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247A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247A
KR20110002247A KR1020090059743A KR20090059743A KR20110002247A KR 20110002247 A KR20110002247 A KR 20110002247A KR 1020090059743 A KR1020090059743 A KR 1020090059743A KR 20090059743 A KR20090059743 A KR 20090059743A KR 20110002247 A KR20110002247 A KR 20110002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ultimedia content
mobile terminal
time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4693B1 (ko
Inventor
조범석
유수림
배희정
남기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9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693B1/ko
Priority to US12/649,246 priority patent/US20110004826A1/en
Priority to EP10166195.7A priority patent/EP2276241B1/en
Priority to CN2010102210650A priority patent/CN101945162A/zh
Publication of KR20110002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임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특정 시점에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동작 및 저장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EDIA CONTENTS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방송 시스템을 통하여 각각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송용 단말기는,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방송 관련 가이드 정 보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송 사업자가 지정한 방송 스케쥴에 따라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고, 복수의 방송 채널이 이용 가능한 경우 이들 중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방송 관련 가이드 정보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출력할 수 있지만, 사용자 의도대로 구성된 콘텐츠 리스트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다.
또한,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방송용 단말기에서 복수의 방송 시스템, 예를 들어 인터넷 방송 및 모바일 방송이 이용 가능한 경우라도 각각의 방송 시스템에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관련 가이드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방송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관련 가이드 정보를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 선택에 따라 구성된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를 사용자 지정 채널의 방송 편성 리스트로 동작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멀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무선 통신부; 상기 제공받은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임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특정 시점에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동작 및 저장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제공받은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임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특정 시점에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동작 및 저장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 의도대로 구성된 콘텐츠 리스트를 방송 편성 리스트로 하는 사용자 지정 채널을 사용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채널로서 구성할 수 있다.
둘째, 무작위, 재생 순서, 또는 재생 시간을 콘텐츠 리스트의 구성 조건으로 지정함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따라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셋째, 실시간 콘텐츠가 방송 시간에 시청 되지 않는 경우라도 메모리에 저장하여 추후 재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실시간 콘텐츠를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 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 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 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 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bar) 형태의 단말기 바디(body)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과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 조작 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작 유닛(132)과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 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음향 출력 모듈(152, 도 2a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접 센서(141)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펜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 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 깊이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식별 장치가 착탈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식별 장치는, SIM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 장치(31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에는, 식별 장치가 교체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물론, 식별 장치(310)는, 인터페이스부(170)와 결합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될 수도 있고, 식별 장치(310)와의 결합을 위하여 별도로 구비된 커넥터와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식별 장치(31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전반적인 사용 권한을 인증하거나,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한 방송 시청/구매 권한을 인증할 수 있다.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식별 장치(310)와 이동 단말기(1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은,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측면, 정면 등 어느 부위라도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도 4a 및 도 4b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식별 장치가 착탈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식별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이동 단말기에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로서, 모바일 방송 채널을 통하여 제공되는 실시간/비실시간 모바일 방송 콘텐츠, 인터넷 방송 채널을 통하여 제공되는 실시간/비실시간 인터넷 방송 콘텐츠,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클립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실시간 모바일/인터넷 방송 콘텐츠는, 해당 콘텐츠에 지정된 방송 시간에 따라 제공되는 콘텐츠를 의미하고, 비실시간 모바일/인터넷 방송 콘텐츠는, 기 지정된 방송 시간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단말에 다운로드되어 재생될 수 있는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이하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다(S510).
여기에서, 콘텐츠 관련 정보는, 콘텐츠 수신 및 재생에 필요한 정보로서, 실시간/비실시간 모바일 방송 콘텐츠의 경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전자 서비스 가이드 또는 서비스 가이드 형태의 방송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실시간/비실시간 인터넷 방송 콘텐츠의 경우 인터넷 방송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클립 파일의 경우 클립 파일을 제공하는 인터넷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관련 정보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식별 정보(명칭, 회차, 콘텐츠 ID, 식별번호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주소(특히 인터넷 방송 콘텐츠 또는 멀티미디어 클립 파일의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특히 실시간 방송 콘텐츠의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줄거리 정보/ 출연자 정보/장르 정보/시청제한연령 정보/선호 정보/유무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공 단계(S510)에서 콘텐츠 관련 정보는, 주기적으로 또는 임의 시점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주기 또는 임의 시점은, 이동 단말기(100) 또는 콘텐츠 관련 정보 제공 서버(미도시)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련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에 의해 요청된 경우에 제공되거나, 콘텐츠 관련 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일방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공 단계(S510)에서 콘텐츠 관련 정보는, 콘텐츠 관련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또는 수신) 되거나, 콘텐츠 관련 정보 제공 서버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별도의 다운로드 없이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다운로드된 콘텐츠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웹 사이트를 통하여 확인된 콘텐츠 관련 정보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로 수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공 단계(S510)에서 제공받은 콘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받는다(S520).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리스트(후술함)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선택 단계(S520)에서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한다(S530).
생성 단계(S530)에서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는,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방송 채널들과 별개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방송 채널(이하 사용자 지정 채널)의 방송 편성 리스트로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방송 모드에서 선택 가능한 방송 채널들 중 사용자 지정 채널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지정 채널에 해당하는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어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생성 단계(S53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콘텐츠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콘텐츠 리스트에 따라 콘텐츠 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리스트는, 장르별, 콘텐츠 타입별, 시청 연령별, 나이대별, 사용자 지정 조건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복수 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생성 단계(S530)에서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선택 단계(S520) 및 생성 단계(S530)에 관련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지정 채널에는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가 방송 편성 리스트로서 설정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콘텐츠 리스트 생성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 선택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메뉴 검색 또는 해당 키(또는 키 영역) 조작을 통하여 방송 모드 관련 메뉴에 진입한 경우, 방송 모드에 관련된 메뉴 항목들로 구성된 리스트(이하 방송 메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6a).
예를 들어, 방송 모드에 관련된 메뉴 항목들에는, TV 시청, Radio 청취, 채널 스캔, 채널 리스트 보기, 사용자 지정 채널 보기, 사용자 지정 채널 구성 및 환경 설정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방송 메뉴 리스트 중 사용자 지정 채널 구성의 메뉴 항목(601)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지정 채널 구성 형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6b).
예를 들어, 사용자 지정 채널 구성 형태에는, 신규 채널 생성(603) 및 기존 채널 편집(604)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b에서 사용자 지정 채널 구성 형태로서 신규 채널 생성(603)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신규로 생성될 사용자 지정 채널에 대한 조건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6c).
