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504A - 누전 차단기 - Google Patents

누전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504A
KR20110004504A KR1020090061948A KR20090061948A KR20110004504A KR 20110004504 A KR20110004504 A KR 20110004504A KR 1020090061948 A KR1020090061948 A KR 1020090061948A KR 20090061948 A KR20090061948 A KR 20090061948A KR 20110004504 A KR20110004504 A KR 20110004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display button
circuit breaker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천
배성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Priority to KR102009006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504A/ko
Publication of KR20110004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누전 차단기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단락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단자의 고정접점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도록 회동되는 가동자와 가동자를 회동시키기 위한 트립레버로 이루어진 기구부; 누설전류에 의해 기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코일의 내부에서 기자력에 의해 슬라이딩 운동되며 일측말단이 트립레버에 고정설치된 코어로 이루어진 트립코일조립체; 누전의 발생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버튼; 및 코어의 타측말단과 표시버튼의 말단 사이를 연결하여 누설전류에 의한 코어의 슬라이딩 운동력을 표시버튼으로 전달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누전 차단기, 누설전류, 스프링, 코어, 기자력

Description

누전 차단기{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누설 전류의 발생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버튼을 구비하되 표시버튼을 구동하는 구성부품의 조립이 용이하고 부품의 수량을 줄일 수 있는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전 차단기는 과부하 전류, 단락전류 및 누전 발생시에 이를 감지하여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차단기의 누전 차단 기능은 원통형으로 권선된 코일의 내부에 슬라이딩되는 코어를 구비하여 코일에 인입된 전류로 인하여 코일에 자계가 형성됨에 따라 코일 내부에 설치된 코어가 당겨짐과 함께 기구부를 차단시킴으로써 누전 차단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차단기의 일례는 참고문헌 1에 개시되어 있으며, 종래기술의 누전 차단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전 발생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버튼이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누전 차단기는 누전의 발생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누전 표시 버튼(17)을 구비하며, 트립 코일(6)에 누설 전류에 의한 자계가 형성됨에 따라 구동되는 코어의 운동이 조작 슬라이더(6a)를 통해 누전 표시 버튼(17)에 전달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누전 차단기에서, 누전 표시 버튼(17)의 운동방향과 코어의 운동방향이 서로 직교하기 때문에 코어의 운동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조작 슬라이더(6a)와 같은 부가 구성요소가 요구되고 있으며, 조작 슬라이더(6a)는 다수 개의 링크들로 구성되어 있어 트립 코일(6)과 조작 슬라이더(6a) 및 누전 표시 버튼(17)을 조립하는 공정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작 슬라이더(6a)가 다수 개의 부품들로 구성됨에 따라 구성이 복잡해지고 이와 같은 조작 슬라이더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문헌 1 : 한국공개특허 KR 2008-0059053호 2008.06.30.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코어의 운동방향을 표시버튼의 운동방향으로 더욱 용이하게 전환하여 전달할 수 있어 구성이 단순하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누전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갖는 누전 차단기는, 상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입력단자의 고정접점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도록 회동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를 회동시키기 위한 트립레버로 이루어진 기구부와, 누설전류에 의해 기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부에서 상기 기자력에 의해 슬라이딩 운동되며 일측말단이 상기 트립레버에 고정설치된 코어로 이루어진 트립코일조립체와, 누전의 발생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버튼과, 상기 코어의 타측말단과 상기 표시버튼의 말단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누설전류에 의한 상기 코어의 슬라이딩 운동력을 상기 표시버튼으로 전달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누전 차단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표시버튼이 설치되는 차단기 보조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버튼은 누전의 발생시 상기 차단기 보조커버의 표면에 대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버튼의 운동방향은 상기 코어의 슬라이딩 운동방향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표시버튼에 대해 직교하게 운동되는 상기 코어의 운동력을 상기 표시버튼으로 전달하도록 만곡 가능한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누전 차단기에 따르면, 하나의 코일 스프링이 코어의 운동력을 표시버튼으로 직접 전달할 수 있어, 누전 차단기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누전 차단기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코일 스프링만으로 코어의 운동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하여 조립 공정이 더욱 간편해질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전 차단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누전 차단기(100)는 기구부(110), 트립코일조립체(120), 표시버튼(130) 및 스프링(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누전 차단기(100)는 종래의 누전 차단기와 기본적으로 유사한 구성 및 작동 방식을 가져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구성만을 더 구체적으로 도시 및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누전 차단기(100)는 누전이 발생하는 경우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출력단자(101)와 입력단자(102)를 구비하며, 입력단자(102)에는 고정접점(103)이 구비된다.
