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165U - 진공 유골함 - Google Patents

진공 유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165U
KR20110004165U KR2020090013693U KR20090013693U KR20110004165U KR 20110004165 U KR20110004165 U KR 20110004165U KR 2020090013693 U KR2020090013693 U KR 2020090013693U KR 20090013693 U KR20090013693 U KR 20090013693U KR 20110004165 U KR20110004165 U KR 201100041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ashes
close contact
ai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8465Y1 (ko
Inventor
심순분
Original Assignee
심순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순분 filed Critical 심순분
Priority to KR2020090013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46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1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4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유골함 내부의 진공상태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골함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진공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진공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골함은 진공상태를 이루는 과정과 기밀성을 유지하여 진공상태를 지속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측이 진공상태가 되어 유골이 수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입구에 결합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밀폐커버와, 상기 밀폐커버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20)에는 단턱(23)이 형성된 결합공간(22)과, 상기 단턱(23)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부(24)와, 상기 관통부(24)의 하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진공펌프에 의해 몸체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공기홈(25)으로 구성된 결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1)에는 단턱(23)에 밀착되는 상부밀착부(31)와, 상기 관통부(24)에 삽입되어 진공펌프에 의해 상측으로 늘어나면서 공간을 형성하는 탄성부(32)와, 상기 공기홈(25)의 하측에 밀착되는 하부밀착부(33)로 구성된 밀착구(30)가 삽입 결합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진공 유골함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진공 유골함은 밀폐커버(20)와 밀착구(30)의 간단한 구조와 상호 결합과, 2중의 패킹부재(26)(27)에 의해 진공에 의한 기밀성을 유지하여 유골의 장기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유골함, 진공, 납골당, 공기

Description

진공 유골함{Vacuum Urn}
본 고안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유골함 내부의 진공상태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골함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진공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진공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장묘문화는 유교의 영향으로 화장을 기피하고 매장을 선호하는 매장 위주의 장묘관행이 뿌리 깊게 박혀 있어 묘지조성을 위한 국토의 잠식과 자연환경의 훼손이 매우 심각한 실정이나, 최근에는 정부의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 등에 힘입어 전통 매장식 보다는 화장을 한 후 망인의 유골을 곱게 빻아 그 유골분을 유골함에 담아 보관하는 납골장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주지하는 바와 같이 유골은 탄산칼슘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습기에 의한 산화작용으로 쉽게 부패하고, 심한 경우 유해균이나 벌레가 발생하는 등의 우려가 상존하는바, 종래에는 옥이나 석재, 목재, 철재 등의 소재로 제작되고 단순히 수용부를 갖는 본체의 상부에 뚜껑을 덮어 닫는 항아리 형상이나 원통 형상의 구조로 된 유골함을 별도의 외함의 구비 없이 외기와 쉽게 접할 수 있는 상태로 납골당 이나 유골함 안치단에 안치하여 보존함으로써, 외부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나 미생물 등이 유골함 내로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유골의 손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유골함은 대부분 외관이나 사용상의 편의성 개선 위주로 발전하여 왔고 유골의 보존을 위한 진공성의 향상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하였다. 즉, 유골함 내 습기로 인한 유골의 부패를 막고 장기 보존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유골함 내에 진공 상태의 유지가 필요한바, 이를 위하여 질소충전기술이나 진공 상태를 만들기 위한 각종 구조물 장착을 위한 시도가 최근에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골함은 진공상태를 이루는 과정과 기밀성을 유지하여 진공상태를 지속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의 진공상태를 더욱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밀성을 향상시켜 진공상태를 장기간 지속할 수 있는 진공 유골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진공 유골함은 내측이 진공상태가 되어 유골이 수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입구에 결합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밀폐커버와, 상기 밀폐커버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에는 단턱이 형성된 결합공간과, 상기 단턱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의 하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진공펌프에 의해 몸체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공기홈으로 구성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단턱에 밀착되는 상부밀착부와,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진공펌프에 의해 상측으로 늘어나면서 공간을 형성하는 탄성부와, 상기 공기홈의 하측에 밀착되는 하부밀착부로 구성된 밀착구가 삽입 결합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진공 유골함은 밀폐커버(20)와 밀착구(30)의 간단한 구조와 상호결합에 의해 진공상태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중의 패킹부재 에 의해 기밀성을 유지하여 유골의 장기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진공 유골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커버의 결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밀폐커버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밀폐커버에 밀착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진공 유골함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골을 내측에 수납하는 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입구에는 밀폐커버(20)가 긴밀히 결합된다.
상기 밀폐커버(20)는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측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21)의 내측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의 내측을 진공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밀착구(30)가 결합되는 결합공간(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간(22)의 하측에는 단턱(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단턱(23)의 중심부에는 하측으로 관통된 관통부(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부(24)는 하측으로 갈수록 작은 지름을 갖도록 경사를 이루고 있다.
상기 관통부(24)의 저면에는 몸체(10)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상태를 만들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기홈(2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공기홈(25)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폐커버(20)의 측면 둘레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패킹부재(26)가 결합되어 있으며, 밀폐커버(20)의 하측 둘레에는 하측패킹부재(27)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측면패킹부재(26) 및 하측패킹부재(27)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 합성수지, 우레탄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측면패킹부재(26)는 몸체(10)의 입구 측 내주면에 밀착하고, 상기 하측패킹부재(27)는 몸체(10)의 입구 측에 형성된 단턱에 밀착됨으로써 몸체(10)의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이중으로 차단한다.
한편, 상기 밀폐커버(20)의 결합부(21)에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밀착구(30)가 도 4와 같이 결합 되는데, 상기 밀착구(30)의 상측에는 단턱(23)에 저면이 밀착되는 상부밀착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밀착부(31)의 하측에는 탄성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32)는 관통부(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부(24)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32)의 하측에는 하부밀착부(3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하부밀착부(33)의 상측면은 공기홈(25)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밀착구(30)의 상측에는 고정구(40)가 결합되어 밀착구(30)로 인해 밀폐커버(20)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결합공간(22)을 통해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밀폐커버(20)의 상측에 몸체(10)와 같은 재질의 커버(50)를 결합시킴으로써 진공 유골함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진공 유골함은 도 4와 같이 결합부(21)에 밀착구(3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부(21)의 상측에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몸체(10)의 내측에 있는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진공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펌프가 동작하면 밀착구(30)의 탄성부(32)가 늘어나면서 상부밀착부(31)와 단턱(23)이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고, 관통부(24)와 탄성부(32) 사이에도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홈(25)을 통해 몸체(10)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상태가 된다.
이렇게 유골이 담긴 몸체(10)의 내측이 진공상태가 되면 진공펌프의 작동을 멈춤에 따라 상부밀착부(31)가 단턱(23)에 긴밀히 밀착됨으로써 다시 도 4와 같은 상태가 되어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진공 유골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커버의 결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밀폐커버를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밀폐커버에 밀착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20 : 밀폐커버
21 : 결합부 22 : 결합공간
23 : 단턱 24 : 관통부
25 : 공기홈 26 : 측면패킹부재
27 : 하측패킹부재 30 : 밀착구
31 : 상부밀착부 32 : 탄성부
33 : 하부밀착부 40 : 고정구
50 : 커버

