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311A - Light control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Light control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311A
KR20110004311A KR1020100064615A KR20100064615A KR20110004311A KR 20110004311 A KR20110004311 A KR 20110004311A KR 1020100064615 A KR1020100064615 A KR 1020100064615A KR 20100064615 A KR20100064615 A KR 20100064615A KR 20110004311 A KR20110004311 A KR 20110004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nvex portion
light source
less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1567B1 (en
Inventor
히로후미 오타
Original Assignee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04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3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5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Lens or lenticular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6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two different directions in a plane, e.g. honeycomb arrangement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33Diffraction gratings comprising birefringent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Abstract

PURPOSE: A light controlling plate, surface-light-source, and a transmissive type image display device are provided to stably display images by adopting a convex part satisfying a specific formula to the light controlling plate. CONSTITUTION: A light controlling plate(40) includes a first face(40a) and a second face(40b). The first face is formed at light source side. The second face is formed at transmissive type image display part side. A plurality of convex parts(41) is formed at the second face. The convex parts satisfy formula below: Z_B(X) - 0.01W_a <= Z(X) <= Z_B(X) + 0.01W_a. In the formula, Z_B(X) is Z_0(X) x r, the r is between 0.95 and 1.05.

Description

광제어판, 면광원 장치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LIGHT CONTROL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Light control panel,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LIGHT CONTROL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제어판, 면광원 장치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control panel, a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a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표시부의 백라이트를 출력하는 광원의 일례로서 직하형 면광원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전형적인 면광원 장치로서, 광확산판이라는 광제어판의 배면측에 복수의 광원을 나열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면광원 장치에서는, 배치하는 광원 수를 늘림으로써 발광면을 용이하게 고휘도화할 수 있는 반면, 휘도 균제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광원의 바로 위 부근에서의 휘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주기적 휘도 불균일이 문제인데, 면광원 장치의 박형화, 또는 저소비 전력화를 위한 광원 수 삭감화에 의해 상기 주기적 휘도 불균일이 보다 큰 문제가 되어 오고 있다.In transmiss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direc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s used as an example of the light source which outputs the backligh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rt. As a typical surface light source device, what arrange | positioned several light source on the back side of the light control board called a light-diffusion plate is used. In such a surface light source device, the light emitting surface can be easily made high by increasing the number of light sources to be arrang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uminance uniformity is low. In particular, the periodic luminance non-uniformity caused by the increase in luminance immediately above the light source is a problem, and the periodic luminance non-uniformity has become a bigger problem due to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light sources for reducing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or lowering power consumption. have.

그래서, 휘도 균제도 확보를 위해,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평6-273760호 공보(특허문헌 1)에서는, 광제어판의 일례로서의 광확산판에 광원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광량 보정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일본 특허공개 2004-127680호 공보(특허문헌 2)에서는, 광확산판의 광원측 면의 광원 바로 위 부분의 일부에 단면 톱니 형상의 프리즘을 설치함으로써, 광량이 많은 광원 바로 위 부근의 광을 분산시키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luminance uniformity,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273760 (Patent Document 1) forms a light amount correction pattern on the light diffusion plate as an example of the light control plat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to the light source. Similarly,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127680 (Patent Document 2), light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a light source with a large amount of light by providing a cross-sectional serrated prism in a part of a portion immediately above the light source on the light source side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Is dispersed.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광량 보정 패턴 및 특허문헌 2의 단면 톱니 형상 프리즘과 같이 광원 위치와의 거리에 의존 관계를 갖게 한 백라이트 구성에서는, 광확산판이라는 광제어판의 위치 어긋남이나 열에 의한 변형 등에 의해 휘도 균제도가 악화되어 버린다.However, in a backlight configuration in which the light amount correction pattern of Patent Document 1 and the cross-sectional saw-tooth prism of Patent Document 2 have a dependence on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position, the optical control plate called the light diffusion plate is deformed due to positional shift or deformation by heat. The luminance equalization will deteriorate.

그래서, 본 발명은 보다 안정되게 휘도 불균일을 억제 가능한 광제어판, 및 그 광제어판을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control plate capable of more stably suppressing luminance unevenness, and a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a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ght control plate.

본 발명에 따른 광제어판은, 제 1 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이 제 1 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면으로부터 출사 가능한 광제어판으로서, 제 1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볼록 형상부가 상기 제 2 면에 형성되어 있고, 볼록 형상부의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그 볼록 형상부의 제 2 방향에 대한 양끝을 지나는 축선을 x축으로 하고, x축 상에서 양끝의 중심을 지나며 x축에 직교하는 축선을 z축으로 하고, 볼록 형상부의 x축 방향의 길이를 wa로 했을 때, 상기 단면에서 볼록 형상부의 윤곽 형상이, -0.475wa≤x≤0.475wa의 범위에서 수학식 1을 만족하는 z(x)로 표시된다.The light control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 control plate capable of emitting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surface from a second surface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and is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rranged in parallel in the direction ar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and 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 the axis passing through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second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 is assumed as the x axis, When the axis line orthogonal to the x-axis is passed on the x-axis and is orthogonal to the x-axis, and the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 is w a , the contour shape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cross section is -0.475w a ≤ It is represented by z (x) that satisfies Equation 1 in the range of x≤0.475w a .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단, 수학식 1에 있어서, zB(x)=z0(x)×r(r은 0.95 이상 1.05 이하의 수임)이고, z0(x)는 수학식 2로 표시된다.However, in Equation 1, z B (x) = z 0 (x) x r (r is 0.95 or more and 1.05 or less), and z 0 (x) is represented by 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수학식 2 중, ha는 0.27wa 이상 1.02wa 이하의 상수이고, ka는 -0.38 이상 0.00 이하의 상수이다)(Mathematical formula 2, h a is a constant less than 0.27w a more than 1.02w a, k is a constant of 0.00 or less than -0.38)

이 구성에서는, 볼록 형상부가 상기 z(x)로 표시되는 단면 형상을 갖기 때문에, 광제어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불균일을 보다 안정되게 저감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onvex portion has a cross-sectional shape represented by z (x), the luminance nonuniformit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control panel can be more stably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제어판과, 서로 이간(離間)하여 배치되어 있고 광제어판의 제 1 면에 광을 공급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한다.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light control board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the some light source which is arrange | position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upplies light to the 1st surface of a light control board.

이 면광원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제어판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광제어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불균일을 보다 안정되게 저감할 수 있다.Since this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s equipped with the light control board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luminance nonuniformity of the light radiate | emitted from a light control board can be reduced more stably.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제어판과,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고 광제어판의 제 1 면에 광을 공급하는 복수의 광원과,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력되어 광제어판을 통과한 광에 의해 조명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투과형 화상 표시부를 구비한다.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contro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upplying light to a first surface of the light control panel, and output from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pass through the light control panel. A transmissive image display unit which is illuminated by a light and displays an image is provided.

이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제어판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안정되게 휘도 불균일이 억제된 광으로 투과형 화상 표시부를 조명할 수 있다. 따라서, 휘도 불균일이 없는 화상을 안정되게 표시 가능하다.In this transmissive image display apparatus, since the light control panel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provided,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part can be illuminated stably with the light in which the luminance nonuniformity was suppres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bly display an image without luminance unevenne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광확산판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볼록 형상부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윤곽선의 허용 변동 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볼록 형상부로부터의 출력광의 원하는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강도 분포 측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볼록 형상부 설계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볼록 형상부 설계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인접하는 2개 광원 사이의 강도 분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인접하는 2개 광원 사이의 강도 분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인접하는 2개 광원 사이의 강도 분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볼록 형상부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낸 볼록 형상부의 형상예 1의 z0(x)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형상예 1의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2에 나타낸 볼록 형상부의 형상예 2의 z0(x)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형상예 2의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볼록 형상부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18에 나타낸 볼록 형상부의 형상예 3의 z0(x)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형상예 3의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8에 나타낸 볼록 형상부의 형상예 4의 z0(x)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형상예 4의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볼록 형상부의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낸 볼록 형상부의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28에 나타낸 볼록 형상부의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30에 나타낸 볼록 형상부의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에 나타낸 볼록 형상부의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34에 나타낸 볼록 형상부의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도 36에 나타낸 볼록 형상부의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도 38에 나타낸 볼록 형상부의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1은 실시예 1의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볼록 형상부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42는 실시예 2의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볼록 형상부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43은 실시예 3의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볼록 형상부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44는 실시예 4의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볼록 형상부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45는 실시예 5의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볼록 형상부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46은 실시예 6의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볼록 형상부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47은 실시예 7의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볼록 형상부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48은 실시예 8의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볼록 형상부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49는 실시예 9의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볼록 형상부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50은 실시예 10의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볼록 형상부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51은 실시예 11의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볼록 형상부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52는 실시예 12의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볼록 형상부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53은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54는 실시예 13의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볼록 형상부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55는 실시예 14∼17 및 비교예 2의 볼록 형상부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은 비교예 2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1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은 비교예 2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2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8은 비교예 2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3의 결과에 근거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9는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1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0은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2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1은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3의 결과에 근거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2는 실시예 15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1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3은 실시예 15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2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4는 실시예 15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3의 결과에 근거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5는 실시예 16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1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6은 실시예 16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2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7은 실시예 16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3의 결과에 근거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8은 실시예 17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1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9는 실시예 17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2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0은 실시예 17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3의 결과에 근거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ypically the structure of one Embodiment of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light diffusion plate used in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a convex-shaped par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permissible fluctuation range of the outline which show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shown i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sired intensity distribution of output light from the convex por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intensity distribution measuring method.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mulation model for designing convex portions.
8 is a diagram illustrating one step of the design of the convex por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nsity distribution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intensity distribution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intensity distribution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a convex-shaped par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ndition which the contour line which show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shown in FIG. 12 is satisfied.
14 is a view showing a z 0 (x) of the convex-shaped portion Example 1 shown in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dition that the contour of Form 1 is satisfied.
16 is a view showing a z 0 (x) of the convex portion 2 for example, the shape shown in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dition that the contour of Form 2 is satisfied.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a convex-shaped par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nditions which satisfy | fill the outline which show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shaped part shown in FIG.
20 is a view showing a z 0 (x) of the convex portion shape shown in Example 3, 18.
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dition that the contour of Form 3 is satisfied.
22 is a view showing a z 0 (x) of the convex portion shape shown in Example 4.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nditions which the contour of the shape example 4 satisfy | fills.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a convex-shaped par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nditions which the outline of the convex-shaped part shown in FIG. 24 satisfy | fills.
It is a figure which shows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a convex-shaped par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ndition which the outline of the convex-shaped part shown in FIG. 26 satisfy | fills.
It is a figure which shows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a convex-shaped par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ndition which the outline of the convex-shaped part shown in FIG. 28 satisfy | fills.
It is a figure which shows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a convex-shaped par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nditions which the outline of the convex-shaped part shown in FIG. 30 satisfy | fills.
It is a figure which shows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a convex-shaped part.
3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dition that the contour of the convex portion shown in FIG. 32 is satisfied.
It is a figure which shows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a convex-shaped part.
FIG. 3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dition that the contour of the convex portion shown in FIG. 34 satisfies.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a convex-shaped part.
FIG. 3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dition that 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shown in FIG. 36 is satisfied. FIG.
38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
FIG. 3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dition that 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shown in FIG. 38 is satisfied.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imulation model of an Example and a comparative example.
41 is a diagram showing design data at the design stage of the convex portion used in the simulation of Example 1. FIG.
42 is a diagram showing design data at the design stage of the convex portion used in the simulation of Example 2. FIG.
43 is a diagram showing design data at the design stage of the convex portion used in the simulation of Example 3. FIG.
44 is a diagram showing design data at the design stage of the convex portion used in the simulation of Example 4. FIG.
45 is a diagram showing design data at the design stage of the convex portion used in the simulation of Example 5. FIG.
46 is a diagram showing design data at the design stage of the convex portion used in the simulation of Example 6. FIG.
47 is a diagram showing design data at the design stage of the convex portion used in the simulation of Example 7. FIG.
48 is a chart which shows design data at the design stage of the convex portion used in the simulation of Example 8. FIG.
FIG. 49 is a chart showing design data at the design stage of the convex portion used in the simulation of Example 9. FIG.
50 is a chart showing design data at the design stage of the convex portion used in the simulation of Example 10;
Fig. 51 is a table showing design data in the design stage of the convex portion used in the simulation of the eleventh embodiment.
52 is a chart which shows design data at the design stage of the convex portion used in the simulation of Example 12. FIG.
53 is a chart showing the simulation results of Examples 1 to 12 and Comparative Example 1. FIG.
54 is a diagram showing design data at the design stage of the convex portion used in the simulation of Example 13. FIG.
FIG. 55 is a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s of Examples 14 to 17 and Comparative Example 2. FIG.
FIG. 56 shows the results of simulation 1 in Comparative Example 2. FIG.
57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simulation 2 in Comparative Example 2.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intensity distribu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simulation 3 in the comparative example 2. FIG.
FIG. 59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simulation 1 in Example 14. FIG.
60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sults of simulation 2 in Example 14. FIG.
Fig. 61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distribution based on the result of simulation 3 in Example 14;
62 shows the results of simulation 1 in Example 15. FIG.
FIG. 63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simulation 2 in Example 15. FIG.
64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distribution based on the result of simulation 3 in Example 15. FIG.
65 shows the results of simulation 1 in Example 16. FIG.
66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simulation 2 in Example 16. FIG.
67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distribution based on the result of simulation 3 in Example 16. FIG.
FIG. 68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simulation 1 in Example 17. FIG.
69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simulation 2 in Example 17. FIG.
70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distribution based on the result of simulation 3 in Example 17.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제어판, 면광원 장치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치수 비율은 설명한 것과 반드시 일치하고 있지 않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drawings, embodiment of the light control boar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ve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addition, in description of drawing,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element,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In addition, the dimension ratio of drawing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with what was described.

(제 1 실시형태)(1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은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면광원 장치가 갖는 광확산판(광제어판)의 확대도이며, 광확산판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접하는 2개의 광원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ypically the structure of one Embodiment of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1 is an exploded view of a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light diffusion plate (light control panel) included i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ncluded in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and show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In FIG. 2, two adjacent light sources are also shown typical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투과형 화상 표시부(10)로서는, 예컨대 액정 셀(11)의 양면에 직선 편광판(12, 13)이 배치된 액정 표시 패널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는 액정 표시 장치(또는 액정 텔레비전)이다. 액정 셀(11), 편광판(12, 13)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액정 셀(11)로서는 TFT형, STN형 등의 공지된 액정 셀이 예시된다.As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part 10,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 which the linear polarizing plates 12 and 13 were arrange | positioned on both surfac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11 is mentioned,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apparatus 1 i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liquid crystal television). The liquid crystal cell 11 and the polarizing plates 12 and 13 can use what is used by transmiss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es, such as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 the liquid crystal cell 11, well-known liquid crystal cells, such as TFT type and STN type, are illustrated.

면광원 장치(20)는, 이른바 직하형 면광원 장치(20)이며, 병렬 배치된 복수의 광원(31)을 포함하는 광원부(30)를 갖는다. 각 광원(31)은, 복수의 광원(31)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선상 광원이며, 형광 램프(냉음극선 램프)와 같은 직관(直管) 형상의 것이 예시된다. 복수의 광원(31)은 각 광원(31)의 중심 축선이 동일 평면(P1) 내에 위치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의 중심 축선 사이의 거리를 L로 한 경우, 거리(L)는 예컨대 10mm∼150mm이다. 여기서는 광원(31)은 선상으로 했지만, LED와 같은 점상 광원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 중에 나타낸 평면(P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가상적인 평면이다.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is a so-called direct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and has a light source unit 30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31 arranged in parallel. Each light source 31 is a linear light sourc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ome light source 31, and the thing of the straight pipe shape like a fluorescent lamp (cold cathode lamp) is illustrate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1 are arranged at intervals so that the center axes of the respective light sources 31 are located in the same plane P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axes of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is L. FIG. In one case, the distance L is 10 mm to 150 mm, for example. Although the light source 31 was made linear, her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point light source like LED. In addition, the plane P1 shown in FIG. 1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a virtual plane.

복수의 광원(3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램프 박스(32)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램프 박스(32)의 내면(32a)은 광반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각 광원(31)으로부터 출력된 광이 투과형 화상 표시부(10)측에 확실히 출력되므로, 각 광원(31)으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원부(30)는 상기 바람직한 구성의 램프 박스(32)를 갖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 it is preferable that some light source 31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lamp box 32,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urface 32a of the lamp box 32 is formed as a light reflection surface. This is because the light output from each light source 31 is reliably output to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unit 10 side, so that the light from each light source 31 can be efficiently used.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ource unit 30 will be described as having the lamp box 32 having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configuration.

면광원 장치(20)는, 광원부(30)의 전면(前面)측(도 1 중 상측), 즉 투과형 화상 표시부(10)측에 광원(31)에 대하여 이간하여 배치된 광제어판으로서의 광확산판(40)을 갖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광확산판(40)과 복수의 광원(31) 사이의 이간 거리를 D로 한 경우, 이간 거리(D)는 예컨대 3mm∼50mm이다. 면광원 장치(20)에서는, 박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L/D가 1.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L/D는 2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L/D는 2.5 이상이 되도록,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의 거리(L) 및 이간 거리(D)가 선택되고 있다.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is a light diffusing plate serving as a light control plate disposed on the front side (upper side in FIG. 1) of the light source unit 30, that is, on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unit 10 side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 Have 40. As described later,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and the light sources 31 is D, the separation distance D is, for example, 3 mm to 50 mm. I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in order to reduce the thickness, two adjacent light sources are provided such that L / D is 1.5 or more, preferably L / D is 2 or more, and more preferably L / D is 2.5 or more. The distance L and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31, 31) are selected.

광확산판(40)은, 각 광원(31)의 상을 투과형 화상 표시부(10)에 투영하지 않기 위해, 광원부(30)로부터의 광, 즉 각 광원(31)으로부터의 직접광 및 램프 박스(32)의 내면(32a)에서 반사한 반사광을 투과형 화상 표시부(10)를 향하여 확산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광확산판(40)의 두께(d1)는 통상 0.1mm 이상 5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5mm 이상 3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8mm 이상 2mm 이하이다.The light diffusion plate 40 does not project the image of each light source 31 onto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unit 10, so that light from the light source unit 30, that is, direct light from each light source 31 and lamp box 32 is used. Diffused irradiation of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inner surface 32a of the side toward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unit 10. The thickness d 1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is usually 0.1 mm or more and 5 mm or less, preferably 0.5 mm or more and 3 mm or less, more preferably 0.8 mm or more and 2 mm or less.

광확산판(40)은 투명 재료로 이루어진다. 투명 재료의 굴절률은 통상 1.48 이상 1.62 이하 또는 1.56 이상 1.62 이하이며, 투명 재료로서는 투명 수지, 투명 유리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굴절률: 1.59), MS 수지(메타크릴산 메틸-스타이렌 공중합체 수지)(굴절률: 1.56∼1.59), 폴리스타이렌 수지(굴절률: 1.59) 등이 예시된다.The light diffusion plate 4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refractive index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usually 1.48 or more and 1.62 or less, or 1.56 or more and 1.62 or less, and transparent resin and transparent glass can be illustrated as a transparent material. Examples of the transparent resin include polycarbonate resin (refractive index: 1.59), MS resin (methyl methacrylate-styrene copolymer resin) (refractive index: 1.56 to 1.59), polystyrene resin (refractive index: 1.59), and the like.

투명 재료로서 투명 수지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 이 투명 수지 재료에 자외선 흡수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가공 안정제, 난연제, 활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들 첨가제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When using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as a transparent material, additives, such as a ultraviolet absorber, an antistatic agent, antioxidant, a processing stabilizer, a flame retardant, a lubricating agent, can also be added to this transparent resin material. These additive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2 types or more, respectively.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컨대 벤조트라이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말론산 에스터계 자외선 흡수제, 옥살산 아닐라이드계 자외선 흡수제, 트라이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라이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트라이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이다.Examples of the ultraviolet absorbents include benzotriazole ultraviolet absorbers, benzophenone ultraviolet absorbers, cyanoacrylate ultraviolet absorbers, malonic ester ultraviolet absorbers, oxalic acid anhydride ultraviolet absorbers, triazine ultraviolet absorbers, and the like. Preferably, they are a benzotriazole type ultraviolet absorber and a triazine type ultraviolet absorber.

투명 수지 재료는, 통상 첨가제로서 광확산제를 첨가하는 일 없이 이용되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근소한 양이라면 광확산제를 첨가하여 이용하여도 좋다.Although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is normally used without adding a light diffusing agent as an additive, as long as it is a small quantity which does not impair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you may add and use a light diffusing agent.

