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737A - 새로운규격의 낚시찌와 낚시추. - Google Patents

새로운규격의 낚시찌와 낚시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737A
KR20110004737A KR1020090062330A KR20090062330A KR20110004737A KR 20110004737 A KR20110004737 A KR 20110004737A KR 1020090062330 A KR1020090062330 A KR 1020090062330A KR 20090062330 A KR20090062330 A KR 20090062330A KR 20110004737 A KR20110004737 A KR 20110004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shing
standard
color
bo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옥길
Original Assignee
강옥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옥길 filed Critical 강옥길
Priority to KR102009006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737A/ko
Publication of KR20110004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05Sinkers not containing l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추 및 낚시찌에 관한것으로, 현재 낚시추의 규격으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규격을 통일하여, 낚시추의 무게를 미터법에 의한 표준단위 g(그램) 으로 규격을 적용하며, 낚시찌의 부력 역시 g(그램)단위를 규격으로 적용하고 상반된 특성을 갖는 무게에, 동일한 규격을 이용함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규격을 적용한 낚시추 및 낚시찌에 관한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해 0.01g 을 기본단위로 하여 2ⁿ승에 비례증가 하는무게 단위를 표시규격으로 정하고, 2¹~ 2
Figure 112009041708351-PAT00001
(0.2g ~ 1.28g) 범위의 값을 7개의 소단위규격으로 정하고, 2
Figure 112009041708351-PAT00002
~ 2
Figure 112009041708351-PAT00003
(2.56g ~ 163.84g) 범위의 값을 7개의 큰단위규격으로 하여 기본단위 포함, 총 15개의 단위 규격으로 0.01g ~ 327.67g 사이의 무게범위에서 쉽고 편한 방법으로 규격을 이해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였다.
특히 위 규격 적용시 모든 무게가 소숫점 두자리를 사용하는 관계로 가감연산시 불편함이 있어 각 단위규격을 색상으로 표현함 으로서 실제무게를 몰라도 쉽게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고, 기본단위를 각 7개로 정한 이유는, 7개의 값을 누구나 기억하기 쉬운 무지개의 7색 (빨강,주황,노랑,초록,파랑,남색,보라)으로 표현하기 위한것이다. 낚시채비는 낚시대로 부터 연결된 낚시줄의 윗부분에 결합된 낚시찌와 낚시줄의 끝에 연결된 낚시바늘 사이에 낚시추가 위치하여 낚시찌의부력과 낚시추조립체의 침력이 1:1 중성부력이 되도록 낚시추의 무게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규격에 따른 표시를 하고 있는 낚시찌(10)와 무게조절낚시추(20) 로서 아래 표 2의 규격표를 참고하면 낚시찌(20)의 규격은 M21-S6 이며 표시 M2(13a) + M1(13b) = 5.12g + 2.56g = 7.68g 의 부력을 표시하며 조합된 낚시추의 무게가 7.68g 일때, 낚시찌의 찌톱 전체가 수면 밖으로 나온상태를 의미하고, S1(13c) = 0.64g 의 낚시추무게가 더해질때 찌톱전체가 수면아래로 잠기는 상태를 의미 하는 부력표시 이다.
무게조절낚시추의 규격은 M21-S7 이며 M2(23a) + M1(23b) = 5.12g + 2.56g = 7.68g 으로 무게조절추를 제외한 낚시추본체의 무게를 의미하고 S7(23c) = 1.28g 은 낚시추본체의 수납부에 최대 1.28g 의 무게조절추를 수용할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를 정리하면 낚시찌의 규격 M21-S6 은 7.68g 의 기본몸체의 부력과 0.64g 의 찌톱부력을 갖고 있으며, 찌맞춤을 위해서는 8.32g 이하의 무게로 0 ~ 0.64g 범위의 무게를 조절하여 원하는 찌맞춤을 할수 있고, 무게조절낚시추의 규격 M21-S7 은 7.68g 의 낚시추본체의 무게를 가지며 내부에 0.01g 단위로 최대 1.28g 무게의 무게조절추를 수용할수 있어 7.68g ~ 8.96g 의 범위의 무게조절을 할수 있다. 따라서 대표도 의 낚시찌(10)와 무게조절낚시추(20)는 적절한 조합을 이룬다.
