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640U - 티헤드볼트 - Google Patents

티헤드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640U
KR20110003640U KR2020090013057U KR20090013057U KR20110003640U KR 20110003640 U KR20110003640 U KR 20110003640U KR 2020090013057 U KR2020090013057 U KR 2020090013057U KR 20090013057 U KR20090013057 U KR 20090013057U KR 20110003640 U KR20110003640 U KR 201100036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tee
channel
head bol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민
Original Assignee
㈜스트롱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트롱플러스 filed Critical ㈜스트롱플러스
Priority to KR2020090013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640U/ko
Publication of KR201100036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6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07Longitudinal elements having an open profile, with the opening parallel to the concrete or masonry surface, i.e. anchoring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16B35/044Specially-shaped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티헤드볼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바닥면과, 바닥면의 좌우측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면과, 수직면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돌출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찬넬에 결합되어 철물을 고정하는 티헤드볼트에 있어서, 육면체 형상의 머리부; 머리부 좌우측 하단에 형성되고, 돌출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좌측걸림턱 및 우측걸림턱; 머리부 하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너트가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구비되는 체결부; 체결부의 하단면에서 머리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표시부; 및 체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티헤드볼트가 제공된다.
제1표시부, 제2표시부

Description

티헤드볼트 {T-head bolt}
본 고안은 티헤드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를 구비하여 머리부의 회전을 확인하기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13103호(2003년 4월 30일 등록)에는 "건축용 외벽판넬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체"에 관한 고안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고안은 건물의 외벽에 거튼월(curtain wall)방법에 의한 외벽판넬을 시공하기 위하여 건물의 외벽 둘레에 시멘트에 의하여 매설되어진 후 외부로 노출되어진 부분을 외벽판넬과 볼트로 체결하므로서 건물외벽을 간편히 시공하는 건축용 외벽판넬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이 고안은 건물의 외벽을 덮고 있는 건축용 외벽판넬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체에 있어서, 상부면은 상기 외벽판넬을 고정하기 위한 티볼트가 걸림턱에 의하여 수평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지되, 길이 방향의 양 외측단면은 수직부와 수직부의 하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점차로 하향경사지는 응력분배부재가 형성되는 찬넬과, 상기 찬넬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지는 앵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벽판넬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체를 요지로 한다.
상기 건축용 외벽판넬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체에 티볼트가 소개되어 있으나, 상기 티볼트의 머리가 찬넬 내부에 완전하게 걸리도록 90°회전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티헤드볼트 머리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바닥면과, 바닥면의 좌우측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면과, 수직면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돌출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찬넬에 결합되어 철물을 고정하는 티헤드볼트에 있어서, 육면체 형상의 머리부; 머리부 좌우측 하단에 형성되고, 돌출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좌측걸림턱 및 우측걸림턱; 머리부 하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너트가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구비되는 체결부; 체결부의 하단면에서 머리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표시부; 및 체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티헤드볼트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첫째, 제1표시부 뿐만 아니라 제2표시부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머리부가 찬넬에 완전하게 안착되도록 90도 회전된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머리부의 종단면 형상을 평행사변형으로 하여 머리부의 삽입과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머리부 단면적을 크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건물의 외벽 등 위험한 작업 환경에서도 티헤드볼트가 찬넬에 항상 정확히 안착되므로 찬넬의 인발하중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티헤드볼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티헤드볼트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티헤드볼트를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도 1의 티헤드볼트가 설치되는 순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티헤드볼트가 찬넬에 끼워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티헤드볼트(1)는 바닥면(71)과, 상기 바닥면(71)의 좌우측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면(72)과, 상기 수직면(72)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돌출면(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찬넬(70)에 결합되어 철물을 고정하는 티헤드볼트(1)에 있어서, 육면체 형상의 머리부(10); 상기 머리부(10) 좌우측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73)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좌측걸림턱(20) 및 우측걸림턱(21); 상기 머리부(10) 하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너트(60)가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구비되는 체결부(30); 상기 체결부(30)의 하단면에서 상기 머리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표시부(40); 및 상기 체결부(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표시부(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커튼월(curtain wall)은 하중을 지지하고 있지 않은 바깥벽을 말한다. 커튼월 공사는 초고층 건축공사에 많이 이용되며, 찬넬(70)과 티헤드볼트(1)를 사용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찬넬(70)에는 앵커(80)가 용접된다. 앵커(80)는 콘크리트속에 매립되어 콘크리트의 인발력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찬넬(70) 내부에는 콘크리트의 반죽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진재(Form Filler)가 들어 있다.