광확산제로서, 통상은 광확산판(40)을 주로 구성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투명 재료와는 굴절률이 상이한 분말이 이용되고, 이를 투명 재료 중에 분산시켜 이용된다. 이러한 광확산제로서는, 예컨대 스타이렌 수지 입자, 메타크릴 수지 입자 등의 유기 입자, 탄산칼륨 입자, 실리카 입자 등의 무기 입자가 이용되고, 그 입자 직경은 통상 0.8㎛∼50㎛이다.As the light diffusing agent, a powder having a refractive index different from that of the transparent material mainly constituting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is usually used, which is dispersed and used in the transparent material. As such a light diffusing agent, organic particles, such as styrene resin particles and methacryl resin particles, inorganic particles, such as potassium carbonate particles and silica particles, are used, and the particle diameter is 0.8 micrometer-50 micrometers normally.

또한, 무아레(moire) 저감을 위해 광원(31)측의 면을, 광확산성을 갖는 면으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매트화제라고 불리는 미세한 입자를 포함하는 스킨층으로 광원(31)측의 면을 구성하여도 좋고, 광원(31)측의 면에 엠보싱 가공, 블라스트 가공을 실시하여도 좋고, 매트화제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매트층을 형성하여도 좋다.Moreover, in order to reduce moire, the surface on the light source 31 side can also be made into the surface which has light diffusivity. For example, the surface on the light source 31 side may be constituted by a skin layer containing fine particles called a matting agent, and the surface on the light source 31 side may be embossed or blasted, and the matting agent and the binder may be used. You may apply the coating liquid containing these and form a mat layer.

광확산판(40)은 단독의 투명 재료로 구성된 단층판이어도 좋고, 서로 다른 투명 재료로 구성된 층이 적층된 구조의 다층판이어도 좋다. 광확산판(40)이 다층판인 경우, 광확산판(40)의 한 면 또는 양면은 통상 10㎛∼200㎛, 바람직하게는 20㎛∼100㎛ 두께의 스킨층이 형성된 구조로 하고, 이 스킨층을 구성하는 투명 재료로서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광원(31)이나 외부로부터의 광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자외선에 의한 광확산판(40)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광원(31)으로서 형광관 등을 이용한 경우에는, 형광관으로부터의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광원(31)측의 면에 스킨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투과형 화상 표시부(10)(예컨대, 액정 패널)측의 면에는 스킨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이 비용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스킨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 재료로서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된 것을 이용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투명 수지 재료를 기준으로 통상 0.5질량%∼5질량%, 바람직하게는 1질량%∼2.5질량%이다.The light diffusion plate 40 may be a single layer plate made of a single transparent material, or may be a multilayer plat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layers made of different transparent materials are stacked. When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is a multilayer plate, one or both surfaces of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k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usually 10 μm to 200 μm, preferably 20 μm to 100 μm is formed. It is preferable to use what added the ultraviolet absorber as a transparent material which comprises a skin layer. By setting it as such a structure, deterioration of the light-diffusion plate 40 by the ultraviolet-ray which may be included in the light source 31 or the light from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a fluorescent tube or the like is used as the light source 31, since a deterioration due to ultraviolet rays from the fluorescent tube can be prevented, it is preferable that a skin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source 31 side. It is more preferable in terms of cost that a skin layer is no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unit 10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panel). When using what added the ultraviolet absorber as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which comprises a skin layer, the content is 0.5 mass%-5 mass% normally based on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Preferably they are 1 mass%-2.5 mass%.

광확산판(40)에는, 한 면 또는 양면에 대전방지제가 도포되어 있어도 좋다. 대전방지제를 도포함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먼지의 부착 등을 방지하여 먼지의 부착에 의한 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 light diffusion plate 40 may be coated with an antistatic agent on one or both surfaces. By applying the antistatic ag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on of dust due to static electricity and the like, and to lower the light transmittance due to the adhesion of dust.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판(40)은, 광원부(30)측에 거의 평탄한 제 1 면(40a)을 가짐과 동시에, 투과형 화상 표시부(10)측에 제 2 면(40b)을 갖는다. 제 2 면(40b)에는, 복수의 볼록 형상부(광학 요소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볼록 형상부(41)가 형성되어 있는 광확산판(40)에서는, 두께(d1)는 볼록 형상부(41)의 정상부와 제 1 면(40a) 사이의 거리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has a substantially flat first surface 40a on the light source unit 30 side and a second surface 40b on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unit 10 side. Ha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optical element portions) 41 ar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40b. In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in which such convex portions 41 are formed, the thickness d 1 can be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of the convex portion 41 and the first surface 40a.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볼록 형상부(41)는, 일 방향(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선상 광학 요소이다. 광학 요소로서는 렌즈나 프리즘이 예시된다. 복수의 볼록 형상부(41)는 그 연장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 형상부(41)는 광확산판(40)의 양 측면(40c, 40d)(도 1 참조)에 걸쳐서 밀접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 즉 인접하는 볼록 형상부(41)의 끝(41a, 41a)이 볼록 형상부(41)의 폭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의 볼록 형상부(41) 사이에 볼록 형상부(41)의 폭(wa)의 5% 이하 정도인 대략 평탄한 부위를 설치하여도 좋다.As shown in FIG. 2, each convex part 41 is a linear optical element extended in one direction (1st direction). Examples of the optical element include a lens and a prism.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41 are arranged in parallel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41 are closely formed over both side surfaces 40c and 40d (see FIG. 1)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that is, the ends 41a of the adjacent convex portions 41. , 41a is ideally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 41, but the width w a of the convex portion 41 between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41 is for ease of fabrication. An approximately flat portion of about 5% or less may be provided.

각 볼록 형상부(41)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은 복수의 볼록 형상부(41) 간에 대략 동일하다. 한편, 이간 거리(D) 및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의 거리(L)의 비인 L/D가 1.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L/D가 2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L/D가 2.5 이상이라는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이간 거리(D) 및 거리(L)가 선택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each convex part 41 is substantially the same between the some convex part 41.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L / D, which is the ratio of the separation distance D and the distance L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is 1.5 or more, preferably L / D is 2 or more, and more preferably L / D. The distance D and the distance L are selected to satisfy the condition that D is 2.5 or more, as described above.

도 3은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하나의 볼록 형상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한 국소적인 xz 좌표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xz 좌표계를 구성하는 x축은 복수의 볼록 형상부(41)의 배열 방향(제 2 방향)에 평행한 축선이며, z축은 판 두께 방향(제 1 및 제 2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축선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 and shows one enlarged convex por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is demonstrated using the local xz coordinate system set as shown in FIG. The x axis constituting the xz coordinate system is an axis parallel to the array direction (second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41, and the z axis is an axis line parallel to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o be.

이 xz 좌표계의 xz 면 내의 볼록 형상부(41)의 윤곽선은, 볼록 형상부(41)의 x축 방향의 길이를 wa로 했을 때, 수학식 3을 만족하는 z(x)로 표시된다.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 in the xz plane of the xz coordinate system is represented by z (x) that satisfies the expression (3) when the length of the convex portion 41 in the x-axis direction is w a .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수학식 3에 있어서, zB(x)=z0(x)×r(r은 0.95 이상 1.05 이하의 수)이다. z0(x)는 수학식 4로 표시된다.In Formula (3), z B (x) = z 0 (x) x r (r is 0.95 or more and 1.05 or less). z 0 (x) is represented by equation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수학식 4 중, ha는 0.27wa 이상 1.02wa 이하의 상수이고, ka는 -0.38 이상 0.00 이하의 상수이다. ha는, 볼록 형상부(41)를 z0(x)로 표시되는 형상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볼록 형상부(41)의 양끝(41a, 41a) 사이의 z축 방향의 최대 높이에 대응한다. 또한, ka는 볼록 형상부(41)의 뾰족한 쪽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Of Equation 4, h a is a constant less than 0.27w a more than 1.02w a, k is a constant of 0.00 or less than -0.38. h a corresponds to the maximum height in the z-axis direction between both ends 41a and 41a of the convex portion 41 in the case where the convex portion 41 is shaped as z 0 (x). . K a is a parameter indicating the pointed side of the convex portion 41.

도 3에서는, 수학식 3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z0(x)(단, 수학식 4에 있어서 ha=0.4825wa, ka=-0.232)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 즉 z(x)=zB(x)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양끝(41a, 41a)이 x축 상에 위치함과 동시에 정상부(41b)가 z축 상에 위치한다. 또한, 볼록 형상부(41)는 z축에 대하여 대칭인 윤곽선을 갖는다.In FIG. 3, z 0 (x) (h a = 0.4825w a , k a = -0.232 in Equation 4) is predetermined times in the z direction (for example, 1 time)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the expression (3). The case where the shape is stretched and contracted as much as that is, z (x) = z B (x) is illustrated. In this case, both ends 41a and 41a are located on the x-axis, and the top part 41b is located on the z-axis. The convex portion 41 also has an outlin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z axis.

볼록 형상부(41)의 양끝부 근방에서의 제조 오차 및 강도 분포에 주는 영향을 고려하면,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은, -0.5wa×0.95≤x≤0.5wa×0.95에서 수학식 3을 만족하는 z(x)로 표시되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0.5wa≤x≤0.5wa에서 수학식 3을 만족하는 z(x)로 표시되면 좋다.Considering the influence on the manufacturing error and the intensity distribution in the vicinity of both ends of the convex portion 41,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 is -0.5w a × 0.95≤x≤0.5w a × 0.95 good when expressed as z (x) satisfying the equation (3), preferably, when expressed as z (x) satisfying the equation (3) in a -0.5w ≤x≤0.5w a.

수학식 3으로 표시되는 볼록 형상부(41)의 윤곽 형상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임의의 위치 xa에 대한 z(xa)는 위치 xa에서의 볼록 형상부(41)의 높이에 대응한다. 따라서, z(x)는 볼록 형상부(41)의 윤곽 형상을 나타낸다. 수학식 3에 있어서, 0.01wa는 위치 xa에서의 높이 방향에서의 윤곽선의 허용 변동 폭에 대응한다. 따라서, zB(x)를 기준이 되는 기준 윤곽선으로 했을 때, 볼록 형상부(41)의 윤곽선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B(x)-0.01wa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zB(x)+ 0.01wa로 표시되는 윤곽선 사이의 허용 변동 폭 내의 윤곽선이면 좋다. 따라서, 수학식 3으로 표시되는 볼록 형상부(41)의 윤곽선은, zB(x)로 표시되는 기준 윤곽선에 대하여 0.01wa의 변동 허용 폭 내의 것이다. 한편, 도 4에서는 r=1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r은 0.95 이상 1.05 이하의 수이면 좋다.The outline shape of the convex part 41 shown by Formula (3) is demonstrated concretely. Z for any position x a (x a)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convex portion 41 in the position x a. Accordingly, z (x) represents the contour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 In Equation 3, 0.01w a corresponds to the allowable variation width of the contour line in the height direction at the position x a . Thus, when the B z (x) based on the contour as a reference, as shown in outline, Figure 4 of the convex portion 41, a contour represented by B z (x) and a -0.01w z B What is necessary is just an outline within the permissible fluctuation range between the outlines represented by (x) + 0.01w a . Therefore, 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 represented by the equation (3) is within a variation allowable width of 0.01 w a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utline represented by z B (x). In addition, although the case where r = 1 is shown in FIG. 4, r should just be 0.95 or more and 1.05 or less.

볼록 형상부(41)의 폭(wa)으로서는, wa=410㎛, wa=400㎛, wa=353㎛ 또는 wa=325㎛를 예시할 수 있다. wa의 값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데, wa는 8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상 800㎛ 이하가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20㎛ 이상 6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s the width (w a) of the convex portion (41), w a = 410㎛ , there can be mentioned a w a = 400㎛, w a = 353㎛ or w a = 325㎛. w is the value of a does not limited to these, and w a is not more than 800㎛ preferable, and a range from 10㎛ 800㎛ preferable, and further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more than 600 20㎛.

또한, ha 및 ka는 상술한 범위 내의 값이면 좋지만, ha 및 ka는 예컨대 광확산판(40)의 굴절률, 특히 볼록 형상부(41)의 굴절률에 따라 표 1에 나타내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lthough h a and k a may be a value within the range mentioned above, h a and k a may be the range shown in Table 1 according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diffusion plate 40, especiall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nvex part 41, for example. desirable.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상기 표 1의 각 굴절률 범위에서, L/D에 따라 표 2∼표 8에 나타내는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the range shown in Table 2-Table 8 according to L / D in each refractive index range of the said Table 1.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광확산판(40)은, 예컨대 투명 재료로부터 깎아내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재료로서 투명 수지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는, 예컨대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 프레스 성형법, 포토폴리머법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The light diffusion plate 40 can be produced by, for example, a method of cutting out from a transparent material. In addition, when using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as a transparent material, it can manufacture by methods, such as the injection molding method, the extrusion molding method, the press molding method, the photopolymer method, etc., for example.

광확산판(40)을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20)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에서는, 광원부(30)의 각 광원(31)으로부터 출력된 광은 직접 또는 램프 박스(32)의 내면(32a)에서 반사되어 광확산판(40)에 입사된다. 광확산판(40)에 입사한 광은, 제 2 면(40b)으로부터 투과형 화상 표시부(10)를 향해서 조사된다. 이때, 광확산판(40)의 제 2 면(40b)에는 볼록 형상부(41)가 복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 형상부(41)를 통해서 광이 출사되게 된다. 볼록 형상부(41)는 상기 z(x)로 표시되는 단면 형상을 갖기 때문에, 광의 통과 위치(출사 위치)에 따라 광은 여러 가지 방향으로 굴절된다. 이러한 확산 작용에 의해, 광원(31)으로부터의 광이 확산되어 면상(面狀) 광이 생성됨과 동시에 휘도 불균일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광원(31)의 상이 투과형 화상 표시부(10)에 투영되지 않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이 수학식 3을 만족하는 z(x)로 표시되기 때문에, 보다 높은 정면 방향(제 1 면(40a)의 법선 방향)의 휘도 균제도를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and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1 including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the light output from each light source 31 of the light source unit 30 is directly or the inner surface of the lamp box 32 ( Reflected at 32a) is incident on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Light incident on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is irradiated toward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unit 10 from the second surface 40b. At this time, since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41 ar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40b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light is emitted through the convex portions 41. Since the convex portion 41 has a cross-sectional shape represented by z (x), the light is refracted in various directions depending on the passing position (emission position) of the light. By this diffusing action,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31 is diffused to produce planar light and the luminance unevenness is suppressed. Therefore, the image of the light source 31 is not projected on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part 10. And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is represented by z (x) which satisfy | fills Formula (3),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 achieve the brightness uniformity of a higher front direction (normal direction of the 1st surface 40a). Do.

또한,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이 수학식 3을 만족하는 z(x)로 표시되기 때문에, 예컨대 광확산판(40)의 광원(31)에 대한 위치 어긋남이나 열 등에 의한 변형으로 L/D가 소정의 값(예컨대 설계치)으로부터 변동되더라도 휘도 불균일이 생기기 어려워, 보다 안정되게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 is represented by z (x) that satisfies the equation (3), for example, L due to deformation due to position shift or heat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etc. Even if / D fluctuates from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a design value), luminance unevenness hardly occurs, and the luminance unevenness can be suppressed more stably.

따라서, 광확산판(40)을 구비하는 면광원 장치(20)에서는, 휘도 불균일이 억제된 광을 보다 안정되게 출력 가능하다. 그리고, 광확산판(40)을 포함하는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에서는, 휘도 불균일이 억제된 광이 투과형 화상 표시부(10)를 조명할 수 있으므로, 표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광확산판(40)의 광원(31)에 대한 위치 어긋남이나 열 등에 의한 변형에 의한 표시 품질의 변동을 억제 가능하다.Therefore, i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provided with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output light in which luminance unevenness is suppressed. And in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apparatus 1 containing the light-diffusion plate 40, since the light in which the luminance nonuniformity was suppressed can illuminate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part 10, a light-diffusion plate is aimed at improving display quality. It is possible to suppress fluctuations in display quality due to deformation due to positional shift or heat to the light source 31 of 40.

(제 2 실시형태)(2nd embodiment)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볼록 형상부(41)는 수학식 3을 만족하는 윤곽선 z(x)을 갖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볼록 형상부(41)는, 광원(31)으로부터 출력된 광을, 복수의 볼록 형상부(41)가 형성된 제 2 면(40b) 상에 배치한 검출기로 측정했을 때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강도 분포(50)를 실현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볼록 형상부(41)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강도 분포(50)를 실현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인 경우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볼록 형상부(41)가 도 3에 나타낸 특성을 갖는 것으로 한 점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vex portion 41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 contour line z (x) satisfying the expression (3). However, when the convex part 41 measured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31 with the detector arrange | positioned on the 2nd surface 40b in which the some convex part 41 was formed, it shows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realize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as described above. The form in the case where the convex part 41 has a cross-sectional shape which implements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as shown in FIG. 5 is demonstrated. Since the convex part 41 has the characteristic shown in FIG. 3, and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it demonstrates by attaching | subjecting the same code | symbol to the same element as 1st Embodiment,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do.

전술한 바와 같이, 볼록 형상부(41)는, 광원(31)으로부터 출력된 광을, 복수의 볼록 형상부(41)가 형성된 제 2 면(40b) 상에 배치한 검출기로 측정했을 때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강도 분포(50)를 실현하는 단면 형상을 갖고 있고, 복수의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은 동일한 형상이다. 도 5는 볼록 형상부로부터의 출사광의 원하는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As mentioned above, when the convex part 41 measured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31 with the detector arrange | positioned on the 2nd surface 40b in which the some convex part 41 was formed, FIG. It has a cross-sectional shape which implements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as shown in 5,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several convex part 41 is the same shap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sired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emitted light from the convex portion.

도 5를 참조하여 강도 분포(50)가 만족하는 조건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2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고, X축 방향에서의 광원(31)의 위치를 원점(기준점)(O)으로 한다. 도 5에 있어서 가로축은 X축 방향에서의 광원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강도 분포(50)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이하에서는 X≥0인 영역을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X≤0인 영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A condition that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satisfies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he direction parallel to a 2nd direction is made into the X-axis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31 in an X-axis direction is made into the origin (reference point) (O). In FIG. 5,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intensity.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 area where X≥0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same applies to an area where X≤0.

(a) 최대 강도(Imax)의 90%∼10%에 걸쳐서 강도가 일차 함수적으로 변화되는 선형 변화 영역(51)을 갖는다.(a) It has a linear change area 51 whose intensity changes linearly over 90%-10% of the maximum intensity I max .

(b) 선형 변화 영역(51)은, 강도 분포상에서의 최대 강도(Imax)의 50%의 강도(0.5Imax)인 점(P)에 대하여 점 대칭이 되고 있다. 즉, 최대 강도(Imax)의 50%의 강도가 되는 X축 상의 위치를 X0 .5로 하면, P(X0 .5, 0.5Imax)에 대하여 점 대칭이 되고 있다.(b) a linear change area 51, may be a point symmetry with respect to a point (P) strength (0.5I max) and 50% of the maximum intensity (I max) on the intensity distribution. That is, when the position on the X-axis is the intensity of 50% of the maximum intensity (I max) with X 0 .5, it can be a point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P (X 0 .5, 0.5I max ).

강도 분포(50)는 상기 (a) 및 (b)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좋지만, 추가로 다음 조건 (c) 및 (d)를 만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도 X≥0인 영역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Although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should just satisfy | fill the conditions of said (a) and (b), it is more preferable to satisfy | fill the following conditions (c) and (d) further. Here, an explanation will be given with an example in which X≥0.

(c) 최대 강도(Imax)의 50%의 강도가 되는 X축 방향의 원점(O)으로부터의 거리를 w1(=X0.5)로 하고, 최대 강도(Imax)의 90%의 강도가 되는 X축 방향의 원점(O)으로부터의 거리를 w2로 하고, 최대 강도(Imax)의 10%의 강도가 되는 X축 방향의 원점(O)으로부터의 거리를 w3으로 했을 때, w1과 w2의 차이의 절대치 또는 w1과 w3의 차이의 절대치(w4)는 소정의 길이 l 이상이다. 여기서, 소정의 길이 l은 w1/10이 예시되고, 바람직하게는 w1/8, 더 바람직하게는 w1/6이다.(c) A distance from the origin O in the X-axis direction, which is 50% of the maximum intensity I max , is defined as w 1 (= X 0.5 ), and 90% of the maximum intensity I max is obtained. When the distance from the origin (O) in the X-axis direction is set to w 2 , and the distance from the origin (O) in the X-axis direction, which becomes an intensity of 10% of the maximum intensity (I max ), is defined as w 3 ,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1 and w 2 or the absolute value w 4 of the difference between w 1 and w 3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ngth l. Here, the predetermined length l is 1 w / 10 is illustrated, preferably 1 w / 8, more preferably, w 1/6.