일반낚시추(30)의 규격은 M621S7 이며 M6(33a) + M2(33b) + M1(33c) +S7(33d) = 81.92g + 5.12g + 2.56g + 1.28g = 90.88g 이다.
위 내용과 같이 규격은 색상표시로 알수 있고, 색상표시는 규격으로 알수있어, 실제 사용은 낚시찌의 색상표시과 낚시추의 색상만 비교해보고 낚시추가 가벼움, 적당함, 무거움을 판단할수 있어 편하고 빠르게 사용할수 있다.
낚시찌,찌몸통,찌톱,낚시추,일반낚시추,무게조절낚시추,낚시추본체,무게조절추

Description

새로운규격의 낚시찌와 낚시추. {Flot and Sinker of new standard.}
본 발명은 현재까지 낚시에 사용되어온 납추를 대체하기 위해 고안되어온 많은 방법을 실용화함에 있어 체계적인 규격을 정립하고, 현재 통용되는 많은 규격대신 미터법에 의한 g(그램)을 사용한 규격을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경제성이 있는 낚시추와 낚시찌를 제공하기 위한 제조, 표기방법에 관한것으로, 2ⁿ승에 비례증가하는 무게단위를 기준으로한 무게규격과 무게규격을 8 개의 색상으로 낚시찌 와 낚시추에 직접표시 함으로, 사용자의 편리함과, 필요한 낚시찌와 낚시추를 정확히 선택 구입할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경제성을 높인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낚시찌는 정확한 부력표시가 되어 있는제품은 없고, 판매시 제공되는 제원역시 낚시찌전체가 수면아래로 잠기는 무게를 기준하여 푼,호 등의 단위로 표시되고 있다. 이로인해 실제 사용시 무거운 납추를 달고, 채비의 투척과 회수를 반복해가며 찌맞춤을 하고 있어, 무게조절을 위해 깍여 버리는 납은 환경공해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낚시환경에 따라 부력이 다른 낚시찌로 교환하거나, 대상어종의 활성도에 따라 수시로 낚시추의 무게를 증감하다보면 채비가 지저분 해지고, 낚시줄의 걸림으로 인한 불편함 때문에, 결국 납추전체를 교환해야 한다.
현재 정확한 낚시추의 규격은 정해진바 없어, 인터넷 검색을 이용한 제조사 및 판매점의 제공 자료를 표 1 과 같이 정리 하였다. 표 1에 따르면 납추의 무게규격은 통일된 원칙이나 규격없이 호,푼, G, B, 를 혼용 사용하며, 호수에 따른 무게도 외형 및 제조사에 따라 다른값을 가지고 있어, 혼란을 야기 시킬뿐 아니라, 여러종류의 납추 및 무게조절을 위한 편납, 좁쌀추, 텅스텐껌, 등을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과 낭비에 따른 손실을 감수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표 2와 같은 무게규격을 이용하여 낚시찌의 부력과 낚시추의 무게를 동일한규격으로 적용,표시함으로, 납추사용에 의한 편리함을 앞선 낚시추 및 낚시찌를 제조할수 있다.
위와 같은내용으로 현재까지 고안된 유사한 사항을 국내공개, 국내등록자료에서 찾아 보았으나 찾을수 없었고, 2ⁿ승에 비례증가 하는무게 단위를 표시규격으로 정한것은 미공개 출원 10-2009-0058736 의 청구항 1 의 권리를 응용한 것이다.
