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160A -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 - Google Patents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160A
KR20110003160A KR1020090060790A KR20090060790A KR20110003160A KR 20110003160 A KR20110003160 A KR 20110003160A KR 1020090060790 A KR1020090060790 A KR 1020090060790A KR 20090060790 A KR20090060790 A KR 20090060790A KR 20110003160 A KR20110003160 A KR 20110003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personal portable
main body
earphon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8240B1 (ko
Inventor
김일호
Original Assignee
김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호 filed Critical 김일호
Priority to KR1020090060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2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3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휴대장치 본체와,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제1체결홀과, 탄성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스프링재질의 철재로 이루어지며,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고, 일측에 제2체결홀이 형성되며, 타측의 끝단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 및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휴대장치 본체에 고정부재를 나사로 체결함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나사를 풀어서 고정부재를 개인휴대장치 본체에서 고정부재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개인휴대장치, 핸드폰, 이어폰 줄, 거치, MP3, 고리

Description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
본 발명은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휴대장치 본체에 고정부재를 나사로 체결함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나사를 풀어서 고정부재를 개인휴대장치 본체에서 고정부재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PMP, MP3 플레이어 또는 PSP, 닌텐도 DS와 같은 개인 휴대게임기기를 포함하는 개인휴대장치는 본체와 별도의 이어폰과 마이크로 구성되어 있어 통화를 하지 않을 때에는 이어폰과 마이크를 본체에서 이탈시킨 후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어폰과 마이크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 걸리적 거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휴대장치 본체에 고정부재를 나사로 체결함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나사를 풀어서 고정부재를 개인휴대장치 본체에서 고정부재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휴대장치 본체와 별도로 구성된 이어폰 줄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어폰 줄을 개인휴대장치 본체에 형성된 요철부의 오목한 부분에 각각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이어폰 줄이 꼬이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 할 경우 이어폰 줄을 용이하게 풀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어폰 줄의 끝을 고정홈 또는 고정고리에 끼워서 보관하거나 제1고리 및 제2고리로 끼워서 보관함으로써 이어폰 줄을 별도로 보관하거나 관리해야 할 번거로움이 없는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는, 개인휴대장치 본체;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제1나사체결홀; 탄성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스프링재질의 철재로 이루어지며,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고, 일측에 제2나사체결홀이 형성되며, 타측의 끝단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 및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은 나사체결홀이고, 상기 체결부재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고정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는, 개인휴대장치 본체;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다수 개의 요철부;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상단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 안쪽에 코팅되는 고무패킹;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는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상단 타측 모서리에 형성된 절삭부; 상기 절삭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돌기; 및 상기 제1고정돌기에 결합되고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고리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끝단이 내측으로 휘어진 형상이고, 상기 끝단이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내측면 측방향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는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상단 타측 모서리에 형성된 절삭부; 상기 절삭부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정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고정돌기; 및 상기 제2고정돌기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고리;를 더 포함하고,
제2고리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끝단이 내측으로 휘어진 형상이고, 상기 끝단이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내측면 측방향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는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상단 타측에 형성된 고정고리홀; 및 탄성을 가진 고무재질이고, 양 끝을 맞닿도록 구부린 둥근형상이며 상기 고정고리홀에 끼워지는 고정고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는 핸드폰, PMP, MP3 플레이어 또는 개인 휴대게임기기 중 어느 하나의 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휴대장치 본체에 고정부재를 나사로 체결함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나사를 풀어서 고정부재를 개인휴대장치 본체에서 고정부재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휴대장치 본체와 별도로 구성된 이어폰 줄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어폰 줄을 개인휴대장치 본체에 형성된 요철부의 오목한 부분에 각각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이어폰 줄이 꼬이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 할 경우 이어폰 줄을 용이하게 풀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어폰 줄의 끝을 고정홈 또는 고정고리에 끼워서 보관하거나 제1고리 및 제2고리로 끼워서 보관함으로써 이어폰 줄을 별도로 보관하거나 관리해야 할 번거로움이 없는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사로 체결된 고정부재가 장착된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사로 체결된 고정부재가 장착된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100)는 개인휴대장치 본체(110), 제1체결홀(10), 제2체결홀(11), 고정부재(12), 체결부재(13)를 포함한다.
개인휴대장치 본체(110)는 핸드폰, PMP, MP3 플레이어 또는 개인 휴대게임기기 중 어느 하나의 본체에 적용될 수 있다.
제1체결홀(11)은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다.
고정부재(12)는 탄성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스프링재질의 철재로 이루어지며,개인휴대장치 본체(110)의 상단에 위치하여 설치된다.
고정부재(12)는 일측에 제2나사체결홀(11)이 형성되고, 타측의 끝단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12)가 탄성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스프링재질의 철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에 이어폰 줄을 감은 후에 이어폰 줄의 끝부분을 고정부재(12)로 고정할 때, 상기 이어폰 줄의 끝부분을 고정부재(12)가 설치된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의 상단에 밀어 넣으면 이어폰 줄의 끝부분이 탄성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로 체결된 고정부재가 장착된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재가 상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고정부재(12)의 타측의 끝단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은 사용자가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에 이어폰 줄을 감은 후에 이어폰 줄의 끝부분을 고정부재(12)로 고정할때, 상기 고정부재(12)를 들어올리기 쉽게하기 위한 것이다.