기구부(110)는 출력단자(101)와 입력단자(10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 및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가동자(111)와 트립레버(112)로 이루어진다.
가동자(111)는 입력단자(102)의 고정접점(103)과 대응하는 가동접점(113)을 구비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접점(103)에 대해 회동되어 분리될 수 있다. 즉, 가동자(111)의 회동운동에 의해 가동자(111)의 가동접점(113)과 입력단자(102)의 고정접점(103) 사이가 전기적으로 차단됨으로써 전류의 차단이 이루어진다.
트립레버(112)는 가동자(111)와 연결되어 가동자(111)를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트립레버(112)는 도 2에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립코일조립체(120)의 코어(121)와 고정되게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 트립레버(112)는 누전 차단기(100)의 트립코일조립체(120)에 회동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있으며, 트립레버(112)의 중앙부위에는 코어(121)의 일측말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고정홈(114)이 형성된다. 이 고정홈(114)에 코어(121)의 일측말단이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고 정되게 결합됨으로써, 코어(121)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트립레버(112)가 회동되며, 이러한 트립레버(112)의 회동 운동력이 가동자(111)에 전달되어 가동자(111)가 회동될 수 있다.
트립코일조립체(120)는 누전의 발생시 기구부(110)를 구동하여 전류를 차단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권선된 코일(미도시)과 코일의 내부에 수용된 코어(121)로 이루어진다.
코일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그 내부에 코어(121)가 수용되어 슬라이딩 운동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다수 회 권선되며, 누전의 발생시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코어(121)를 슬라이딩 운동시킬 수 있는 기자력을 발생시킨다.
코어(121)는 일측말단이 트립레버(112)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타측말단은 스프링(140)에 결합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121)의 일측말단은 트립코일조립체(120)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22)의 외부로 돌출되어 트립레버(112)의 고정홈(114)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측말단은 하우징(122)의 외부로 돌출되어 스프링(140)과 결합된다. 한편, 코어(121)와 스프링(140)을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123)가 코어(121)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전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코어(121)의 일측말단은 하우징(122)의 외부로 돌출되어 기구부(110)로 출력단자(101)와 입력단 자(10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누전이 발생된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설전류에 의한 기자력에 의해 코어(121)가 코일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코어(121)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트립레버(112) 및 트립레버(112)에 연동하여 가동자(111)가 회동됨으로써, 출력단자(101)와 입력단자(102) 사이가 전기적으로 차단되게 된다.
표시버튼(130)은 누전의 발생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전 차단기(100)의 차단기 보조커버(104)에 돌출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표시버튼(130)은 누전의 비발생시 차단기 보조커버(104)의 표면에 대해 비돌출되고 누전의 발생시 차단기 보조커버(104)의 표면에 대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버튼(130)은 말단이 스프링(140)에 의해 트립코일조립체(120)의 코어(121)의 타측말단에 결합되어, 코어(121)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차단기 보조커버(104)에 대해 돌출됨으로써 누전의 발생을 외부로 표시한다. 한편, 표시버튼(130)의 돌출 운동방향은 코어(121)의 슬라이딩 운동방향에 대항 직교하게 차단기 보조커버(104)에 설치되며, 코어(121)의 슬라이딩 운동방향을 표시버튼(130)의 운동방향으로 전환하여 운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종래 기술과는 달리 하나의 스프링(140)이 사용된다.
스프링(140)은 코어(121)와 표시버튼(130)의 사이를 연결하여 누전에 의한 코어(121)의 슬라이딩 운동력을 표시버튼(130)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스프링(140)은 표시버튼(130)에 대해 직교하게 운동되는 코어(121)의 운동력을 표시버튼(130)으로 전달하도록 만곡 가능한 코일 스프링(1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140)의 일측말단은 표시버튼(130)의 말단에 구비된 돌기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말단은 코어(121)에 구비된 가이드(123)에 의해 지지되어 코어(121)와 결합된다. 한편, 코어(121)와 표시버튼(130)의 서로 직교하는 운동방향으로 인하여, 스프링(140)은 'L'자 모양으로 만곡되어 설치된다.
즉, 종래 기술의 누전 차단기에서는 이와 같은 서로 직교하는 운동방향으로 운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다수 개의 링크들로 이루어진 조작 슬라이더를 사용함으로써, 구성 및 조립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작 비용이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만곡 가능한 하나의 스프링(140)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직교하는 운동방향으로 운동력을 더욱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누전 차단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누전 발생시 전류가 차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누전 차단기의 외관은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기구부와 트립코일조립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및
도 5는 종래 기술의 누전 차단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누전 차단기 101: 출력단자
102: 입력단자 103: 고정접점
104: 차단기 보조커버 110: 기구부
111: 가동자 112: 트립레버
113: 가동접점 114: 고정홈
120: 트립코일조립체 121: 코어
122: 하우징 123: 가이드
130: 표시버튼 140: 스프링