첫째 무게조절낚시추의 제조에 있어 2ⁿ승에 비례증가하는 단위로 제작된 낚시추는 현재까지 사용되어온 규격은 적용이 불가능 하므로, 이에 실용성 있는 새규격을정하고, 둘째 정해진 규격을 낚시찌의 부력표시에도 동일하게 사용함으로 낚시찌와 낚시추의 부력과 무게를 쉽게 비교분석 하여 편한 사용법을 제공하는것과, 세째 일반낚시추의 무게규격에도 동일규격을 사용함으로서, 현재 표 1과 같이 무규칙 하게 적용되고 있는 푼,호,G,B 등의 혼용사용되는 규격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여 사용자에게 실용성에 따른 경제성과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의 해결을 위해 2ⁿ승에 비례증가 하는무게를 이용하여, 0.01g 을 최소단위로 하고 2¹~ 2
Figure 112009041708351-PAT00004
(0.2g ~ 1.28g) 범위의 값을 7개의 작은단위규격으로 정하였고, 2
Figure 112009041708351-PAT00005
(1.28g)을 큰단위 최소단위로 하고 2
Figure 112009041708351-PAT00006
~ 2
Figure 112009041708351-PAT00007
(2.56g ~ 163.84g) 범위의 값을 7개의 큰단위규격으로 정하여, 총 16개의 단위 규격으로 0.01g ~ 327.67g 무게범위에서 무게값을 정의하고 사용하기 편하도록 한다.
위 규격을 낚시추뿐 아니라, 낚시찌의 부력표시에 동일하게 적용함으로 찌맞춤시 낚시찌의 부력과 낚시추의 무게를 쉽게 비교,판단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한다.
위규격은 모든 무게가 소숫점 두자리를 사용하는 관계로 가감연산에 불편함이 있어 최소단위는 땅(지면)을 의미하는 고동(갈)색으로, 각 7개의 작은단위와 큰단위는 누구나 기억하기 쉬운 무지개의 7색 (빨강,주황,노랑,초록,파랑,남색,보라)으로 표 시하여 색상의 비교로 수치연산을 대신할수 있도록 한다.
첫째 현재 사용되고 있는규격은 표 1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최소 0.07g ~ 최대 18.5g 범위에서 많은단위의 호,G,B 등을 사용하여도, 무게의 조합에서 제외된 무게가 많으며, 규격호수의 증감과 수학적인 연계성이 없거나 모호하고, 제조사와 외형에 따른 동일호칭이 다른무게를 갖고있어 사용이 불편한 반면, 본 발명에 적용된 규격은 표 2와 같이 16개규격을 조합사용하여 0.01g ~ 327.67g 무게범위를 최소 0.01g 단위까지 정확히 표현하고 사용할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한다.
둘째 본 규격을 낚시찌의 부력표시 규격으로 동일하게 사용함으로 낚시찌의 부력과 낚시추의 무게를 쉽게 비교,판단하여 사용하므로 현재까지 사용되어온 낚시찌의 부력에 비해 무거운 납추를 깍아가며 찌맞춤한것에 비해, 찌맞춤이 쉬워 편리함을 제공한다.
세째 본규격을 알기쉬운 색상으로 표시하여 수치연산을 쉽도록 하였고, 낚시찌 와 낚시추는 몸체에 숫자를 이용한 규격의 표시가 디자인을 포함하여 애로사항이 많았으나 이를 색띠나 색점 과 색코팅등의 방법을 이용할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한다.