체결부재(13)는 제1체결홀(10)과 제2체결홀(11)에 체결되는데, 체결부재가 나사일 경우에는 제1체결홀(10)과 제2체결홀(11)은 나사체결홀이 된다.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고정부재(12)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체결부재(13)를 풀어서 고정부재(12)를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으로 고정된 고정부재가 장착된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체결부재(13)가 고정핀일 경우에는 상기 고정핀이 제1체결홀(10)과 제2체결홀(12)에 끼워짐에 따라, 고정부재(12)가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의 상단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으로 고정된 고정부재가 장착된 이 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재가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에 이어폰 줄을 감은 후에 이어폰 줄의 끝부분을 고정부재(12)로 고정할 때, 상기 고정부재(12)를 우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이어폰 줄의 끝부분을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의 상단에 올려놓은 후에 다시 고정부재를 좌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이어폰 줄의 끝부분은 고정부재(1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실시예2>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100)는 개인휴대장치 본체(110), 요철부(120), 고정홈(130), 고무패킹(131), 절삭부(140), 제1돌기(141), 제1고리(142), 고정고리(160)를 포함한다.
개인휴대장치 본체(110)는 핸드폰, PMP, MP3 플레이어 또는 개인 휴대게임기기 중 어느 하나의 본체에 적용될 수 있다.
요철부(120)는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의 상단 및 하단에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120)는,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에 이어폰 줄을 감을 때, 상기 오목한 부분에 이어폰 줄이 유도되는 것이다.
즉 요철부(120)는,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에 이어폰 줄을 감을 경우 상기 오목한 부분에 이어폰 줄이 순차적으로 유도됨에 따라 이어폰 줄은 오목한 부분에 질서있게 각각 안착됨으로써 보관시에 이어폰 줄이 꼬이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어폰을 사용하고자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에서 이어폰 줄을 풀을 경우, 요철부(120)의 오목한 부분에 감겨진 이어폰 줄이 순차적으로 풀어짐에 따라, 이어폰 줄이 꼬이거나 엉키지 않고 풀어짐으로써 빠르고 간편하게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에 있어서, 이어폰 줄이 고정홈에 끼워진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고정홈(130)은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의 상단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의 요철부(120)를 따라 감긴 이어폰 줄의 끝을 끼워서 고정하는 것이다.
고정홈(130)의 안쪽에는 고무패킹(131)이 코팅되는데, 상기 고무패킹(131)이 고정홈(130)의 안쪽에 코팅됨으로써, 이어폰 줄이 마찰력에 의해 고정홈(130)에서 쉽게 분리되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에 있어서, 이어폰 줄이 제1고리에 의해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절삭부(140)는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의 상단 타측 모서리가 깎여서 형성된 것이다.
제1고정돌기(141)는 제1고리(142)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절삭부(140)의 상단에 형성되되,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고리(142)는 상기 제1고정돌기(141)에 결합되고 좌우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제1고리(142)는 끝단이 내측으로 휘어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끝단이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의 내측면 측방향과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고리(142)로 이어폰 줄을 고정할 때, 제1고리(142)의 끝단이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의 내측면 측방향과 맞닿게 됨으로써, 이어폰 줄이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쉽게 빠지지 않고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제1고리(142)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이어폰 줄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에 있어서, 이어폰 줄이 제2고리에 의해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절삭부(140)는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의 상단 타측 모서리가 깎여서 형성된 것이다.
제2고정돌기(151)는 제2고리(152)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절삭부(140)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고리(152)는 상기 제2고정돌기(151)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제2고리(152)는 끝단이 내측으로 휘어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끝단이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의 내측면 측방향과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고리(152)로 이어폰 줄을 고정할 때, 제2고리(152)의 끝단이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의 내측면 측방향과 맞닿게 됨으로써, 이어폰 줄이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쉽게 빠지지 않고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제2고리(152)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이어폰 줄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고정고리홀(160)은,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의 상단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고리홀(160)에 고정고리(161)가 끼워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에 있어서, 이어폰 줄이 고정고리에 의해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고정고리(161)는 탄성을 가진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양 끝을 맞닿도록 구부린 둥근형상이다.
고정고리는 개인휴대장치 본체(110)의 요철부(120)를 따라 감긴 이어폰 줄의 끝을 끼워서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유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사로 체결된 고정부재가 장착된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사로 체결된 고정부재가 장착된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사로 체결된 고정부재가 장착된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재가 상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으로 고정된 고정부재가 장착된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으로 고정된 고정부재가 장착된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재가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홈이 형성된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에 있어서, 이어폰 줄이 고정홈에 끼워진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에 있어서, 이어폰 줄이 제1고리에 의해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에 있어서, 이어폰 줄이 제2고리에 의해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에 있어서, 이어폰 줄이 고정고리에 의해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
10: 제1나사체결홀 11:제2나사체결홀
12:고정부재 13: 나사
14: 체결홀 15:고정핀
110: 본체 120: 요철부
130: 고정홈 131: 고무패킹
140: 절삭부 141: 제1고정돌기
142: 제1고리 151: 제2고정돌기
152: 제2고리 160: 고정고리홀
161: 고정고리