Claims (4)

  1.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갖는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입력단자의 고정접점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도록 회동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를 회동시키기 위한 트립레버로 이루어진 기구부;
    누설전류에 의해 기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부에서 상기 기자력에 의해 슬라이딩 운동되며 일측말단이 상기 트립레버에 고정설치된 코어로 이루어진 트립코일조립체;
    누전의 발생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버튼; 및
    상기 코어의 타측말단과 상기 표시버튼의 말단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누설전류에 의한 상기 코어의 슬라이딩 운동력을 상기 표시버튼으로 전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전 차단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표시버튼이 설치되는 차단기 보조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버튼은 누전의 발생시 상기 차단기 보조커버의 표면에 대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표시버튼의 운동방향은 상기 코어의 슬라이딩 운동방향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표시버튼에 대해 직교하게 운동되는 상기 코어의 운동력을 상기 표시버튼으로 전달하도록 만곡 가능한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KR1020090061948A 2009-07-08 2009-07-08 누전 차단기 KR20110004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948A KR20110004504A (ko) 2009-07-08 2009-07-08 누전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948A KR20110004504A (ko) 2009-07-08 2009-07-08 누전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04A true KR20110004504A (ko) 2011-01-14

Family

ID=4361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948A KR20110004504A (ko) 2009-07-08 2009-07-08 누전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5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67Y1 (ko) 2017-08-08 2018-03-30 오병철 누전차단기의 단자볼트 풀림 방지장치
KR102295158B1 (ko) 2021-03-31 2021-08-31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차단 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67Y1 (ko) 2017-08-08 2018-03-30 오병철 누전차단기의 단자볼트 풀림 방지장치
KR102295158B1 (ko) 2021-03-31 2021-08-31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차단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5121B1 (en) Circuit breaker having trip cause indicating mechanism
CN101145478B (zh) 一种带漏电、过载、短路保护器的断路器
WO2017016364A1 (zh) 断路器的故障状态指示装置
US9343256B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indication assembly and trip cam therefor
JP4956141B2 (ja) 真空遮断器
KR20110004504A (ko) 누전 차단기
RU2477541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низковольтных цепях
JP2016018616A (ja) 配線器具
EP4173019A1 (en) Residual current fault indicator mechanism and circuit breaker with residual current fault indicator mechanism
CN103187215B (zh) 塑壳断路器的欠压跳闸装置
CN219534454U (zh) 一种智能小型断路器的触头结构
CN114360977B (zh) 一种可远程控制的断路器
JPH0636666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回路遮断器
CN201084671Y (zh) 一种带漏电、过载、短路保护器的断路器
CN213277974U (zh) 用于断路器的脱扣报警附件及具有其的断路器
CN113161203A (zh) 漏电断路器的取电机构
CN208298775U (zh) 漏电保护断路器
JP4288868B2 (ja) 回路しゃ断器の付属スイッチ装置
CN216902711U (zh) 一种微型断路器
CN219040374U (zh) 一种指示机构、断路器及配电设备
CN219936962U (zh) 智能断路器
CN216902721U (zh) 一种智能断路器
JP2016019313A (ja) 配線器具
CN215869246U (zh) 开合机构以及漏电保护设备
CN201663124U (zh) 用于漏电断路器的漏电指示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