네째 현재까지 공해문제가 심각함에도 납추를 대체사용할 뚜렷한 대안이 없었던 이유는 납의 물성이 연해 쉽게 깍아가며 원하는 무게로 조절하기가 쉬웠기 때문이며, 반면 납을 대체할만한 금속은 모두 단단하여 깍아내며 사용하는것은 매우 어렵다.결국 납의 대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깍아내는 최소의 무게단위를 가진 무게조절추를 여러개 사용해 원하는 무게로 맞추어 쓰는 방법이 최상의 방법이나, 현재까지 고안된 방법은 동일한무게의추, 또는 서로 다른무게를 가진 여러개의 추를 증감하는 방법으로 필요한 무게조절추의 숫자가 많았고 동일무게의 낚시추도 여러개 준비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그에 대한 규격화의 시도는 없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16개의 기본 단위규격으로 넓은범위의 무게를 중복사용되는 무게 없이 조합사용이 가능하고, 모든규격의 무게를 정확히 함으로, 사용자는 자신에게 맞는 규격을 선택해 사용할수 있어, 편리함과 경제성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한 실시예를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규 격 외형명칭 및 무게(g) 규 격 무게(g)
조개봉돌 조개추 고리추 회전도래추 고급도래추 G & B 좁쌀봉돌
0.3 1.13 × × 1.125 × G8 0.07
0.4 × × × 1.5 × G7 0.09
0.5 1.67 0.188 × 1.875 3.2 G6 0.12
0.7 × 0.263 × 2.625 × G5 0.16
0.8 3 × × 3 3.7 G4 0.2
1 3.75 0.375 1.5 3.75 4.2 G3 0.25
1.2 × × × 4.6 × G2 0.31
1.5 5.62 0.663 × 5.625 6 G1 0.4
2 7.6 0.75 1.7 7.6 7.5 B 0.55
2.5 × 0.938 × × 9 2B 0.75
3 11.25 1.125 2.8 × 11.5 3B 0.95
4 × 1.5 3 × 15 4B 1.2
5 × 1.875 4.2 × 18.5 5B 1.85
6 × 2.25 5.5 × × 6B 2.65
7 × 2.625 6.5 × × × ×
8 × 3 7 × × × ×
9 × 3.375 9.1 × × × ×
10 × 3.75 11 × × × ×
12 × 4.5 × × × × ×
16 × 5.625 × × × × ×
20 × 7.5 × × × × ×
규격호수 S0 S1 S2 S3 S4 S5 S6 S7
색 상 고동(갈) 빨강(적) 주황(등) 노랑(황) 초록(녹) 파랑(옥) 남(청) 보라(자)
무게 0.01g 0.02g 0.04g 0.08g 0.16g 0.32g 0.64g 1.28g
규격호수 M0 M1 M2 M3 M4 M5 M6 M7
색 상 고동(갈) 빨강(적) 주황(등) 노랑(황) 초록(녹) 파랑(옥) 남(청) 보라(자)
무게 1.28g 2.56g 5.12g 10.24g 20.48g 40.96g 81.92g 163.84g
원재료 무연황동 스텐(STS316) 알미늄
대기중 밀도 11.36e-3 8.64e-3 7.98e-3 2.71e-3
수중 밀도 10.36e-3 7.64e-3 6.98e-3 1.71e-3
표 3 은 납과 납의 대체용으로 사용될 일반재질의 밀도표 이며 밀도 단위는 g/mm³이다. 표 3 에서 보는바와 같이 대체금속의 밀도는 납과 달라 대기중 밀도를 적용한 무게규격은 문제가 있다. 대기중 납 1cm³은 11.36g 이고 같은무게의 황동 체적은 (납의 밀도 ÷ 무연황동의 밀도) × 1cm³이므로, 계산하면 1.3148cm³이다, 이와 같은 동일한 무게의 재료가 수중에들어가면 물의 밀도 1g/cm³의 밀도에 의해 납은 1g 의 부력이 생기고, 무연황동은 1.3148g 의 부력이 생긴다. 따라서 납의 수중무게는 10.36g 이되고 무연황동은 10.0452g 이 되어 수중에서는 0.3148g 의 무게오차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밀도가 서로다른재료로 구성된 낚시추는 대기중 무게로 설계되면 같은 무게라도, 실사용시 낚시찌에 적용되는 무게가 다르므로 낚시추의 무게규격은 민물용은 밀도 1g/cm³을 적용하고 바닷물(해수) 용은 밀도 1.025g/cm³의 부력을 보정하여 실제 사용환경에서의 무게를 사용재료의 밀도와 상관없이 일정토록 하였다.
현재 사용되는 낚시채비 방법은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낚시대로 부터 연결된 낚시줄의 윗부분에 결합된 낚시찌와 낚시줄의 끝에 연결된 낚시바늘 사이에 낚시추가위치하여 낚시찌의부력과 낚시추의 침력이 1:1 중성부력이 되도록 낚시추의 무게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이는 낚시찌의 부력을 상쇄하는 낚시추의 무게를 조절하는 형식이나 현재 낚시찌의 부력표시는 대부분 없고, 도 3의 3b 와 같이 낚시찌의 전체부력과 동일한 무게를 푼으로, 또는 무거운 무게의 호수를 낚시찌의 규격으로 정하고 있어, 이와 같은 낚시찌에 적합한 무게조절낚시추를 선택하기에는 애로사항이 있다. 이런 이유로 표 2와 같이 낚시찌의 부력과 낚시추의 무게를 같은규격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정하고, 보다 편리한 사용을 위해 낚시찌의 규격을 아래 설명과 같이 정의하고 표시하였다.
