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063A -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 - Google Patents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063A
KR20110005063A KR1020090062578A KR20090062578A KR20110005063A KR 20110005063 A KR20110005063 A KR 20110005063A KR 1020090062578 A KR1020090062578 A KR 1020090062578A KR 20090062578 A KR20090062578 A KR 20090062578A KR 20110005063 A KR20110005063 A KR 20110005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amplification
bypass
circu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1504B1 (ko
Inventor
이용범
김종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5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26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noise generated by amplify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72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005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 H03G1/0088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using discontinuously variable devices, e.g. switch-operat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3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input of an amplifier can be switched on or off by a switch to amplify or not an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9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low noise amplifier [LN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72Noise reduction and elimination in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에 관한 것으로, 입력단(IN)과 출력단(OUT)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입력단(IN)을 통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00); 신호 증폭을 위해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IN)을 통한 신호를 상기 증폭부(100)에 전달하고, 상기 증폭부(100)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출력단(OUT)에 전달하는 증폭경로 회로부(200); 신호 바이패스를 위해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IN)의 신호를 상기 출력단(OUT)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경로 회로부(300); 및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200) 및 상기 바이패스경로 회로부(300)중 하나의 회로부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200)의 연결시 상기 증폭부(100)에 동작전원(Vcc)을 공급하는 경로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90062578
증폭, 바이패스, 스위치, 경로, 저잡음, 다이오드

Description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AMPLIFYING CIRCUIT WITH PATH SWITCHABLE STRUCTURE}
본 발명은 RF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경로(amplify)와 신호를 증폭없이 전달하는 전달 경로중 하나의 경로의 선택을 제어하는 회로를 간단하게 구현함으로써, 제작비 및 회로 차지 면적을 줄일 수 있는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경우에, 입력단에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가 많이 사용된다.
이때, 저잡음 증폭기를 항상 온상태로 하면, 충분한 크기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저잡음 증폭기에 의해서 신호가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저잡음 증폭기의 증폭동작을 신호의 세기에 따라 증폭온 또는 증폭오프시키는 것이 요구됨에 따라, 가격 경쟁력과 회로 차지 면적을 고려해서 증폭동작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회로를 간략하게 구현하려는 연구 및 개발이 진행중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경로(amplify)와 신호를 증폭없이 전달하는 전달 경로중 하나의 경로의 선택을 제어하는 회로를 간단하게 구현함으로써, 제작비 및 회로 차지 면적을 줄일 수 있는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은,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입력단을 통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신호 증폭을 위해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을 통한 신호를 상기 증폭부에 전달하고, 상기 증폭부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출력단에 전달하는 증폭경로 회로부; 신호 바이패스를 위해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의 신호를 상기 출력단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경로 회로부; 및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 및 상기 바이패스경로 회로부중 하나의 회로부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의 연결시 상기 증폭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경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를 제안한다.
