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425U - 수도전 - Google Patents

수도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425U
KR20110003425U KR2020090012794U KR20090012794U KR20110003425U KR 20110003425 U KR20110003425 U KR 20110003425U KR 2020090012794 U KR2020090012794 U KR 2020090012794U KR 20090012794 U KR20090012794 U KR 20090012794U KR 20110003425 U KR20110003425 U KR 201100034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cold
seed
hot wat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4292Y1 (ko
Inventor
이명주
Original Assignee
이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주 filed Critical 이명주
Priority to KR2020090012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29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4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4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2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2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도전본체(11)와, 저면에 각각의 냉온수공급공(31)(32)이 형성되고 상기 냉온수공급공(31)(32) 일측 저면에 혼합수토출공(35)이 형성되어 상기 수도전본체(11) 내부에 마련된 시드(30)와, 상기 시드(30)의 일 측과 접촉하여 상기 냉온수공급공(31)(32)과 상기 혼합수토출공(35)을 간섭하는 냉온수개폐판(40)과, 상기 냉온수개폐판(40)의 일 측에 조립된 핸들레버(50)로 이루어진 수도전(10)에 있어서, 상기 시드(30)는 저면에 각각의 냉온수공급공(31)(32)이 형성되고 상기 혼합수토출공(35)은 상기 시드(30)의 상면에 형성시킨 것을 포함하며; 상기 수도전본체(11)의 상측과 연장 형성되며 내주연에 암나사부(12)가 형성된 연결부(20)와; 표면으로부터 저면까지 관통된 공급공(61)을 가지며 하부에 시드조립나사부(62)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연에 수나사(63)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20)의 암나사부(12)에 조립된 소켓(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샤워기용 수도전과 싱크대용 수도전으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수도전을 제공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싱크호스를 연결하면 싱크대용 수도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샤워기를 연결하면 샤워기 수도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제조자 입장에서는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수도전의 선택이 편리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수도전, 시드, 소켓, 호환성

