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347A - 버튼의 조작으로 알갱이 캔디를 한 개씩 인출토록 하는 알갱이 캔디 용기. - Google Patents

버튼의 조작으로 알갱이 캔디를 한 개씩 인출토록 하는 알갱이 캔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347A
KR20110002347A KR1020090059890A KR20090059890A KR20110002347A KR 20110002347 A KR20110002347 A KR 20110002347A KR 1020090059890 A KR1020090059890 A KR 1020090059890A KR 20090059890 A KR20090059890 A KR 20090059890A KR 20110002347 A KR20110002347 A KR 20110002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y
button
case
container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2560B1 (ko
Inventor
김강철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플라텍 filed Critical (주)아이디플라텍
Priority to KR1020090059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5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4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 B65D83/0463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formed in a band or a blisterweb, inserted in a dispensing device o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갱이 상태의 캔디를 한 개씩만 배출되어지도록 한 알갱이 캔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캔디의 배출을 위한 캔디이송통로의 개구 구조를 측방으로 가압되는 버튼의 작동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로 변경하여 내부 구조의 단순화 및 두께의 슬림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알갱이 상태의 캔디를 한 개씩만 배출시켜 취할 수 있도록 한 알갱이 캔디 용기는, 상,하로 분리되어 결합되어지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조립체로 케이스가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의 내공간부 형성되어진 캔디이송통로는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상부배출구와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하부배출구가 서로 엇갈리게 맞물려져 캔디이송통로가 막혀지도록 되어 있어, 상부케이스의 가압에 의한 상부배출구의 하부 이동을 통하여 캔디이송통로가 개구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스의 가압 작동 방식을 통한 캔디이송통로의 개구 구조를 갖는 캔디 용기는, 많은 구성요소들에 의한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케이스의 성형 제조는 물론 조립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캔디이송통로의 개폐 작동을 위한 상부배출구의 상,하 이동공간이 요구되어지기 때문에 용기의 내공간부 깊이가 깊어지게 됨으로써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의 일 측방으로 내입되게 개구된 버튼장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버튼장착부에 장착되는 버튼체의 버튼을 측방 가압시키면 버튼체에 형성된 횡단막의 수평 이동을 통하여 캔디이송통로가 개구되어 캔디를 빼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캔디 용기 내부 구조의 단순화를 통한 제작 및 조립의 용이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두께의 슬림화로 인한 휴대의 간편함을 갖도록 한 것이다.
알갱이, 용기, 버튼, 이송통로