여기에서, 사용자 지정 채널에 대한 조건은, 사용자 지정 채널의 방송 편성 리스트로서 동작할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설정되는 재생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지정 채널에 대한 조건에는, 조건이 없는 무작위(605), 멀티미디어 콘텐츠별 재생 순서(606)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별 재생 시간(607)이 포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방송 출력 모드에서 사용자 지정 채널이 출력 대상 채널로서 선택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방송 출력 모드는, 도 6a에서 TV 시청의 메뉴 항목(603)이 선택되는 경우 진입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지정 채널에 대한 조건으로서 무작위가 설정되는 경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사용자 또는 단말기에 의해 임의로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지정 채널에 대한 조건으로서 재생 순서가 지정된 경우, 재생 순서에 따라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지정 채널에 대한 조건으로서 재생 시간이 지정된 경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해당 재생 시간에 재생되도록 지정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서 사용자 지정 채널 구성 형태로서 신규 채널 생성(603)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신규 생성될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선택 가능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선택 가능 상태의 일례로서, 이동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받는 콘텐츠 관련 정보의 제공 조건들을 포함하는 구성 조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제공 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공 단계(S51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제공 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는, 단말기에 제공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공 조건에 상응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공 조건은, 콘텐츠 타입, 나이대, 시청 가능 연령, 요일, 날짜, 콘텐츠 선호도, 사업자 추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 지정 채널 구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별도 키(또는 키 영역)가 선택되는 경우, 복수 회의 메뉴 검색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도 6b에 도시된 사용자 지정 채널 구성 관련 화면을 바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작위 콘텐츠 리스트 생성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 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이동 단말기는, 도 6c에서 사용자 지정 채널에 대한 조건으로 무작위(605)가 선택된 경우 후술할 무작위 콘텐츠 리스트 생성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무작위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콘텐츠 타입별로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이다.
도 6d에 도시된 구성 조건 리스트 중 콘텐츠 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콘텐츠 타입별 콘텐츠 관련 정보 제공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각각의 콘텐츠 타입 영역(701 내지 70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7a).
예를 들어, 콘텐츠 타입에는, 비실시간 모바일 방송 콘텐츠(Mobile-VOD)(701), 실시간 모바일 방송 콘텐츠(Mobile- 실시간)(702), 비실시간 인터넷 방송 콘텐츠(IPTV-VOD)(703), 실시간 인터넷 방송 콘텐츠(IPTV-실시간)(704), 멀티미디어 클립 파일(70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7a는, 화면의 일 영역에 생성될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하 식별 정보 표시 영역)(7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a에서 특정 콘텐츠 타입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 타입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받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 타입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다운로드 받거나, 기 저장된 콘텐츠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콘텐츠 타입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검색하거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 타입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특정 콘텐츠 타입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라 함은, 특정 콘텐츠 타입이 설정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a에서 Mobile-VOD(701)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비실시간 모바일 방송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706)(예를 들어 방송 채널별 방송 콘텐츠 제공 정보, 방송 콘텐츠 명칭/회차/재생 시간 정보 등)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7b(a)}.
그리고, 도 7b(a)에 도시된 콘텐츠 관련 정보(706)를 이용하여 특정 비실시간 모바일 방송 콘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식별 정보 표시 영역(750)에 상기 선택된 특정 비실시간 모바일 방송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7b(b)}.
또한, 도 7b(b)에서 IPTV-실시간(704)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실시간 인터넷 방송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707)(예를 들어 방송 채널별 방송 콘텐츠 편성 정보(방송 시간 기준), 방송 콘텐츠 명칭/회차/방송 시간 정보 등)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7c(a)}.
그리고, 도 7c(a)에 도시된 관련 정보(707)를 이용하여 특정 실시간 인터넷 방송 콘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식별 정보 표시 영역(750)에 상기 선택된 특정 실시간 인터넷 방송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7c(b)}.
도 7c(b)에서 멀티미디어 클립 파일(705)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클립 파일에 대한 관련 정보(708)(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클립 파일 명칭/제공 웹 사이트 주소/식별 정보 등)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7d(a)}.
그리고, 도 7d(a)에 도시된 관련 정보(708)를 이용하여 특정 멀티미디어 클립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식별 정보 표시 영역(750)에 상기 선택된 특정 멀티미디어 클립 파일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7d(b)}.
상기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콘텐츠 선택 과정이 완료되면, 식별 정보 표시 영역(750)에 표시된 콘텐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하나의 콘텐츠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식별 정보 표시 영역(750)에 표시되는 각각의 콘텐츠 식별 정보에는,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 타입에 상응하도록, 모바일 콘텐츠 식별자(M), 인터넷 콘텐츠 식별자(I) 및 멀티미디어 클립 파일 식별자(C)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실시간 콘텐츠 식별자(R) 및 비실시간 콘텐츠 식별자(V)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Mobile-실시간(702) 또는 IPTV-VOD(703)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실시간 모바일 방송 콘텐츠 또는 비실시간 인터넷 방송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타입별로 접근하여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지만, 도 6d에서 콘텐츠 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모든 콘텐츠 타입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무작위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장르별로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이다.
도 6d에 도시된 구성 조건 리스트 중 장르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식별 정보 표시 영역(850), 및 장르별 콘텐츠 관련 정보 제공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각각의 장르 영역(801 내지 806)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8a).
예를 들어, 장르에는, 드라마(801), 스포츠(802), 시사/오락(803), 부동산(804), 교양(805) 및 영화(806)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8a에서 특정 장르가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받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다운로드 받거나, 기 저장된 콘텐츠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장르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검색하거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라 함은, 특정 장르가 설정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의미한다.
도 8a에서 드라마(801)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드라마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807, 808)(예를 들어 방송 채널별 방송 콘텐츠 편성 정 보, 방송 콘텐츠 명칭/회차/방송 시간 정보_실시간/재생 시간 정보_비실시간 등)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8b). 또한, 이동 단말기는, 드라마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콘텐츠 타입별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송 채널별로 제공할 수 있다{도 8b(a, b)}.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콘텐츠 관련 정보(807, 808)를 이용하여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식별 정보 표시 영역(850)에 상기 선택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8c).
상기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콘텐츠 선택 과정이 완료되면, 식별 정보 표시 영역(850)에 표시된 콘텐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하나의 콘텐츠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드라마(801)뿐만 아니라 다른 장르(802 내지 806)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상기 선택된 장르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장르별로 접근하여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지만, 도 6d에서 장르가 선택되는 경우 모든 장르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무작위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나이대별로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이다.
도 6d에 도시된 구성 조건 리스트 중 나이대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 기(100)는, 식별 정보 표시 영역(950), 및 나이대별 콘텐츠 관련 정보 제공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각각의 나이대 영역(901 내지 90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9a).
예를 들어, 나이대에는, 10대(901), 20대(902), 30대(903), 40대(904) 및 전체 나이대(90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9a에서 특정 나이대가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특정 나이대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받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특정 나이대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다운로드 받거나, 기 저장된 콘텐츠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나이대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검색하거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선택된 나이대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나이대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라 함은, 특정 나이대에서의 시청이 권장되거나 시청률이 우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의미한다.
도 9a에서 20대(902)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20대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906, 907)(예를 들어 방송 채널별 방송 콘텐츠 편성 정보, 방송 콘텐츠 명칭/회차/방송 시간 정보_실시간/재생 시간 정보_비실시간 등)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9b). 또한, 이동 단말기는, 20대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콘텐츠 타입별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송 채널별로 제공할 수 있다{도 9b(a, b)}.
그리고, 도 9b에 도시된 콘텐츠 관련 정보(906, 907)를 이용하여 특정 멀티 미디어 콘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식별 정보 표시 영역(950)에 상기 선택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9c).