Claims (8)

  1. 개인휴대장치 본체;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제1체결홀;
    탄성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스프링재질의 철재로 이루어지며,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고, 일측에 제2체결홀이 형성되며, 타측의 끝단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 및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은 나사체결홀이고, 상기 체결부재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고정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
  4. 개인휴대장치 본체;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다수 개의 요철부;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상단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 안쪽에 코팅되는 고무패킹;을 포함하는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상단 타측 모서리에 형성된 절삭부;
    상기 절삭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돌기; 및
    상기 제1고정돌기에 결합되고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고리;를 더 포함하고,
    제1고리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끝단이 내측으로 휘어진 형상이고, 상기 끝단이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내측면 측방향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상단 타측 모서리에 형성된 절삭부;
    상기 절삭부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정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고정돌기; 및
    상기 제2고정돌기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고리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끝단이 내측으로 휘어진 형상이고, 상기 끝단이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내측면 측방향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의 상단 타측에 형성된 고정고리홀;
    탄성을 가진 고무재질이고, 양 끝을 맞닿도록 구부린 둥근형상이며 상기 고정고리홀에 끼워지는 고정고리;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
  8.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장치 본체는,
    핸드폰, PMP, MP3 플레이어 또는 개인 휴대게임기기 중 어느 하나의 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
KR1020090060790A 2009-07-03 2009-07-03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 KR101078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790A KR101078240B1 (ko) 2009-07-03 2009-07-03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790A KR101078240B1 (ko) 2009-07-03 2009-07-03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160A true KR20110003160A (ko) 2011-01-11
KR101078240B1 KR101078240B1 (ko) 2011-10-31

Family

ID=4361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790A KR101078240B1 (ko) 2009-07-03 2009-07-03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2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40Y1 (ko) * 2012-02-16 2013-06-1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방향성 커플러 고정 장치
KR20190003196U (ko) 2018-06-19 2019-12-30 주식회사 비투 확장성과 유연성이 뛰어난 모듈식 엘이디 조명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813Y1 (ko) * 2003-06-20 2003-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걸이 기구
JP2007150861A (ja) * 2005-11-29 2007-06-14 Kyocera Corp 放送受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40Y1 (ko) * 2012-02-16 2013-06-1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방향성 커플러 고정 장치
KR20190003196U (ko) 2018-06-19 2019-12-30 주식회사 비투 확장성과 유연성이 뛰어난 모듈식 엘이디 조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240B1 (ko) 201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1934B2 (en) Multi-functional video device support accessory
US20070263896A1 (en) Sheathing-type earphone structure
JP2007275203A (ja) 携帯電話用ストラップ保持具
KR101078240B1 (ko) 이어폰 거치가 가능한 개인휴대장치
US9896301B2 (en) Cord management devices and methods
KR101292337B1 (ko) 이어폰 보관 장치
KR20090003689A (ko) 이어폰 수납장치
KR101347662B1 (ko) 이어폰 줄감개
KR200462710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KR200465077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62974Y1 (ko) 이어폰용 줄감개
JP6869651B2 (ja) コード管理用チャネル付きイヤホン
KR101306494B1 (ko) 양쪽 스피커끼리 부착이 가능한 이어폰
KR101410537B1 (ko) 휴대용 이어폰 수납구
KR101612672B1 (ko) 이어폰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20120058236A (ko) 휴대기기의 보호케이스
KR101507395B1 (ko) 슬랩 밴드를 이용한 웨어러블 이어폰
JP3219750U (ja) 弦楽器の補助部材
KR200387769Y1 (ko) 목걸이줄 겸용 코드를 가진 이어폰
EP1874078A1 (en) Sheathing-type earphone structure
JP2018188305A (ja) コードの収納および長さの調節具
KR200428271Y1 (ko) 펜던트형 엠피쓰리플레이어 케이스
KR101481409B1 (ko) 이어폰 줄 정리 장치를 부착한 스마트기기용 케이스
KR101579377B1 (ko) 권취식 이어폰
KR20230000358U (ko) 줄자 줄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