본 고안의 티헤드볼트(1)는 찬넬(70)에 정확히 안착되어 찬넬(70)의 인발하중을 극대화 해주는 역할과 동시에 기타 필요한 철물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찬넬(70)이 먼저 설치된 후 티헤드볼트(1)가 찬넬(70)에 결합된다. 찬넬(70)은 콘크리트 타설전에 지정된 위치에 설치되고, 콘크리트 양생 완료 후 찬넬(70) 내부의 충진재를 제거한다.
그 다음,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순서로 티헤드볼트(1)를 설치한다. 우선 볼트 머리부(10)를 찬넬(70) 길이 방향과 일치시킨다. 그 다음 찬넬(70) 내부로 삽입하고, 볼트를 90도 회전시키면 걸림턱이 찬넬(70)에 안착 된다. 마지막으로 와셔(61)와 너트(60)를 이용하여 필요한 철물을 설치하여 고정한다.
찬넬(70)은 바닥면(71), 수직면(72), 및 돌출면(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돌출면(73)은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티헤드볼트(1)의 걸림턱이 찬넬(70) 내부에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티헤드볼트(1)가 빠져나오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티헤드볼트(1)는 머리부(10), 좌측걸림턱(20), 우측걸림턱(21), 체결부(30), 제1표시부(40), 및 제2표시부(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머리부(10)는 찬넬(70)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며 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머리부(10) 종단면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데, 돌출면(73) 사이의 길이와 수직면(72) 사이의 길이에 대응한 길이로 각각 이루어진다.
머리부(10) 좌우측 하단에는 좌측걸림턱(20)과 우측걸림턱(21)이 형성되는데, 찬넬(70) 내부로 삽입된 다음 회전이 되어 찬넬(70)의 돌출면(73)에 정확히 안착되는 부분이다. 종래와 달리 걸림턱의 외측형상이 전체적으로 라운딩 처리되어 찬넬(70) 내부로의 삽입과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머리부(10) 하측에는 나사산이 구비되는 체결부(30)가 형성되는데, 와셔(61) 와 너트(60)를 이용하여 철물을 고정하게 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결부(30)의 하단면에는 머리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표시부(40)가 구비되는데, 이는 작업자가 찬넬(70) 내부로 삽입된 머리부(10)가 정확히 90도 회전되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표시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결부(30)의 외주면에는 제2표시부(41)가 구비된다. 제1표시부(40)만 표시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항상 체결부(30)의 저면을 확인하여 90도 회전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나 커튼월 공사의 특성상 건물 외벽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안전 등의 문제로 체결부(30) 저면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2표시부(41)를 통해 90도 회전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제2표시부(41)는 티헤드볼트(1)의 강성 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최대한 가는 직선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표시부(41)에 야광 물질이나 색깔 등을 추가로 포함시켜 야간이나 흐린 날 작업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쉽게 식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티헤드볼트(1)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부(41)는 상기 체결부(30)의 외주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표시부(40)와 연결된다.
제2표시부(4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머리부(10)의 90도 회전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결부(30) 외주면 양측에 형성되면 좌우 어느쪽에서 보았을때도 회전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부(30) 좌우측 하단에 형성되어 제1표시부(40)와 연결되는데, 하단부는 너트(60)가 결합되지 않는 부위여서, 제2표시부(41) 형성에 따른 강성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게다가, 제1표시부(40)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시각적으로 제1표시부(40)와 제2표시부(41)의 접촉을 확인함을 통해 더욱 명확히 90도 회전여부를 판단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티헤드볼트(1)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10)는 상기 찬넬(70)에 안착되어 너트(60)의 조임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머리부(10)는 찬넬(70)에 안착되어 90도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머리부(10)가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 모두 회전이 가능한 경우에는 머리부(10)의 종단면적을 최대로 설계할 수 없게 된다.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한 경우에는 양쪽 방향 회전에 비하여 단면적을 더 크게 하여 인발하중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면에서 보았을 때 너트(60)의 조임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티헤드볼트(1)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10)는 종단면의 형상이 평행사변형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머리부(10)를 평행사변형 모양으로 형성하는 경우 에는 화살표 표시한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티헤드볼트(1)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10)와 체결부(30) 사이에 플랜지(50);가 더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머리부(10)와 체결부(30) 사이에 플랜지(5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데, 플랜지(50)의 상측은 머리부(10)와 결합되고, 하측은 체결부(30)와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볼트 제조는 냉간단조 공정과 전조공정을 포함한다. 냉간단조는 한 개의 기계 내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소재가 공급되면 일정한 길이만큼 절단한 후 금형에 넣고 한 공정씩 단조를 하여 볼트의 형상을 완성하게 된다. 단조공정이 완료된 볼트는 전조기에서 필요한 길이만큼의 나사를 성형하게 된다. 평면전조, 원형전조가 있으며, 평면과 원형이 조합된 형태의 전조기등 다양한 형태의 전조기가 이용된다.
플랜지(50)를 형성하도록 볼트를 제조하는 경우, 플랜지(50)의 형상에 따라 전체 볼트의 강성이 증가하도록 다양한 설계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티헤드볼트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티헤드볼트를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도 1의 티헤드볼트가 설치되는 순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티헤드볼트가 찬넬에 끼워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티헤드볼트
10 : 머리부
20 : 좌측걸림턱, 21 : 우측걸림턱
30 : 체결부
40 : 제1표시부, 41 : 제2표시부
50 : 플랜지
60 : 너트, 61 : 와셔
70 : 찬넬, 71 : 바닥면, 72 : 수직면, 73 : 돌출면
80 : 앵커