상기 증폭부는,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에 의해 연결된 입력단에 접속된 베이스와 접지에 접속된 에미터와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에 의해 연결된 출력단에 접속된 컬렉터를 갖는 증폭 트랜지스터; 및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에미터 및 컬럭터에 접속된 복수의 바이어스 소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는, 상기 입력단과 상기 증폭부의 입력포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경로 제어부에 의해 공급되는 동작전압에 의해 온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출력단과 상기 증폭부의 출력포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경로 제어부에 의해 공급되는 동작전압에 의해 온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캐소드와, 상기 증폭부의 입력포트 및 상기 경로 제어부의 증폭 동작전압단에 연결된 애노드를 갖는 제1 다이오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캐소드와, 상기 증폭부의 출력포트 및 상기 경로 제어부의 증폭 동작전압단에 연결된 애노드를 갖는 제2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패스경로 회로부는, 상기 증폭부의 우회 경로로써, 상기 입력단과 제1 스위치간의 제1 접속노드와, 상기 출력단과 제2 스위치간의 제2 접속노드 사이에 연결된 바이패스 경로; 및 상기 바이패스 경로상에 접속되어, 상기 경로 제어부에 의해 공급되는 동작전압에 의해 온되는 제3 및 제4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제1 접속노드에 연결된 캐소드와, 상기 바이패스 동작전압단에 연결된 애노드를 갖는 제3 다이오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스위치는, 상기 제2 접속노드에 연결된 캐소드와, 상기 바이패스 동작전압단에 연결된 애노드를 갖는 제4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로 제어부는, 증폭 동작 및 바이패스 동작을 선택하기 위해 기설정된 선택전압이 기설정된 증폭 레벨을 갖는 전압이면 턴온되어 동작전압을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의 제1 및 제2 스위치에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증폭부에 공급하는 제1 제어 스위치; 및 상기 선택전압이 기설정된 바이패스 레벨을 갖는 전압이면 턴온되어 상기 동작전압을 상기 바이패스경로 회로부의 제3 및 제4 스위치에 공급하는 제2 제어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제어 스위치(Q41)는, 상기 선택전압(SV)단에 연결된 베이스와, 동작전압(Vcc)단과 저항(R21)을 통해 베이스에 연결된 에미터와 상기 증폭 동작전압단(T1)에 연결된 컬렉터를 갖는 PNP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제어 스위치(Q42)는, 상기 선택전압(SV)단에 연결된 베이스와, 동작전압(Vcc)단에 연결된 컬렉터와 상기 바이패스 동작전압단(T1)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는 NPN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경로(amplify)와 신호를 증폭없이 전달하는 전달 경로중 하나의 경로의 선택을 제어하는 회로를 간단하게 구현함으로써, 제작비 및 회로 차지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는, 입력단(IN)과 출력단(OUT)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입력단(IN)을 통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00)와, 신호 증폭을 위해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IN)을 통한 신호를 상기 증폭부(100)에 전달하고, 상기 증폭부(100)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출력단(OUT)에 전달하는 증폭경로 회로부(200)와, 신호 바이패스를 위해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IN)의 신호를 상기 출력단(OUT)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경로 회로부(300)와,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200) 및 상기 바이패스경로 회로부(300)중 하나의 회로부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200)의 연결시 상기 증폭부(100)에 동작전원(Vcc)을 공급하는 경로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in은 입력 커플링 커패시터이고, Cout는 출력 커플링 커패시터이다.
상기 증폭부(100)는,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200)에 의해 연결된 입력단(IN)에 접속된 베이스와 접지에 접속된 에미터와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200)에 의해 연결된 출력단(OUT)에 접속된 컬렉터를 갖는 증폭 트랜지스터(Q11)와, 상기 증폭 트 랜지스터(Q1)의 베이스, 에미터 및 컬럭터에 접속된 복수의 바이어스 소자들(R11-R14,L11-L12,C11-C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200)는, 상기 입력단(IN)과 상기 증폭부(100)의 입력포트(P1)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경로 제어부(400)에 의해 공급되는 동작전압(Vcc)에 의해 온되는 제1 스위치(D11)와, 상기 출력단(OUT)과 상기 증폭부(100)의 출력포트(P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경로 제어부(400)에 의해 공급되는 동작전압(Vcc)에 의해 온되는 제2 스위치(D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D11)는, 상기 입력단(IN)에 연결된 캐소드와, 상기 증폭부(100)의 입력포트(P1) 및 상기 경로 제어부(400)의 증폭 동작전압단(T1)에 연결된 애노드를 갖는 제1 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D12)는, 상기 출력단(OUT)에 연결된 캐소드와, 상기 증폭부(100)의 출력포트(P2)에 연결된 애노드를 갖는 제2 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입력포트(P1)는 증폭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 및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출력포트(P2)는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Q11)의 컬렉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는 저항(R2)을 통해 접지된다.