(d) 강도 분포(50)에 있어서 최대 강도(Imax)로부터 기슭부에 걸친 영역은 점 P(X0.5, 0.5Imax)에 대하여 점 대칭이다.(d) In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the region from the maximum intensity I max to the foot is poin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oint P (X 0.5 , 0.5I max ).

조건 (d)를 가짐으로써 조건 (b)는 만족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강도 분포(50)는 상기 (a) 및 (b)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좋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볼록 형상부(41)는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조건 (a)∼(d)를 만족하는 강도 분포를 실현하는 것이다. 도 3에서는, 강도 분포(50)는 사다리꼴 형상, 바꾸어 말하면 정상부측이 평탄한 산 모양의 형상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강도 분포(50)는, 정상부측을 향해서 점점 가늘어진 산 모양이라는 삼각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도 5에서는, 강도 분포(50)는, 원점(O)의 위치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지만, 원점(O)에 대하여 X가 양 및 음의 영역 각각에 있어서 상기 조건 (a)∼(c)는 조건 (a)∼(d)를 만족하고 있으면 좋다.By having condition (d), condition (b) is satisfied. As described above,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may satisfy the conditions (a) and (b), b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nvex portions 41 are conditions (a) to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intensity distribution satisfying (d) is realized. In FIG. 3,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exemplifies a trapezoidal shape, in other words, a mountain shape having a flat top por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may be a triangular shape called a mountain shape tapering toward the top side. In FIG. 5,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origin O, but in the regions where X is positive and negative with respect to the origin O, the above conditions (a) to (c) Should just satisfy conditions (a)-(d).

도 6을 참조하여, 도 5에 나타낸 강도 분포(50)를 광확산판(40)이 실현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강도 분포 측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6은 강도 분포 측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With reference to FIG. 6, an example of the intensity distribution measuring method for verifying whether the light-diffusion plate 40 is realizing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shown in FIG. 5 is demonstrated.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intensity distribution measuring method.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용 광원(31exam)을 제 1 면(40a)으로부터 소정 거리(D0) 떼어 배치한다. 광원(31exam)으로서는, CCFL과 같은 선상 광원 또는 LED와 같은 점상 광원을 예시할 수 있다. 거리(D0)는 100mm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31exam)으로부터 광을 출력하고, 광확산판(40) 내를 이동하여 제 2 면(40b)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 2 면(40b)측에 배치한 광검출기(도시 안함)로 검출한다. 이때, 광검출기는, 제 1 면(40a)의 법선 방향으로 출력되는 광을 검출하도록 배치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면(40a)의 법선 방향을 정면 방향으로도 칭한다.As shown in FIG. 6, the measurement light source 31 exam is disposed away from the first surface 40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0 . As the light source 31 exam , a linear light source such as CCFL or a point light source such as LED can be exemplified. The distance D 0 may be 100 mm. Then, a light detector outputs light from the light source 31 exam , moves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and arrang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surface 40b to the second surface 40b side (not shown). To be detected. At this time, the photodetector is arranged to detect light output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40a.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40a is also referred to as the front direction.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원(31)과 광확산판(40)의 거리(D)는 통상 3mm∼50mm이다. 한편, 볼록 형상부(41)의 폭은 통상 8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800㎛ 이하이고, 나아가서는 20㎛ 이상 6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 등에 광확산판(40)을 적용할 때, 볼록 형상부(41)의 크기에 대하여 거리(D)는 충분히 크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거리(D0)를 100mm로 충분히 긴 거리에서 광원(31exam)을 배치하여 검증용 강도 분포를 측정함으로써, 실제의 면광원 장치(20)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의 배치에 있어서도 동일한 강도 분포를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광확산판(40)은 상기 측정 방법으로 검출하여 얻어지는 강도 분포가 조건 (a)∼(d)를 만족하고 있으면 좋다.In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apparatus 1 (for examp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distance D between the light source 31 and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is usually 3 mm to 50 mm. On the other hand, the width of the convex portion 41 is usually 800 µm or less, preferably 10 µm or more and 800 µ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0 µm or more and 600 µm or less. Thus, when applying the light-diffusion plate 40 to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apparatus 1 etc., the distance D is large enough with respect to the magnitude | size of the convex part 41. FIG. Thus, by arranging the light source 31 exam at a distance sufficiently long with a distance D 0 of 100 mm as described above, the intensity distribution for verification is measured, whereby the actual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or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1 It is considered that the same intensity distribution can be realized even in the arrangement. Therefore,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should just be satisfied that the intensity distribution obtained by detecting by the said measuring method satisfy | fills conditions (a)-(d).

상술한 조건 (a)∼(d)를 만족하는 볼록 형상부(41)를 갖는 광확산판(40)은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광확산판(40)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광확산판(40)의 제조에서는,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의 결정 공정과, 결정 공정에서 결정된 단면 형상의 볼록 형상부(41)를 갖는 광확산판(40)의 제조 공정을 갖는다.The light diffusing plate 40 having the convex portions 41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a) to (d) can be manufactured as follows. An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diffusion plate 40 is demonstrated. In the manufacture of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there is provided a step of determin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 and a step of manufacturing the light diffuser plate 40 having the convex portion 41 of the cross-sectional shape determined at the crystallization step. .

(단면 형상의 결정 공정)(Determination process of cross-sectional shape)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은, 광선 추적법에 기초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원하는 강도 분포를 얻도록 설계 가능하다.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 결정 방법의 일례에 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는, 시뮬레이션을 위해 다음 3개의 근사를 채용한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 can be designed to obtain a desired intensity distribution using a simulation based on the ray tracing method. An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convex part 41 is demonstrated more concretely. Here, three approximations are adopted for the simulation.

·광원(31)에 직교하는 면 내에서 시뮬레이션을 실시한다.Simulation is perform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ight source 31.

·광원(31)은 점광원, 즉 광원의 직경은 0으로 한다.The light source 31 is a point light source, that is, the diameter of the light source is zero.

·직접 투과광만을 고려한다.Consider only direct transmitted light.

시뮬레이션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뮬레이션 모델을 채용한다. 즉, 볼록 형상부(41)가 형성되기 전의 광확산판(40)의 단면 형상 모델을 직사각형(60)으로 나타내고, 직사각형(60)의 제 1 변(60a)으로부터 소정 거리(D)의 위치에 광원(31)이 있는 것으로 한다. 소정 거리(D)는, 예컨대 광확산판(40)의 적용을 상정하고 있는 면광원 장치(20)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에 따라 결정한다. 거리(D)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3mm∼50mm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In the simulation, a simulation model as shown in FIG. 7 is adopted. That is, the cross-sectional shape model of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before the convex portion 41 is formed is represented by a rectangle 60, and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D from the first side 60a of the rectangle 60. It is assumed that there is a light source 31. The predetermined distance D is determined depending on, for example,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and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1 that assume the application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D can be selected from 3 mm to 50 mm, for example.

상기 근사 및 모델 하에, 예컨대 다음과 같이 하여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을 결정한다.Under the above approximation and model,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 is determined as follows.

(스텝 1)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31)으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직사각형(60)의 직접 투과광을 정면 방향으로 향하게 하도록, 직사각형(60)이 갖는 제 2 변(60b)의 각 출사 위치에서의 경사도를 각각 구한다. 이 경사도의 결정 방법은, 프레넬 렌즈(Fresnel lense)의 설계 방법에서 이용되는 방법과 동일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경사도는, 제 2 변(60b)의 단위 선 요소(61)에 대하여 결정한다. 도 8에서는, 경사도를 계산하는 과정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Step 1) As shown in FIG. 8, as a func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31, the angle of the second side 60b of the rectangle 60 to direct the transmitted light of the rectangle 60 in the front direction. Obtain the inclination at the exit position, respectively. This tilt determination method can be the same as the method used in the design method of the Fresnel lens. The inclination is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unit line element 61 of the 2nd side 60b. In FIG. 8, a part of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inclination is shown typically.

(스텝 2) 직사각형(60)에의 광의 입사 위치에서의 단위 선 요소(61)당 입사광량, 투과율, 출사 위치에서의 투과율을 구하고, 각 경사도에 대한 단위 선 요소(61)당 출사광량을 구한다.(Step 2)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per unit line element 61 at the incident position of light to the rectangle 60, the transmittance, and the transmittance at the exit position are determined, and the amount of emitted light per unit line element 61 for each inclination is obtained.

(스텝 3) 각 경사도에 대한 단위 선 요소(61)의 크기를 조정하여, 정면 강도 분포가 원하는 강도 분포가 되도록 정한다.(Step 3) The magnitude | size of the unit line element 61 with respect to each inclination is adjusted, and it determines so that a front intensity distribution may become desired intensity distribution.

상기 스텝 1∼3에 의해, 정면 방향에 대하여 원하는 강도 분포를 실현 가능한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을 설계할 수 있다.By the said steps 1-3,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which can implement | achieve a desired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a front direction can be designed.

인간의 눈 등은 일정한 크기를 가지므로, 통상은 도 8의 제 1 변(60a)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한 소정 각도 폭(예컨대 ±2.5°) 내의 광을 검출하고 있다. 따라서,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의 설계에 있어서도, 예컨대 상기 스텝 1∼3에서 단면 형상을 설계한 후, 소정 각도 폭 내의 강도를 적산하여 얻어지는 강도 분포가 원하는 강도 분포가 되도록 볼록 형상부(41)의 형상을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의 설계에서는, 스텝 1∼3에서 예시한 설계 공정에서 얻어진 단면 형상의 윤곽선을, 예컨대 타원 근사라는 곡선 근사를 하여도 좋다.Since the human eye and the like have a constant size, light is usually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width (eg, ± 2.5 °) based o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first side 60a of FIG. 8. Therefore, also in the design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after designing the cross-sectional shape in the said steps 1-3, for example, the convex part so that the intensity distribution obtained by integrating the intensity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width may become desired intensity distribution. It is preferable to modify the shape of (41). In addition, in the design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aid convex part 41, the contour approximation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btained by the design process illustrated by steps 1-3 may be made the curve approximation, such as ellipse approximation.

(제조 공정)(Manufacture process)

상기와 같이 하여 결정한 단면 형상을 갖는 볼록 형상부(41)에 기초하여 광확산판(40)을 제조한다. 광확산판(40)은, 예컨대 투명 재료로부터 깎아내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재료로서 투명 수지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는, 예컨대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 프레스 성형법, 포토폴리머법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The light diffusion plate 40 is manufactured based on the convex portion 41 having the cross-sectional shape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can be produced by, for example, a method of cutting out from a transparent material. In addition, when using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as a transparent material, it can manufacture by methods, such as the injection molding method, the extrusion molding method, the press molding method, the photopolymer method, etc., for example.

다음으로, 광확산판(4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광확산판(40)을 면광원 장치(20)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에 적용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ase where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is applied to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and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1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effect of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복수의 광원(31) 상에 광확산판(40)을 배치한 경우(도 1 참조), 각 광원(31)으로부터의 광에 대해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선형 변화 영역(51)을 갖는 강도 분포(50)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 상의 영역에서는, 주로 2개 광원(31, 31)으로부터 출력되어 광확산판(40)을 통과한 광의 강도 분포가 겹쳐 있어 2개 광원(31, 31)에 의한 강도 분포가 형성된다.In the case where the light diffusing plates 40 are disposed on the light sources 31 (see FIG. 1), the light from each light source 31 has an intensity having a linear change region 51 as shown in FIG. 5. Distributions 50 are formed respectively. In the region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light output mainly from the two light sources 31 and 31 and passing through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overlaps each other. The intensity distribution by 31) is formed.

각 광원(31)으로부터의 강도 분포는 조건 (b)를 만족하는 선형 변화 영역(51)을 갖기 때문에,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에서는, 각 광원(31)의 강도 분포(50)가 갖는 선형 변화 영역(51)이 주로 겹친다. 그 결과,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의 강도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L/D의 변화에 대한 강도 분포에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면광원 장치(20)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에 광확산판(40)을 적용한 경우, 온도 등의 환경 변화나, 박형화에 수반되는 광원(31)과 광확산판(40) 사이의 거리나 광원(31)의 배치라는 설계 변경의 영향이 작아, 보다 안정된 휘도 균제도를 실현할 수 있다.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Since the intensity distribution from each light source 31 has a linear change area 51 which satisfies the condition (b),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of each light source 31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The linear change area 51 of) mainly overlaps. As a result, the intensity uniformity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can be achieved, and the influence on the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change of L / D can be reduced.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is applied to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or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1, the light source 31 and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which accompany changes in the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and thinning. The influence of the design change such as the distance between the windows and the arrangement of the light sources 31 is small, and a more stable brightness uniformity can be realiz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10, and 11.

도 9는 인접하는 2개 광원 사이의 강도 분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의 가로축은 한쪽 광원(31)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경우의 X축 방향(제 2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서는, X=0, 50에 각각 광원(31, 31)이 배치되어 있고, 2개 광원(31, 31) 사이의 거리(L)는 50mm로 하고 있다. 세로축은 1개 광원(31)으로부터의 강도 분포(50)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Imax)에 대하여 규격화한 규격화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 중의 실선(I, II)은 X=0, 50에 배치한 각 광원(31)에 의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의 파선은 2개 광원(31, 31)의 강도 분포 겹침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nsity distribution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In the figure, the horizontal axis has shown the position of the X-axis direction (2nd direction) at the time of the position of one light source 31 as a reference. In FIG. 9, the light sources 31 and 31 are arrange | positioned at X = 0 and 50, respectively, and the distance L between two light sources 31 and 31 is 50 mm.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normalized intensity normalized to the maximum intensity I max in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from one light source 31. In addition, the solid lines I and II in the figure have shown the intensity distribution by each light source 31 arrange | positioned at X = 0, 50. FIG. The broken line in the figure shows the result of overlapping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two light sources 31 and 31.

도 9에 실선(I, II)으로 나타낸 각 광원(31, 31)에 의한 강도 분포는, 선형 변화 영역(51)을 갖는 강도 분포(50)이며, 각각의 강도 분포에서는, 최대 강도(Imax)(도면 중의 규격화 강도 1)부터 강도 0까지의 X축 방향의 거리는 2개 광원(31, 31) 사이의 거리와 같다. 따라서, 복수의 광원(31, 31)에 의한 강도 분포는,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의 각각의 강도 분포가 겹치게 된다. 또한, 2개 광원(31, 31) 사이의 거리(L)는, 각 광원(31, 31)의 강도 분포(50)에 있어서 최대 강도(Imax)로부터 0.5Imax가 되기까지의 X축 방향 거리의 2배와 같다. 이 경우, 선형 변화 영역(51)이 조건 (b) 또는 (d)를 갖기 때문에, 1개 광원(31)에 대한 X축 방향의 위치에서의 최대 강도(Imax)로부터의 강도 감소분을 다른쪽 광원(31)으로부터의 광의 강도가 보충한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 광원(31, 31)에 의한 강도 분포로서 거의 일정한 강도 분포를 실현 가능하여,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The intensity distribution by each light source 31 and 31 shown by the solid lines I and II in FIG. 9 is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which has the linear change area | region 51, and in each intensity distribution, the maximum intensity Imax ), The distance in the X-axis direction from the standardized intensity 1 in the drawing to the intensity 0 is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light sources 31 and 31. Therefore, in the intensity distribution by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1 and 31, the intensity distributions of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overlap each other. Further, two light sources (31, 31) the distance (L) is, X axis direction to the 0.5I max from the maximum intensity (I max) is in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of each light source (31, 31) between the Equal to twice the distance. In this case, since the linear change region 51 has the condition (b) or (d), the intensity reduction from the maximum intensity I max at the position in the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one light source 31 is different from the other. The intensity of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31 supplements. As a result, as shown in Fig. 9, almost constant intensity distribution can be realized as the intensity distribution by the two light sources 31 and 31, and the luminance nonuniformity can be suppressed.

도 10은 인접하는 2개 광원 사이의 강도 분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있어서 가로축 및 세로축은 도 9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10에서는, X=0, 40에 각각 광원(31, 31)이 배치되어 있고, 2개 광원(31, 31) 사이의 거리(L)를 40mm로 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의 실선(I, II)은, X=0, 40에 배치된 광원(31, 31)의 각각의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실선(III)은, X=40에 배치된 광원(31)으로부터 또 하나의 이웃 광원(31), 즉 X=80(도시 안함)에 배치된 광원(31)에 의한 강도 분포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실선(IV)은, 기준으로 한 광원(31)의 또 하나의 이웃 광원(31), 즉 X=-40에 배치한 광원(31)에 의한 강도 분포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파선은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의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intensity distribution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In FIG. 10,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9. In FIG. 10, light sources 31 and 31 are arranged at X = 0 and 40, respectively, and the distance L between the two light sources 31 and 31 is 40 mm. In addition, the solid lines I and II in the figure represent the intensity distributions of the light sources 31 and 31 arranged at X = 0 and 40, respectively. The solid line III shows a part of the intensity distribution from the light source 31 arranged at X = 40 to another neighboring light source 31, that is, the light source 31 arranged at X = 80 (not shown). . Similarly, the solid line IV shows a part of the intensity distribution by another neighboring light source 31 of the light source 31 as a reference, that is, the light source 31 arranged at X = -40. The broken line indicates the intensity distribution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도 10에 있어서, 각 광원(31)에 의한 강도 분포는 도 9에 나타낸 강도 분포와 마찬가지의 강도 분포이다. 따라서,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의 거리(L)보다, 최대 강도(Imax)로부터 강도 0이 되기까지의 길이 쪽이 길어진다. 그 때문에,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의 강도 분포에는, 실선(III, IV)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X=0, 40에 배치한 각 광원(31)의 또 하나의 이웃 광원(31)에 의한 강도 분포도 기여한다. 또한, 2 광원(31, 31) 사이의 거리(L)가 도 9의 경우보다 짧으므로, 인접하는 2개 광원(31) 각각에 의한 강도 분포의 선형 변화 영역(51)의 중복이 커진다. 따라서,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의 강도는 도 9의 경우와 비교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도 10에서는, X 방향으로 연속된 4개 광원(31)의 강도 분포가 X=0∼40 사이의 강도 분포에 기여하게 되지만, X=0, 40에 배치된 광원(31, 31)의 강도 분포의 중복이 보다 지배적이고, 이들 강도 분포의 중복에서는 선형 변화 영역(51)이 겹친다. 그 때문에, 도 9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강도는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에서 거의 일정해지기 쉽다.In FIG. 10, the intensity distribution by each light source 31 is an intensity distribution similar to the intensity distribution shown in FIG. Therefore, the length from the maximum intensity I max to the intensity 0 becomes longer than the distance L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Therefore, in the intensity distribution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as shown by solid lines III and IV, another neighboring light source of each light source 31 disposed at X = 0, 40 ( The intensity distribution by 31) also contributes.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L between the two light sources 31 and 31 is shorter than in the case of FIG. 9, the overlap of the linear variation region 51 of the intensity distribution by each of the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becomes large. Therefore, the intensity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tends to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In FIG. 10,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four light sources 31 continuous in the X direction contributes to the intensity distribution between X = 0 to 40, but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light sources 31 and 31 disposed at X = 0 and 40. The overlap of is more dominant, and in the overlap of these intensity distributions, the linear change regions 51 overlap. Therefore, as in the case of FIG. 9, the intensity tends to be substantially constant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도 11은 인접하는 2개 광원 사이의 강도 분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 가로축 및 세로축은 도 9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11에서는, X=0, 60에 각각 광원(31, 31)이 배치되어 있고, 2개 광원(31, 31) 사이의 거리(L)는 60mm로 하고 있다. 도면 중의 실선(I, II)은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에 의한 강도 분포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파선은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의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intensity distribution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In FIG. 11,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9. In FIG. 11, the light sources 31 and 31 are arrange | positioned at X = 0 and 60, respectively, and the distance L between two light sources 31 and 31 is 60 mm. Solid lines I and II in the figure show intensity distributions by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respectively. The broken line indicates the intensity distribution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도 11에 있어서, 각 광원(31)에 의한 강도 분포는 도 9에 나타낸 강도 분포와 마찬가지의 강도 분포이다. 따라서,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의 거리(L)보다, 최대 강도(Imax)로부터 강도 0이 되기까지의 길이 쪽이 짧다. 이 경우,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에서 각 광원(31, 31)의 강도 분포의 중복이 작아지기 때문에,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에서는, 각 광원(31)의 바로 위와 비교하여 강도가 감소한다. 그러나, 선형 변화 영역(51)의 중복에 의해, 한쪽 광원(31)에 의한 강도의 감소를 다른쪽 광원에 의한 강도로 보충할 수 있으므로, 비선형적으로 강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보다 강도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In FIG. 11, the intensity distribution by each light source 31 is an intensity distribution similar to the intensity distribution shown in FIG. Therefore, the length from the maximum intensity I max to the intensity 0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L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In this case, since the overlap of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each light source 31 and 31 becomes small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each light source 31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becomes small. The strength decreases as compared to just above. However, the overlap of the linear change regions 51 makes it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decrease in the intensity by one light source 31 with the intensity by the other light source, so that the decrease in intensity is suppres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intensity decreases nonlinearly. can do.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강도 분포(50)를 실현할 수 있는 볼록 형상부(41)를 구비한 광확산판(40)에 대해서는, L/D를 조정함으로써 2개 광원(31, 31) 사이에서 거의 균일한 강도 분포를 실현 가능하다(도 9 참조). 또한, 그와 같이 하여 조정한 L/D로부터 벗어난 경우이더라도, 강도 분포의 변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10 및 도 11 참조). 이와 같이, 광확산판(40)에서는, L/D의 변화에 대한 강도 분포(또는 휘도 분포)에의 영향이 작으므로, 광확산판(40)은 범용성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having the convex portion 41 capable of realizing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the L / D is adjusted to be almost uniform between the two light sources 31 and 31. One intensity distribution can be realized (see FIG. 9). In addition, even if it deviates from the L / D adjust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hange of intensity distribution (refer FIG. 10 and FIG. 11). As described above, in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since the influence on the intensity distribution (or the luminance distribution) to the change in L / D is small,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has a versatility.

