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569U - 무정전 교체 단독계기함 - Google Patents

무정전 교체 단독계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569U
KR20110004569U KR2020090014198U KR20090014198U KR20110004569U KR 20110004569 U KR20110004569 U KR 20110004569U KR 2020090014198 U KR2020090014198 U KR 2020090014198U KR 20090014198 U KR20090014198 U KR 20090014198U KR 20110004569 U KR20110004569 U KR 201100045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wire
instrument
instrument moun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섭
김태효
강귀준
정진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90014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569U/ko
Publication of KR201100045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5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정전 교체 단독계기함에 관한 것으로, 전력량계가 고정되는 계기취부판(20); 및 상기 계기취부판과 탈착되는 커버(40)를 포함하되, 상기 계기취부판(20)은 상기 전력량계(30)와 연결되는 전선(31)이 인입하는 전선 인입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전선 인입부(23)는 상기 계기취부판(20)의 일측 끝단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선 인입부

Description

무정전 교체 단독계기함{UNINTERRUPTED POWER SUPPLY EXCHANGEABLE BOXES}
본 고안은 무정전 교체 단독계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기함은 전력량계가 결합되어 전력량계를 외부의 물리적 요인으로부터 보호한다.
계기함은 외형이 박스 형상을 갖고 내부 공간은 전력량계가 탑제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다. 이러한 계기함은 내충격성, 난열성, 내후성을 갖는 합성 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계기함은 단상 2선식 전용량에 사용되는 소형과, 단상 3선식 및 3상 3선식 전용량, 3상 4선식 전용량에 사용되는 중형으로 구분된다.
종래의 계기함은 전력량계가 부착되는 계기취부판과 전력량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는 커버를 포함한다. 이때, 커버는 계기취부판의 상부로부터 내려 끼워지며 쉽게 탈착되지 않는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계기취부판의 구조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계기함 파손으로 인한 계기함 교체 시 전력량계와 전선이 분리되어 정전이 발생되는 문제점 있다.
또한, 계기함 교체 작업자는 충전부가 노출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계기함의 교체시 전력량계를 교체하는 추가 비용이 발생되며, 작업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단독계기함 교체시 전선의 단선으로 인한 정전을 방지할 수 있는 무정전 교체 단독계기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력량계가 고정되는 계기취부판(20); 및 상기 계기취부판과 탈착되는 커버(40)를 포함하되, 상기 계기취부판(20)은 상기 전력량계(30)와 연결되는 전선(31)이 인입하는 전선 인입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전선 인입부(23)는 상기 계기취부판(20)의 일측 끝단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단독계기함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선 인입부(23)는 내측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선 인입부(23)는 상기 내측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 인입부(23)는 상기 전선(31)이 접촉하는 부분이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교체 단독계기함은 계기취부판의 전선 인입부를 개방형으로 제조함으로써, 단독계기함 교체 시 정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교체 단독계기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교체 단독계기함은 계기취부판(20), 커버(40) 및 전선 인입부(23)를 포한한다.
구체적으로, 계기취부판(20)은 전력량계(30)가 부착된다. 이때, 계기취부판(20)은 전력량계(30)가 부착되는 위치에 전력량계(30)를 고정할 수 있는 나사홈(22) 등의 고정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계기취부판(20)은 커버(40)의 고정을 위한 나사홈(21) 등의 고정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계기취부판(20)은 전선(31)과 전력량계(3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단자(50)의 일측은 전력량계(30)와 연결되며 타측은 전선(31)과 연결된다. 연결단자(50)는 전선 인입부(23)측에 마련된다. 도 1에서는 계기취부판(20)에 연결단자(50)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연결단자(50)는 분리형을 계기취부 판(20)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40)는 계기취부판(20)을 덮도록 형성된다. 커버(40)는 계기취부판(20)을 덮었을때 전력량계(30)에 직접 닿지 않을 정도로 내부가 매몰된다.
커버(40)는 계기취부판(20)과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나사홈이 형성된다. 이때, 커버(40)에 형성된 나사홈은 계기취부판(20)에 형성된 나사홈(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40)와 계기취부판(20)은 나사체결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나사 이외의 결합수단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계기취부판(20)에는 후크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되고, 커버(40)에는 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계기취부판(20) 및 커버(40)는 절연체인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계기취부판(20) 및 커버(40)는 합성수지 이외의 절연체로 제조될 수 있다.
전선 인입부(23)는 전선(31)이 인입되는 통로로서 계기취부판(20)에 형성된다. 전선 인입부(23)는 계기취부판(20)의 일측 끝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단독계기함의 교체시에 전선(31)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전선 인입구에 대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기취부판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선 인입부 영역을 I-I'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선 인입부(23)는 계기취부판(20) 끝단측이 개방되도록 절단되며, 내측은 원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 선 인입부(23)는 내측이 다각형 또는 계기취부판(20)의 내측으로 일직선으로 절단될 수 있다.
전선 인입부(23)는 전선(31)이 계기취부판(20)의 배면으로부터 관통되어 앞면으로 넘어올 때, 개방된 영역을 통하므로 계기취부판(20)에 구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독계기함의 교체시 계기취부판(20)을 벽면으로부터 탈착할 경우에도 전선은 단선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서는 전선 인입부(23)의 단면이 라운드 처리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인입부(23)의 단면을 라운드 처리되어 전선이 전선 인입부(23)의 단면에 접촉하면서 마찰로 인하여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선 인입부(23)의 단면은 도 3과 같이 곡선 형태로 라운드 처리될 수도 있으며, 계기취부판(20)의 앞면 또는 뒷면에만 라운트 처리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전선 인입부(23)의 단면 중 모서리 부분이 절단되어 단면이 다각형의 모양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교체 단독계기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기취부판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선 인입부 영역의 I-I'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20: 계기취부판
21, 22: 나사홈
23: 전선 입입부
30: 전력량계
31: 전선
40: 커버
50: 연결단자