상기 바이패스경로 회로부(300)는, 상기 증폭부(100)의 우회 경로로써, 상기 입력단(IN)과 제1 스위치(D11)간의 제1 접속노드(N1)와, 상기 출력단(OUT)과 제2 스위치(D12)간의 제2 접속노드(N2) 사이에 연결된 바이패스 경로(Pth)와, 상기 바이패스 경로(Pth)상에 접속되어, 상기 경로 제어부(400)에 의해 공급되는 동작전압(Vcc)에 의해 온되는 제3 및 제4 스위치(D21,D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위치(D21)는, 상기 제1 접속노드(N1)에 연결된 캐소드와, 상기 바이패스 동작전압단(T2)에 연결된 애노드를 갖는 제3 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4 스위치(D22)는, 상기 제2 접속노드(N2)에 연결된 캐소드와, 상기 바이패스 동작전압단(T2)에 연결된 애노드를 갖는 제4 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로 제어부(400)는, 증폭 동작 및 바이패스 동작을 선택하기 위해 기설정된 선택전압(SV)이 기설정된 증폭 레벨을 갖는 전압이면 턴온되어 동작전압(Vcc)을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200)의 제1 및 제2 스위치(D1,D2)에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증폭부(100)에 공급하는 제1 제어 스위치(Q41)와, 상기 선택전압(SV)이 기설정된 바이패스 레벨을 갖는 전압이면 턴온되어 상기 동작전압(Vcc)을 상기 바이패스경로 회로부(300)의 제3 및 제4 스위치(D3,D4)에 공급하는 제2 제어 스위치(Q4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로 제어부(400)에서, 상기 제1 제어 스위치(Q41) 는, 상기 선택전압(SV)단에 연결된 베이스와, 동작전압(Vcc)단과 저항(R21)을 통해 베이스에 연결된 에미터와 상기 증폭 동작전압단(T1)에 연결된 컬렉터를 갖는 PNP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스위치(Q42)는, 상기 선택전압(SV)단에 연결된 베이스와, 동작전압(Vcc)단에 연결된 컬렉터와 상기 바이패스 동작전압단(T1)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는 NPN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증폭부(100)에서,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는 직렬로 연결된 제1 저항(R11), 제1 커패시터(C11) 및 제1 인덕터(L1)를 통해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Q11)의 컬렉터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2 저항(R12)을 통해 접지되고,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Q11)의 에미터는 병렬로 연결된 제3 저항 및 제2 커패시터(C12)를 통해 접지되며,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Q11)의 컬렉터는 인덕터(L1)를 통해 상기 증폭 동작전압단(T1)에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의 증폭경로 선택시의 주파수 특성도이다. 도 2에서, G11은 증폭경로 선택시, 증폭부의 통과특성(S21) 그래프이고, G12는 증폭경로 선택시, 증폭부의 입력 반사특성(S11)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의 바이패스경로 선택시의 주파수 특성도이다. 도 3에서, G21은 바이패스경로 선택시, 바이패스경로의 통과특성(S21) 그래프이고, G22는 바이패스경로 선택시, 바이패스경로의 입력 반사특성(S11)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는, 증폭부(100), 증폭경로 회로부(200), 바이패스경로 회로부(300) 및 경로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폭부(100)는,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200)에 의해 전달받은 신호를 증폭한다.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200)는, 상기 증폭부(100)의 신호 증폭을 위해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IN)을 통한 신호를 상기 증폭부(100)에 전달하고, 상기 증폭부(100)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출력단(OUT)에 전달한다.
상기 바이패스경로 회로부(300)는, 신호 바이패스를 위해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IN)의 신호를 상기 출력단(OUT)으로 바이패스시킨다.
그리고, 상기 경로 제어부(400)는,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200) 및 상기 바이패스경로 회로부(300)중 하나의 회로부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200)의 연결시 상기 증폭부(100)에 동작전원(Vcc)을 공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증폭 회로의 증폭동작과 바이패스 동작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증폭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경로 제어부(400)에서, 증폭 동작을 선택하기 위해 기설정된 선택전압(SV)이 기설정된 증폭 레벨을 갖는 전압이면 상기 경로 제어부(400)의 제1 제어 스위치(Q41)가 턴온되어 동작전압(Vcc)을 저항(R1)을 통해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200)에 공급함과 동시에 인덕터(L1)를 통해 상기 증폭부(100)에 공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경로 제어부(400)의 제1 제어 스위치(Q41)는, 증폭 동작 및 바이패스 동작을 선택하기 위해 기설정된 선택전압(SV)이 기설정된 증폭 레벨을 갖는 전압이면 턴온되어 동작전압(Vcc)을 저항(R1)을 통해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200)의 제1 스위치(D1)의 애노드에 공급하고, 또한 인덕터(L1)를 통해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200)의 제2 스위치(D2)의 애노드 및 상기 증폭부(100)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200)는, 상기 경로 제어부(400)로부터의 동작전압(Vcc)을 공급받으면, 이 동작전압(Vcc)에 의해서, 상기 입력단(IN)과 상기 증폭부(100)의 입력포트(P1) 사이에 연결된 제1 스위치(D11)와, 상기 출력단(OUT)과 상기 증폭부(100)의 출력포트(P2) 사이에 연결된 제2 스위치(D12)는 모두 턴온된다.
