을 갖는 접안면(15)과 체결면(16)을 보인 것이다.
[도2]는 말뚝의 측면으로서,
말뚝(20)을 이용하여 팽이와 체결시 지지를 위한 공이(21)와 걸림턱(22) 그리고 상부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23)과 또 다른 상부 세로 연결철근 배근홈(24)의 밑면으로 말뚝면(25)
하부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26)과 세로 연결철근 배근구멍(27) 및 선단접안면(28)을 보인 것이다.
[도3] 팽이말뚝의 분리입면으로서,
팽이(10) 거푸집(17)의 개구면(11)과 수직 접지면(12)과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13) 및 세로 연결철근 배근홈(14) 그리고 45 경사각을 갖는 접안면(15)과 체결 홈(16)이고, 말뚝(20)을 이용하여 팽이와 체결시 지지를 위한 공이(21)와 걸림턱(22) 그리고 상부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23)과 또 다른 상부 세로 연결철근 배근홈(24)의 밑면으로 말뚝면(25)의 하부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26)과 세로 연결철근 배근구멍(27) 및 선단접안면(28)을 보인 것이다.
[도4] 팽이말뚝의 체결 측면으로서,
선단접안면(28)과 말뚝면(25)의 하부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26) 및 세로 연결철근 배근구멍(27)와 걸림턱(22) 그리고 공이(21)와 상부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23) 및 세로 연결철근 배근홈(24)로 구성된 말뚝(20)의 공이(21)에 팽이(10)는 거푸집(17)의 개구면(11)과 수직 접지면(12)과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13) 및 세로 연결철근 배근홈(14) 그리고 45 경사각을 갖는 접안면(15)과 체결홈(16)으로 이루어진 체결홈(16)과 말뚝(20)의 공이(21)가 체결된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5]는 실시예를 보인 측면으로서,
선단접안면(28)과 말뚝면(25)의 하부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26) 및 세로 연결철근 배근구멍(27)와 걸림턱(22) 그리고 공이(21)와 상부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23) 및 세로 연결철근 배근홈(24)로 구성된 말뚝(20)의 공이(21)에 팽이(10)는 거푸집(17)의 개구면(11)과 수직 접지면(12)과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13) 및 세로 연결철근 배근홈(14) 그리고 45 경사각을 갖는 접안면(15)과 체결홈(16) 이루어 진 체결홈(16)으로 체결된 구조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에 팽이말뚝(30)을 연결철근(1)으로 연설시키고 팽이말뚝(30) 외측으로 채움 쇄석(2)으로 다짐하고 팽이(10)의 거푸집(17) 내에 콘크리트(3)를 타설하여 연약지반을 보강하는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6]은 실시예를 보인 평면으로서,
말뚝의 걸림턱 및 공이에 팽이(10)의 거푸집(17)의 밑면 체결홈(16)을 통하여 안착되면서 상부 거푸집(17)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23)과 세로 연결철근 배근홈(24) 및 공이(21)의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26)과 세로 연결철근 배근홈(27)에 가로 세로 연결철근(1)으로 연결된 구조에서 팽이(10)의 거푸집(17) 내에 콘크리트 타설되고 팽이말뚝(30) 외측으로 채움 쇄석으로 다짐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1은 팽이의 측면도이고,
도2는 말뚝의 측면도이고,
도3은 팽이말뚝의 분리 입면도이고,
도4는 팽이말뚝의 체결 측면도이고,
도5는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6은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부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팽이 11: 개구면 12: 접지면 13: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 14: 세로 연결철근 배근홈
15: 접안면 16: 체결홈 17:거푸집
20: 말뚝 21:공이 22:걸림턱 23: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 24: 세로 연결철근 배근홈 25:말뚝면 26: 하부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 27: 하부 세로 연결철근 배근구멍 28:선단접안면
30: 팽이말뚝
40: 연약지반 보강공법

Claims (1)