상기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콘텐츠 선택 과정이 완료되면, 식별 정보 표시 영역(950)에 표시된 콘텐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하나의 콘텐츠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20대(902)뿐만 아니라 다른 나이대(901, 903, 904, 905)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상기 선택된 나이대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나이대별로 접근하여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지만, 도 6d에서 나이대가 선택되는 경우 모든 나이대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무작위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업자 추천 콘텐츠별로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이다.
도 6d에 도시된 구성 조건 리스트 중 사업자 추천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식별 정보 표시 영역(1050), 및 사업자 추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관련 정보 제공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1001 내지 100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0a).
예를 들어, 사업자 추천 콘텐츠는, 콘텐츠 타입별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 서, 영역(1001 내지 1005)은, 콘텐츠 타입별로 구비되어 있다.
도 10a에서 특정 콘텐츠 타입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 타입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추천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이하 추천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받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 타입에 해당하는 추천 콘텐츠 관련 정보를 다운로드 받거나, 기 저장된 콘텐츠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 타입에 해당하는 추천 콘텐츠 관련 정보를 검색하거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선택된 콘텐츠 타입에 해당하는 추천 콘텐츠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a에서 추천 비실시간 모바일 방송 콘텐츠(M-VOD)(1001)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비실시간 모바일 방송 콘텐츠 중 사업자에 의해 추천된 콘텐츠에 대한 추천 콘텐츠 관련 정보(1006)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0b(a)}.
그리고, 도 10b(a)에 도시된 콘텐츠 관련 정보(1006)를 이용하여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식별 정보 표시 영역(1050)에 상기 선택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0b(b)}.
상기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콘텐츠 선택 과정이 완료되면, 식별 정보 표시 영역(950)에 표시된 콘텐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하나의 콘텐츠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타입별로 접근하여 추천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지만, 도 6d에서 사업자 추천이 선택되는 경우 모든 추천 콘텐츠 관련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무작위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천 리스트별로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이다.
도 6d에 도시된 구성 조건 리스트 중 추천 리스트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식별 정보 표시 영역(1150), 및 추천 리스트에 대한 콘텐츠 관련 정보 제공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1101 내지 110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1a).
예를 들어, 추천 리스트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추천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1a에서 특정 추천 리스트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특정 추천 리스트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받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특정 추천 리스트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다운로드 받거나, 기 저장된 콘텐츠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특정 추천 리스트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검색하거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추천 리스트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a에서 제 1 추천 리스트(1101)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추천 리스트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1106)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1b(a)}.
그리고, 도 11b(a)에서 확인 키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식별 정보 표시 영역(1150)에 제 1 추천 리스트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1b(b)}. 즉, 제 1 추천 리스트 자체를 콘텐츠 리스트로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추천 리스트별로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지만, 도 6d에서 추천 리스트가 선택되는 경우 모든 추천 리스트를 하나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 생성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이동 단말기는, 도 6c에서 사용자 지정 채널에 대한 조건으로 재생 순서(606)가 선택된 경우 후술할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 생성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콘텐츠 타입별로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이다.
도 6d에 도시된 구성 조건 리스트 중 콘텐츠 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콘텐츠 타입별 콘텐츠 관련 정보 제공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각각의 콘텐츠 타입 영역(1201 내지 120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2a).
또한, 도 12a는, 화면의 일 영역에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하 식별 정보 표시 영역)(12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 표시 영역(1250)은, 복수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순서대로 표시하기 위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을 구비하고, 복수의 분할 영역은 제 1부터 제 5(그 이상도 가능)까지 순서대로 나열될 수 있다.
특정 콘텐츠 타입 선택에 따른 해당 콘텐츠 관련 정보의 제공에 대하여서는 도 7a에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a에서 Mobile-VOD(1201)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비실시간 모바일 방송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1206)를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2b(a)}.
그리고, 도 12b(a)에 도시된 콘텐츠 관련 정보(1206)에 포함된 제 1 및 제 2 콘텐츠 식별 정보(1206-1, 1206-2) 및 제 1 및 제 2 분할 영역(1251, 1252)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콘텐츠 식별 정보(1206-1, 1206-2)를 제 1 및 제 2 분할 영역(1251, 1252)에서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2b(b)}.
예를 들어, 콘텐츠 식별 정보 및 분할 영역의 선택 방법은, 콘텐츠 식별 정보 및 분할 영역 간 터치 드래그{도 12b(a) 참조}, 콘텐츠 식별 정보 및 분할 영역의 멀티 터치, 키 조작을 이용한 콘텐츠 식별 정보 및 분할 영역의 선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b(b)에서 IPTV-실시간(1204)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실시간 인터넷 방송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1207)를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2c(a)}.
그리고, 도 12c(a)dp 도시된 콘텐츠 관련 정보(1207)에 포함된 제 3 및 제 4 콘텐츠 식별 정보(1207-1, 1207-2) 및 제 1 및 제 3 분할 영역(1251, 1253)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콘텐츠 식별 정보(1206-2)를 제 3 분할 영역(1253)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하면서, 제 3 콘텐츠 식별 정보(1207-1)를 제 2 분할 영역(1252)에, 제 4 콘텐츠 식별 정보(1207-2)를 제 4 분할 영역(1254)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2c(b)}.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분할 영역(1251, 1252)에 콘텐츠 식별 정보가 이미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다른 콘텐츠 식별 정보의 표시 영역으로서 제 1 분할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제 2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던 콘텐츠 식별 정보는 다음 순서인 제 3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물론, 제 1 및 제 3 분할 영역(1251, 1253)에 콘텐츠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제 2 분할 영역이 비어있는 상태라면, 제 1 및 제 3 분할 영역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다른 식별 정보는 제 2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분할 영역(1251, 1252)에 콘텐츠 식별 정보가 이미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다른 콘텐츠 식별 정보의 표시 영역으로서 제 2 분할 영역(1253) 이하의 분할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다른 콘텐츠 식별 정보는 제 3 분할 영역(1253) 이하의 분할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 콘텐츠 식별 정보 및 이것의 순서 지정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콘텐츠 선택 과정이 완료되면, 식별 정보 표시 영역(1250)의 분할 영역에서 순서대로 표시된 콘텐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멀티미 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하나의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분할 영역 순서가 각 분할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순서일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 표시된 콘텐츠 식별 정보의 지정 순서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콘텐츠 타입에 대하여서도 상술한 방법으로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콘텐츠 타입뿐만 아니라 장르, 나이대, 사업자 추천 콘텐츠, 추천 리스트별로 제공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도 8a 내지 도 11b 참조).
또한, 이하에서는, 시간 지정 콘텐츠 리스트 생성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이동 단말기는, 도 6c에서 사용자 지정 채널에 대한 조건으로 재생 시간(607)이 선택된 경우 후술할 시간 지정 콘텐츠 리스트 생성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시간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콘텐츠 타입별로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이다.
도 6d에 도시된 구성 조건 리스트 중 콘텐츠 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콘텐츠 타입별 콘텐츠 관련 정보 제공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각각의 콘텐츠 타입 영역(1301 내지 130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3a).