그리고, 광확산판(40)이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지므로, 광확산판(40)을 구비한 면광원 장치(20)에서는, 높은 휘도 균제도의 면상 광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보다 안정된 휘도 균제도를 실현 가능하다. 또한, 광확산판(40)이 전술한 바와 같이 범용성을 갖기 때문에, 광원(31)의 배치나 광원(31)과 광확산판(40)의 거리(D)의 변경 등에 따라 광확산판(40)을 새롭게 준비할 필요성이 저감된다. 따라서, 광확산판(40)을 이용한 면광원 장치(20)에서는, 보다 높은 휘도 균제도를 실현하면서, 면광원 장치(20)의 제조 비용 저감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광확산판(40)을 구비한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에서는, 휘도 균제도가 높은 광으로 투과형 화상 표시부(10)를 조명할 수 있으므로, 화질이 좋은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확산판(40)이 전술한 바와 같이 범용성을 갖고 있으므로, 면광원 장치(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광원(31)의 배치나 광원(31)과 광확산판(40)의 거리(D)의 변경 등에 따라 광확산판(40)을 새롭게 준비할 필요성이 저감된다. 그 결과, 화질이 좋은 화상의 표시를 실현하면서,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의 제조 비용 저감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has the effects described above, i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having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planar light of a high brightness uniformity and at the same time, A stable luminance uniformity can be realized. In addition, since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has the versatility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is changed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light sources 31 and the change of the distance D between the light source 31 and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The need to prepare new) is reduced. Therefore, i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using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while realizing a higher luminance uniformity. In addition, in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apparatus 1 provided with the light-diffusion plate 40, since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part 10 can be illuminated by the light with a high brightness uniformity,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image with a good image quality. In addition, since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has the versatility as described above, similarly to the case of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the arrangement of the light source 3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31 and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 According to the change of D), the necessity of newly preparing the light-diffusion plate 40 is reduced. As a result,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1 while realizing display of an image having good image quality.

(제 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12∼도 39를 참조하여 도 1에 나타낸 광확산판(40)이 갖는 볼록 형상부(41)의 형상의 다른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 도 18, 도 24, 도 26, 도 28, 도 30, 도 32, 도 34, 도 36 및 도 38에 나타낸 볼록 형상부(41)를 각각 볼록 형상부(41A∼41J)로 칭한다. 각 볼록 형상부(41A∼41J)의 설명에 있어서, 볼록 형상부(41A∼41J)의 단면 형상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상이점인 단면 형상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의 경우와 동일하게 설정한 국소적인 xz 좌표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xz 좌표계를 구성하는 x축은 복수의 볼록 형상부(41)의 배열 방향(제 2 방향)에 평행한 축선이며, z축은 판 두께 방향(제 1 및 제 2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축선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12-39, another example of the shape of the convex part 41 which the light-diffusion plate 40 shown in FIG. 1 has is demonstrated. The convex portions 41 shown in Figs. 12, 18, 24, 26, 28, 30, 32, 34, 36, and 38 are called convex portions 41A to 41J, respectively. In description of each convex part 41A-41J, since it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excep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A-41J,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element as 1st Embodiment as mentioned above. The cross-sectional shape which is different point is demonstrated.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demonstrates using the local xz coordinate system set similarly to the case of FIG. The x axis constituting the xz coordinate system is an axis parallel to the array direction (second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41, and the z axis is an axis line parallel to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o be.

(볼록 형상부(41A))(Convex part 41A)

도 12는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하나의 볼록 형상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a convex part, and expands and shows one convex part.

xz 좌표계의 xz 면에 있어서, 볼록 형상부(41A)의 양끝(41a, 41a)은 x축 상에 위치한다. 볼록 형상부(41A)의 윤곽선은 다음 수학식 5를 만족하는 z(x)로 표시된다.In the xz plane of the xz coordinate system, both ends 41a and 41a of the convex portion 41A are located on the x-axis. The contour of the convex portion 41A is represented by z (x)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5).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단, 상기 수학식 5에 있어서, z0(x)는 수학식 6으로 표시된다.However, in Equation 5, z 0 (x) is represented by Equation 6.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4

수학식 6 중, wa는 볼록 형상부(41)의 x축 방향의 길이이다. 또한, ha는 0.4825wa≤ha≤0.521wa의 범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이고, ka는 -0.232≤ka≤-0.227의 범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이다. ha, ka의 일례는 ha=0.521wa, ka=-0.227이다. ha는, 볼록 형상부(41A)를 z0(x)로 표시되는 형상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볼록 형상부(41A)의 양끝(41a, 41a) 사이의 z축 방향의 최대 높이에 대응한다. 또한, ka는 볼록 형상부(41A)의 뾰족한 쪽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ha 및 ka가 전술한 바와 같은 최대 높이인 것 및 뾰족한 쪽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인 것은, 후술하는 볼록 형상부(41B∼41J)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2에서는, ha=0.521wa, ka=-0.227인 경우로서, 수학식 5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정상부(41b)가 z축 상에 위치하고 있고, z축에 대하여 대칭인 윤곽선을 갖는다.In Formula (6), w a is the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 41. Furthermore, h is a constant selected from a range of 0.4825w ≤h a ≤0.521w a, k is a constant selected from a range of -0.232≤k a ≤-0.227. An example of h a , k a is h a = 0.521w a , k a = -0.227. h a corresponds to the maximum height in the z-axis direction between both ends 41a and 41a of the convex portion 41A in the case where the convex portion 41A is set to a shape represented by z 0 (x). . K a is a parameter representing the pointed side of the convex portion 41A. h a and k a being the maximum heigh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arameter indicating the sharp side are the same in the convex portions 41B to 41J described later. In FIG. 12, when h a = 0.521w a and k a = -0.227, a shape in which z 0 (x) is stretched by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1 time) in the z direction within a range satisfying Equation 5 is shown. To illustrate. In this case, the top portion 41b is located on the z axis and has a contour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z axis.

한편, 볼록 형상부(41A)의 윤곽선은,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있으면 좋다. 따라서, 볼록 형상부(41A)의 윤곽선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떤 폭(wa)에 대하여 z0(x)를 결정했을 때에, 0.9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1.0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 윤곽선이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A is not limited to the shape in which z 0 (x) is stretched by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1 time) in the z direction, and the expression (5) may be satisfied. Therefore, as shown in FIG. 13, the outline of 41 A of convex-shaped parts is 1.05z and the outline represented by 0.95z 0 (x), when z 0 (x) is determined about the width w a . It is sufficient if the contour passes through the area between the contour lines represented by 0 (x).

도 14∼도 17을 이용하여 윤곽선의 형상예를 형상예 1 및 형상예 2로 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14∼도 17에 있어서 가로축은 원점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높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형상예 1에 있어서의 z0(x)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형상예 1에서는, wa=400㎛, ha=0.521wa, ka=-0.227로 한다. 이들 수치로 결정되는 z0(x)를 편의적으로 z10(x)로 칭한다. 도 14에서는, z(x)=z10(x)인 경우의 윤곽선 형상을 나타내고 있게 된다. 도 14에 나타낸 z10(x)를 윤곽선 형상으로 한 경우, 도 14에 나타낸 윤곽선 형상과 도 12에 예시하고 있는 윤곽선 형상은 동일하다. 상기 z10(x)에 기초한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도 15는 형상예 1의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z1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0.95z10(x)로 표시되는 윤곽선 및 1.05z10(x)로 표시되는 윤곽선을 나타내고 있고, 윤곽선은 수학식 5를 만족하면 좋으므로, 0.95z1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1.05z10(x)로 표시되는 윤곽선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 것이면 좋다.14-17, the shape example of a contour line is shown to the shape example 1 and the shape example 2 further more concretely. 14-17, the horizontal axis | shaft has shown the position (micrometer) with respect to an origin, and the vertical axis | shaft has shown the height (micrometer).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z 0 (x) in the shape example 1. FIG. In the shape example 1, to w a = 400㎛, h a = 0.521w a, k a = -0.227. Z 0 (x) determined by these values is called z1 0 (x) for convenience. In FIG. 14, the outline shape in the case of z (x) = z1 0 (x) is shown. When z1 0 (x) shown in FIG. 14 is made into outline shape, the outline shape shown in FIG. 14 and the outline shape illustrated in FIG. 12 are the same. Conditions satisfying the contour line based on z1 0 (x) are as shown in FIG. 15. FIG.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dition that the outline of Shape Example 1 satisfies. FIG. In FIG. 15, the outline represented by z1 0 (x), the outline represented by 0.95z1 0 (x), and the outline represented by 1.05z1 0 (x) are shown, and the outline may satisfy the equation (5). , may be as long as passing through the region between the contour represented by the contour and 1.05z1 0 (x) represented by 0.95z1 0 (x).

도 16은 형상예 2에 있어서의 z0(x)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형상예 2에서는, wa=400㎛, ha=0.4825wa, ka=-0.232로 하고 있다. 형상예 1의 경우와 구별하기 위해 형상예 2에서 설정하는 z0(x)를 z20(x)로 칭한다. 도 16에서는, z(x)=z20(x)인 경우의 윤곽선 형상을 나타내고 있게 된다. 상기 z20(x)에 기초한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도 17은 형상예 2의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서는, z2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0.95z20(x)로 표시되는 윤곽선 및 1.05z20(x)로 표시되는 윤곽선을 나타내고 있고, 윤곽선은 수학식 5를 만족하면 좋으므로, 0.95z2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1.05z20(x)로 표시되는 윤곽선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 것이면 좋다.16 is a diagram illustrating z 0 (x) in the shape example 2. FIG. In Configuration Example 2, w a = 400 µm, h a = 0.4825 w a , and k a = -0.232. Refers to z 0 (x) for setting in the configuration example 2 in order to distinguish the case of the shape examples 1 to z2 0 (x). In FIG. 16, the outline shape in the case of z (x) = z2 0 (x) is shown. Conditions satisfying the contour line based on z2 0 (x) are as shown in FIG. 17.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condition which the contour of the shape example 2 satisfy | fills. In FIG. 17, the outline represented by z2 0 (x), the outline represented by 0.95z2 0 (x), and the outline represented by 1.05z2 0 (x) are shown, and the outline may satisfy the equation (5). , may be as long as passing through the region between the contour represented by the contour and 1.05z2 0 (x) represented by 0.95z2 0 (x).

(볼록 형상부(41B))(Convex part 41B)

도 18은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하나의 볼록 형상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볼록 형상부(41B)의 형상은, 수학식 5에 있어서의 ha 및 ka의 범위가 볼록 형상부(41A)의 범위와 상이한 점 이외는 볼록 형상부(41A)의 형상과 동일하다. 이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 and is shown by enlarging one convex portion.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B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x portion 41A except that the range of h a and k a in the equation (5) differs from the range of the convex portion 41A.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this difference.

볼록 형상부(41B)의 윤곽선은 볼록 형상부(41A)에 대하여 설명한 수학식 5를 만족하는 z(x)로 표시된다. 단, 볼록 형상부(41B)에서는, 수학식 6에 있어서 ha는 0.5966wa≤ha≤0.6837wa의 범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이고, ka는 -0.075≤ka≤-0.069의 범위로부터 선택되는 상수이다. ha, ka의 일례는 ha=0.5966wa, ka=-0.075이다. 도 18에서는, ha=0.5966wa, ka=-0.075인 경우로서, 수학식 5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B is represented by z (x) that satisfies the expression (5) described for the convex portion 41A. In short, the convex portion (41B), and h is a constant selected from a range of 0.5966w ≤h a ≤0.6837w a according to Equation 6, k is a range of from -0.075≤k a ≤-0.069 Constant to be chosen. An example of h a , k a is h a = 0.5966w a , k a = -0.075. In FIG. 18, as h a = 0.5966w a and ka = -0.075, a shape in which z 0 (x) is stretched by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1 time) in the z direction within a range satisfying Equation 5 is illustrated. Doing.

한편, 볼록 형상부(41B)의 윤곽선은,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있으면 좋다. 따라서, 볼록 형상부(41B)의 윤곽선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떤 폭(wa)에 대하여 z0(x)를 결정했을 때에, 0.9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1.0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 윤곽선이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B is not limited to the shape in which z 0 (x) is stretched by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1 time) in the z direction, and the expression (5) may be satisfied. Therefore, as shown in FIG. 19, the outline of the convex part 41B is 1.05z and the outline represented by 0.95z 0 (x), when z 0 (x) is determined about the width w a . It is sufficient if the contour passes through the area between the contour lines represented by 0 (x).

도 20∼도 23을 이용하여 윤곽선의 형상예를 형상예 3 및 형상예 4로 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20∼도 23에 있어서 가로축 및 세로축은 도 14∼도 17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20은 형상예 3에 있어서의 z0(x)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형상예 3에서는, wa=400㎛, ha=0.5966wa, ka=-0.075로 한다. 이들 수치로 결정되는 z0(x)를 편의적으로 z30(x)로 칭한다. 도 20에서는 z(x)=z30(x)인 경우의 윤곽선 형상을 나타내고 있게 된다. 한편, 도 18에서는, z30(x)를 윤곽선 형상으로 한 경우를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다. 상기 z30(x)에 기초한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도 21은 형상예 3의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에서는, z3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0.95z30(x)로 표시되는 윤곽선 및 1.05z30(x)로 표시되는 윤곽선을 나타내고 있고, 윤곽선은 수학식 5를 만족하면 좋으므로, 0.95z3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1.05z30(x)로 표시되는 윤곽선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 것이면 좋다.20-23, the shape example of an outline is concretely shown as the shape example 3 and the shape example 4. FIG. In FIGS. 20-23, the horizontal axis | shaft and the vertical axis | shaft are the same as the case of FIGS. 14-17.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z 0 (x) in the configuration example 3. FIG. In the shape example 3, it is set as w a = 400 micrometers, h a = 0.5966w a , k a = -0.075. A z 0 (x) which is determined by these values is taken for convenience by referred to as z3 0 (x). In FIG. 20, the outline shape in the case of z (x) = z3 0 (x) is shown. In FIG. 18, the case where z3 0 (x) is outlined is shown as an example. Conditions satisfying the contour line based on z3 0 (x) are as shown in FIG. 21. FIG. 2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dition that the contour of Form 3 is satisfied. FIG. In FIG. 21, the outline represented by z3 0 (x), the outline represented by 0.95z3 0 (x), and the outline represented by 1.05z3 0 (x) are shown, and the outline may satisfy the equation (5). , may be as long as passing through the region between the contour represented by the contour and 1.05z3 0 (x) represented by 0.95z3 0 (x).

도 22는 형상예 4에 있어서의 z0(x)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형상예 4에서는, wa=400㎛, ha=0.6837wa, ka=-0.069로 하고 있다. 형상예 3의 경우와 구별하기 위해 형상예 4에서 설정하는 z0(x)를 z40(x)로 칭한다. 도 22에서는, z(x)=z40(x)인 경우의 윤곽선 형상을 나타내고 있게 된다. 상기 z40(x)에 기초한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은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도 23은 형상예 4의 윤곽선이 만족하는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에서는, z4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0.95z40(x)로 표시되는 윤곽선 및 1.05z40(x)로 표시되는 윤곽선을 나타내고 있고, 윤곽선은 수학식 5를 만족하면 좋으므로, 0.95z4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1.05z40(x)로 표시되는 윤곽선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 것이면 좋다.22 is a diagram illustrating z 0 (x) in the configuration example 4. FIG. In the shape example 4, and a w a = 400㎛, h a = 0.6837w a, k a = -0.069. Refers to z 0 (x) for setting in the configuration example 4, in order to distinguish the case of the shape examples 3 to z4 0 (x). In FIG. 22, the outline shape in the case of z (x) = z4 0 (x) is shown. The condition that the outline based on z4 0 (x) is satisfied is as shown in FIG.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condition which the contour of the shape example 4 satisfy | fills. In FIG. 23, the outline represented by z4 0 (x), the outline represented by 0.95z4 0 (x), and the outline represented by 1.05z4 0 (x) are shown, and the outline may satisfy the equation (5). , may be as long as passing through the region between the contour represented by the contour and 1.05z4 0 (x) represented by 0.95z4 0 (x).

(볼록 형상부(41C))(Convex shape part 41C)

도 24는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하나의 볼록 형상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볼록 형상부(41C)의 형상은, 수학식 6에 있어서의 ha 및 ka가 볼록 형상부(41A)와 상이한 점 이외는 볼록 형상부(41A)의 형상과 동일하다. 이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ther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a convex part, and expands and shows one convex part.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C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x portion 41A except that h a and k a in Equation 6 are different from the convex portion 41A.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this difference.

볼록 형상부(41C)의 윤곽선은 볼록 형상부(41A)에 대하여 설명한 수학식 5를 만족하는 z(x)로 표시된다. 단, 볼록 형상부(41C)에서는, 수학식 6에 있어서 ha=0.434wa, ka=-0.24이다. 도 24에서는, 수학식 5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양끝(41a, 41a)이 x축 상에 위치함과 동시에 정상부(41b)가 z축 상에 위치한다. 또한, 볼록 형상부(41)는 z축에 대하여 대칭인 윤곽선을 갖는다.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C is represented by z (x) that satisfies the expression (5) described for the convex portion 41A. However, in the convex portion 41C, h a = 0.434w a and k a = -0.24 in the expression (6). In FIG. 24, the shape which expanded and contracted z 0 (x) by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times (for example, 1 time) in the z direction in the range which satisfy | fills Formula (5) is illustrated. In this case, both ends 41a and 41a are located on the x-axis, and the top part 41b is located on the z-axis. The convex portion 41 also has an outlin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z axis.

한편, 볼록 형상부(41C)의 윤곽선은,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있으면 좋다. 따라서, 볼록 형상부(41C)의 윤곽선은,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떤 폭(wa)에 대하여 z0(x)를 결정했을 때에, 0.9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1.0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 윤곽선이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contour of the convex portion 41C is not limited to the shape in which z 0 (x) is stretched by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1 time) in the z direction, and the expression (5) may be satisfied. Therefore, as shown in Fig. 25, the contour lines of the convex portion 41C are outlines represented by 0.95z 0 (x) and 1.05z when z 0 (x) is determined for a certain width w a . It is sufficient if the contour passes through the area between the contour lines represented by 0 (x).

(볼록 형상부(41D))(Convex part 41D)

도 26은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하나의 볼록 형상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볼록 형상부(41C)의 형상은, 수학식 6에 있어서의 ha 및 ka가 볼록 형상부(41A)와 상이한 점 이외는 볼록 형상부(41A)의 형상과 동일하다. 이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ther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a convex part, and expands and shows one convex part.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C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x portion 41A except that h a and k a in Equation 6 are different from the convex portion 41A.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this difference.

볼록 형상부(41D)의 윤곽선은 볼록 형상부(41A)에 대하여 설명한 수학식 5를 만족하는 z(x)로 표시된다. 단, 볼록 형상부(41B)에서는, 수학식 6에 있어서 ha=0.614wa, ka=-0.17이다. 도 26에서는, 수학식 5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양끝(41a, 41a)이 x축 상에 위치함과 동시에 정상부(41b)가 z축 상에 위치한다. 또한, 볼록 형상부(41)는 z축에 대하여 대칭인 윤곽선을 갖는다.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D is represented by z (x) that satisfies the expression (5) described for the convex portion 41A. However, in the convex portion 41B, h a = 0.614w a and k a = -0.17 in the expression (6). In FIG. 26, the shape which expanded and contracted z 0 (x) by predetermined times (for example, 1 time) in a z direction in the range which satisfy | fills Formula (5) is illustrated. In this case, both ends 41a and 41a are located on the x-axis, and the top part 41b is located on the z-axis. The convex portion 41 also has an outlin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z axis.