Description

버튼의 조작으로 알갱이 캔디를 한 개씩 인출토록 하는 알갱이 캔디 용기.{A case for the grain type sweets}
본 발명은 알갱이 상태의 캔디를 한 개씩만 배출시켜 취할 수 있도록 한 알갱이 캔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캔디의 배출을 위한 캔디이송통로의 개구 구조를 측방으로 가압되는 버튼의 작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로 변경하여 내부 구조의 단순화 및 두께의 슬림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알갱이 상태의 캔디를 한 개씩만 배출시켜 취할 수 있도록 한 알갱이 캔디 용기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분리되어진 상부케이스(100a)와 하부케이스(100b)를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조립체로서, 이때 조립된 케이스(100)의 내공간부에는 알갱이 상태의 캔디를 1개씩 유인하여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이송통로(10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이송통로(101)의 전단으로는 상부케이스(100a)에 형성된 상부배출구(102a)가 하부케이스(100b)에 형성된 하부배출구(102b)의 하측부 일부가 막혀지도록 서로 엇갈리게 맞물려져 배출구의 크기가 캔디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토록 됨으로써 이송통로가 막혀져 캔디의 인출이 제지토록 되고, 상부케이스(100a)를 가압하여 상부배출구(102a)를 하부배출구(102b)의 하측 부까지 이동시키면 배출구가 이송통로에 일치되어 배출구의 크기가 캔디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토록 됨으로써 캔디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이송통로가 열려지는 개구 구조를 갖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스의 가압 작동 방식을 통한 이송통로의 개구 구조를 갖는 캔디 용기는, 케이스 내부에 많은 구성요소들의 형성을 위한 구획살로 복잡한 구조를 이루게 됨으로써 케이스의 성형 제조는 물론 조립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또한 배출구의 개폐 작동을 위한 상부배출구의 상,하 이동공간이 요구되어지기 때문에 용기의 내공간부 깊이가 깊어지게 됨으로써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캔디 용기의 경우, 어린이들은 주머니에 넣어 휴대하면서 캔디를 먹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이때 용기가 두꺼워 주머니가 불룩하게 됨으로써 휴대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갱이 상태의 캔디를 한 개씩만 배출시켜 취할 수 있도록 한 알갱이 캔디 용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캔디의 배출을 위한 캔디 이송통로의 개폐 구조를 버튼을 측방으로 가압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로 변경하여, 내부 구조의 단순화로 인한 제조의 용이성을 갖도록 하면서도 두께의 슬림화로 휴대의 간편함까지 가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알갱이 캔디 용기는, 케이스의 일 측방으로 내입되게 개구된 버튼장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버튼장착부에 가압을 위한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가압에 의하여 수평 이동되어 캔디이송통로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배출구를 갖는 횡단막이 형성된 버튼체를 장착시켜 구성토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알갱이 캔디 용기는, 버튼의 일 측방 가압을 통한 배출구의 개폐 구조를 갖도록 되어 케이스의 상부 가압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배출구의 개폐 구조를 갖는 종래의 캔디 용기에 비하여 내공간부의 폭을 줄일 수 있어 용기의 두께를 슬림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휴대의 간편함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버튼의 작동 방식을 통한 배출구의 개폐 구조는, 케이스의 내측에 버튼체를 조립시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케이스의 내부 구조가 간단하여 성형을 위한 금형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단순화는 제조 및 조립의 용이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입식 알갱이 캔디 용기는, 상,하로 분리되어 결합에 의하여 조립되어지도록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어지는 케이스(10)의 내공간부에 캔디수납부(11)와 캔디배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캔디수납부(11)와 캔디배출부(12) 사이로는 캔디수납부(11)에 수납되어진 다수 개의 캔 디 중 한 개만이 이송되어 배출시킬 수 있을 정도의 규격으로 이루어지는 캔디이송통로(13)가 형성되어 상기 캔디배출부(12)로 배출된 캔디를 상기 캔디배출부(12)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면서 케이스(10)의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캔디인출구(18)를 통하여 빼내어 먹을 수 있도록 되어 알갱이 캔디를 한 개씩만 배출시켜 빼먹을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10)의 일 측방으로는 내입되게 개구된 버튼장착부(16)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장착부(16)에는 개구된 외측으로 돌출되어지는 버튼부(24)와 상기 캔디이송통로(13)의 일 측방에 형성된 개구부(13a)를 통하여 횡단되게 삽입되어 캔디이송통로(13)가 막혀지도록 하기 위한 횡단막(21)을 갖는 버튼체(20)가 탄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캔디이송통로(13)의 동일수평연장선상으로는 이동홈(14)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24)의 측방 가압에 의한 횡단막(21)의 수평 이동으로 횡단막(21)에 형성된 배출구(21a)와 캔디이송통로(13)가 일치되어 개구되도록 됨으로써 캔디를 빼먹을 수 있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버튼체(20)는, 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수평선상으로는 상기 횡단막(21)이 형성되도록 하고, 수직선상의 상측으로는 케이스(10)와의 조립 시 버튼장착부(16)의 개구부(16a) 외측으로 돌출되어 누름에 의한 가압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버튼부(24)가 형성되도록 하고, 하측으로는 상기 버튼부(24)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버튼장착부(16)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홈부(16b)에 삽입되어 결합홈턱(16c)에 걸림 고정되어지는 결합돌기(23a)를 갖는 결합부(23)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버튼부(24)의 내측으로는 상기 버튼장착부(16)와 캔디수납부(11)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벽(17)에 탄지되어 버튼체(20)의 탄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지 지살(21)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내공간부를 갖는 본체(10a)와 상기 본체(10a)에 결합되어지는 덮개판(10b)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0a)에는 캔디배출부(12), 캔디이송통로(13), 캔디수납부(11). 버튼장착부(16)가 형성토록 되고, 덮개판(10b)에는 본체(10a)에 형성되는 캔디배출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캔디인출구(18)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고, 본체(10a)와 덮개판(10b)에는 암,수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는 조립수단(15a)(15b)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조립수단(15a)(15b)에 의한 맞물림 결합으로 조립 구성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a)와 덮개판(10b)은 절첩살(13)에 의하여 하나의 조립 구성체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시켜 조립의 간편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벽(17)은 버튼장착부(16)와 캔디수납부(11)의 일 측방의 일부가 공유되어지도록 하여 본 발명 캔디 용기의 내부 구조를 더욱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캔디 용기는, 케이스(10)의 일 측방으로 돌출되어져 있는 버튼체(20)의 버튼부(24)를 측방으로 가압하면 지지벽(17)에 탄지되어 있는 지지살(22)이 내측으로 구부려지면서 횡단막(21)이 이동홈(14)의 내측으로 이동되게 되는 것이고, 이동되는 횡단막(21)이 이동홈(14)의 끝단까지 삽입되어지면 횡단막(21)에 형성된 배출구(21a)가 캔디이송통로(13)와 일치되어져 캔디이송통로(13)가 개구되게 됨으로써 캔디수납부(11)에 수납되어 있던 캔 디가 배출구(21a)를 통과하여 캔디배출부(12)로 배출되어지게 되는 것이고, 가압하고 있었던 버튼체(20)의 버튼부(24)를 놓아 가압력을 해지토록 하면 구부려져 있던 지지살(22)이 펴지면서 횡단막(21)이 원위치로 복귀되게 되어 캔디이송통로(13)가 다시 막혀지게 됨으로써 캔디의 배출이 중지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버튼체(20)를 한번 작동시키면 캔디이송통로(13)를 통하여 한 개의 캔디만이 배출되어지게 됨으로써 캔디를 한 개씩만 빼내어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캔디 용기는, 버튼체(20)의 측방 가압을 통한 캔디의 인출 구조를 갖도록 되어 있어 케이스(10)의 내공간부 깊이가 케이스의 상부 가압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배출구의 개폐 구조를 갖는 종래의 캔디 용기보다 줄어들게 됨으로써 용기의 슬림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조립된 상태에서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작동 상태도.
도 4는 종래 캔디 용기의 조립 구성도.
도 5는 종래 캔디 용기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0a: 본체
10b: 덮개판 11: 캔디수납부
12: 캔디배출부 13: 과장이송통로
14: 이동홈 15a, 15b: 조립수단
16: 버튼장착부 16a: 개구부
16b: 결합홈부 16c: 결합홈턱
17: 지지벽 18: 캔디인출구
20: 버튼체 21: 횡단막
21a: 배출구 22: 지지살
23: 결합부 24: 버튼부