또한, 도 13a는, 화면의 일 영역에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 츠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하 식별 정보 표시 영역)(13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 표시 영역(1350)은, 복수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시간 순서대로 표시하기 위하여, 시간대별 표시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예를 들어 1시간) 간격으로 시간대가 구비되고, 시간대의 간격 및 시작/종료 시점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단말기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특정 콘텐츠 타입 선택에 따른 해당 콘텐츠 관련 정보의 제공에 대하여서는 도 7a에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a에서 Mobile-VOD(1301) 및 제 1 시간대 영역(8:00~9:00)(1351)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비실시간 모바일 방송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1306) 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3b(a)}. 예를 들어, 콘텐츠 관련 정보(1306)에는, 제 1 시간대 간격이 1시간이므로 재생 시간이 1 시간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식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b(a)에 도시된 콘텐츠 관련 정보(1306)를 이용하여 제 1 콘텐츠 식별 정보(1306-1)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콘텐츠 식별 정보(1306-1)를 제 1 시간대 영역(1351)에서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3b(b)}.
예를 들어, 콘텐츠 타입 및 시간대 영역의 선택 방법은, 콘텐츠 타입 및 시간대 영역 간 터치 드래그(도 13a 참조), 콘텐츠 타입 및 시간대 영역의 멀티 터치, 키 조작을 이용한 콘텐츠 타입 및 시간대 영역의 선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b(b)에서 Mobile-실시간(1302) 및 제 2 시간대 영역(9:00~10:00)(1352)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실시간 모바일 방송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1307)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3c(a)}. 예를 들어, 콘텐츠 관련 정보(1307)에는, 제 2 시간대가 9:00부터 10:00까지 이므로, 방송 시작 시각이 10:00 이전인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c(a)에 도시된 콘텐츠 관련 정보(1307)를 이용하여 제 2 콘텐츠 식별 정보(1307-1)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콘텐츠 식별 정보(1307-1)를 제 2 시간대 영역(1352)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3c(b)}.
이때, 제 2 콘텐츠의 방송 시간은 1시간 30분이고 종료 시각은 제 2 시간대 종료 시점인 10:00 이후인 10:30이므로, 제 2 시간대의 간격은 1시간 30분으로 제 2 시간대의 종료 시점은 10:30으로 수정될 수 있다. 또한, 제 3 시간대를 포함한 이후의 시간대의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은 30분씩 미뤄지고, 시간대 간격은 1시간 간격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3c(b)에서 IPTV-실시간(1304) 및 제 3 시간대 영역(10:30~11:30)(1353)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실시간 인터넷 방송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1308)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3d(a)}. 예를 들어, 콘텐츠 관련 정보(1308)에는, 제 3 시간대가 10:30부터 11:30까지 이므로, 방송 시작 시각이 11:30 이전인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d(a)에 도시된 콘텐츠 관련 정보(1308)를 이용하여 제 3 콘텐츠 식별 정보(1308-1)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3 콘텐츠 식별 정 보(1308-1)를 제 3 시간대 영역(1353)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3d(b)}.
도 13d(b)에서 멀티미디어 클립 파일(1305) 및 제 4 시간대 영역(11:30~12:30)(1354)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클립 파일에 대한 관련 정보(1309)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3e(a)}. 예를 들어, 콘텐츠 관련 정보(1309)에는, 멀티미디어 클립 파일 명칭, 재생 시간, 웹 사이트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e(a)에 도시된 콘텐츠 관련 정보(1309)를 이용하여 제 4 콘텐츠 식별 정보(1309-1)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4 콘텐츠 식별 정보(1309-1)를 제 4 시간대 영역(1354)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3e(b)}.
이때, 제 4 콘텐츠의 재생 시간은 30분이므로, 제 4 시간대의 간격은 30분으로 제 2 시간대의 종료 시점은 12:00으로 수정될 수 있다. 또한, 제 5 시간대를 포함한 이후의 시간대의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은 30분씩 당겨지고, 시간대 간격은 1시간 간격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 콘텐츠 식별 정보 및 이것의 시간 지정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콘텐츠 선택 과정이 완료되면, 식별 정보 표시 영역(1350)에 표시된 콘텐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하나의 콘텐츠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시간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시간대에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콘텐츠 타입에 대하여서도 상술한 방법으로 시간 지정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콘텐츠 타입뿐만 아니라 장르, 나이대, 사업자 추천 콘텐츠, 추천 리스트별로 제공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 지정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도 8a 내지 도 11b 참조).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재생 시간을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순서대로 재생함과 더불어 재생 시간이 지정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서는 상기 지정된 재생 시간에 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 또는 시간 지정 콘텐츠 리스트 생성 과정에 있어서, 하나의 재생 순서 또는 재생 시간에 복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재생 시작 시점 또는 임의 시점에 상기 지정된 복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상기 지정된 복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동시에 재생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생성 단계(S530)에 관련하여, 콘텐츠 리스트의 세부 조건 설정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콘텐츠 리스트의 세부 조건을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에 대한 세부 조건 설정 가능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부 조건 설정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 또는 키(또는 키 영역)가 선택되는 경우에 세부 조건 설정 가능 상태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세부 조건 설정 가능 상태의 설정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세부 조건 설정 대상 콘텐츠 리스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메뉴 영역(1421)이 선택되는 경우 세부 조건 리스트(14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4a). 이때, 사용자는, 키 조작을 통하여 세부 조건 설정 대상 콘텐츠 리스트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4a에서 세부 조건으로서 요일/날짜 지정(1411)이 선택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세부 조건 설정 대상 콘텐츠 리스트가 사용자 지정 채널의 방송 편성 정보로서 동작 가능한 특정 요일 또는 특정 날짜를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을 수 있다(도 14b). 따라서, 상기 지정된 특정 요일 또는 특정 날짜에 한하여 세부 조건 설정 대상 콘텐츠 리스트가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도 14b에서 세부 조건으로서 유효 기간 지정(1412)이 선택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세부 조건 설정 대상 콘텐츠 리스트가 사용자 지정 채널의 방송 편성 정보로서 유효한 유효 기간을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을 수 있다(도 14c). 예를 들어, 유효 기간으로서, 1일, 1주일, 1달 또는 사용자 직접 지정 기간이 설정되거나, 세부 조건 설정 대상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콘텐츠가 재생완료될 때까지의 기간이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지정된 유효 기간 동안 세부 조건 설정 대상 콘텐츠 리스트가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도 14a에서 세부 조건으로서 기본 콘텐츠 지정(1413)이 선택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세부 조건 설정 대상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타 콘텐츠 리스트에 기본적으로 포함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이하 기본 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도 14d). 예를 들어, 기본 콘텐츠에는, 정기적 멀티미디어 콘텐츠(실시간 콘텐츠의 경우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콘텐츠, 비실시간 콘텐츠의 경우 일정 회차로 방송되는 콘텐츠를 포함), 일정 기준 이상의 선호도를 갖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지정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기본 콘텐츠는, 타 콘텐츠 리스트 생성 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더라도 기본적으로 타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도 14b에서 세부 조건으로서 재생 시간 지정(1414)이 선택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세부 조건 설정 대상 콘텐츠 리스트(무작위 콘텐츠 리스트 또는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 해당함)에 포함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재생 시간을 사용자로부터 별도 지정받을 수 있다(도 14e). 따라서, 재생기간이 지정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상기 지정된 재생 시간 동안 재생될 수 있다.