한편, 볼록 형상부(41D)의 윤곽선은,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있으면 좋다. 따라서, 볼록 형상부(41D)의 윤곽선은,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떤 폭(wa)에 대하여 z0(x)를 결정했을 때에, 0.9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1.0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 윤곽선이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D is not limited to a shape in which z 0 (x) is stretched by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1 time) in the z direction, and the expression (5) may be satisfied. Therefore, as shown in Fig. 27, the contour lines of the convex portion 41D are outlines represented by 0.95z 0 (x) and 1.05z when z 0 (x) is determined for a certain width w a . It is sufficient if the contour passes through the area between the contour lines represented by 0 (x).

(볼록 형상부(41E))(Convex part 41E)

도 28은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하나의 볼록 형상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볼록 형상부(41E)의 형상은, 수학식 6에 있어서의 ha 및 ka가 볼록 형상부(41A)와 상이한 점 이외는 볼록 형상부(41A)의 형상과 동일하다. 이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ther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a convex part, and expands and shows one convex part.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E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x portion 41A except that h a and k a in Equation 6 are different from the convex portion 41A.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this difference.

볼록 형상부(41E)의 윤곽선은 볼록 형상부(41A)에 대하여 설명한 수학식 5를 만족하는 z(x)로 표시된다. 단, 볼록 형상부(41E)에서는, 수학식 6에 있어서 ha=0.588wa, ka=-0.128이다. 도 28에서는, 수학식 5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양끝(41a, 41a)이 x축 상에 위치함과 동시에 정상부(41b)가 z축 상에 위치한다. 또한, 볼록 형상부(41E)는 z축에 대하여 대칭인 윤곽선을 갖는다.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E is represented by z (x) that satisfies the expression (5) described for the convex portion 41A. However, in the convex portion 41E, h a = 0.588w a and k a = -0.128 in the expression (6). In FIG. 28, the shape which expanded and contracted z 0 (x) by predetermined times (for example, 1 time) in a z direction in the range which satisfy | fills Formula (5) is illustrated. In this case, both ends 41a and 41a are located on the x-axis, and the top part 41b is located on the z-axis. In addition, the convex portion 41E has an outlin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z axis.

한편, 볼록 형상부(41E)의 윤곽선은,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있으면 좋다. 따라서, 볼록 형상부(41E)의 윤곽선은,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떤 폭(wa)에 대하여 z0(x)를 결정했을 때에, 0.9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1.0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 윤곽선이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E is not limited to the shape in which z 0 (x) is stretched by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1 time) in the z direction, and the expression (5) may be satisfied. Therefore, as shown in Fig. 29, the contour lines of the convex portion 41E are outlines represented by 0.95z 0 (x) and 1.05z when z 0 (x) is determined for a certain width w a . It is sufficient if the contour passes through the area between the contour lines represented by 0 (x).

(볼록 형상부(41F))(Convex shape part 41F)

도 30은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하나의 볼록 형상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볼록 형상부(41F)의 형상은, 수학식 6에 있어서의 ha 및 ka가 볼록 형상부(41A)와 상이한 점 이외는 볼록 형상부(41A)의 형상과 동일하다. 이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ther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a convex part, and expands and shows one convex part.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F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x portion 41A except that h a and k a in Equation 6 differ from the convex portion 41A.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this difference.

볼록 형상부(41F)의 윤곽선은 볼록 형상부(41A)에 대하여 설명한 수학식 5를 만족하는 z(x)로 표시된다. 단, 볼록 형상부(41F)에서는, 수학식 6에 있어서 ha=0.578wa, ka=-0.081이다. 도 30에서는, 수학식 5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양끝(41a, 41a)이 x축 상에 위치함과 동시에 정상부(41b)가 z축 상에 위치한다. 또한, 볼록 형상부(41F)는 z축에 대하여 대칭인 윤곽선을 갖는다.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F is represented by z (x) that satisfies the expression (5) described for the convex portion 41A. However, in the convex portion 41F, h a = 0.578w a and k a = -0.081 in the expression (6). In FIG. 30, the shape which expanded and contracted z 0 (x) by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times (for example, 1 time) in the z direction in the range which satisfy | fills Formula (5) is illustrated. In this case, both ends 41a and 41a are located on the x-axis, and the top part 41b is located on the z-axis. In addition, the convex portion 41F has an outlin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z axis.

한편, 볼록 형상부(41F)의 윤곽선은,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있으면 좋다. 따라서, 볼록 형상부(41F)의 윤곽선은,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떤 폭(wa)에 대하여 z0(x)를 결정했을 때에, 0.9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1.0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 윤곽선이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contour of the convex portion 41F is not limited to the shape in which z 0 (x) is stretched by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1 time) in the z direction, and the expression (5) may be satisfied. Therefore, as shown in Fig. 31, the contour lines of the convex portion 41F are outlines represented by 0.95z 0 (x) and 1.05z when z 0 (x) is determined for a certain width w a . It is sufficient if the contour passes through the area between the contour lines represented by 0 (x).

(볼록 형상부(41G))(Convex part 41G)

도 32는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하나의 볼록 형상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볼록 형상부(41G)의 형상은, 수학식 6에 있어서의 ha 및 ka가 볼록 형상부(41A)의 범위와 상이한 점 이외는 볼록 형상부(41A)의 형상과 동일하다. 이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FIG. 3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 and is shown by enlarging one convex portion.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G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A except that h a and k a in Equation 6 differ from the range of the convex portion 41A.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this difference.

볼록 형상부(41G)의 윤곽선은 볼록 형상부(41A)에 대하여 설명한 수학식 5를 만족하는 z(x)로 표시된다. 단, 볼록 형상부(41G)에서는, 수학식 6에 있어서 ha=0.550wa, ka=-0.082이다. 도 32에서는, 수학식 5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양끝(41a, 41a)이 x축 상에 위치함과 동시에 정상부(41b)가 z축 상에 위치한다. 또한, 볼록 형상부(41G)는 z축에 대하여 대칭인 윤곽선을 갖는다.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G is represented by z (x) that satisfies the expression (5) described for the convex portion 41A. However, in the convex portion 41G, h a = 0.550w a and k a = -0.082 in the expression (6). In FIG. 32, the shape which expanded and contracted z 0 (x) by predetermined times (for example, 1 time) in a z direction in the range which satisfy | fills Formula (5) is illustrated. In this case, both ends 41a and 41a are located on the x-axis, and the top part 41b is located on the z-axis. The convex portion 41G also has an outlin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z axis.

한편, 볼록 형상부(41G)의 윤곽선은,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있으면 좋다. 따라서, 볼록 형상부(41G)의 윤곽선은,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떤 폭(wa)에 대하여 z0(x)를 결정했을 때에, 0.9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1.0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 윤곽선이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contour of the convex portion 41G is not limited to the shape in which z 0 (x) is stretched by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1 time) in the z direction, and the expression (5) may be satisfied. Therefore, as shown in Fig. 33, the contour of the convex portion 41G is defined as 0.95z 0 (x) and 1.05z when z 0 (x) is determined for a certain width w a . It is sufficient if the contour passes through the area between the contour lines represented by 0 (x).

(볼록 형상부(41H))(Convex part 41H)

도 34는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하나의 볼록 형상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볼록 형상부(41H)의 형상은, 수학식 6에 있어서의 ha 및 ka가 볼록 형상부(41A)와 상이한 점 이외는 볼록 형상부(41A)의 형상과 동일하다. 이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3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 and is shown by enlarging one convex portion.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H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A except that h a and k a in Equation 6 differ from the convex portion 41A.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this difference.

볼록 형상부(41H)의 윤곽선은 볼록 형상부(41A)에 대하여 설명한 수학식 5를 만족하는 z(x)로 표시된다. 단, 볼록 형상부(41H)에서는, 수학식 6에 있어서 ha=0.560wa, ka=-0.127이다. 도 34에서는, 수학식 5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양끝(41a, 41a)이 x축 상에 위치함과 동시에 정상부(41b)가 z축 상에 위치한다. 또한, 볼록 형상부(41H)는 z축에 대하여 대칭인 윤곽선을 갖는다.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H is represented by z (x) that satisfies the expression (5) described for the convex portion 41A. However, in the convex portion 41H, h a = 0.560w a and k a = -0.127 in the equation (6). In FIG. 34, the shape which expanded and contracted z 0 (x) by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times (for example, 1 time) in the z direction in the range which satisfy | fills Formula (5) is illustrated. In this case, both ends 41a and 41a are located on the x-axis, and the top part 41b is located on the z-axis. In addition, the convex portion 41H has an outlin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z axis.

한편, 볼록 형상부(41H)의 윤곽선은,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있으면 좋다. 따라서, 볼록 형상부(41H)의 윤곽선은,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떤 폭(wa)에 대하여 z0(x)를 결정했을 때에, 0.9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1.0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 윤곽선이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H is not limited to a shape in which z 0 (x) is stretched by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1 time) in the z direction, and the expression (5) may be satisfied. Therefore, as shown in Fig. 35, the contour lines of the convex portion 41H are outlines represented by 0.95z 0 (x) and 1.05z when z 0 (x) is determined for a certain width w a . It is sufficient if the contour passes through the area between the contour lines represented by 0 (x).

(볼록 형상부(41I))(Convex part 41I)

도 36은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하나의 볼록 형상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볼록 형상부(41I)의 형상은, 수학식 6에 있어서의 ha 및 ka가 볼록 형상부(41A)와 상이한 점 이외는 볼록 형상부(41A)의 형상과 동일하다. 이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3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 and is shown by enlarging one convex portion.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I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x portion 41A except that h a and k a in Equation 6 are different from the convex portion 41A.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this difference.

볼록 형상부(41I)의 윤곽선은 볼록 형상부(41A)에 대하여 설명한 수학식 5를 만족하는 z(x)로 표시된다. 단, 볼록 형상부(41I)에서는, 수학식 6에 있어서 ha=0.578wa, ka=-0.185이다. 도 36에서는, 수학식 5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양끝(41a, 41a)이 x축 상에 위치함과 동시에 정상부(41b)가 z축 상에 위치한다. 또한, 볼록 형상부(41I)는 z축에 대하여 대칭인 윤곽선을 갖는다.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I is represented by z (x) that satisfies the expression (5) described for the convex portion 41A. However, in the convex portion 41I, h a = 0.578w a and k a = -0.185 in the expression (6). In FIG. 36, the shape which expanded and contracted z 0 (x) by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times (for example, 1 time) in the z direction in the range which satisfy | fills Formula (5) is illustrated. In this case, both ends 41a and 41a are located on the x-axis, and the top part 41b is located on the z-axis. In addition, the convex portion 41I has an outlin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z axis.

한편, 볼록 형상부(41I)의 윤곽선은,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있으면 좋다. 따라서, 볼록 형상부(41I)의 윤곽선은,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떤 폭(wa)에 대하여 z0(x)를 결정했을 때에, 0.9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1.0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 윤곽선이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I is not limited to the shape in which z 0 (x) is stretched by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1 time) in the z direction, and the expression (5) may be satisfied. Therefore, as shown in outline, and 37 of the convex portion (41I), when determining a z 0 (x) with respect to which the width (w a), contour and 1.05z represented by 0.95z 0 (x) It is sufficient if the contour passes through the area between the contour lines represented by 0 (x).

(볼록 형상부(41J))(Convex shape part 41J)

도 38은 볼록 형상부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하나의 볼록 형상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볼록 형상부(41J)의 형상은, 수학식 6에 있어서의 ha 및 ka가 볼록 형상부(41A)와 상이한 점 이외는 볼록 형상부(41A)의 형상과 동일하다. 이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FIG. 3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 and is shown by enlarging one convex portion.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J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A except that h a and k a in Equation 6 differ from the convex portion 41A.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this difference.

볼록 형상부(41J)의 윤곽선은 볼록 형상부(41A)에 대하여 설명한 수학식 5를 만족하는 z(x)로 표시된다. 단, 볼록 형상부(41J)에서는, 수학식 6에 있어서 ha=0.486wa, ka=-0.144이다. 도 38에서는, 수학식 5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양끝(41a, 41a)이 x축 상에 위치함과 동시에 정상부(41b)가 z축 상에 위치한다. 또한, 볼록 형상부(41J)는 z축에 대하여 대칭인 윤곽선을 갖는다.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J is represented by z (x) that satisfies the expression (5) described for the convex portion 41A. However, in the convex portion 41J, h a = 0.486w a and k a = -0.144 in the expression (6). In FIG. 38, the shape which expanded and contracted z 0 (x) by predetermined times (for example, 1 time) in a z direction in the range which satisfy | fills Formula (5) is illustrated. In this case, both ends 41a and 41a are located on the x-axis, and the top part 41b is located on the z-axis. In addition, the convex portion 41J has an outlin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z axis.

한편, 볼록 형상부(41J)의 윤곽선은, z0(x)를 z 방향으로 소정 배(예컨대 1배) 만큼 신축시킨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있으면 좋다. 따라서, 볼록 형상부(41J)의 윤곽선은,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떤 폭(wa)에 대하여 z0(x)를 결정했을 때에, 0.9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과 1.05z0(x)로 표시되는 윤곽선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 윤곽선이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41J is not limited to the shape in which z 0 (x) is stretched by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1 time) in the z direction, and the expression (5) may be satisfied. Therefore, as shown in Fig. 39, the contour of the convex portion 41J is 1.05z and the contour represented by 0.95z 0 (x) when z 0 (x) is determined for a certain width w a . It is sufficient if the contour passes through the area between the contour lines represented by 0 (x).

상기 볼록 형상부(41A∼41J)의 폭(wa)으로서는, wa=410㎛, wa=400㎛, wa=353㎛ 또는 wa=325㎛를 예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형상예 1, 2, 3, 4의 설명에서는 wa=400㎛로 했다. wa의 값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데, wa는 8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상 800㎛ 이하가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20㎛ 이상 6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s the width (w a) of said convex portion (41A~41J), w a = 410㎛ , there can be mentioned a w a = 400㎛, w a = 353㎛ or w a = 325㎛. Similarly, the shape of eg 1, 2, 3, and 4 were described as a w = 400㎛. w is the value of a does not limited to these, and w a is not more than 800㎛ preferable, and a range from 10㎛ 800㎛ preferable, and further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more than 600 20㎛.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볼록 형상부(41A∼41J)의 단면 형상이 수학식 5를 만족하는 z(x)로 표시된다고 했다. 단, 볼록 형상부(41A∼41J)의 양끝부 근방에서의 제조 오차 및 강도 분포에 주는 영향을 고려하면, 볼록 형상부(41A∼41J)의 단면 형상은, -0.5wa×0.95≤x≤0.5wa×0.95에서 수학식 5를 만족하는 z(x)로 표시되면 좋고, -0.5wa≤x≤0.5wa에서 수학식 5를 만족하는 z(x)로 표시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s 41A to 41J is represented by z (x) that satisfies the expression (5).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manufacturing error and the influence on the intensity distribution in the vicinity of both ends of the convex portions 41A to 41J,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s 41A to 41J is -0.5w a × 0.95≤x≤ It may be represented by z (x) satisfying equation (5) at 0.5w a × 0.95, and more preferably represented by z (x) satisfying equation (5) at −0.5w a ≦ x ≦ 0.5w a .

이상, 제 3 실시형태로서, 도 1에 나타낸 광확산판(40)에 적용되는 볼록 형상부(41A∼41J)를 추가로 설명했는데, 볼록 형상부(41A)의 형상예 1, 2, 볼록 형상부(41B)의 형상예 3, 4 및 볼록 형상부(41C∼41J)는 제 1 실시형태의 볼록 형상부(41)의 일례에 대응한다. 또한, 볼록 형상부(41A) 및 볼록 형상부(41B)에 있어서, 볼록 형상부(41A, 41B)에 대하여 나타낸 ha및 ka의 범위에서 z0(x)의 r배(r은 0.95∼1.05의 수)한 형상 및 그 형상에 대하여 0.01wa의 허용 변동 폭을 갖는 것은, 제 1 실시형태의 볼록 형상부(41)에 대응하게 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convex part 41A-41J applied to the light-diffusion plate 40 shown in FIG. 1 was further demonstrated, the shape examples 1, 2, and convex shape of the convex part 41A were demonstrated. Shape examples 3 and 4 of the portion 41B and the convex portions 41C to 41J correspond to one example of the convex portion 41 of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r times the convex portion (41A) and the convex portion in (41B), the convex portion (41A, 41B) showing a h and k z a 0 (x) in the range with respect to (r is 0.95~ The shape having a number of 1.05 and the allowable fluctuation range of 0.01 w a for the shape correspond to the convex portion 41 of the first embodiment.

각 볼록 형상부(41A∼41J)를 구비한 광확산판(40), 및 그 광확산판(40)을 갖는 면광원 장치(20)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의 작용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각 볼록 형상부(41A∼41J)를 구비한 광확산판(40), 및 그 광확산판(40)을 갖는 면광원 장치(20)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작용 효과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갖는다. 이하, 작용 효과에 관하여 간략화하여 설명한다. 볼록 형상부(41A∼41J)는 볼록 형상부(41)로 칭한다.Effects of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having the convex portions 41A to 41J,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having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and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1 will be described. . In the first embodiment,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having the convex portions 41A to 41J, and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and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1 having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are provided. It has an effect similar to the effect described. Hereinafter, the effect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convex portions 41A to 41J are referred to as the convex portions 41.

각 광원(31)으로부터 출력되어 광확산판(40)에 입사한 광은, 상기 z(x)로 표시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볼록 형상부(41)를 통해서 투과형 화상 표시부(10)를 향해 광이 출사된다. 볼록 형상부(41)가 z(x)로 표시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것에 의한 확산 작용에 의해, 광원(31)으로부터의 광이 확산되어 면상 광이 생성됨과 동시에 휘도 불균일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광원(31)의 상이 투과형 화상 표시부(10)에 투영되지 않게 되어 있다. 그리고, 단면 형상이 상기 z(x)로 표시되는 볼록 형상부(41)를 가짐으로써, 보다 높은 정면 방향의 휘도 균제도를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Light emitted from each light source 31 and incident on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is directed toward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unit 10 through the convex portion 41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represented by z (x). It is emitted. By the diffusing action by the convex portion 41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represented by z (x),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31 is diffused to produce planar light and the luminance unevenness is suppressed. Therefore, the image of the light source 31 is not projected on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part 10. And by having the convex part 41 whose cross-sectional shape is represented by the said z (x),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 achieve higher luminance uniformity of a front direction.

또한,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이 수학식 5를 만족하는 z(x)로 표시되기 때문에, 예컨대 광확산판(40)의 광원(31)에 대한 위치 어긋남이나 열 등에 의한 변형으로 L/D가 소정의 값(예컨대 설계치)으로부터 변동하더라도 휘도 불균일이 생기기 어려워, 보다 안정되게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 is represented by z (x) that satisfies the expression (5), for example, L due to deformation due to position shift or heat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etc. Even if / D fluctuates from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a design value), luminance unevenness hardly occurs, and the luminance unevenness can be suppressed more stably.

따라서, 광확산판(40)을 구비하는 면광원 장치(20)에서는, 휘도 불균일이 억제된 광을 보다 안정되게 출력 가능하다. 그리고, 광확산판(40)을 포함하는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에서는, 휘도 불균일이 억제된 광이 투과형 화상 표시부(10)를 조명할 수 있으므로, 표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광확산판(40)의 광원(31)에 대한 위치 어긋남이나 열 등에 의한 변형에 의한 표시 품질의 변동을 억제 가능하다.Therefore, i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provided with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output light in which luminance unevenness is suppressed. And in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apparatus 1 containing the light-diffusion plate 40, since the light in which the luminance nonuniformity was suppressed can illuminate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part 10, a light-diffusion plate is aimed at improving display quality. It is possible to suppress fluctuations in display quality due to deformation due to positional shift or heat to the light source 31 of 40.

또한, 각 볼록 형상부(41A∼41J)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강도 분포(50)를 실현하는 것이며, 각 볼록 형상부(41A∼41J)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볼록 형상부(41)의 일 실시형태이다. 따라서, 볼록 형상부(41A∼41J)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작용 효과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갖는다. 여기서,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볼록 형상부(41)의 예로서의 볼록 형상부(41A∼41J)를 구비한 광확산판(40)이 면광원 장치(20)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에 적용되어 있는 경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볼록 형상부(41A∼41J)는 볼록 형상부(41)로 칭한다.In addition, each convex part 41A-41J implement | achieves the intensity distribution 50 demonstrated in 2nd Embodiment, and each convex part 41A-41J has the convex part 41 demonstrated in 2nd Embodiment. One embodiment of the. Therefore, the convex portions 41A to 41J have the same operation effects as those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Here,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having the convex portions 41A to 41J as an example of the convex portions 41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and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1. The cas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vex portions 41A to 41J are referred to as the convex portions 41.