또한, 상기 증폭부(100)는, 인덕터(L1)를 통해 동작전압(Vcc)을 공급받고, 상기 제1 스위치(D11)를 통한 신호를 증폭하여 제2 스위치(D12)를 통해 출력단(OUT)으로 출력한다.
물론, 이때, 상기 바이패스경로 회로부(300)의 제1 스위치(D11)와 제2 스위치(D12)는 모두 오프상태가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그래프는, 본 발명의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의 증폭경로 선택시의 주파수 특성 그래프로써, 증폭경로 선택시, 증폭부의 통과특성(S21) 그래프(G11)와, 증폭경로 선택시, 증폭부의 입력 반사특성(S11) 그래프(G12)를 보면, 본 발명의 증폭부(100)의 통과특성(S21) 및 입력 반사특성(S11)을 알 수 있다.
다음, 바이패스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경로 제어부(400)는, 상기 선택전압(SV)이 기설정된 바이패스 레벨을 갖는 전압이면 턴온되어 상기 동작전압(Vcc)을 상기 바이패스경로 회로부(300)에 공급한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경로 제어부(400)의 제2 제어 스위치(Q42)는, 상기 선택전압(SV)이 기설정된 바이패스 레벨을 갖는 전압이면 턴온되어 상기 동작전압(Vcc)을 저항(R31)을 통해 상기 바이패스경로 회로부(300)의 제3 및 제4 스위치(D3,D4)의 각 애노드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경로 회로부(300)는, 상기 경로 제어부(400)로부터의 동작전압(Vcc)을 공급받으면, 이 동작전압(Vcc)에 의해서, 상기 증폭부(100)의 우회 경로로써, 상기 입력단(IN)과 제1 스위치(D11)간의 제1 접속노드(N1)와, 상기 출력단(OUT)과 제2 스위치(D12)간의 제2 접속노드(N2) 사이에 연결된 바이패스 경로(Pth)상에 접속되는 제3 및 제4 스위치(D21,D22)가 모두 턴온된다.
물론, 이때,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200)의 제1 스위치(D11)와 제2 스위치(D12)는 모두 오프상태가 된다.
도 3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그래프는, 본 발명의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의 바이패스경로 선택시의 주파수 특성 그래프로서, 바이패스경로 선택시, 바이패스경로의 통과특성 그래프(G21)와, 바이패스경로 선택시, 바이패스경로의 입력 반사특성 그래프(G2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이패스 경로의 통과특성(S21) 및 입력 반사특성(S22)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에 따르면, 선택전압(SV)의 레벨을 제어하면, 본 발명의 증폭회로를 증폭경로 또는 바이패스 경로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의 증폭경로 선택시의 주파수 특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의 바이패스경로 선택시의 주파수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증폭부 200 : 증폭경로 회로부
300 : 바이패스경로 회로부 400 : 경로 제어부(400)
IN : 입력단 OUT : 출력단
P1 : 입력포트 P2 : 출력포트
T1 : 증폭 동작전압단 T2 : 바이패스 동작전압단
D11 : 제1 스위치 D12 : 제2 스위치(D12)
D21 : 제3 스위치 D22 : 제4 스위치
Pth : 바이패스 경로 Q11 ; 증폭 트랜지스터
Q41 : 제1 제어 스위치 Q42 : 제2 제어 스위치

Claims (8)

  1.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입력단을 통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신호 증폭을 위해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을 통한 신호를 상기 증폭부에 전달하고, 상기 증폭부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출력단에 전달하는 증폭경로 회로부;
    신호 바이패스를 위해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의 신호를 상기 출력단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경로 회로부; 및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 및 상기 바이패스경로 회로부중 하나의 회로부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의 연결시 상기 증폭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경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에 의해 연결된 입력단에 접속된 베이스와 접지에 접속된 에미터와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에 의해 연결된 출력단에 접속된 컬렉터를 갖는 증폭 트랜지스터; 및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에미터 및 컬럭터에 접속된 복수의 바이어스 소자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는,
    상기 입력단과 상기 증폭부의 입력포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경로 제어부에 의해 공급되는 동작전압에 의해 온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출력단과 상기 증폭부의 출력포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경로 제어부에 의해 공급되는 동작전압에 의해 온되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캐소드와, 상기 증폭부의 입력포트 및 상기 경로 제어부의 증폭 동작전압단에 연결된 애노드를 갖는 제1 다이오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캐소드와, 상기 증폭부의 출력포트 및 상기 경로 제어부의 증폭 동작전압단에 연결된 애노드를 갖는 제2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경로 회로부는,