상술한 세부 조건 설정 과정은, 상술한 신규 콘텐츠 리스트 생성 과정 또는 기존 콘텐츠 리스트 편집 과정(후술함)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생성 단계(S530)에 관련하여, 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의 편집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콘텐츠 리스트를 편집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도 6b에서 기존 채널 편집(604)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 부(180)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 리스트 편집 가능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콘텐츠 리스트 편집 가능 상태의 설정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콘텐츠 리스트들 각각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명칭)로 구성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5a).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도 15a에서 도시된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5b).
예를 들어 도 15b에서 추가 영역(1502)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도 15b에서 선택된 콘텐츠 리스트에 추가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상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선택 과정 참조).
또는, 도 15b에서 삭제 영역(1503)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도 15b에서 선택된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삭제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또는, 도 15c에서 순서 변경 영역(1504)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동작을 입력받아, 도 15b에서 선택된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지정된 재생 순서 또는 재생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생성 단계(S530)에서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의 디스플레이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도 6a에 도시된 방송 메뉴 리스트 중 사용자 지정 채널 보기의 메뉴 항 목(602)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리스트 중 특정 콘텐츠 리스트(16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6a). 이때, 사용자에 의한 키(특히 방향 키)(또는 키 영역) 조작을 통하여 다른 콘텐츠 리스트를 선택받은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다른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도 6a에서 사용자 지정 채널 보기의 메뉴 항목(602)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리스트 각각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명칭)으로 구성된 리스트(16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6b(a)}.
예를 들어, 콘텐츠 리스트 식별 정보에는, 콘텐츠 리스트의 타입 정보(무작위, 재생 시간 지정 또는 재생 순서 지정) 및 조건 정보(장르_뉴스, 교육, 콘텐츠 타입_VOD, 나이대_20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6b에 도시된 리스트로부터 특정 식별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특정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 리스트(16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0b(b)}.
도 5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생성 단계(S530)에서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어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특정 시점에 수신한다(S540).
더욱 구체적으로, 수신 대상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모바일 방송 콘텐츠인 경우 방송 수신 모듈(111)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 대 상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인터넷 방송 콘텐츠 또는 멀티미디어 클립 파일인 경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단계(S540)가 수행되는 상기 특정 시점에 대하여, 실시간 콘텐츠 및 비실시간 콘텐츠(멀티미디어 클립 파일 포함)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실시간 콘텐츠의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실시간 콘텐츠의 실시간 제공 시점에 실시간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콘텐츠의 일례인 실시간 모바일 방송 콘텐츠를 실시간 제공 시점, 즉 방송 시점(방송 시간 중 임의 시점)에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비실시간 콘텐츠의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 요청 시점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 요청 시점은, 비실시간 콘텐츠 송신을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버(미도시)에 요청함에 따라, 비실시간 콘텐츠를 제공받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비실시간 콘텐츠가 포함된 콘텐츠 리스트의 생성 완료 시점(또는 그로부터 일정 시간 이후 시점), 비실시간 콘텐츠가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비실시간 콘텐츠로부터 일정 순서 이전 콘텐츠가 재생 완료된 시점, 비실시간 콘텐츠가 시간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비실시간 콘텐츠가 속한 시간대로부터 일정 순서 이전 시간대에 속한 콘텐츠가 재생 완료된 시점 중 어느 시점에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수신 단계(S540)에서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재생 가능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550).
제어부(180)는, 외부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동작 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재생 가능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방송 출력 모드에서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포함된 콘텐츠 리스트에 기반한 사용자 지정 채널을 이용중인 경우 상기 재생 가능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였음에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명령 신호를 입력받지 못한 경우, 재생 불가능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시간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고,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지정된 재생 시간이 현재 시각으로부터 미래 시점인 경우, 상기 재생 불가능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고,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지정된 재생 순서가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보다 뒤인 경우, 상기 재생 불가능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에 의한 판단 단계(S550)의 수행 결과, 상기 재생 가능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수신 단계(S540)에서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이용하여 재생하고(S560), 상기 재생 불가능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수신 단계(S540)에서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메모리(160) 에 저장한다(S570).
재생 단계(S560)에서는 현재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고{메모리(16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은 추후 설명함}, 재생 단계(S56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재생 단계(S560)의 수행 결과, 이동 단말기(100)는, 출력부(150)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출력되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 신호는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저장 단계(S570)를 수행함에 있어서, 메모리(160)의 용량 부족으로 인하여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장이 불가능한 경우,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삭제(이하 기 저장 콘텐츠 삭제) 및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하 수신 콘텐츠 재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기 저장 콘텐츠 삭제 및 수신 콘텐츠 재생에 대한 선택 동작은, 사용자에 결정에 따라 수행되거나, 제어부(180)에 의한 임의 결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저장 콘텐츠 삭제의 경우,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구성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부터 삭제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수신 콘텐츠 재생의 경우,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 및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순서(또는 시간)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라도 지정된 재생 순서(또는 재생 시간)에 관계없이 재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및 출력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리스트는, 사용자 지정 채널의 방송 편성 리스트(가이드)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및 출력은, 방송 출력 모드에 진입한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7c는, 방송 출력 중 채널 방향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정 채널로 전환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방송 출력 모드에 진입하여 임의 방송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도 17a참조), 사용자로부터 방송 채널 전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방송 채널 전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채널 키(키 영역)를 조작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도 17a에서 입력된 방송 채널 전환 신호에 상응하도록 방송 채널을 전환함으로써, 사용자 지정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선택 가능한 방송 채널에는, 방송 사업자가 단말에 방송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운영하는 방송 채널(이하 사업자 지정 채널) 및 사용자 지정 채널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사용자 지정 채널에 해당하는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 및 출력할 수 있다(도 17b).
한편, 재생 및 출력 대상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복수인 경우, 이동 단말 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 및 출력할 수 있다(도 17c). 예를 들어,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서 하나의 순서에 복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지정된 경우, 시간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서 하나의 시간대에 복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지정된 경우가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콘텐츠 리스트 타입에 따라 재생 및 출력 대상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선택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선택된 사용자 지정 채널에 해당하는 콘텐츠 리스트가 무작위 콘텐츠 리스트인 경우, 제어부(180)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선택된 사용자 지정 채널에 해당하는 콘텐츠 리스트가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인 경우, 사용자 지정 채널 최초 진입이면 첫 번째 순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 지정 채널 재진입이면 가장 최근 진입을 기준으로 채널 이용 종료 시점에 재생 중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또는 재생 완료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음 순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선택된 사용자 지정 채널에 해당하는 콘텐츠 리스트가 시간 지정 콘텐츠 리스트인 경우, 현재 시각이 포함되는 시간대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e는, 방송 출력 중 콘텐츠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정 채널로 전환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방송 출력 모드에 진입하여 임의 방송 채널로부터 제공 되는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도 18a참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지정 채널 리스트 보기에 해당하는 키(또는 키 영역)(도 18a의 MYCH) 또는 메뉴 항목을 선택받는 경우, 사용자 지정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8b, c).
더욱 구체적으로, 사용자 지정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지정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도 18b),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지정 채널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지정 채널에 해당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 18c). 또는, 사용자 지정 채널 리스트 디스플레이 과정을 생략하고, 곧바로 임의의 사용자 지정 채널에 해당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사용자 지정 채널을 전환할 수 있다(도 18c).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방송 미출력 상태에서 사용자 지정 채널 리스트 보기에 해당하는 키(또는 키 영역) 또는 메뉴 항목을 선택받는 경우, 임의의 사용자 지정 채널에 해당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8d).