도면 3의 3a 와 같이 낚시찌와 낚시추(60a)를 연결하고 그무게를 증가시켜 낚시찌몸체(50)와 찌톱의 경계(51)이 수면상에 일치하는 낚시추(60a)의 무게를 낚시찌 몸체의 부력 A 라 하고, 다시 낚시추(60a)의 무게를 증가시켜 도면 3의 3b 와 같이 찌톱의 끝부분(52)이 수면과 일치하거나 살짝 가라앉는 낚시추(60a)의 무게를 B 라고 할때 찌톱의 부력은 B - A 가 되고 이를 C 라고 했을때, 낚시찌몸체의 부력 A 를 표 2 의 규격에 따라 2개의 규격호수 및 색상을 적용하여 낚시찌몸체의 한부분에 색상띠로 표시한다. 단 큰단위 무게와 작은단위 무게를 구별하기 위해 큰단위 무게의 색굵기는 작은단위 무게의 색굵기의 2배로 한다.
찌톱의 부력 C 는 2개의 규격호수 표시간격의 2배 이상을 띠워 1개의 규격호수및 색상을 적용하여 색상띠로 표시하고 규격표시는 규격 앞자리에 - 를 붙힌다.
문자규격표시를 정리하면 Maa-Sc 또는 MaSa-Mc 와 같은 형식이다.
위에서 aa 는 낚시추몸체부력을 c 는 찌톱의 부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나누어 표시하는 이유는 실제 낚시찌를 사용할때 낚시추의 무게를 미세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는 부분은, 찌톱의 부력이고, 이는 대상어종의 움직임은 찌톱부분을 이용하여 알기 때문이며, 도면 3의 3c 와 같이 찌맞춤은 수면상의 찌톱 한부분(53)의 위치를 결정하는 낚시추의 무게조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낚시찌 몸체의 부력과 찌톱의 부력을 알면 무게조절낚시추의 선택을 정확히 할수 있다.
무게조절낚시추는 무게조절추를 제외한 낚시추본체의 무게를 표 2 의 규격에 따라 2개의 규격호수 및 색상을 적용하여 낚시추 본체의 한부분에 색상띠로 표시한다. 단 큰단위 무게와 작은단위 무게를 구별하기 위해 큰단위 무게의 색굵기는 작은단위 무게의 색굵기의 2배로 하고 무게조절낚시추의 수납공간에 수용할수 있는 최대무게를 2개의 규격호수 표시간격의 2배 이상을 띠워 1개의 규격호수및 색상을 적용하여 색상띠로 표시하며 문자규격 표시방법은 낚시찌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면 사용자는 낚시찌의 표시색과 무게조절 낚시추의 표시색을 비교하면 서로 사용이 가능한 조합인지 쉽게 알수 있다.
원투(멀리던짐)낚시에 시용되는 일반 낚시추는 낚시추무게의 관성을 이용해 멀리 투척하기위한것과 대상어종이 비교적 큰 관계로 낚시추의 무게가 무겁고, 찌맞춤이 예민할 필요가 없어, 낚시찌대신 방울을 사용하거나, 낚시찌를 사용해도 낚시추는 띄울낚시의 경우는 가볍게 바닥낚시의 경우 무겁게 사용하며, 사용낚시대 및 낚시줄의 강도에 따라 사용무게를 정한다. 이와 같은 일반낚시추는 용도에 따른 오차범위를 감안하여 1 개 이상 5개 호수 이하의 복수합계값으로 규격을 정하고 그에따른 색상표시를 한다.