볼록 형상부(41)를 구비한 광확산판(40)을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20)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에서는, 광원부(30)의 각 광원(31)으로부터 출력된 광은 직접 또는 램프 박스(32)의 내면(32a)에서 반사되어 광확산판(40)에 입사된다. 광확산판(40)에 입사한 광은, 제 2 면(40b)으로부터 투과형 화상 표시부(10)를 향해서 조사된다. 이때, 광확산판(40)의 제 2 면(40b)에는 볼록 형상부(41)가 복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 형상부(41)를 통해서 광이 출사되게 된다. 볼록 형상부(41)는 상기 z(x)로 표시되는 단면 형상을 갖기 때문에, 광의 통과 위치(출사 위치)에 따라 광은 여러 가지 방향으로 굴절된다. 이러한 확산 작용에 의해, 광원(31)으로부터의 광이 확산되어 면상 광이 생성됨과 동시에, 광원(31)의 상이 투과형 화상 표시부(10)에 투영되지 않게 되어 있다.I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and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1 including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having the convex portion 41, the light output from each light source 31 of the light source unit 30 is directly Alternatively, the light is reflected from the inner surface 32a of the lamp box 32 and incident on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Light incident on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is irradiated toward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unit 10 from the second surface 40b. At this time, since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41 ar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40b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light is emitted through the convex portions 41. Since the convex portion 41 has a cross-sectional shape represented by z (x), the light is refracted in various directions depending on the passing position (emission position) of the light. By the diffusion effect,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31 is diffused to generate surface light, and the image of the light source 31 is not projected onto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unit 10.

그리고,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은, 1개의 광원(31)으로부터 볼록 형상부(41)에 입사한 광의 정면 방향의 강도 분포에 있어서, 강도 분포의 정상부로부터 기슭부에 걸친 영역의 일부에, 강도가 선형으로(일차 함수적으로) 변화되는 영역(선형 변화 영역(51))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는 경우의 하나의 실시형태이다. 따라서, 광원(31)으로부터 볼록 형상부(41)에 입사한 광의 정면 방향의 강도 분포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강도가 선형으로(일차 함수적으로) 변화되는 영역(선형 변화 영역(51))을 갖는다. 그 때문에, 볼록 형상부(41)가 복수 형성된 광확산판(40)에서는, 광확산판(4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분포가 균일화되기 쉽게 되어 있어 휘도 불균일이 억제되고, 상술한 광원(31)의 상이 보다 나타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볼록 형상부(41)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상기 강도 분포 특성을 갖기 때문에, L/D의 변화에 대하여 휘도 균제도의 변화가 억제된다. 그 결과, 보다 안정되게 휘도 불균일을 억제 가능하다. 또한, L/D의 변화에 대한 휘도 균제도의 영향이 저감되어 있기 때문에, 광확산판(40)은 범용성을 갖는다.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is a part of the area | region which spreads from the top part of the intensity distribution to the foot part in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front direction of the light which entered the convex part 41 from one light source 31. FIG. This is on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it is designed to have a region (linear change region 51) in which the intensity changes linearly (primarily functionally). Therefore, in the intensity distribution in the frontal direction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convex portion 41 from the light source 31, as described above, the region where the intensity changes linearly (primary function) (linear change region 51). Has Therefore, in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in which the convex part 41 was formed in multiple numbers, the luminance distribution of the light radiate | emitted from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becomes easy to be uniform, and luminance nonuniformity is suppressed and the light source 31 mentioned above is suppressed. It becomes harder to appear more. In addition, 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convex portion 41 has the above-mentioned intensity distribution characteristic, the change of the brightness uniformity is suppressed with respect to the change of L / D. As a result, the luminance nonuniformity can be suppressed more stably. In addition, since the influence of the brightness uniformity on the change in L / D is reduced,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has versatility.

따라서, 광확산판(40)을 구비하는 면광원 장치(20)에서는, 휘도 불균일이 억제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면광원 장치(20)에서는, L/D의 변화에 대하여 휘도 균제도의 변화가 억제된다.Therefore, i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provided with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it is possible to output light in which luminance unevenness is suppressed. Further, i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the change in luminance uniformity is suppressed with respect to the change in L / D.

그리고, 광확산판(40)을 포함하는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에서는, 휘도 불균일이 억제된 광이 투과형 화상 표시부(10)를 조명할 수 있으므로, 표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nd in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apparatus 1 containing the light-diffusion plate 40, since the light in which the luminance nonuniformity was suppressed can illuminate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part 10, display quality can be improved.

[실시예] [Example]

(실시예 1∼12) (Examples 1 to 12)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을 참조하여 광확산판(광제어판)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볼록 형상부는 볼록 형상부(41)로 칭하고,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요소에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With reference to Examples 1-12 and the comparative example 1, a light-diffusion plate (light control board) is demonstrated concrete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s of Examples 1 to 12 and Comparative Example 1,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vex portion is referred to as the convex portion 41, and the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elements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o.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에서는, 각각 상이한 볼록 형상부의 단면 형상에 대하여 광선 추적법에 의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강도 분포를 구했다.In Examples 1-12 and Comparative Example 1, the intensity distribution was calculated | required by the ray tracing method abou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convex-shaped part, respectively.

[시뮬레이션 방법][Simulation method]

도 40은 시뮬레이션 모델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에서는, 2개의 광원(31, 31) 상에 광확산판(40)을 배치하고, 광원(31, 31)으로부터 출력되어 광확산판(40)을 통과한 광의 강도를 관측한다고 했다. 시뮬레이션을 위해, 3개의 근사, 즉 (i) 광원(31)에 직교하는 면 내에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는 것, (ii) 광원(31)은 점광원, 즉 광원의 직경은 0으로 하는 것, 및 (iii) 직접 투과광만을 고려하는 것을 채용하여, 광선 추적법으로 시뮬레이션을 행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0에 나타낸 2개의 광원(31, 31)을 각각 광원(31A) 및 광원(31B)으로 칭한다. 이 시뮬레이션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 14∼17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방법의 경우와, 제 1 면(40a)의 단위 길이당 입사하는 광량의 계산 방법이 상이한 점 이외는 동일하다.40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imulation model. As shown in FIG. 40, in the simulation, the light diffusion plates 40 are disposed on the two light sources 31 and 31, and the intensity of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sources 31 and 31 and passed through the light diffusion plates 40 is shown. Was observed. For the simulation, three approximations, i.e., simulation in a plane orthogonal to the light source 31, (ii) the light source 31 is a point light source, i.e., the diameter of the light source is zero, and (iii) A simulation was performed by the ray tracing method, taking into consideration only the direct transmitted ligh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wo light sources 31 and 31 shown in FIG. 40 are referred to as a light source 31A and a light source 31B, respectively. This simulation method is the same as that of the simulation method in Examples 14-17 mentioned later and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quantity of incident light per unit length of the 1st surface 40a differs.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의 모든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2개 광원(31A, 31B) 사이의 거리(L)는 45mm로 하고, 두께(d1)는 1.5로 하고, 광확산판(40)의 굴절률은 1.59로 했다.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의 각각의 시뮬레이션에서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단면 형상의 결정 공정에 의해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을 설계했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1∼3을 상기 조건으로 실시하여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을 산출한 후, 소정의 보간(補間) 처리를 행하여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을 얻었다. 설계에 있어서, 광원(31A)(또는 광원(31B))과 광확산판(40) 사이의 거리(D)를 소정의 거리로 설정하고 있다. 이 소정의 거리로서의 D는, L=45mm로 했을 때에 L/D가 다음 값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실시예 1에서는 L/D=2.17, 실시예 2에서는 L/D=2.50, 실시예 3에서는 L/D=3.20, 실시예 4에서는 L/D=3.75, 실시예 5에서는 L/D=2.00, 실시예 6∼8에서는 L/D=3.20, 실시예 9∼11에서는 L/D=3.00 및 실시예 12에서는 L/D=2.50이 되도록, 설계시의 거리(D)를 설정하고 있다.In all the simulations of Examples 1 to 12 and Comparative Example 1, the distance L between the two light sources 31A and 31B was 45 mm, the thickness d 1 was 1.5, and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was used. The refractive index of was set to 1.59. In each simulation of Examples 1-12 and Comparative Example 1,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was designed by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cross-sectional shape demonstrated in 2nd Embodiment. Specifically, after the steps 1 to 3 were performed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 was calculated, predetermined interpolation was performed to obta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 In the design, the distance D between the light source 31A (or the light source 31B) and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is set to a predetermined distance. D as this predetermined distance is set so that L / D becomes the next value when L = 45 mm. That is, L / D = 2.17 in Example 1, L / D = 2.50 in Example 2, L / D = 3.20 in Example 3, L / D = 3.75 in Example 4, and L / D = in Example 5 2.00, the distance D at design time is set so that L / D = 3.20 in Examples 6-8, L / D = 3.00 in Examples 9-11 and L / D = 2.50 in Example 12.

도 41∼도 52는 각각 실시예 1∼12의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볼록 형상부의 설계 단계에서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볼록 형상부(41)의 폭(wa)은, 실시예 1∼4에 대해서는 wa=400㎛, 실시예 5에 대해서는 wa=250㎛, 실시예 6∼11에 대해서는 wa=355㎛, 실시예 12에 대해서는 wa=349㎛이다. 도 41∼도 52에 있어서, x는 볼록 형상부(41A∼41J)의 설명에 있어서의 x축 상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41∼도 52에 있어서, z는 볼록 형상부(41A∼41J)의 설명에 있어서의 z축 상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볼록 형상부(41)의 높이(㎛)에 대응한다. 도 41∼도 5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1∼3에 의한 설계 단계에서는 볼록 형상부(41)의 절반의 형상을 설계하고 있다. 도 41∼도 52에 나타내는 x, z 조로 표시되는 각 데이터점은,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스텝 1∼스텝 3에 있어서 이산화(離散化)된 인접하는 선 요소의 교점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41 to 52 are diagrams showing design data at the design stage of the convex portion used in the simulations of Examples 1 to 12, respectively. The width w a of the convex portion 41 is w a = 400 µm for Examples 1 to 4, w a = 250 µm for Example 5, and w a = 355 µm for Examples 6-11. For Example 12, w a = 349 µm. In FIGS. 41-52, x has shown the position (micrometer) on the x-axis in description of the convex part 41A-41J. In FIGS. 41-52, z represents the position (micrometer) on the z-axis in description of the convex-shaped parts 41A-41J, and corresponds to the height (micrometer) of the convex-shaped part 41. FIG. 41-52, the shape of half of the convex-shaped part 41 is designed in the design step by steps 1-3. Each data point represented by the x and z pairs shown in FIGS. 41 to 52 represents the intersection position of the adjacent line elements discretized in steps 1 to 3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실시예 1∼12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은, 도 41∼도 52에 나타낸 각 데이터점을 정점으로 하여 3차 스플라인(spline) 보간을 실시하여 얻어진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에 대하여 실시했다. 3차 스플라인 보간은, 도 41∼도 52의 각 도면에 있어서, 볼록 형상부(41)의 왼쪽 끝, 즉 (x, z)=(-wa/2, 0)에서는 2회 미분이 0, 볼록 형상부(41)의 정점부, 즉 x=0인 위치에서는 1회 미분이 0인 조건으로 행하고 있다. 또한, 비교예 1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에서는,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을 반원 형상으로 했다.The simulations in Examples 1 to 12 were performed 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 obtained by performing third-spline interpolation with each data point shown in FIGS. 41 to 52 as a vertex. In each of Figs. 41 to 52, the third-spline interpolation has twice the derivative at 0 at the left end of the convex portion 41, that is, (x, z) = (-w a / 2, 0). At the apex part of the convex part 41, ie, the position where x = 0, it performs on the condition that one derivative is 0 once. In addition, in the simulation in the comparative example 1,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was made into the semicircle shape.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에 있어서의 볼록 형상부의 단면 형상은, 수학식 4 또는 수학식 6에 나타내고 있는 z0(x)로 표시되는 것에 대응한다. 이때, ha 및 ka는 표 9와 같다. 한편, 실시예 1∼12의 볼록 형상부(41)의 폭(wa)은 전술한 바와 같고, 비교예 1의 볼록 형상부(41)의 폭(wa)은 실시예 1∼4의 경우와 동일하게 400㎛이다. 표 9에 나타낸 ha 및 ka의 값의 경우, 실시예 1의 단면 형상은 제 3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형상예 2에 대응하고, 실시예 2의 단면 형상은 형상예 1에 대응한다. 실시예 3의 단면 형상은 제 3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형상예 3에 대응하고, 실시예 4의 단면 형상은 형상예 4에 대응한다. 또한, 실시예 5∼12의 단면 형상은 각각 볼록 형상부(41C∼41J)에 대응한다.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convex portions in Examples 1 to 12 and Comparative Example 1 correspond to those represented by z 0 (x) shown in Equation (4) or (6). At this time, h a and k a are shown in Table 9. On the other hand, in Example width of the convex portion 41 of 1~12 (a w) is the width (w a), the convex portion 41 of the as defined above, Comparative Example 1 is the case of Examples 1 to 4 Similarly, it is 400 μm. In the case of the values of h a and k a shown in Table 9, the cross-sectional shape of Example 1 corresponds to Shape Example 2 shown in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Example 2 corresponds to Shape Example 1. The cross-sectional shape of Example 3 corresponds to Shape Example 3 shown in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Example 4 corresponds to Shape Example 4.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Examples 5-12 corresponds to the convex part 41C-41J, respectively.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5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하여,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다음 시뮬레이션 A를 실시했다.The following simulation A was performed about Examples 1-12 and Comparative Example 1 using the said simulation model.

(시뮬레이션 A)(Simulation A)

주기 경계 조건을 마련함으로써, 복수의 광원(31)으로부터 출력된 광에 의한, 인접하는 2개 광원(31A, 31B) 상의 영역에서의 강도 분포를 계산했다. 이 시뮬레이션 3의 결과에서는, 인접하는 2개 광원(31A, 31B) 사이 상의 영역에 있어서의 계산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시뮬레이션 A에서는, 거리(L)를 45mm로 하는 한편, 거리(D)를 변화시킴으로써 상이한 L/D에 대하여 강도 분포를 구했다. 그리고, 상이한 L/D에 대하여 정면 방향(θ=0)인 경우의 강도 균제도(%)를 산출했다. 강도 균제도(%)는 「(최소 강도)/(최대 강도)×100」으로서 산출했다. 한편, 어떤 관측각 θ에 대한 강도는 휘도에 대응하기 때문에, 어떤 관측각 θ에 대한 강도 분포에 기초한 강도 균제도는 휘도 균제도에 대응한다.By providing a periodic boundary condition, the intensity distribution in the area | region o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A and 31B by the light output from the some light source 31 was calculated. In the result of this simulation 3, the calculation result in the area | region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A and 31B is shown. In this simulation A, while making distance L 45 mm, intensity distribution was calculated | required about different L / D by changing distance D. In FIG. And intensity homogenization (%) in the case of front direction ((theta) = 0) was calculated about different L / D. Intensity leveling agent (%) was calculated as "(minimum intensity) / (maximum intensity) x 100". On the other hand, since the intensity for a certain observation angle θ corresponds to the luminance, the intensity uniformity based on the intensity distribution for a certain observation angle θ corresponds to the luminance uniformity.

시뮬레이션 결과는 도 53에 나타낸 도표와 같다. 실시예 1∼12에서는, 비교예 1보다도 높은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Simulation results are shown in the diagram shown in FIG. In Examples 1-12, intensity | strength uniformity (brightness uniformity) higher than Comparative Example 1 can be implement | achieved. Especially,

실시예 1에서는 L/D=2.17, In Example 1, L / D = 2.17,

실시예 2에서는 L/D=2.5, In Example 2, L / D = 2.5,

실시예 3에서는 L/D=3.15, 3.2, In Example 3, L / D = 3.15, 3.2,

실시예 4에서는 L/D=3.7, 3.75, In Example 4, L / D = 3.7, 3.75,

실시예 5에서는 L/D=2.0, In Example 5, L / D = 2.0,

실시예 6에서는 L/D=3.2, 3.3, In Example 6, L / D = 3.2, 3.3,

실시예 7, 8에서는 L/D=3.2, In Examples 7, 8, L / D = 3.2,

실시예 9∼11에서는 L/D=3.0, 및 L / D = 3.0 in Examples 9-11, and

실시예 12에서는 L/D=2.5 In Example 12, L / D = 2.5

일 때에 90% 이상이라는 높은 정면 방향의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를 실현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high strength homogenizer (brightness homogenizer) in the front direction of 90% or more.

(실시예 13)(Example 13)

광확산판(40)의 굴절률을 1.49로 하고, 두께(d1)를 2.25로 한 점 이외는, 실시예 1∼12의 경우와 동일하게 볼록 형상부(41)를 설계하여 실시예 13을 실시했다. 실시예 13에서는, wa=400㎛로 하고 있다. 도 41∼도 52에 대응하는 실시예 13에 있어서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데이터는 도 54의 도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실시예 13의 볼록 형상부(14)의 설계에 있어서의 광원(31A)(또는 광원(31B))과 광확산판(40) 사이의 소정의 거리로서의 거리(D)는, L=45mm로 했을 때에 L/D가 4.00이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실시예 13에 있어서도 이들 실험 데이터에 실시예 1∼12의 경우와 동일하게 소정의 보간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실시예 13에 있어서도,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은 수학식 4 또는 수학식 6에 나타내고 있는 z0(x)에 있어서 ha=0.9752wa 및 ka=-0.212로 한 것에 대응한다. 한편, wa는 상기와 같이 400㎛이다. 실시예 13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표와 같다.Example 13 was carried out by designing the convex portion 41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1 to 12 except tha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was set to 1.49 and the thickness d 1 was set to 2.25. did. In Example 13, w a = 400 μm. Design data at the design stage in Example 13 corresponding to FIGS. 41 to 52 is as shown in the diagram of FIG. 54. In the design of the convex portion 14 of the thirteenth embodiment, the distance D as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31A (or the light source 31B) and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was set to L = 45 mm. The L / D is set to 4.00 at this time. Also in Example 13, predetermined interpol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se experimental data similarly to the case of Examples 1-12. Also in Example 13,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respond | corresponds to having set h a = 0.9752w a and k a = -0.212 in z 0 (x) shown in Equation (4) or (6). . On the other hand, w a is 400 µm as described above. The simulation results of Example 13 are shown in the table.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6

표 10으로부터, L/D 2.0 및 4.0에서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가 90% 이상이라는 높은 값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L/D가 보다 큰 4.0에 있어서도 높은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를 실현할 수 있다.From Table 10, it is possible to realize a high value of 90% or more of intensity uniformity (brightness leveling agent) at L / D 2.0 and 4.0, and to realize a high intensity leveling agent (brightness leveling agent) even at 4.0 having a larger L / D. .

(실시예 14∼17)(Examples 14 to 17)

다음으로, 실시예 14∼17 및 비교예 2를 참조하여 광확산판(광제어판)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 14∼17 및 비교예 2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요소에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Next, with reference to Examples 14-17 and the comparative example 2, a light-diffusion plate (light control board) is demonstrated concrete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s of Examples 14 to 17 and Comparative Example 2, the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elements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실시예 14∼17 및 비교예 2에서는, 각각 상이한 볼록 형상부의 단면 형상에 대하여 광선 추적법에 의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강도 분포를 구했다. 시뮬레이션 방법은 실시예 1∼12 등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면(40a)의 단위 길이당 광량의 계산 방법은 실시예 1∼12의 경우와 상이하다. 실시예 14∼17 및 비교예 2의 모든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2개 광원(31A, 31B) 사이의 거리(L)는 30mm로 하고, 광확산판(40)의 굴절률은 1.59로 했다. 또한, 광확산판(40)의 두께(d1)는 1.5mm로 했다.In Examples 14 to 17 and Comparative Example 2, the intensity distribution was obtained by simulation by the ray tracing method on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different convex portions, respectively. Since the simulation method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ase of Examples 1-12, it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On the other hand, as mentioned above,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light quantity per unit length of the 1st surface 40a differs from the case of Examples 1-12. In all the simulations of Examples 14 to 17 and Comparative Example 2, the distance L between the two light sources 31A and 31B was 30 mm,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was 1.59. In addition, the thickness d 1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was 1.5 mm.

또한, 실시예 14∼17 및 비교예 2의 각각의 시뮬레이션에서는, 광확산판(40)의 제 2 면(40b)에 실시예 14∼17 및 비교예 2에서 설정한 단면 형상을 갖는 볼록 형상부(41)가 형성되어 있다고 했다.In each of the simulations of Examples 14 to 17 and Comparative Example 2, convex portions having cross-sectional shapes set in Examples 14 to 17 and Comparative Example 2 on the second surface 40b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41) was formed.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하여, 실시예 14∼17 및 비교예 2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1∼3을 실시했다.Using the simulation model, simulations 1 to 3 were performed for Examples 14 to 17 and Comparative Example 2.