Claims (5)

  1. 본체(10a)와 덮개(10b)로 분리 결합되는 케이스(10)의 본체의 내공간부에 캔디수납부(11)와 캔디배출부(12)가 형성되고 덮개에는 캔디인출구(18)가 형성되어 케이스 측방에 장착된 버튼부(24)를 가압하면 지지살(22)이 탄력작동되면서 배출구(21a)가 형성된 횡단막(21)이 개폐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의 조작으로 알갱이 캔디를 한 개씩 인출토록 하는 알갱이 캔디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체(20)의 횡단막(21)은 상기 캔디이송통로(13)의 일 측방에 형성된 개구부(13a)를 통하여 횡단되게 삽입되어 버튼부(24)의 가압에 의하여 캔디이송통로(13)의 동일수평연장선상에 형성된 이동홈(14)으로 수평 이동되어 배출구(21a)와 캔디이송통로(13)가 일치되어 개구되도록 됨으로써 캔디를 빼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인 버튼의 조작으로 알갱이 캔디를 한 개씩 인출토록 하는 알갱이 캔디 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체(20)는 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수평선상으로는 상기 횡단막(21)이 형성되고, 수직선상으로는 상기 버튼장착부(16)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지는 버튼부(24)와 버튼장착부(16)의 결합홈부(16b)에 삽입되어 결합홈턱(16c)에 걸림 고정되어지는 결합돌기(23a)를 갖는 결합부(23)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24)의 내측으로는 상기 버튼장착부(16)와 캔디수납부(11) 사이에 형성 된 지지벽(17)에 탄지되어지는 지지살(21)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장착부(16)에 탄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지도록 한 것이 특징인 버튼의 조작으로 알갱이 캔디를 한 개씩 인출토록 하는 알갱이 캔디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내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10a)와 본체(10a)에 결합되는 덮개판(1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a)와 덮개판(10b)은 절첩살(13)에 의하여 하나의 조립 구성체로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 특징인 버튼의 조작으로 알갱이 캔디를 한 개씩 인출토록 하는 알갱이 캔디 용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17)은 캔디수납부(11)와 버튼장착부(16)의 일 측방 일부가 공유되도록 된 것이 특징인 버튼의 조작으로 알갱이 캔디를 한 개씩 인출토록 하는 알갱이 캔디 용기.
KR1020090059890A 2009-07-01 2009-07-01 버튼의 조작으로 알갱이 캔디를 한 개씩 인출토록 하는 알갱이 캔디 용기. KR101312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890A KR101312560B1 (ko) 2009-07-01 2009-07-01 버튼의 조작으로 알갱이 캔디를 한 개씩 인출토록 하는 알갱이 캔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890A KR101312560B1 (ko) 2009-07-01 2009-07-01 버튼의 조작으로 알갱이 캔디를 한 개씩 인출토록 하는 알갱이 캔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347A true KR20110002347A (ko) 2011-01-07
KR101312560B1 KR101312560B1 (ko) 2013-09-30