도 18c 또는 도 18d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리스트 중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명령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 및 출력할 수 있다(도 18e).
한편, 도 17a 내지 도 18e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메모리(160)에의 저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판단 결과 메모리(160)에 저장된 경우 특정 멀 티미디어 콘텐츠를 메모리(160)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이용하여 재생하고, 상기 판단 결과 메모리(160)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실시간 콘텐츠인 경우라도, 현재 시각이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 시간이 지난 시점에 속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방송 시간에 수신하여 저장하였으므로, 상기 저장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시간 콘텐츠의 방송 시간을 놓친 경우라도 실시간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9는, 현재 순서 콘텐츠 및 기 저장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 대상 콘텐츠로서 선택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19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지정 채널에 진입하는 경우, 현재 순서(또는 현재 시각이 속하는 시간대)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를 재생할지 또는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지 여부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도 19에서 현재 순서 콘텐츠가 선택되면 현재 순서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고, 도 19에서 기 저장된 콘텐츠가 선택되면 기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고(기 저장된 콘텐츠가 복수인 경우 이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함), 도 19에서 동시 재생이 선택되면 현재 순서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기 저장된 콘텐츠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다.
특히, 동시 재생의 경우, 제어부(180)는, 오디오 신호 출력에 있어서 우선 순위가 부여된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비디오 신호 출력에 있어서 화면 분할 또는 화면 배분 기술(PIP 등)을 이용하여 두 콘텐츠의 비디오 신호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가능 상태를 알리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실시간 콘텐츠에 대하여 방송 시작 시점 또는 시작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의 시점에, 실시간 콘텐츠의 시작 알림 정보(예를 들어, 콘텐츠 명칭, 콘텐츠 제공 채널 정보, 방송 시간 정보 등)(2010)를 출력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실시간 콘텐츠의 시청 여부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도 20a).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비실시간 콘텐츠에 대하여 다운로드 완료 시점 또는 일정량 버퍼링된 시점에, 비실시간 콘텐츠의 시작 알림 정보(예를 들어, 콘텐츠 명칭, 콘텐츠 제공 채널 정보 등)(2020)를 출력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비실시간 콘텐츠의 재생 여부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도 20b).
더 나아가, 도 20a 및 도 20b에서 언급되는 콘텐츠 리스트가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 또는 시간 지정 콘텐츠 리스트인 경우, 도 20a 또는 도 20b에서 시작 알림 정보가 제공되는 콘텐츠가 현재 순서 또는 현재 시각이 속하는 시간대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아니라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재생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에 해당하는 사용자 지정 채널에 대하여, 화면의 일 영역에서 사용자 지정 채널 각각의 식별자(2030, 2040, 205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20c).
예를 들어, 재생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현재 시각에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현재 실시간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지정 채널의 식별자는 다른 식별자들과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20c에서 특정 사용자 지정 채널의 식별자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사용자 지정 채널에 해당하는 콘텐츠 리스트 중 현재 재생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식별자(2031, 2032, 2033)를 화면의 일 영역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20d).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지정 채널의 식별자 표시 과정을 생략하고, 모든 콘텐츠 리스트 중 현재 재생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식별자를 곧바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가능 상태 알림 동작은, 대기 상태, 애플리케이션 구동 상태(예를 들어, 음성/영상 통화 중, 메시지 송수신 중, MP3 구동 중), 방송 출력 상태를 포함하여 단말기의 어떤 상태에서라도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동작 또는 재생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콘텐츠 리스트를 시간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 한정하 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 콘텐츠에 한정하고, 시간 지정 콘텐츠 리스트의 시간대 간격을 1시간으로 한정할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수신 시간 및 재생 시간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또는 저장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먼저, 방송 시간이 7:00~8:00인 제 1 실시간 콘텐츠를 시간대 8:00~9:00에 지정하는 제 1 경우(①)를 설명한다. 제 1 경우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방송 시간인 7:00~8:00에 제 1 실시간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지정 시간대인 8:00~9:00에 상기 저장된 제 1 실시간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방송 시간이 7:50~8:40인 제 2 실시간 콘텐츠를 시간대 8:00~9:00에 지정하는 제 2 경우(②)를 설명한다. 제 2 경우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방송 시간인 7:50부터 지정 시간대의 시작 시점인 8:40까지 제 2 실시간 콘텐츠를 수신 및 저장하고, 지정 시간대인 8:00부터 8:50까지 상기 저장된 제 2 실시간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10분 늦은 실시간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일종의 타임 시프팅 기능에 유사함).
더 나아가, 제 2 실시간 콘텐츠의 재생 동작이 8:50에 종료됨에 따라 지정 시간대의 종료 시점이 9:00에서 8:50으로 변경되고, 이후 시간대의 시작 시점도 연동하여 8:00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실시간 콘텐츠의 재생 종료 시점인 8:50부터 이후 시간대의 시작 시점인 9:00까지의 공백 시간 동안, 기 저장된 임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방송 콘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방송 시간이 8:10~10:00인 제 3 실시간 콘텐츠를 시간대 8:00~9:00에 지정하는 제 3 경우(③)를 설명한다. 제 3 경우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방송 시간의 시작 시점이 지정 시간대에 속하므로 방송 시간의 시작 시점인 8:10부터 제 3 실시간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물론, 제 3 실시간 콘텐츠의 재생 동작이 10:00에 종료됨에 따라 지정 시간대의 종료 시점이 9:00에서 10:00으로 변경되고, 이후 시간대의 시작 시점도 연동하여 10:00로 변경되거나, 제 3 실시간 콘텐츠와 이후 시간대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9:00부터 10:00까지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하나의 시간대에 복수의 콘텐츠가 지정된 경우에 해당함).
도 22a 및 도 22b는, 제 1 및 제 2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방송 시간이 겹치는 경우 겹침 구간 동안 우선 순위에 따라 제 1 및 제 2 멀티미디어 콘텐츠 각각에 대한 재생 또는 저장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제 1 실시간 콘텐츠는 8:00~9:00의 방송 시간을 갖고, 제 2 실시간 콘텐츠는 8:40~10:00의 방송 시간을 갖는 경우, 8:40~9:00 동안 제 1 및 제 2 실시간 콘텐츠는 방송 시간 중 겹침 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겹침 구간 동안에, 제 1 및 제 2 실시간 콘텐츠 중 우선 순위가 부여된 실시간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재생하고, 나머지 실시간 콘텐츠는 저장할 수 있다.
먼저, 제 1 실시간 콘텐츠에 우선 순위가 부여된 경우(제 1 우선 순위),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실시간 콘텐츠를 8:00~9:00 동안 정상 재생하고, 겹침 구 간인 8:40~10:00 동안 제 2 실시간 콘텐츠를 저장하여 9:00~10:00 동안 상기 저장된 제 2 실시간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일종의 타임 시프팅 기능).
더 나아가, 제 2 실시간 콘텐츠의 재생 종료 시점이 10:20으로 변경됨에 따라, 다음 시간대의 시작 시점이 10:20으로 변경되거나 10:00~10:20 동안 제 2 실시간 콘텐츠 및 다음 시간대에 속하는 콘텐츠를 복수 개 지정할 수도 있다(상술함).