Description

수도전{FAUCET VALVE}
본 고안은 각종 건물에 설치되어 냉온수를 혼합공급하는 수도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싱크대에 설치되는 수도전과 샤워기에 설치되는 수도전을 제작함에 있어서 호환성을 부여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싱크호스를 연결하면 싱크대용 수도전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샤워기를 연결하면 샤워기용 수도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소비자의 수도전 선택이 번거롭지 않도록 한 수도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전은 싱크대용과 샤워기용으로 각각의 구조를 갖고 형성되며 각종건물에 설치되어 냉온수를 혼합시켜 싱크호스 또는 샤워기에 혼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 샤워기 수도전의 일예를 보인 개략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샤워기 수도전(100)은 수도전본체(101)와, 시드(102)를 하나의 주물로 형성하여 마련한 것과, 또는 수도전본체(101)를 형성한 후 그 내부에 별도의 시드(102)를 조립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수도전(10) 일 측에는 시드(102)와 접촉하여 냉수 및 온수의 공급 을 간섭하는 온냉수개폐판(도시치 않음)이 설치되며, 온냉수개폐판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핸들레버(도시치 않음)에 의해 동작하여 시드(102)내부로의 물을 공급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드(102)의 저면에는 온수 및 냉수공급공(103)(104)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그 일측 저면에는 온수 및 냉수공급공(103)(104)으로 공급된 냉온수가 온수개폐판(도시치 않음)에 의해 혼합되어 토출되는 혼합수토출공(105)이 형성되어 있고, 혼합수토출공(105)에는 별도의 혼합수토출호스(106)가 설치되어 샤워기헤드(110)와 연결된 구성을 볼 수 있고, 수도전본체(101)의 상면에는 샤워기헤드(110)를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지지관(111)이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도전은 지지관(111)의 일단에 샤워기헤드(110)의 후단부를 삽입하여 두고, 샤워기헤드(110)를 사용할 때에는 지지관(111)으로부터 사워기헤드(110)를 분리한 후 사용자가 잡아당기게 되면 혼합수토출호스(106)가 당겨져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시치는 않았지만 싱크대에 설치되어 싱크호스를 연결하는 수도전 또한 도 1에 도시된 수도전본체, 그리고 수도전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시드의 구성과 유사하나, 수도전본체의 상면은 싱크호스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싱크대용 수도전은 예컨대 샤워기용 수도전으로는 사용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도전을 제조할 때, 샤워기용 수도전과 싱크대용 수도전으로 각각 제조하여야 함으로써 별도 금형제작에 따른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단점과 아울러 소비자 입장에서는 수도전을 선택함에 있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샤워기용 수도전과 싱크대용 수도전으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수도전을 제안하여 필요에 따라 싱크호스를 연결하면 싱크대용 수도전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샤워기를 연결하면 샤워기용 수도전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제조자는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소비자는 수도전의 선택이 번거롭지 않도록 한 수도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수도전본체(11)와, 저면에 각각의 냉온수공급공(31)(32)이 형성되고 상기 냉온수공급공(31)(32) 일측 저면에 혼합수토출공(35)이 형성되어 상기 수도전본체(11) 내부에 마련된 시드(30)와, 상기 시드(30)의 일 측과 접촉하여 상기 냉온수공급공(31)(32)과 상기 혼합수토출공(35)을 간섭하는 냉온수개폐판(40)과, 상기 냉온수개폐판(40)의 일 측에 조립된 핸들레버(50)로 이루어진 수도전(10)에 있어서, 상기 시드(30)는 저면에 각각의 냉온수공급공(31)(32)이 형성되고 상기 혼합수토출공(35)은 상기 시드(30)의 상면에 형성시킨 것을 포함하며; 상기 수도전본체(11)의 상측과 연장 형성되며 내주연에 암나사부(12)가 형성된 연결부(20)와; 표면으로부터 저면까지 관통된 공급공(61)을 가지며 하부에 시드 조립나사부(62)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연에 수나사(63)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20)의 암나사부(12)에 조립된 소켓(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샤워기용 수도전과 싱크대용 수도전으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수도전을 제공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싱크호스를 연결하면 싱크대용 수도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샤워기를 연결하면 샤워기용 수도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제조자 입장에서는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수도전의 선택이 편리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1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전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측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도전(10)은, 내부가 중공된 형상의 수도전본체(11)와, 수도전본체(11)의 내부에 마련되는 시드(30)와, 상기 수도전본체(11) 상측에 마련된 소켓(60)을 구비하고 있으며, 수도전본체(11) 일측에는 시드(30)와 접촉되어 시드를 통하는 온냉수를 간섭하는 온냉수개폐판(40)이 설치되어 있고, 온냉수개폐판의 일측에는 핸들레버(50)가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도전본체(11)의 상측에는 내주연에 암나사부(12)가 형성된 연결부(20)가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시드(30)는, 저면에 각각의 냉온수공급공(31)(32)이 형성되어 있고 혼합수토출공(35)은 종래의 혼합수토출공과는 달리 시드(30)에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소켓(60)은 표면으로부터 저면까지 관통된 공급공(61)을 갖고 있으며, 하부에는 시드의 혼합수토출공(35)에 연결되는 시드조립나사부(6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외주연에는 수나사(6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켓(60)의 수나사(63)가 연결부(20)의 암나사부(12)에 조립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수도전(10)은 싱크대용 수도전과 샤워기용 수도전으로 호환성 있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소켓(60)의 수나사(63)의 지름은 싱크호스의 연결캡(도시치 않음)과 샤워기의 연결캡(도시치 않음)을 수용할 수 있도록 그들과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켓(60)의 수나사(63)에 싱크대용 수도전과 샤워기용 수도전을 각각 선택 연결하면 호환성 있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소켓(60)의 수나사(63)에 싱크호스의 연결캡(도시치 않음)을 연결하면 싱크대용 수도전으로 사용될 수 있고, 샤워기의 연결캡(도시치 않음)을 연결하면 샤워기용 수도전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소켓(60)의 수나사(63)에 싱크대용 수도전과 샤워기용 수도전을 각각 선택 연결한 후, 사용자가 핸들레버(50)를 조작하면 냉온수공급공(31)(32)으로 공급된 냉온수는 온냉수개폐판(40)의 동작에 의해 냉온수공급공(31)(32)으로 공급된 공급수를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로 적절하게 혼합하여 혼합수토출공(35)을 통하여 토출시키면 사용자는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은 종래의 수도전과 달리 별도의 혼합수토출호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시드(30)의 냉온수공급공(31)(32)을 통하여 유입된 혼합수는 시드(30)의 상면에 설치된 혼합수토출공(35)으로 직접 토출되어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도전은 시드(30)의 상면에 혼합수토출공(35)을 형성하고 연결부(20)에 소켓(60)을 설치함으로써 싱크대용 수도전과 샤워기용 수도전으로 호환성 있게 설치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샤워기 수도전의 일예를 보인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전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측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저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수도전본체 12 : 암나사부
20 : 연결부 30 : 시드
31 : 온수공급공 32 : 냉수공급공
35 : 혼합수토출공 60 : 소켓
61 : 공급공 63 : 수나사