Family

ID=4361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890A KR101312560B1 (ko) 2009-07-01 2009-07-01 버튼의 조작으로 알갱이 캔디를 한 개씩 인출토록 하는 알갱이 캔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56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5905A3 (en) * 2011-02-23 2013-01-24 Csp Technologies, Inc. Flat pack containers
US8528778B2 (en) 2002-10-10 2013-09-10 Csp Technologies, Inc. Resealable moisture tight container assembly for strips and the like having a lip snap seal
US8540116B2 (en) 2006-09-06 2013-09-24 Csp Technologies, Inc. Non-round moisture-tight re-sealable containers with round sealing surfaces
US8540115B2 (en) 2009-03-05 2013-09-24 Csp Technologies, Inc. Two-shell and two-drawer containers
US11020316B2 (en) 2015-02-26 2021-06-01 Kyungdo Park Dispensing device, valve, containing apparatus having same, contents moving apparatus and contents apparatus
US11033460B2 (en) 2016-02-01 2021-06-15 Kyungdo Park Passage device, valve, reception device including same, content movement device, and content device
USD929178S1 (en) 2019-06-10 2021-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wav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603B1 (ko) * 2015-02-26 2017-12-28 박서준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WO2016137186A1 (ko) * 2015-02-26 2016-09-01 박현수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101864990B1 (ko) * 2017-04-11 2018-06-05 이민영 접착제조성물 용기의 보관케이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0237A (en) * 1977-11-28 1980-10-28 Hermes Susstoff Ag Tablet dispenser
JPH1170982A (ja) * 1997-08-28 1999-03-16 Yoshino Kogyosho Co Ltd 錠剤取出し容器
AU2001294028B2 (en) * 2000-10-13 2005-06-16 Cadbury Holdings Limited Tablet dispenser for dispensing individual tablets
KR20020072364A (ko) * 2001-03-09 2002-09-14 (주)고려몰딩 계수형 과립물질 배출량 조절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8778B2 (en) 2002-10-10 2013-09-10 Csp Technologies, Inc. Resealable moisture tight container assembly for strips and the like having a lip snap seal
US11053060B2 (en) 2002-10-10 2021-07-06 Csp Technologies, Inc. Resealable moisture tight container assembly for strips and the like having a lip snap seal
US11230422B2 (en) 2002-10-10 2022-01-25 Csp Technologies, Inc. Resealable moisture tight container assembly for strips and the like having a lip snap seal
US11332298B2 (en) 2002-10-10 2022-05-17 Csp Technologies, Inc. Resealable moisture tight container assembly for strips and the like having a lip snap seal
US8540116B2 (en) 2006-09-06 2013-09-24 Csp Technologies, Inc. Non-round moisture-tight re-sealable containers with round sealing surfaces
US8540115B2 (en) 2009-03-05 2013-09-24 Csp Technologies, Inc. Two-shell and two-drawer containers
WO2012115905A3 (en) * 2011-02-23 2013-01-24 Csp Technologies, Inc. Flat pack containers
US9284099B2 (en) 2011-02-23 2016-03-15 Csp Technologies, Inc. Flat pack containers
US11020316B2 (en) 2015-02-26 2021-06-01 Kyungdo Park Dispensing device, valve, containing apparatus having same, contents moving apparatus and contents apparatus
US11033460B2 (en) 2016-02-01 2021-06-15 Kyungdo Park Passage device, valve, reception device including same, content movement device, and content device
USD929178S1 (en) 2019-06-10 2021-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wa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2560B1 (ko) 201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2347A (ko) 버튼의 조작으로 알갱이 캔디를 한 개씩 인출토록 하는 알갱이 캔디 용기.
USD552468S1 (en) Tablet container
US8936169B2 (en) Vacuumized container box
USD613495S1 (en) Stackable pill container
USD610454S1 (en) Dispensing closure
USD636672S1 (en) Dispensing closure
USD608199S1 (en) Dispensing closure for container
USD625912S1 (en) Tablet dispenser
USD644437S1 (en) Packaging container
USD612729S1 (en) Dispensing closure
JP6059489B2 (ja) 吐出容器
USD661581S1 (en) Dispensing closure for a container
JP2013542891A5 (ko)
USD636673S1 (en) Dispensing closure
USD626412S1 (en) Dispensing closure
CN109071073A (zh) 可再密封容器
JP2009083896A (ja) 振出容器
KR101207177B1 (ko) 버튼의 양 측방 가압을 통한 알갱이 과자를 한 개씩만 외부로 배출시켜 빼먹는 돌출식 과자 용기
US20150344202A1 (en) Childproof Container Closure
JP2007331827A (ja) 携帯ケース
CN203446776U (zh) 一种饭盒
CA2516324A1 (en) Dispensing container for a blister pack of medications
KR200459770Y1 (ko) 용기뚜껑
KR101274156B1 (ko) 원터치형 정량 인출케이스
JP3153078U (ja) 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