Claims (5)

  1.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좌우측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돌출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찬넬에 결합되어 철물을 고정하는 티헤드볼트에 있어서,
    육면체 형상의 머리부;
    상기 머리부 좌우측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좌측걸림턱 및 우측걸림턱;
    상기 머리부 하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너트가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구비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하단면에서 상기 머리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표시부; 및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티헤드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부는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표시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헤드볼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찬넬에 안착되어 너트의 조임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헤드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종단면의 형상이 평행사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헤드볼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와 체결부 사이에 플랜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헤드볼트;
KR2020090013057U 2009-10-07 2009-10-07 티헤드볼트 KR201100036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057U KR20110003640U (ko) 2009-10-07 2009-10-07 티헤드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057U KR20110003640U (ko) 2009-10-07 2009-10-07 티헤드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640U true KR20110003640U (ko) 2011-04-13

Family

ID=4420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057U KR20110003640U (ko) 2009-10-07 2009-10-07 티헤드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640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7550A (zh) * 2012-02-29 2012-07-18 福建鹏坤实业有限公司 石材幕墙便捷销扣
CN102797735A (zh) * 2012-09-04 2012-11-28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部件的紧固装置及其安装方法
KR101348736B1 (ko) * 2011-11-25 2014-01-07 (주)영완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JP2018185009A (ja) * 2017-04-26 2018-11-22 積水樹脂株式会社 取付ボルトとそれを用いた部材の取付構造
CN109629723A (zh) * 2018-12-07 2019-04-16 湖南省金为新材料科技有限公司 用于内扩凹槽管的连接件
KR20210037220A (ko) 2019-09-27 2021-04-06 한국안전기술주식회사 티볼트 조립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736B1 (ko) * 2011-11-25 2014-01-07 (주)영완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CN102587550A (zh) * 2012-02-29 2012-07-18 福建鹏坤实业有限公司 石材幕墙便捷销扣
CN102587550B (zh) * 2012-02-29 2015-05-20 福建鹏坤实业有限公司 石材幕墙便捷销扣
CN102797735A (zh) * 2012-09-04 2012-11-28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部件的紧固装置及其安装方法
JP2018185009A (ja) * 2017-04-26 2018-11-22 積水樹脂株式会社 取付ボルトとそれを用いた部材の取付構造
CN109629723A (zh) * 2018-12-07 2019-04-16 湖南省金为新材料科技有限公司 用于内扩凹槽管的连接件
KR20210037220A (ko) 2019-09-27 2021-04-06 한국안전기술주식회사 티볼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3640U (ko) 티헤드볼트
CA2843166C (en) Laser configured hook column anchors and anchoring systems utilizing the same
JP2008150940A (ja) 反回転接着インサート
CN203334473U (zh) 装配式剪力墙上下层内墙板齿槽式连接结构
CA2844459C (en) Laser configured column anchors and anchoring systems utilizing the same
KR101135881B1 (ko) 건축물용 와플형 무량판 슬래브 및 상기 와플형 무량판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의 무량판 접합구조
KR200457795Y1 (ko) 입상관 층막음 고정구
CN107724542A (zh) 墙体系统
KR20180016697A (ko) 패널 고정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패널 고정 방법
EP3812525A1 (en) Fixing system for building constructions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it
KR20110130838A (ko) 건축용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벽체의 시공방법
CN202899576U (zh) 一种新型管道井
JP5940322B2 (ja) 柱の据え付け具
KR20120000444U (ko) 유로폼 지지용 턴버클
KR200286055Y1 (ko)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JP201702023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
US11248374B2 (en) Facade support system
JP5221748B2 (ja) 埋込型柱脚のさや管
JP6085151B2 (ja) 床開口部穴埋め工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型枠
KR200289587Y1 (ko) 건축물의 슬래브용 앵커 볼트 고정구
CN114250888B (zh) 一种建筑装配用装配式免拆模板及安装方法
CN214884752U (zh) 一种搭接的卡接式连接组件及钢筋桁架楼承板
CN212078266U (zh) 一种墙体与楼板之间的尺寸差连接固定件
KR101057411B1 (ko) 건축외장용 석재 고정장치
KR20100128473A (ko)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