(시뮬레이션 1)(Simulation 1)

제 1 면(40a)으로부터 소정 거리(D)의 위치에 배치한 하나의 광원(31A)으로부터 출력된 광에 대한 정면 방향의 강도 분포를 계산했다.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fro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output from one light source 31A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predetermined distance D from the 1st surface 40a was calculated.

(시뮬레이션 2)(Simulation 2)

제 1 면(40a)으로부터 100mm의 위치에 배치한 하나의 광원(31A)으로부터 출력된 광에 대한 정면 방향의 강도 분포를 계산했다.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fro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output from one light source 31A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100 mm from the 1st surface 40a was calculated.

(시뮬레이션 3)(Simulation 3)

시뮬레이션 A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상이한 L/D에 대하여 강도 분포를 구했다. 시뮬레이션 3에서는, 정면 방향에 대하여 관측각 θ의 방향으로부터 광을 관측한 경우의 강도 분포도 계산했다. 그리고, 상이한 L/D 및 상이한 관측각 θ에 대하여 강도 균제도(%)를 산출했다.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simulation A, the intensity distribution was obtained for different L / D. In simulation 3, intensity distribution in the case of observing light from the direction of the observatio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frontal direction was also calculated. And intensity uniformity (%) was computed about different L / D and different observation angle (theta).

[볼록 형상부의 형상][Shape of Convex Shape]

실시예 14∼17에서는, 광원(31A)(또는 광원(31B))과 광확산판(40) 사이의 거리(D)를 소정의 거리로 설정하고, 원하는 강도 분포가 되도록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을 설계했다. 소정의 거리는, 실시예 14에서는 D=13.82mm, 실시예 15에서는 D=12mm, 실시예 16에서는 D=9.375mm, 실시예 17에서는 D=8.0mm이다.In Examples 14 to 17, the distance D between the light source 31A (or the light source 31B) and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is set to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convex portions 41 are formed so as to have a desired intensity distribu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as designed.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D = 13.82mm in the fourteenth embodiment, D = 12mm in the fifteenth embodiment, D = 9.375mm in the sixteenth embodiment, and D = 8.0mm in the seventeenth embodiment.

실시예 14∼17에서는, 상기 조건으로,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스텝 1∼3을 실시하여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을 산출한 후, 소정의 보간 처리를 행하여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을 얻었다. 실시예 14∼17의 폭은 동일하다. 14∼17의 각각의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볼록 형상부(41)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데이터는 실시예 1∼실시예 4의 경우와 동일하다. 즉, 도 41∼도 44는 각각 실시예 14∼17의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볼록 형상부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In Examples 14 to 17, the steps 1 to 3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re calculated under the above conditions to calculat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 and then predetermined interpolation is performed to perform the convex portion 41. The cross-sectional shape of was obtained. The widths of Examples 14 to 17 are the same. The design data at the design stage of the convex portion 41 used in each of the simulations 14 to 17 is the same as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That is, FIGS. 41-44 is a table which shows the design data in the design stage of the convex-shaped part used by the simulation of Examples 14-17, respectively.

실시예 14∼17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은, 도 41∼도 44에 나타낸 각 데이터점을 정점으로 하여 3차 스플라인 보간을 실시하여 얻어진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에 대하여 실시했다. 3차 스플라인 보간은, 도 41∼도 44의 각 도면에 있어서, 볼록 형상부(41)의 왼쪽 끝, 즉 (x, z)=(-200, 0)에서는 2회 미분이 0, 볼록 형상부(41)의 정점부, 즉 x=0인 위치에서는 1회 미분이 0인 조건으로 행하고 있다. 또한, 비교예 2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에서는,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을 반원 형상으로 했다. 한편, 비교예 2의 폭은 실시예 14∼17과 동일하다.The simulation in Examples 14-17 wa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obtained by performing 3rd spline interpolation using each data point shown in FIGS. 41-44 as a vertex. The third spline interpolation is, in each of Figs. 41 to 44, at the left end of the convex portion 41, that is, at (x, z) = (-200, 0), the second derivative is 0 and the convex portion. At the vertex portion of (41), that is, the position where x = 0, the first derivative i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derivative is zero. In addition, in the simulation in the comparative example 2,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was made into the semicircle shape.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comparative example 2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s 14-17.

도 55에, 시뮬레이션에 사용한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도 55는 실시예 14∼17 및 비교예 2의 볼록 형상부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5의 가로축은 볼록 형상부(41A∼41J)의 설명에 있어서의 x축에 대응하고, 볼록 형상부(41)의 폭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55 중의 세로축은 볼록 형상부(41A∼41J)의 설명에 있어서의 z축에 대응하고, 높이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4∼17 및 비교예 2의 볼록 형상부(41)의 폭은 동일하다. 그리고, 도 55에 있어서 가로축 및 세로축의 길이는 볼록 형상부(41) 양끝의 폭의 절반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규격화하여 나타내고 있다.55,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used for the simulation is shown. FIG. 55 is a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s of Examples 14 to 17 and Comparative Example 2. FIG. 55 corresponds to the x-axis in the description of the convex portions 41A to 41J, and indicates th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 41. 55 represents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z-axis in description of the convex part 41A-41J. The width | variety of the convex part 41 of Examples 14-17 and the comparative example 2 is the same. In addition, in FIG. 55,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axis | shaft and the vertical axis | shaft is standardized and shown based on the half length of the width | variety of the both ends of the convex part 41. As shown in FIG.

도 55에 나타낸 실시예 14∼17의 볼록 형상부의 단면 형상은, 수학식 4 또는 수학식 6에 있어서 ha, ka를 표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한 경우의 z0(x)로 표시되는 형상에 대응한다. 표 11에 있어서 wa는 400㎛이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s of Examples 14 to 17 shown in FIG. 55 is represented by z 0 (x) when h a and k a are set as shown in Table 11 in Equation (4) or (6). Corresponds to the shape. In Table 11, w a is 400 μm.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7

[시뮬레이션 결과] [Simulation Result]

이하, 실시예 14∼17 및 비교예 2의 시뮬레이션 1∼3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시뮬레이션 결과의 설명에 있어서, 볼록 형상부(41)의 배열 방향, 즉 제 2 방향은 제 2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X축 방향으로 칭한다.Hereinafter, the simulation result of the simulation 1-3 of Examples 14-17 and the comparative example 2 is demonstrated. In description of a simulation result,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vex part 41, ie, a 2nd direction, is called an X-axis direction similarly to the case of 2nd Embodiment.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도 56은 비교예 2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1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에서는, D=12(mm)로 한 경우의, 광원(31A)으로부터의 광에 대한 정면 방향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56의 가로축은 X축 방향에서의 광원(31A)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강도(임의 단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7은 비교예 2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2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의 가로축은 X축 방향에서의 광원(31A)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최대 강도로 규격화한 규격화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FIG. 56 shows the results of simulation 1 in Comparative Example 2. FIG. In FIG. 56, the front direction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31A in the case where D = 12 (mm) is shown. 56 represents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A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intensity (arbitrary unit). 57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simulation 2 in Comparative Example 2. FIG. 57 represents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A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standardized intensity normalized to the maximum intensity.

도 56 및 도 5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2에서는, 강도 분포의 정상부로부터 기슭부에 걸쳐서 비선형적으로 강도가 변화되고 있다. 즉, 비교예 2의 볼록 형상부(41)를 갖는 광확산판(40)에 의한 강도 분포는 선형 변화 영역(51)을 갖지 않는다.As shown in FIG. 56 and FIG. 57, in the comparative example 2, intensity | strength changes nonlinearly from the top part to the foot part of intensity | strength distribution. That is, the intensity distribution by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having the convex portion 41 of Comparative Example 2 does not have the linear change region 51.

시뮬레이션 3의 결과의 일례를 표 12에 나타낸다. 표 12에서는, 광원(31A)으로부터의 위치에 대한 강도에 기초하여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를 산출한 결과를, L/D 및 관측각 θ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Table 12 shows an example of the results of simulation 3. In Table 12,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intensity | strength uniformity (brightness uniformity) (%) based on the intens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from the light source 31A is shown about L / D and observation angle (theta).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8

또한, 도 58(a)∼도 58(c)는, 비교예 2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3의 결과에 근거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8(a)는, L/D=3.5인 경우에 있어서, 광원(31A)을 기준으로 한 위치와 관측각 θ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58(b)는, L/D=3.75인 경우에 있어서, 광원(31A)을 기준으로 한 위치와 관측각 θ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58(c)는, L/D=4.0인 경우에 있어서, 광원(31A)을 기준으로 한 위치와 관측각 θ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58A to 58C are diagrams showing the intensity distribution based on the result of simulation 3 in Comparative Example 2. FIG. FIG. 58A shows the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nd the observatio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A when L / D = 3.5. FIG. 58 (b) shows the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nd the observatio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A when L / D = 3.75. FIG. 58C shows the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nd the observation angle θ based on the light source 31A when L / D = 4.0.

(실시예 14)(Example 14)

도 59는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1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9에서는, D=13.82(mm)로 한 경우의, 광원(31A)으로부터의 광에 대한 정면 방향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59의 가로축은 X축 방향에서의 광원(31A)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강도(임의 단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0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2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0의 가로축은 X축 방향에서의 광원(31A)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도 5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규격화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FIG. 59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simulation 1 in Example 14. FIG. In FIG. 59,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fro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31A when D = 13.82 (mm) is shown. 59 shows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A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axis | shaft has shown intensity (arbitrary unit). 60 shows the results of simulation 2 in Example 1. FIG. The horizontal axis of FIG. 60 shows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A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axis | shaft has shown the normalized intensity similarly to the case of FIG.

도 59 및 도 6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4의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에서는, 강도 분포의 정상부로부터 기슭부에 걸쳐서 선형 변화 영역(51)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0으로부터, 본 실시예 14에서는, 시뮬레이션 2의 조건 하에서 강도 분포는 조건 (a) 및 (b)와 함께 조건 (c), (d)도 만족하고 있다. 또한, 조건 (c)에 있어서 w4는 w1/6 이상을 만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9 and FIG. 60, 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of Example 14, it turns out that it has the linear change area | region 51 from the top part to the foot part of intensity distribution. In addition, from FIG. 60, in Example 14, the intensity distribution under the conditions of simulation 2 also satisfies conditions (c) and (d) together with conditions (a) and (b). In addition, w 4 can be said that satisfies w 1/6 or more in the condition (c).

시뮬레이션 3의 결과의 일례를 표 13에 나타낸다. 표 13에서는, 광원(31A)으로부터의 위치에 대한 강도에 기초하여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를 산출한 결과를, 상이한 L/D 및 상이한 관측각 θ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Table 13 shows an example of the results of simulation 3. In Table 13, the result of having calculated the intensity uniformity (brightness uniformity) (%) based on the intensity |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from the light source 31A is shown about different L / D and different observation angle (theta).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19

또한, 도 61(a)∼도 61(c)는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3의 결과에 근거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1(a)는, L/D=2.0인 경우에 있어서 광원(31A)을 기준으로 한 위치와 관측각 θ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61(b)는, L/D=2.5인 경우에 있어서, 광원(31A)을 기준으로 한 위치와 관측각 θ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61(c)는, L/D=3.0인 경우에 있어서, 광원(31A)을 기준으로 한 위치와 관측각 θ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61A to 61C are diagrams showing the intensity distribution based on the result of simulation 3 in Example 14. FIG. FIG. 61 (a) shows the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nd the observation angle θ with reference to the light source 31A when L / D = 2.0. FIG. 61 (b) shows the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nd the observation angle θ based on the light source 31A when L / D = 2.5. FIG. 61 (c) shows the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nd the observatio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A when L / D = 3.0.

실시예 14에서는, L=30mm, D=13.87, 즉 L/D 약 2.17에 대하여 원하는 강도 분포가 얻어지도록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을 설계하고 있다. 그리고, 표 13 및 도 61(b)로부터, L/D가 설계치에 가까운 2.17인 경우, 정면 방향에서 100%에 가까운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표 13 및 도 61(a)∼도 61(c)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L/D가 상기 설계치로부터 벗어났다고 해도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의 변화가 비교적(예컨대 비교예에 대하여) 완만하기 때문에, 휘도 불균일을 보다 안정되게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 관측각 θ가 20° 및 30°에 있어서도 높은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L/D의 변화에 대하여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의 변화가 완만하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In Example 14,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is designed so that a desired intensity distribution can be obtained for L = 30 mm and D = 13.87, that is, about L / D of about 2.17. And from Table 13 and FIG. 61 (b), when L / D is 2.17 which is close to the design value, strength uniformity (brightness uniformity) (%) close to 100% can be secured in the front direction. In addition, 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13 and Figs. 61 (a) to 61 (c), even if L / D is out of the design value, the change in the intensity uniformity (brightness leveling agent) is relatively gentle (for example, comparative example). The luminance nonuniformity can be reduced more stably. Furthermore, even when the observation angle θ is 20 ° and 30 °, it is possible to secure a high intensity uniformity (brightness leveling system) and to show that the change in the intensity leveling system (luminance leveling system) is smooth with respect to the change in L / D. Can be.

(실시예 15의 결과)(Result of Example 15)

도 62는 실시예 15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1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2에서는, D=12(mm)로 한 경우의, 광원(31A)으로부터의 광에 대한 정면 방향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62의 가로축은 X축 방향에서의 광원(31A)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강도(임의 단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3은 실시예 15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2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3의 가로축은 X축 방향에서의 광원(31A)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최대 강도로 규격화한 규격화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62 shows the results of simulation 1 in Example 15. FIG. In FIG. 62,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fro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31A when D = 12 (mm) is shown. 62 represents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A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intensity (arbitrary unit). FIG. 63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simulation 2 in Example 15. FIG. 63 represents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A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standardized intensity normalized to the maximum intensity.

도 62 및 도 6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5의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에서는, 강도 분포의 정상부로부터 기슭부에 걸쳐서 선형 변화 영역(51)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3으로부터, 본 실시예 15에서는, 시뮬레이션 2의 조건 하에서 강도 분포는 조건 (a) 및 (b)와 함께 조건 (c), (d)도 만족하고 있다. 또한, 조건 (c)에 있어서 w4는 w1/6 이상을 만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As shown to FIG. 62 and FIG. 63, 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of Example 15, it turns out that it has the linear change area | region 51 from the top part to the foot part of intensity | strength distribution. In addition, from FIG. 63, in Example 15, the intensity distribution under the conditions of simulation 2 also satisfies conditions (c) and (d) together with conditions (a) and (b). In addition, w 4 can be said that satisfies w 1/6 or more in the condition (c).

시뮬레이션 3의 결과의 일례를 표 14에 나타낸다. 표 14에서는, 광원(31A)으로부터의 위치에 대한 강도에 기초하여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를 산출한 결과를, L/D 및 관측각 θ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Table 14 shows an example of the results of simulation 3. In Table 14,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intensity | strength uniformity (brightness uniformity) (%) based on the intens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from the light source 31A is shown with respect to L / D and observation angle (theta).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0

또한, 도 64(a)∼도 64(c)는 실시예 15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3의 결과에 근거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4(a)는, L/D=2.0인 경우에 있어서, 광원(31A)을 기준으로 한 위치와 관측각 θ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64(b)는, L/D=2.5인 경우에 있어서, 광원(31A)을 기준으로 한 위치와 관측각 θ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64(c)는, L/D=3.0인 경우에 있어서, 광원(31A)을 기준으로 한 위치와 관측각 θ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64A to 64C are diagrams showing the intensity distribution based on the result of simulation 3 in Example 15. FIG. FIG. 64 (a) shows the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nd the observation angle θ based on the light source 31A when L / D = 2.0. FIG. 64 (b) shows the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nd the observation angle θ based on the light source 31A when L / D = 2.5. FIG. 64C shows the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nd the observation angle θ based on the light source 31A when L / D = 3.0.

실시예 15에서는, L=30mm, D=12, 즉 L/D 2.5에 대하여 원하는 강도 분포가 얻어지도록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을 설계하고 있다. 그리고, 표 14 및 도 64(b)로부터, L/D가 설계치인 2.5인 경우, 정면 방향에서 100%에 가까운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표 14 및 도 64(a)∼도 64(c)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L/D가 상기 설계치로부터 벗어났다고 해도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의 변화가 완만하기 때문에, 휘도 불균일을 보다 안정되게 저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관측각 θ가 20° 및 30°에 있어서도 높은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L/D의 변화에 대하여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의 변화가 완만하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In Example 15,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is designed so that desired intensity distribution may be obtained with respect to L = 30mm and D = 12, that is, L / D2.5. And from Table 14 and FIG. 64 (b), when L / D is 2.5 as a design value, the intensity | strength uniformity (brightness leveling agent) (%) near 100% can be ensured in the front direction. In addition, 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14 and Figs. 64 (a) to 64 (c), even if L / D is out of the design value, since the change in intensity uniformity (luminance uniformity) is gentle, the luminance nonuniformity is reduced more stably. It can be seen that. Furthermore, even when the observation angle θ is 20 ° and 30 °, it is possible to secure a high intensity uniformity (brightness leveling system) and to show that the change in the intensity leveling system (luminance leveling system) is smooth with respect to the change in L / D. Can be.

(실시예 16의 결과)(Result of Example 16)

도 65는 실시예 16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1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5에서는, D=9.375(mm)로 한 경우의, 광원(31A)으로부터의 광에 대한 정면 방향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65의 가로축은 X축 방향에서의 광원(31A)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강도(임의 단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6은 실시예 16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2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6의 가로축은 X축 방향에서의 광원(31A)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최대 강도로 규격화한 규격화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65 shows the results of simulation 1 in Example 16. FIG. In FIG. 65,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fro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31A when D = 9.375 (mm) is shown. 65, the horizontal axis has shown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A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axis has shown intensity (arbitrary unit). 66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simulation 2 in Example 16. FIG. 66 represents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A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normalized intensity normalized to the maximum intensity.

도 65 및 도 6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6의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에서는, 강도 분포 중 강도 감소 영역에 있어서 선형 변화 영역(51)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6으로부터, 본 실시예 16에서는, 시뮬레이션 2의 조건 하에서 강도 분포는 조건 (a) 및 (b)와 함께 조건 (c)도 만족하고 있다. 또한, 조건 (c)에 있어서 w4는 w1/8 이상을 만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5 and FIG. 66, 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of Example 16, it turns out that it has a linear change area 51 in the intensity reduction area | region of intensity distribution. 66, in the sixteenth embodiment, the intensity distribution under the condition of simulation 2 also satisfies the condition (c) together with the conditions (a) and (b). In addition, w 4 can be said that satisfies w 1/8 or more in the condition (c).

시뮬레이션 3의 결과의 일례를 표 15에 나타낸다. 표 15에서는, 광원(31A)으로부터의 위치에 대한 강도에 기초하여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를 산출한 결과를, L/D 및 관측각 θ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Table 15 shows an example of the results of simulation 3. In Table 15, the result of having calculated the intensity uniformity (brightness uniformity) (%) based on the intens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from the light source 31A is shown about L / D and observation angle (theta).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1

또한, 도 67(a)∼도 67(c)는 실시예 16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3의 결과에 근거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7(a)는, L/D=3.0인 경우에 있어서, 광원(31A)을 기준으로 한 위치와 관측각 θ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67(b)는, L/D=3.2인 경우에 있어서, 광원(31A)을 기준으로 한 위치와 관측각 θ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67(c)는, L/D=3.5인 경우에 있어서, 광원(31A)을 기준으로 한 위치와 관측각 θ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67A to 67C are diagrams showing the intensity distribution based on the result of simulation 3 in Example 16. FIG. FIG. 67 (a) shows the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nd the observation angle θ with reference to the light source 31A when L / D = 3.0. FIG. 67 (b) shows the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nd the observatio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A when L / D = 3.2. FIG. 67 (c) shows the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nd the observation angle θ with reference to the light source 31A when L / D = 3.5.

실시예 16에서는, L=30mm, D=9.375, 즉 L/D 3.2에 대하여 원하는 강도 분포가 얻어지도록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을 설계하고 있다. 그리고, 표 15 및 도 67(b)로부터, L/D가 설계치인 3.2인 경우, 정면 방향에서 100%에 가까운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표 15 및 도 67(a)∼도 67(c)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L/D가 상기 설계치로부터 벗어났다고 해도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의 변화가 완만하기 때문에, 휘도 불균일을 보다 안정되게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관측각 θ가 20° 및 30°에 있어서도 높은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L/D의 변화에 대하여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의 변화가 완만하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In Example 16,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is designed so that desired intensity distribution may be obtained with respect to L = 30mm and D = 9.375, that is, L / D 3.2. In addition, from Table 15 and FIG. 67 (b), when L / D is a design value of 3.2, strength uniformity (brightness leveling agent) (%) close to 100% in the front direction can be ensured. Further, 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15 and Figs. 67 (a) to 67 (c), even if L / D is out of the design value, the variation in intensity uniformity (luminance uniformity) is gentle, so that the luminance nonuniformity is more stably reduced. You can do it. Furthermore, even when the observation angle θ is 20 ° and 30 °, it is possible to secure a high intensity uniformity (brightness leveling system) and to show that the change in the intensity leveling system (luminance leveling system) is smooth with respect to the change in L / D. Can be.