위 내용을 도 1의 실시예를 나타낸 이미지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표 2의 규격에 따른 표시를 하고 있는 낚시찌(10) 의 색상(13a)주황은 규격 M2 를, 색상(13b)빨강은 규격 M1 을 표시하여 두호수를 합한 낚시찌몸체부력을 M21 로 표현하고, 색상간격(15a)의 2배이상간격(15b) 다음의 색상(13c)남색은 규격 -S6을 표시하여 찌톱의 부력을 표시하고 있다.
이를 정리하면 낚시찌의 규격 M21-S6 은 7.68g 의 기본몸체의 부력과 0.64g 의 찌톱부력을 갖고 있으며, 찌맞춤을 위해서는 8.32g 이하의 무게로 0 ~ 0.64g 범위의 무게를 조절하여 원하는 찌맞춤을 할수 있음을 알수 있다.
무게조절낚시추(20) 의 색상(23a)주황은 규격 M2 를, 색상(23b)빨강은 규격 M1 을 표시하여 두호수를 합한 낚시추본체 무게를 M21 로 표현하고, 색상간격(25a)의 2배이상간격(25b) 다음의 색상(23c)보라는 규격 -S7을 표시하여 무게조절추의 최대수용무게를 표시하고 있으며, 문자규격 표시방법은 낚시찌와 동일하다.
이를 정리하면 무게조절낚시추 규격 M21-S6 은 7.68g 의 낚시추본체무게와 1.28g 의 무게조절추의 수용능력을 갖고 있어, 최소 7.68g ~ 최대 8.96g 범위의 무게를 0.01g 단위로 조절할수 있음을 알수 있다.
위의 설명을 이해하면 규격호수별 무게를 몰라도, 도1의 낚시찌(10)의 몸체부력(13a)(13b)과 무게조절낚시추(20)의 낚시추본체무게(23a)(23b)가 동일하고, 무게조절추의 수용범위(23c)가 낚시찌의 찌톱부력(13c)의 2배 이므로, 한쌍의 조합은 적절함을 알수 있다.
도 1의 일반낚시추(30)의 색상표시를 표 2의 규격을 이용해 표시하면 M621S7 이며 M6(33a) + M2(33b) + M1(33c) +S7(33d) = 81.92g + 5.12g + 2.56g + 1.28g = 90.88g 무게의 낚시추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규격및 색상표시법을 적용하여, 납추와 같이 임의무게조절방법을 배제하고, 임의의 무게조절이 어려운 금속재질로 미리 규격에따른 정확한무게의 낚시추 또는 무게조절추를 제조하고, 그를 이용한 조합으로 누구나 편히 사용할수 있는 낚시찌와 낚시추를 제공하게 되었다.
도 2는 위의 내용을 정리하여 표로서 나타낸것이다.
도 4는 규격의 색상표시방법을 변형한 응용규격 예로서 10색상을 이용해 10진수 무게를 색상으로 표현하고, 무게표시부분과 사이를 띄워 표시한 색상을 이용해 승수를 표현한것으로 도 4에 도시된 규격표와 낚시추를 예로 설명하면,청색(10a) > 등색(10b) > 적색(10c) > 청색(10d) > 등색(10e) 을 나열순으로 표시하면 63263 이되고 표시간격(15a) 보다 2배이상의 간격(15b)를 띄워 표시된 적색(10f)는 승수 0.1을 나타내므로 63263 × 0.1 = 6326.3g 을 나타내며, 이방법은 낚시찌의 부력표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이미지.
도 2 은 본 발명에 따른 규격표와 내용를 요약정리한 표.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부력표시를 설명하는 참고도.
도 4 는 본 발명의 변형된 응용예를 나타낸 규격표.

Claims (3)

  1.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용찌와 낚시추에 있어서,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2ⁿ승에 비례증가하는 단위로 정의된 무게규격을 정하고, 정한 무게규격을 낚시용찌의 부력과, 낚시추의 무게에 동일하게 적용한것과, 정한 무게규격을 8 개의 색상을 이용하여 색상규격을 정하고, 그 색상규격을 낚시찌와 낚시추에 표시하여, 사용이 쉽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와 낚시추.