다음으로, 제 2 실시간 콘텐츠에 우선 순위가 부여된 경우(제 2 우선 순위),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실시간 콘텐츠를 8:00부터 8:40까지는 수신 및 재생하고 8:40부터 9:00까지는 수신 및 저장하고, 8:40부터 10:00까지 제 2 실시간 콘텐츠를 정상 수신 및 재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삭제 동작 또는 콘텐츠 리스트 삭제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삭제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 완료된 경우 메모리(160)로부터 상기 재생 완료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도 23a).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재생 완료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삭제 여부를 결정하거나(도 23a),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완료가 감지되면 이를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메모리(160)에 저장함에 있어서, 메모리(160)의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삭제 또는 현재 저장 대상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도 23b).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메모리(16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삭제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직접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도 23c).
도 24a 내지 24d는, 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를 삭제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 완료된 경우 특정 콘텐츠 리스트를 삭제할 수 있다(도 24a).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특정 콘텐츠 리스트의 삭제 여부를 결정하거나(도 24a),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완료가 감지되면 특정 콘텐츠 리스트를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콘텐츠 리스트에 설정된 유효 시간(상술함)이 지나면 특정 콘텐츠 리스트를 삭제할 수 있다(도 24b).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특정 콘텐츠 리스트의 삭제 여부를 결정하거나(도 24b),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콘텐츠 리스트에 에 설정된 유효 기간 경과가 감지되면 특정 콘텐츠 리스트를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콘텐츠 리스트 중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 완료되는 경우 특정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도 24c).
더 나아가, 사용자는, 콘텐츠 리스트 삭제 조건을 지정할 수 있다(도 24d). 예를 들어, 삭제 조건에는, 콘텐츠 리스트 자체 삭제, 콘텐츠 리스트 중 정기적 콘텐츠 삭제 제외, 사용자에 의해 삭제 제외 대상 콘텐츠 직접 지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콘텐츠 리스트의 갱신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갱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갱신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의 요청에 의해 수신되거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임의로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갱신 정보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업데이트 정보,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시간/방송 시간 변경 정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변경 금액 정보(유료에서 무료로 변경된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5a 내지 도 25c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를 갱신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갱신 정보를 수 신한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고 갱신 정보 확인 여부를 선택하도록 한다(도 25a).
도 25a에서 갱신 정보 확인(예)이 선택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된 갱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도 25b).
도 25b에서 갱신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리스트 편집 명령에 해당하는 키(또는 키 영역)(MYCH 편집) 또는 메뉴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화면 일 영역에 편집 대상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화면의 다른 영역에 갱신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편집 대상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갱신 정보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갱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신 중 음영 지역에 진입한 경우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신 중 음영 지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수신중인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포함된 콘텐츠 리스트 중 콘텐츠 타입이 상이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부터 검색하거나, 상기 수신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상이한 콘텐츠 타입에 해당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 동일한 콘텐츠를 검색한 경우, 무선 통신부(11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검색된 동일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색 결과 동일한 콘텐츠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무선 통신부(11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신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포함된 콘텐츠 리스트 중 수신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타입이 상이한 경우에 적용 가능한 이유는, 모바일 콘텐츠에 대하여 음영 지역인 경우라도 인터넷 콘텐츠에 대하여서는 음영 지역이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신 중 음영 지역에 진입한 경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신을 중단하고, 음영 지역에서 벗어난 경우 상기 수신 중단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중단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체를 재수신하거나 수신 중단된 시점부터 재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또는 시간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서 순서 변경된 경우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서 제 1 내지 제 3 콘텐츠 순서로 재생 순서가 지정된 경우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콘텐츠 재생 완료 후 제 3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순서가 변경되면, 제 2 콘텐츠를 재생 순서에서 제외하거나 제 2 콘텐츠를 제 3 콘텐츠 다음 순서로 순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거나, 시간/주파수 분할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콘텐츠 리스트 생성, 편집, 갱신 과정은 외부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 타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 생성, 편집, 갱신 과정의 수행 결과를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콘텐츠 리스트 생성, 편집, 갱신 과정이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되는 경우 인터넷을 통하여 수행 결과가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식별 장치가 착탈되는 상태의 후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콘텐츠 리스트 생성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 선택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무작위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콘텐츠 타입별로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무작위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장르별로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무작위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나이대별로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무작위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업자 추천 콘텐츠별로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무작위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천 리스트별로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순서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콘텐츠 타입별로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시간 지정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콘텐츠 타입별로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콘텐츠 리스트의 세부 조건을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를 편집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7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방송 출력 중 채널 방향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정 채널로 전환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8a 내지 도 18e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방송 출력 중 콘텐츠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정 채널로 전환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9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현재 순서 콘텐츠 및 기 저장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 대상 콘텐츠로서 선택하는 화면 구성도.
도 20a 내지 도 20d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멀티미디 어 콘텐츠의 재생 가능 상태를 알리는 화면 구성도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수신 시간 및 재생 시간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또는 저장을 나타낸 도면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제 1 및 제 2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방송 시간이 겹치는 경우 겹침 구간 동안 우선 순위에 따라 제 1 및 제 2 멀티미디어 콘텐츠 각각에 대한 재생 또는 저장을 나타낸 도면들.
도 23a 내지 도 23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삭제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24a 내지 24d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를 삭제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25a 내지 도 25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를 갱신하는 화면 구성도들.

Claims (24)

  1.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무선 통신부;
    상기 제공받은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임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특정 시점에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동작 및 저장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실시간/비실시간 모바일 방송 콘텐츠, 실시간/비실시간 인터넷 방송 콘텐츠, 멀티미디어 클립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외부로부터의 지정 동작에 따라,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재생 순서 및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 를 지정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지정된 재생 순서 및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도록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조건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특정 조건은,
    콘텐츠 타입, 장르, 나이대, 시청 가능 연령, 요일, 날짜, 콘텐츠 선호도, 사업자 추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수신 대상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비실시간 콘텐츠인 경우 단말 요청 시점에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대상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실시간 콘텐츠인 경우 실시간 제공 시점에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불가능 상태인 경우 상기 수신된 제 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가능 상태인 경우 상기 수신된 제 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 용량 부족으로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장이 불가능한 경우,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삭제 및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수신 중 음영 지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수신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동일한 콘텐츠를 검색한 경우 상기 동일한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동일한 콘텐츠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어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수신 중 음영 지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수신을 중단하고, 상기 음영 지역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신 가능 지역으로 진입한 경우 상기 수신 중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수신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상기 메모리에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저장된 경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검색하여 재생하고, 상기 판단 결과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상기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 로 재생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기준에 따라 상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어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삭제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 기준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삭제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공받은 갱신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를 재구성하는 이동 단말기.