    상기 증폭부의 우회 경로로써, 상기 입력단과 제1 스위치간의 제1 접속노드와, 상기 출력단과 제2 스위치간의 제2 접속노드 사이에 연결된 바이패스 경로; 및
    상기 바이패스 경로상에 접속되어, 상기 경로 제어부에 의해 공급되는 동작 전압에 의해 온되는 제3 및 제4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제1 접속노드에 연결된 캐소드와, 상기 바이패스 동작전압단에 연결된 애노드를 갖는 제3 다이오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스위치는,
    상기 제2 접속노드에 연결된 캐소드와, 상기 바이패스 동작전압단에 연결된 애노드를 갖는 제4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제어부는,
    증폭 동작 및 바이패스 동작을 선택하기 위해 기설정된 선택전압이 기설정된 증폭 레벨을 갖는 전압이면 턴온되어 동작전압을 상기 증폭경로 회로부의 제1 및 제2 스위치에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증폭부에 공급하는 제1 제어 스위치; 및
    상기 선택전압이 기설정된 바이패스 레벨을 갖는 전압이면 턴온되어 상기 동작전압을 상기 바이패스경로 회로부의 제3 및 제4 스위치에 공급하는 제2 제어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스위치(Q41)는,
    상기 선택전압(SV)단에 연결된 베이스와, 동작전압(Vcc)단과 저항(R21)을 통해 베이스에 연결된 에미터와 상기 증폭 동작전압단(T1)에 연결된 컬렉터를 갖는 PNP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제어 스위치(Q42)는,
    상기 선택전압(SV)단에 연결된 베이스와, 동작전압(Vcc)단에 연결된 컬렉터와 상기 바이패스 동작전압단(T1)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는 NPN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
KR1020090062578A 2009-07-09 2009-07-09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 KR101101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578A KR101101504B1 (ko) 2009-07-09 2009-07-09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578A KR101101504B1 (ko) 2009-07-09 2009-07-09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063A true KR20110005063A (ko) 2011-01-17
KR101101504B1 KR101101504B1 (ko) 2012-01-03

Family

ID=4361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578A KR101101504B1 (ko) 2009-07-09 2009-07-09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50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595B1 (ko) * 1999-03-04 200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잡음 고주파증폭기 내장형 수신장치
KR100354166B1 (ko) * 2000-01-05 2002-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잡음 증폭 장치
WO2004075399A1 (en) * 2003-02-22 2004-09-02 Lg Innotek Co., Ltd Logic low noise amplifier and amplification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295480A (ja) 2006-04-27 2007-11-08 Alps Electric Co Ltd 高周波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1504B1 (ko) 201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1455B2 (en) High efficiency power amplifier
US8421539B2 (en) Multi-mode high efficiency linear power amplifier
EP1887686B1 (en) Multi-path Doherty amplifier and control method of a multi-path Doherty amplifier
US6791407B2 (en) Switchable power amplifier
CN106169915B (zh) 多增益模式功率放大器、芯片及通信终端
US7612607B2 (en) Small size power amplifier with amplifiers switched
US7863979B2 (en) High efficiency power amplifier having embedded switching
JP2006303744A (ja) 高周波電力増幅装置
CN103427857A (zh) 具有使用可编程无源组件的rf分路器的双模接收器
US8872588B2 (en) Amplifier
JP2018129711A (ja) 電力増幅回路および高周波モジュール
CN111342784B (zh) 一种射频功率放大器及应用
US8704600B2 (en) Power amplifier
KR101452063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JP5313970B2 (ja) 高周波電力増幅器
JP2006270923A (ja) 電力増幅器およびポーラー変調システム
KR102127815B1 (ko) 전력 증폭기 및 전력 증폭기의 출력 제어 방법
US20130293295A1 (en) Compact rf power amplifier
JP5880980B2 (ja) 電力増幅モジュール
US9667202B2 (en) Power amplifier and method
JPWO2015114698A1 (ja) トランジスタパッケージ、それを備えた増幅回路、及び、トランジスタの構成方法
KR101101504B1 (ko) 경로 스위처블 증폭 회로
US7548732B2 (en) Power amplifier arrangement having two or more antenna coupling respective amplifiers to a supply potential
JP5893853B2 (ja) 増幅器
US9917550B2 (en) Power amplification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