Claims (1)

  1. 수도전본체(11)와, 저면에 각각의 냉온수공급공(31)(32)이 형성되고 상기 냉온수공급공(31)(32) 일측 저면에 혼합수토출공(35)이 형성되어 상기 수도전본체(11) 내부에 마련된 시드(30)와, 상기 시드(30)의 일 측과 접촉하여 상기 냉온수공급공(31)(32)과 상기 혼합수토출공(35)을 간섭하는 냉온수개폐판(40)과, 상기 냉온수개폐판(40)의 일 측에 조립된 핸들레버(50)로 이루어진 수도전(10)에 있어서,
    상기 시드(30)는 저면에 각각의 냉온수공급공(31)(32)이 형성되고 상기 혼합수토출공(35)은 상기 시드(30)의 상면에 형성시킨 것을 포함하며;
    상기 수도전본체(11)의 상측과 연장 형성되며 내주연에 암나사부(12)가 형성된 연결부(20)와;
    표면으로부터 저면까지 관통된 공급공(61)을 가지며 하부에 시드조립나사부(62)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연에 수나사(63)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20)의 암나사부(12)에 조립된 소켓(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KR2020090012794U 2009-09-30 2009-09-30 수도전 KR2004542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794U KR200454292Y1 (ko) 2009-09-30 2009-09-30 수도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794U KR200454292Y1 (ko) 2009-09-30 2009-09-30 수도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425U true KR20110003425U (ko) 2011-04-06
KR200454292Y1 KR200454292Y1 (ko) 2011-06-27

Family

ID=4420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794U KR200454292Y1 (ko) 2009-09-30 2009-09-30 수도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2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236B1 (ko) * 2020-12-18 2021-09-24 박강훈 원 홀 수전 조립체의 씰링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2216B2 (ja) * 1996-04-11 2005-11-02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湯水混合水栓
KR20020038196A (ko) * 2000-11-16 2002-05-23 최종락 눈 높이에 책을 맞춘 기구
KR200238196Y1 (ko) 2001-01-05 2001-09-26 세림델타 주식회사 수도전의 결합구조
KR100435330B1 (ko) * 2001-08-10 200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 벨트용 가변버클 구조
KR200313962Y1 (ko) 2003-02-18 2003-05-22 주식회사 다다 온냉수 혼합수전
KR20070001159U (ko) * 2007-05-11 2007-11-05 이재춘 세면기용 냉,온수 혼합수도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236B1 (ko) * 2020-12-18 2021-09-24 박강훈 원 홀 수전 조립체의 씰링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292Y1 (ko) 201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40413A1 (en) Sanitary appliance
US9896827B1 (en) Drainage overflow pipe structure for bathtub
KR101721067B1 (ko) 수전금구
KR200454292Y1 (ko) 수도전
CN103291953B (zh) 卫生设备配件
KR102062336B1 (ko) 냉온수 혼합수전
US20200318326A1 (en) Fixing structure for water pipe of split type faucet body
JP3201847U (ja) 排水栓機構
JP5695264B1 (ja) シャワー設備用節水装置
CN203662644U (zh) 卫浴组件的插装连接结构及卫浴组件
CN201715069U (zh) 单孔单把脸盆龙头
KR101273399B1 (ko) 수전용 절수기
CN210600349U (zh) 一种多功能水龙头
KR200459477Y1 (ko) 3홀 세면대 전용 수도전
US8573256B2 (en) Revolving switching device
CN105134995A (zh) 一种冷热水双控水龙头
CN205688504U (zh) 一种淋浴龙头的淋浴管固定结构
CN104806786A (zh) 一种阀芯隐藏式龙头
KR101992623B1 (ko) 양변기용 급수제어장치의 감량밸브 구조
CN111870162B (zh) 一种暗装式淋浴系统
CN204961908U (zh) 一种冷热水双控水龙头
CN216666608U (zh) 一种具有摆动伸展收折功能的水龙头
JP3224871U (ja) 蛇口弁座の出水構造
CN105697813B (zh) 带溢水装置的水龙头
CN211315264U (zh) 一种新型曲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