Claims (4)

  1. 전력량계가 고정되는 계기취부판(20); 및
    상기 계기취부판과 탈착되는 커버(40)를 포함하되,
    상기 계기취부판(20)은
    상기 전력량계(30)와 연결되는 전선(31)이 인입하는 전선 인입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전선 인입부(23)는 상기 계기취부판(20)의 일측 끝단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단독계기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인입부(23)는
    내측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단독 계기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인입부(23)는
    상기 내측이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단독 계기함.
  4. 제 1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인입부(23)는
    상기 전선(31)이 접촉하는 부분이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단독 계기함.
KR2020090014198U 2009-10-30 2009-10-30 무정전 교체 단독계기함 KR201100045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198U KR20110004569U (ko) 2009-10-30 2009-10-30 무정전 교체 단독계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198U KR20110004569U (ko) 2009-10-30 2009-10-30 무정전 교체 단독계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69U true KR20110004569U (ko) 2011-05-09

Family

ID=4423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198U KR20110004569U (ko) 2009-10-30 2009-10-30 무정전 교체 단독계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56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423A (ko) * 2017-08-17 2019-02-27 한국전력공사 슬라이드 방식의 계기함 및 이의 교체방법
KR102211394B1 (ko) * 2019-11-05 2021-02-03 주식회사 엠스테크 전력량계의 외함 구조
KR102369811B1 (ko) * 2021-10-19 2022-03-04 유한회사 넥스파워 바이패스 전력량계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423A (ko) * 2017-08-17 2019-02-27 한국전력공사 슬라이드 방식의 계기함 및 이의 교체방법
KR102211394B1 (ko) * 2019-11-05 2021-02-03 주식회사 엠스테크 전력량계의 외함 구조
KR102369811B1 (ko) * 2021-10-19 2022-03-04 유한회사 넥스파워 바이패스 전력량계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7864B2 (en) Distribution board with uninterruptible socket terminal block
WO2008088036A1 (ja) アウトレット装置
KR20110004569U (ko) 무정전 교체 단독계기함
JP5815807B1 (ja) 電力量計用端子アダプタ
CN106229748A (zh) 用于接头的接线座
CN103378426B (zh) 安装导轨适配器
TWI484708B (zh) 配線管用插塞
KR200455405Y1 (ko) 전선 연결구
CN207834980U (zh) 一种便于拆装的集线装置
CN203877647U (zh) 新型移动线盘
CN202274644U (zh) 热泵热水器控制盒
KR100863291B1 (ko) 공동주택의 전기구 제어형 콘센트
CN106413315A (zh) 一种电器盒及压缩机
CN104283049B (zh) 基板和使用基板的接线器件装置
CN212725739U (zh) 一种办公室用防尘接线柜
CN202205988U (zh) 用于电连接器的导光组件
CN206602333U (zh) 一种桥架与配电柜专用连接组合件
CN201859983U (zh) 一种电源插头
CN206211271U (zh) 一种开关模块
CN203519895U (zh) 一种新型光缆分纤箱
CN104332749A (zh) 一种适合于流动使用的具有分岔出口的电源装置
CN209747764U (zh) 插座的接线柱以及插座
CN202004241U (zh) 整线保护万能插座
CN209150490U (zh) 一种镶嵌式负离子发射盒
CN208352911U (zh) 一种线路管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