  2. 제1항에 있어서,
    낚시추의 모든 구성재료의 무게를, 민물용은 밀도 1g/cm³으로, 바닷물(해수)용은 밀도 1.025g/cm을 적용하여, 보정한 무게를 규격무게로 표시함으로, 밀도가 서로 다른재료로 낚시추를 제조해도, 실제 사용환경인 수중에서의 무게는 사용재료의 밀도와 상관없이 일정토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3. 제1항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바와 같이 색상규격의 색상표시방법을 변형한 응용규격 예로서 10개의 색상을 이용해 무게를 10진수 색상으로 표현하고, 무게표시부분과 사이를 띄워 표시한 색상을 이용해 승수를 표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와 낚시추.
KR1020090062330A 2009-07-08 2009-07-08 새로운규격의 낚시찌와 낚시추. KR20110004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330A KR20110004737A (ko) 2009-07-08 2009-07-08 새로운규격의 낚시찌와 낚시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330A KR20110004737A (ko) 2009-07-08 2009-07-08 새로운규격의 낚시찌와 낚시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737A true KR20110004737A (ko) 2011-01-14

Family

ID=4361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330A KR20110004737A (ko) 2009-07-08 2009-07-08 새로운규격의 낚시찌와 낚시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7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957B1 (ko) * 2012-12-20 2014-08-13 이동훈 호수 표시홈을 갖는 낚시용 수중찌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0269B1 (ko) * 2013-04-26 2014-10-22 센트럴공조(주) 바다 낚시용 봉돌
KR20210000429U (ko) * 2019-08-14 2021-02-24 유연지 부력조절 기능이 구비된 낚시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957B1 (ko) * 2012-12-20 2014-08-13 이동훈 호수 표시홈을 갖는 낚시용 수중찌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0269B1 (ko) * 2013-04-26 2014-10-22 센트럴공조(주) 바다 낚시용 봉돌
KR20210000429U (ko) * 2019-08-14 2021-02-24 유연지 부력조절 기능이 구비된 낚시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rouse et al. Extra replications in the “DNA-puffs” of Sciara coprophila
KR20110004737A (ko) 새로운규격의 낚시찌와 낚시추.
Morris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world's poor: The physical quality of life index
US3182252A (en) Blood loss meter
US20040111435A1 (en) System for selecting and creating composition formulations
CN108344491A (zh) 烹饪设备的重量显示方法、称重装置、烹饪设备及其内锅
King et al. Determination of photosynthetic rates for the marine algae Fucus vesiculosus and Laminaria digitata
Holder et al. Use of polyacrylamide gels in a saline-filled tank to determine the linearity of the Sheffield Mark 1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EIT) system in measuring impedance disturbances
CN112767499A (zh) 基于比例进行色彩搭配的方法及设备
CN111458967A (zh) 颜色色温校准方法、校准装置和投影显示设备
WO2019177145A1 (ja) 光沢値算出装置、光沢値測定装置、光沢色の色調定量化装置および光沢値算出方法
CN209589828U (zh) 一种用于测量鲑鳟鱼肉色的比色卡
JP2019015539A (ja) 色材配合情報検索システム及び色材配合情報検索方法
CN108510501A (zh) 细胞观察装置
CN116919042B (zh) 一种文胸选码方法
CN208030927U (zh) 一种烹饪器具的内胆
Asanova et al. Morphometric characters of the whitefish ludoga (coregonus lavaretus ludoga) in connection with the lake Issyk-Kul ecologic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and its introduction
Michaelis Clinical calorimetry: Thirty-sixth paper. A graphic method of determining certain numerical factors in metabolism
KR20160066305A (ko) 물고기 크기 측정용 계측자가 구비된 낚시대
KR20090026924A (ko) 계량수단이 구비된 전기믹서기와 이를 이용한 쥬스제조방법
Nakamura et al. Global land use of diets in a small island community: a case study of Palau in the Pacific
Mohammadalizadeh et al. Development of a perceptually uniform physical scale for visual assessment of specular gloss
Guild The geometrical solution of colour mixture problems
CN105556264B (zh) 制备比色图表的方法
JP2008298446A (ja) 塩分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