  1. 팽이(10)와 말뚝(20)의 분리를 위하여,
    팽이(10)는 거푸집(17)으로 형성시켜 개구면(11)과 접지면(12)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13)과 세로 연결철근 배근홈(14) 접안면(15) 체결면(16)으로 구성시키고,
    말뚝(20)은 걸림턱(22)을 기준으로 상부는 공이(21)에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23)과 세로 연결철근 배근홈(24)으로 하부는 말뚝(25)에 가로 연결철근 배근구멍(26)과 세로 연결철근 배근구멍(27) 및 선단접안면(28)으로 구성시켜,
    팽이(10)는 거푸집(17)을 이용한 현장 콘크리트타설 형으로 말뚝(20)은 공장 형으로 제작하여 팽이(10)의 체결홈(16)과 말뚝(20)의 공이(21)를 통하여 조립시키고 팽이말뚝(30)과 팽이말뚝(30)은 자착 연결시스템인 연결철근 구멍 및 홈을 통한 연결철근으로 연결시킨 후 연결된 팽이말뚝(30) 외측으로 채움 쇄석으로 다짐하고 팽이(10)의 거푸집(17)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복합 팽이말뚝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40).
KR1020090062759A 2009-07-09 2009-07-09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복합 팽이말뚝을 이용한 연장지반 보강공법 KR20110005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759A KR20110005183A (ko) 2009-07-09 2009-07-09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복합 팽이말뚝을 이용한 연장지반 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759A KR20110005183A (ko) 2009-07-09 2009-07-09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복합 팽이말뚝을 이용한 연장지반 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83A true KR20110005183A (ko) 2011-01-17

Family

ID=43612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759A KR20110005183A (ko) 2009-07-09 2009-07-09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복합 팽이말뚝을 이용한 연장지반 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1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6709A (zh) * 2018-08-22 2018-12-21 中铁二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全套管液压钻机施工岩溶地区桥梁桩基的方法
KR101961279B1 (ko) * 2018-07-25 2019-03-22 주식회사 화정 중공파일과 수평철근의 연결구조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KR102158609B1 (ko) 2020-06-03 2020-09-22 한산콘크리트(주) 연약지반 신속 자중 매립고정 시공이 가능한 고강도 팽이형 콘크리트 파일블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279B1 (ko) * 2018-07-25 2019-03-22 주식회사 화정 중공파일과 수평철근의 연결구조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CN109056709A (zh) * 2018-08-22 2018-12-21 中铁二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全套管液压钻机施工岩溶地区桥梁桩基的方法
KR102158609B1 (ko) 2020-06-03 2020-09-22 한산콘크리트(주) 연약지반 신속 자중 매립고정 시공이 가능한 고강도 팽이형 콘크리트 파일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520B1 (ko) 금형틀에 의한 전면에 자연석재판이 장착된 패널의 제조방법
CN1468339A (zh) 整体式基座
KR20110005183A (ko)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복합 팽이말뚝을 이용한 연장지반 보강공법
KR20140031583A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
CN201330394Y (zh) 带桩尖的预应力混凝土空心方桩
KR100725068B1 (ko) 연결홈이 형성된 현장 타설 팽이파일 및 이를 이용한복합기초공법
KR20140061032A (ko) 벽면장식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캐스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A2804702C (en) A fence post assembly
KR102120647B1 (ko)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
KR101028288B1 (ko) 연약지반 안정화를 위한 팽이말뚝
KR200434425Y1 (ko) 사면보강 조립식 거푸집
KR200426635Y1 (ko) 연결홈이 형성된 현장 타설 팽이파일
KR1008996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을 이용한 조립식 정자
JP2004353267A (ja) 永久アンカーが施工された壁構造の構築方法、この方法で構築された壁構造
CN201460409U (zh) 水泥护栏
CN104328875A (zh) 一种护栏
CN204435379U (zh) 顶部设有管桩孔口盖板的管桩吊杆结构
CN104612413B (zh) 一种静力压管桩孔防护装置
KR101091600B1 (ko) 측구용 pc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시공방법
KR20130047096A (ko) 건설용 다용도 거푸집조립체
KR101259053B1 (ko) 사면 보강용 식생옹벽
KR20130046490A (ko) 모멘트 접합식 피씨 기둥
KR101212279B1 (ko) Phc 합성 파일의 제조방법
KR20100001611U (ko) 파일 보강캡
KR200366897Y1 (ko) 콘크리트 팽이파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