Claims (3)

  1. 내측이 진공상태가 되어 유골이 수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입구에 결합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밀폐커버와, 상기 밀폐커버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20)에는 단턱(23)이 형성된 결합공간(22)과, 상기 단턱(23)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부(24)와, 상기 관통부(24)의 하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진공펌프에 의해 몸체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공기홈(25)으로 구성된 결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1)에는 단턱(23)에 밀착되는 상부밀착부(31)와, 상기 관통부(24)에 삽입되어 진공펌프에 의해 상측으로 늘어나면서 공간을 형성하는 탄성부(32)와, 상기 공기홈(25)의 하측에 밀착되는 하부밀착부(33)로 구성된 밀착구(30)가 삽입 결합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유골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20)의 측면 둘레에는 몸체(10)의 입구 측 내주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측면패킹부재(26)가 결합되고, 밀폐커버(20)의 하측 둘레에는 몸체(10)의 입구 측에 형성된 단턱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측패킹부재(27)가 결합되며,
    상기 관통부(24) 및 탄성부(32)는 하측으로 갈수록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져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골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구(30)의 상측에는 외부의 공기유입을 차단하는 고정구(4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유골함.
KR2020090013693U 2009-10-21 2009-10-21 진공 유골함 KR2004584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693U KR200458465Y1 (ko) 2009-10-21 2009-10-21 진공 유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693U KR200458465Y1 (ko) 2009-10-21 2009-10-21 진공 유골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165U true KR20110004165U (ko) 2011-04-27
KR200458465Y1 KR200458465Y1 (ko) 2012-02-20

Family

ID=4420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693U KR200458465Y1 (ko) 2009-10-21 2009-10-21 진공 유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4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087B1 (ko) * 2010-12-29 2013-02-14 김운기 진공 납골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309Y1 (ko) * 2002-11-20 2003-03-04 안금식 납골함
KR200354397Y1 (ko) * 2004-04-06 2004-06-23 (주)케스코리아 유골함
KR20080074814A (ko) * 2008-06-25 2008-08-13 민광진 진공 유골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087B1 (ko) * 2010-12-29 2013-02-14 김운기 진공 납골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465Y1 (ko) 201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419B1 (ko) 진공 납골함
WO2007002840A3 (en) Cleat protector shoe cover
US8281466B2 (en) Broken heart shaped urn
KR200385898Y1 (ko) 밀폐형 유골함 외함
KR200458465Y1 (ko) 진공 유골함
KR101215544B1 (ko) 봉안함
CN202848459U (zh) 一种新型垃圾桶
CN205758927U (zh) 水晶树脂真空骨灰盒
KR200466582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용 누름판의 쏠림 방지구조
KR101049566B1 (ko) 진공 유골함
KR100636341B1 (ko) 이중 납골함의 내함 진공밀봉구조
CN107031991B (zh) 能高质量保存药材的气调箱
KR101233087B1 (ko) 진공 납골함
KR20080000775U (ko) 납골함
KR101286089B1 (ko) 진공 유골함
KR20020095531A (ko) 진공 납골함
KR102287075B1 (ko) 질소충전 진공 납골함
KR101189188B1 (ko) 봉안함
CN105380770A (zh) 聚四氟乙烯骨灰盒
CN204297321U (zh) 一种除氧剂密封瓶的密封垫结构
CN105796280A (zh) 骨灰罐抽真空的方法
KR200272506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의 누름판의 구조
CN201065233Y (zh) 真空密封保鲜容器
CN204335402U (zh) 一种食用菌种植用封口套环及采用该封口套环的封口套件
KR200346840Y1 (ko) 유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