(실시예 17의 결과)(Result of Example 17)

도 68은 실시예 17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1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8에서는, D=8.0(mm)으로 한 경우의, 광원(31A)으로부터의 광에 대한 정면 방향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68의 가로축은 X축 방향에서의 광원(31A)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강도(임의 단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9는 실시예 17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2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9의 가로축은 X축 방향에서의 광원(31A)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최대 강도로 규격화한 규격화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FIG. 68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simulation 1 in Example 17. FIG. In FIG. 68,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fro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31A when D = 8.0 (mm) is shown. 68, the horizontal axis has shown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A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axis has shown intensity (arbitrary unit). 69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simulation 2 in Example 17. FIG. 69 represents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A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normalized intensity normalized to the maximum intensity.

도 68 및 도 6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7의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에서는, 강도 분포 중 강도 감소 영역에 있어서 선형 변화 영역(51)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9로부터, 본 실시예 17에서는, 시뮬레이션 2의 조건 하에서 강도 분포는 조건 (a) 및 (b)와 함께 조건 (c)도 만족하고 있다. 또한, 조건 (c)에 있어서 w4는 w1/10 이상을 만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8 and FIG. 69, 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of Example 17, it turns out that it has the linear change area 51 in the intensity reduction area | region of intensity distribution. 69, in the seventeenth embodiment, the intensity distribution under the condition of simulation 2 also satisfies the condition (c) together with the conditions (a) and (b). In addition, w 4 can be said that satisfies w 1/10 or more in the condition (c).

시뮬레이션 3의 결과의 일례를 표 16에 나타낸다. 표 16에서는, 광원(31A)으로부터의 위치에 대한 강도에 기초하여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를 산출한 결과를, L/D 및 관측각 θ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Table 16 shows an example of the results of simulation 3. In Table 16, the result of having calculated the intensity uniformity (brightness uniformity) (%) based on the intens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from the light source 31A is shown about L / D and observation angle (theta).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2

또한, 도 70(a)∼도 70(c)는 실시예 17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3의 결과에 근거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0(a)는, L/D=3.5인 경우에 있어서, 광원(31A)을 기준으로 한 위치와 관측각 θ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70(b)는, L/D=3.75인 경우에 있어서, 광원(31A)을 기준으로 한 위치와 관측각 θ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70(c)는, L/D=4.0인 경우에 있어서, 광원(31A)을 기준으로 한 위치와 관측각 θ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70A to 70C are diagrams showing the intensity distribution based on the result of simulation 3 in Example 17. FIG. FIG. 70 (a) shows the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nd the observatio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A when L / D = 3.5. FIG. 70 (b) shows the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nd the observation angle θ based on the light source 31A when L / D = 3.75. FIG. 70 (c) shows the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nd the observatio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31A when L / D = 4.0.

실시예 17에서는, L=30mm, D=8.0, 즉 L/D=3.75에 대하여 원하는 강도 분포가 얻어지도록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을 설계하고 있다. 그리고, 표 16 및 도 70(b)로부터, L/D가 설계치인 3.75인 경우, 정면 방향에서 100%에 가까운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표 16 및 도 70(a)∼도 70(c)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L/D가 상기 설계치로부터 벗어났다고 해도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의 변화가 완만하기 때문에, 휘도 불균일을 보다 안정되게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관측각 θ가 20° 및 30°에 있어서도 높은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L/D의 변화에 대하여 강도 균제도(휘도 균제도)의 변화가 완만하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In Example 17,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is designed so that desired intensity distribution may be obtained for L = 30 mm and D = 8.0, that is, L / D = 3.75. And, from Table 16 and FIG. 70 (b), when L / D is 3.75, which is a design value, strength uniformity (brightness leveling agent) (%) close to 100% in the front direction can be secured. In addition, 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16 and Figs. 70 (a) to 70 (c), even if L / D is out of the design value, since the change in intensity uniformity (luminance uniformity) is gentle, the luminance nonuniformity is reduced more stably. You can do it. Furthermore, even when the observation angle θ is 20 ° and 30 °, it is possible to secure a high intensity uniformity (brightness leveling system) and to show that the variation of the intensity leveling system (luminance leveling system) is smooth with respect to the change in L / D. Can be.

(실시예 14∼17 및 비교예 2의 결과의 비교)(Comparison of the results of Examples 14 to 17 and 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2에서는, 시뮬레이션 1, 2의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광원(31A)에 대한 강도 분포가 선형 변화 영역(51)을 갖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14∼17에서는, 시뮬레이션 1, 2의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광원(31A)에 대한 강도 분포가 선형 변화 영역(51)을 갖는다. 나아가, 실시예 14∼17 및 비교예 2의 각각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 1, 2의 결과의 비교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광원(31A)과 광확산판(40) 사이의 거리가 변하더라도 강도 분포는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광확산판(40)으로부터 예컨대 100mm 떨어진 위치에 광원(31)을 배치하여 측정한 강도 분포가 일정 조건(예컨대, 조건 (a), (b))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 광확산판(40)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D)에서 배치된 하나의 광원(31A)에 대한 강도 분포도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광확산판(40)으로부터 100mm 떼어 광원(31A)을 배치하여 볼록 형상부(41A)의 형상을 검사하여도 좋음을 알 수 있다.In Comparative Example 2, as shown in the results of simulations 1 and 2, the intensity distribution for one light source 31A does not have a linear change region 51. In contrast, in Examples 14 to 17,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s 1 and 2,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one light source 31A includes the linear change region 51. Further, as can be understood from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simulations 1 and 2 in each of Examples 14 to 17 and Comparative Example 2, the intensity distribution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31A and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changes.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Therefore, when the intensity distribution measured by arranging the light source 31 at a position 100 mm away from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example, conditions (a) and (b)), the light diffusion plate ( The intensit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one light source 31A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D with respect to 40 also satisfies the same condition.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A may be inspected by arranging the light source 31A 100 mm away from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또한, 실시예 14∼17에서 사용한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은, 거리(D)를 소정의 값으로 하여 설계하고 있다. 이는, 소정의 L/D에 대하여 원하는 강도 분포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3의 결과로부터, 각 실시예 14∼17에서는, 설계에 사용한 소정의 L/D에 대하여 높은 휘도 균제도를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used in Examples 14-17 is designed by making distance D into a predetermined value. This is designed to obtain a desired intensity distribution for a given L / D. And from the result of simulation 3, in each Example 14-17, the high luminance uniformity can be implement | achieved with respect to the predetermined L / D used for design.

나아가, 상기 선형 변화 영역(51)을 갖는 실시예 14∼17에서는, 선형 변화 영역(51)을 갖지 않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L/D의 변화에 대한 휘도 균제도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실시예 14∼17의 경우에는, 설계용으로 설정한 소정의 L/D로부터 벗어난 경우이더라도, 휘도 균제도의 저하를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안정되게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고, 결과로서 실시예 14∼17의 광확산판(40)은 범용성을 갖는다.Further, in Examples 14 to 17 having the linear change region 51, the change in luminance uniformity with respect to the change in L / D can be made smaller than in the comparative example without the linear change region 51. Therefore, in the case of Examples 14-17, even if it deviates from the predetermined L / D set for design, the fall of a brightness | luminance uniformity can be reduced. As a result, luminance unevenness can be suppressed more stably, and as a result, the light diffusing plates 40 of Examples 14 to 17 have versatility.

또한, 실시예 14∼17의 결과의 비교로부터, 선형 변화 영역(51)을 갖는 강도 분포를 사용하여 설계한 경우에는, L/D를 크게 했다고 하더라도, 즉 면광원 장치(20)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의 박형화를 도모했다고 하더라도 높은 휘도 균제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도, L/D가 변화되더라도 휘도 균제도의 저감을 억제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In addition, from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Examples 14 to 17, when designed using the intensity distribution having the linear change region 51, even if the L / D is increased, that is,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or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Even if the device 1 is thinned, it can be seen that a high luminance uniformity can be ensured. Also in this case, even if L / D is changed, the reduction of the brightness uniformity can be suppressed as described above.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안정되게 휘도 불균일을 억제 가능한 광제어판, 및 그 광제어판을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nd example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 control panel capable of more stably suppressing luminance unevenness, and a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a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ght control plate.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광제어판을 광확산판(40)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력된 광의, 복수의 광원이 배치되는 평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의 휘도 균일성을 조정하는 광부품이면 좋다. 예컨대, 광제어판은, 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의 광 출사측에, 상술한 볼록 형상부를 복수 갖는, 프리즘 시트나 렌즈 시트 등의 광학 시트 또는 광학 필름이라는 휘도 조정판으로 할 수도 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and Example of this invention were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nd Example. For example, although the light control plate was described as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luminance uniformity in the plane parallel to the plane o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arranged is adjusted. It may be an optical component. For example, a light control plate can also be set as the brightness adjusting plate called optical sheets or optical films, such as a prism sheet and a lens sheet, which have two or more convex-shaped parts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board which consists of transparent materials.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광원부(30)가 갖는 복수의 광원(31)은 간격( L)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했지만,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의 거리는 상이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의 간격의 평균 거리(Lm)를 사용하여, 광원(31) 사이의 거리와, 광원(31)과 광제어판(40) 사이의 거리의 비를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의 거리가 상이한 경우, L/D가 위치에 따라서 상이하다. 광확산판(4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L/D가 변화되더라도 복수의 광원(31)으로부터의 광에 의한 강도 분포에의 기여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2개 광원(31, 31) 사이의 거리가 상이한 경우이더라도, 위치에 따라 예컨대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을 변경할 필요성이 저감된다. 그 때문에, 광확산판(40)의 설계 및 제조가 용이하여, 광확산판(40), 면광원 장치(20)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의 제조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the some light source 31 which the light source part 30 has is arrange | positioned at substantially equal intervals at the space | interval L, the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is different. Also good.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s 3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31 and the light control panel 40 using the average distance L m of the interval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The ratio of can be defin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is different, L / D differs according to a position. In the light diffusion plate 40, as described above, even if L / D is changed, the contribution to the intensity distribution by the light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1 can be reduced. Therefore,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31 and 31 is different, the necessity of chang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 41 according to the position is reduced. Therefore,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can be easily designed and manufactur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light diffusing plate 40,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20, and the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1 can be reduced.

나아가, 볼록 형상부(41)의 단면 형상은 동일하게 했지만, 반드시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단, 동일함으로써 제조 비용 저감 등을 도모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Furthermore, althoug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art 41 was the same, it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the same. However, as mentioned abov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being the same.

한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광학 요소부는 볼록 형상부(41)로 하여 설명했지만, 광학 요소부는 도 5에 나타낸 강도 분포를 실현할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2nd Embodiment, although the optical element part was demonstrated as the convex part 41, if an optical element part is a shape which can implement intensity distribution shown in FIG. 5, it will not specifically limit.

Claims (11)

제 1 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이 상기 제 1 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면으로부터 출사 가능한 광제어판으로서,
제 1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볼록 형상부가 상기 제 2 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 형상부의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당해 볼록 형상부의 상기 제 2 방향에 대한 양끝을 지나는 축선을 x축으로 하고, 상기 x축 상에서 상기 양끝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x축에 직교하는 축선을 z축으로 하고, 상기 볼록 형상부의 x축 방향의 길이를 wa로 했을 때,
상기 단면에서 상기 볼록 형상부의 윤곽 형상이, -0.475wa≤x≤0.475wa의 범위에서 수학식 1을 만족하는 z(x)로 표시되는,
광제어판.
[수학식 1]
Figure pat00023

단, 수학식 1에 있어서, zB(x)=z0(x)×r(r은 0.95 이상 1.05 이하의 상수임)이고, z0(x)는 수학식 2로 표시된다.
[수학식 2]
Figure pat00024

(수학식 2 중, ha는 0.27wa 이상 1.02wa 이하의 상수이고, ka는 -0.38 이상 0.00 이하의 상수이다)
A light control panel capable of emitting light incident from a first surface from a second surface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rranged in parallel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r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 the axis passing through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second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 is assumed to be the x axis, and is orthogonal to the x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both ends on the x axis. When the axis is set to the z-axis and the length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x-axis direction is w a ,
The contour shape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cross section is represented by z (x) that satisfies Equation 1 in the range of -0.475w a ≤x≤0.475w a ,
Light control panel.
[Equation 1]
Figure pat00023

In formula (1), however, z B (x) = z 0 (x) x r (r is a constant of 0.95 or more and 1.05 or less), and z 0 (x) is represented by formula (2).
[Equation 2]
Figure pat00024

(Mathematical formula 2, h a is a constant less than 0.27w a more than 1.02w a, k is a constant of 0.00 or less than -0.3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형상부의 굴절률이 1.48 이상 1.62 이하인, 광제어판.
The method of claim 1,
An optical control panel wherein the convex portions have a refractive index of 1.48 or more and 1.62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형상부의 굴절률이 1.48 이상 1.50 미만이고,
상기 ha가 0.34wa 이상 1.02wa 이하이고,
상기 ka가 -0.38 이상 -0.06 이하인, 광제어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aid convex part is 1.48 or more and less than 1.50,
And wherein h a is a more than 0.34w 1.02w a or less,
Wherein k a is more than -0.38 -0.06 or less, the light control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형상부의 굴절률이 1.50 이상 1.52 미만이고,
상기 ha가 0.33wa 이상 0.99wa 이하이고,
상기 ka가 -0.35 이상 -0.06 이하인, 광제어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aid convex part is 1.50 or more and less than 1.52,
And wherein h a is a more than 0.33w 0.99w a or less,
Wherein k a is more than -0.35 -0.06 or less, the light control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형상부의 굴절률이 1.52 이상 1.54 미만이고,
상기 ha가 0.31wa 이상 0.98wa 이하이고,
상기 ka가 -0.33 이상 -0.05 이하인, 광제어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aid convex part is 1.52 or more and less than 1.54,
And wherein h a is a more than 0.31w 0.98w a or less,
Wherein k a is more than -0.33 -0.05 or less, the light control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형상부의 굴절률이 1.54 이상 1.56 미만이고,
상기 ha가 0.30wa 이상 0.96wa 이하이고,
상기 ka가 -0.30 이상 -0.05 이하인, 광제어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aid convex part is 1.54 or more and less than 1.56,
And wherein h a is a more than 0.30w 0.96w a or less,
Wherein k a is more than -0.30 -0.05 or less, the light control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형상부의 굴절률이 1.56 이상 1.58 미만이고,
상기 ha가 0.29wa 이상 0.94wa 이하이고,
상기 ka가 -0.29 이상 -0.03 이하인, 광제어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aid convex part is 1.56 or more and less than 1.58,
And wherein h a is a more than 0.29w 0.94w a or less,
Wherein k a is more than -0.29 -0.03 or less, the light control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형상부의 굴절률이 1.58 이상 1.60 미만이고,
상기 ha가 0.28wa 이상 0.92wa 이하이고,
상기 ka가 -0.27 이상 -0.02 이하인, 광제어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aid convex part is 1.58 or more and less than 1.60,
And wherein h a is a more than 0.28w 0.92w a or less,
The said k a is -0.27 or more and -0.02 or less, The optical control 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형상부의 굴절률이 1.60 이상 1.62 이하이고,
상기 ha가 0.27wa 이상 0.87wa 이하이고,
상기 ka가 -0.27 이상 0.00 이하인, 광제어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aid convex part is 1.60 or more and 1.62 or less,
And wherein h a is a more than 0.27w 0.87w a or less,
The said k a is -0.27 or more and 0.00 or less, The optical control board.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제어판과,
서로 이간(離間)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광제어판의 상기 제 1 면에 광을 공급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면광원 장치.
The optical control plate of any one of Claims 1-9,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upplying light to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control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제어판과,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광제어판의 상기 제 1 면에 광을 공급하는 복수의 광원과,
복수의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광제어판을 통과한 광에 의해 조명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투과형 화상 표시부를 구비하는,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The optical control plate of any one of Claims 1-9,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upplying light to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control plate;
And a transmissive image display unit which is output by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is illuminated by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control plate to display an image.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KR1020100064615A 2009-07-06 2010-07-06 Light control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KR10162156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60265 2009-07-06
JP2009160265 2009-07-06
JPJP-P-2009-175608 2009-07-28
JP2009175609 2009-07-28
JPJP-P-2009-175609 2009-07-28
JP2009175608 2009-07-28
JP2009232683 2009-10-06
JPJP-P-2009-232683 2009-10-06
JPJP-P-2009-298098 2009-12-28
JP2009298092 2009-12-28
JP2009298098 2009-12-28
JPJP-P-2009-298092 2009-12-28
JPJP-P-2010-054639 2010-03-11
JPJP-P-2010-054706 2010-03-11
JP2010054706 2010-03-11
JPJP-P-2010-054645 2010-03-11
JP2010054645 2010-03-11
JP2010054639 2010-03-11
JP2010063103 2010-03-18
JPJP-P-2010-063103 2010-03-18
JP2010063096 2010-03-18
JPJP-P-2010-063096 2010-03-18
JPJP-P-2010-078698 2010-03-30
JP2010078698 2010-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11A true KR20110004311A (en) 2011-01-13
KR101621567B1 KR101621567B1 (en) 2016-05-16

Family

ID=4361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615A KR101621567B1 (en) 2009-07-06 2010-07-06 Light control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59171B2 (en)
KR (1) KR101621567B1 (en)
CN (1) CN101943367B (en)
TW (1) TWI46577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4377B2 (en) 2012-03-13 2016-03-01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7213040A (en) * 2016-05-30 2017-12-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Biological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biological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5879B2 (en) * 2005-06-03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Light transmissive film,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684791B2 (en) * 2005-06-29 2011-05-18 株式会社クラレ LIGHTING DEVICE, LIGHT CONTROL MEMBER USED FOR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M
CN100538152C (en) * 2005-06-29 2009-09-09 可乐丽股份有限公司 Lighting device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that is used for the light control member of this lighting device and uses these devices
JP4564503B2 (en) * 2006-02-17 2010-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Display device
JP2007226063A (en) * 2006-02-24 2007-09-06 Kuraray Co Ltd Light control sheet
TW200741138A (en) * 2006-03-10 2007-11-01 Mitsubishi Rayon Co Area light source device
JP2007265744A (en) * 2006-03-28 2007-10-11 Kuraray Co Ltd Plane light source element, light control member used for 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m
JP5168813B2 (en) * 2006-04-14 2013-03-27 ソニー株式会社 Optical sheet,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08047855A1 (en) * 2006-10-19 2008-04-24 Kuraray Co., Ltd. Area light source elem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7753544B2 (en) * 2007-06-29 2010-07-13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Light control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JP4642823B2 (en) * 2007-09-13 2011-03-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9104073A (en) * 2007-10-25 2009-05-14 Sumitomo Chemical Co Ltd Light control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43367B (en) 2014-04-02
JP2011227433A (en) 2011-11-10
TWI465778B (en) 2014-12-21
CN101943367A (en) 2011-01-12
JP5059171B2 (en) 2012-10-24
TW201109742A (en) 2011-03-16
KR101621567B1 (en)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9586B2 (en) Light control film
US10571711B2 (en) Brightness enhancement film with substantially non-imaging embedded diffuser
EP3051322B1 (en) Linear fresnel lens sheet, transmissive display apparatus, and roll-shaped molding die for manufacturing linear fresnel lens sheet
TW201539049A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CN100501459C (en) Liquid crystal display,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sheet, and optical sheet
US20110122175A1 (en) Luminance enhancement optical substrates with optical defect masking structures
CN110268311B (en) Light control film with turning film and lenticular pleating sheet for enhancing view in horizontal plane
US11747669B2 (en) Optical sheet, light controlling membe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mage source unit, and display
CN101910875A (en) Optical member
KR20110004311A (en) Light control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JP2012032537A (en) Optical polarize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on image display device
JP2012032536A (en) Optical polarize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on image display device
JP2012032533A (en) Optical polarize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on image display device
US11448814B2 (en) Light control film with turning film and lenticular diffuser for view enhancement in the horizontal plane
JP4303538B2 (en) Light control film and backlight using the same
JP2017198974A (en) Optical unit, surface light source device, video source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1380477B1 (en) Condensing type optical sheet
WO2011096403A1 (en) Light control plate, light control plate unit,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on image display device
US20070297728A1 (en) Anti-reflective optical film
CN113196113A (en) Light control film with turning film and lenticular diffuser for enhancing view in a horizontal plane
JP2010271594A (en) Light control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1118176A (en) Optical control boar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JP2011028033A (en) Optical control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ve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