  16.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제공받은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임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특정 시점에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동작 및 저장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재생 순서 및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수신 대상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비실시간 콘텐츠인 경우 단말 요청 시점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대상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실시간 콘텐츠인 경우 실시간 제공 시점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행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재생 불가능 상태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판단 결과 재생 가능 상태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단계에서 메모리 용량 부족으로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장이 불가능한 경우,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삭제 및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수신 중 음영 지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 동일한 콘텐츠를 검색한 경우 상기 동일한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동일한 콘텐츠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어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메모리에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행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저장된 경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검색하여 재생하고, 상기 판단 결과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23. 제 16 항에 있어서,
    소정 기준에 따라 상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어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삭제하는 단계; 및
    소정 기준에 따라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제공받은 갱신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를 재구성하는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KR1020090059743A 2009-07-01 2009-07-01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KR101604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743A KR101604693B1 (ko) 2009-07-01 2009-07-01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US12/649,246 US20110004826A1 (en) 2009-07-01 2009-12-29 Mobile terminal and multimedia contents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0166195.7A EP2276241B1 (en) 2009-07-01 2010-06-16 Mobile terminal and multimedia contents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0102210650A CN101945162A (zh) 2009-07-01 2010-07-01 移动终端及其多媒体内容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743A KR101604693B1 (ko) 2009-07-01 2009-07-01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47A true KR20110002247A (ko) 2011-01-07
KR101604693B1 KR101604693B1 (ko) 2016-03-18

Family

ID=4237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743A KR101604693B1 (ko) 2009-07-01 2009-07-01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004826A1 (ko)
EP (1) EP2276241B1 (ko)
KR (1) KR101604693B1 (ko)
CN (1) CN1019451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8812B2 (en) 2008-06-19 2015-04-14 Sirius Xm Rad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elected content tracks from two or more program channels to automatically generate a blended mix channel for playback to a user upon selection of a corresponding preset button on a user interface
WO2009070343A1 (en) 2007-11-27 2009-06-04 Xm Satellite Radio Inc Method for multiplexing audio program channels to provide a playlist
KR101556135B1 (ko) * 2008-09-01 2015-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5617207B2 (ja) * 2009-08-31 2014-11-05 ソニー株式会社 ユーザへのコンテンツ推薦方法、ユーザへのコンテンツ推薦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8954099B2 (en) * 2010-06-16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Layout design of proximity sensors to enable shortcuts
JP5857405B2 (ja) * 2010-12-28 2016-02-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再生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US8789086B2 (en) * 2011-02-11 2014-07-22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playback using multiple IPTV devices
US9154248B2 (en) * 2011-02-14 2015-10-06 Sirius Xm Rad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playback of content while switching among channels of broadcast or streamed content while being received
US8719277B2 (en) 2011-08-08 2014-05-06 Google Inc. Sentiment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object within a media
CN102957715B (zh) * 2011-08-19 2016-01-20 深圳市快播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系统
KR101828306B1 (ko) 2011-10-18 2018-02-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및 장치
US20130104047A1 (en) * 2011-10-19 2013-04-25 Dana E. Laursen System for delivery of random novel content
US20130106829A1 (en) * 2011-11-02 2013-05-02 Microsoft Corporation Selective roaming lists
US9524077B1 (en) * 2012-02-15 2016-12-20 Google Inc. Allowing users to categorize and visualize content recommendations
US20130347035A1 (en) * 2012-06-21 2013-12-26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to a favorite content source without an advertisement
US20140157123A1 (en) * 2012-11-30 2014-06-05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system for a personal channel on a multimedia device
WO2014105001A1 (en) * 2012-12-29 2014-07-03 Echostar Ukraine L.L.C. Content roadmap feature
US20140200897A1 (en) * 2013-01-11 2014-07-17 Geoffrey S. Stern Multimedia keepsakes and method and system for their manufacture
CN103347214A (zh) * 2013-06-29 2013-10-09 深圳市龙视传媒有限公司 一种电视节目信息显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5870163B2 (ja) * 2014-06-30 2016-02-24 達男 眞子 コンテンツ閲覧制限システム、コンテンツ閲覧制限方法及びコンテンツ閲覧制限プログラム並びにリムーバブルメディア読取装置
CN104135675A (zh) * 2014-07-30 2014-1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节目直播控制方法及装置
US9979993B2 (en) * 2014-09-15 2018-05-2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Network for personalized content aggregation platform
US10623803B2 (en) * 2015-09-09 2020-04-14 Patrick Laporte Essence content creation, modification and/or delivery methods and systems
CN106294560A (zh) * 2016-07-26 2017-01-0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清理音频文件的方法、装置及其智能终端
US10972779B2 (en) 2017-03-16 2021-04-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User defined content summary channel
CN107452378A (zh) * 2017-08-15 2017-12-08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语音交互方法和装置
KR102004343B1 (ko) * 2018-02-19 2019-10-01 박창민 가상화폐 결제 기반의 시간 맞춤형 콘텐츠 유통 방법
CN111462744B (zh) * 2020-04-02 2024-01-30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语音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03220D0 (en) * 1999-02-12 1999-04-07 Pace Micro Tech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television guide system
US20020056102A1 (en) * 2000-03-23 2002-05-09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Personal video on-demand system and method
US7080396B2 (en) * 2000-04-14 2006-07-18 Lg Electronics Inc. Event overrun and downstream event shift technology
WO2001097084A2 (en) * 2000-06-12 2001-12-20 Cachestream Corporation Personalized content management
US20020144267A1 (en) * 2001-03-29 2002-10-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ynamic television channel creation
US8943540B2 (en) * 2001-09-28 2015-01-27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a personalized channel
US7043479B2 (en) * 2001-11-16 2006-05-09 Sigmatel, Inc. Remote-directed management of media content
CN100423511C (zh) * 2003-03-03 2008-10-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具有接收节目功能的移动终端及节目接收控制方法
US8095952B2 (en) * 2004-06-02 2012-01-10 Panasonic Corporation Mobile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program, and semiconductor device
US7984467B2 (en) * 2004-11-23 2011-07-19 Stmicroelectron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20060253874A1 (en) * 2005-04-01 2006-11-09 Vulcan Inc. Mobile interface for manipulating multimedia content
KR100829113B1 (ko) * 2006-04-28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및 방법
KR20070115121A (ko) * 2006-05-30 2007-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Psip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정보에 관한 방송신호, 상기 방송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방송 수신기
US7623502B2 (en) * 2006-06-16 2009-11-2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media player
US8555318B2 (en) * 2006-12-06 2013-10-0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ustomized media on demand
US8782698B2 (en) * 2007-04-30 2014-07-15 Google Inc. Customizable media channels
JP5251039B2 (ja) * 2007-08-23 2013-07-3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049344B2 (en) * 2007-08-24 2015-06-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US20090094642A1 (en) * 2007-10-08 2009-04-09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on a display of a communication device
JP5042883B2 (ja) * 2008-02-28 2012-10-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ンテンツ推薦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推薦方法
US8782712B2 (en) * 2008-12-23 2014-07-1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media playl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76241B1 (en) 2013-12-18
CN101945162A (zh) 2011-01-12
EP2276241A1 (en) 2011-01-19
US20110004826A1 (en) 2011-01-06
KR101604693B1 (ko) 2016-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69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US8208965B2 (en) Displaying broadcast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715277B2 (en) Mobile terminal
KR101260770B1 (ko) 휴대 전자 기기 및 휴대 전자기기에서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
US8405571B2 (en) Display device in a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696869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431852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823654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3780932B (zh) 移动终端、广播终端及控制方法
US20110307836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10016493A1 (en) Mobile terminal and broadcast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2268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방송 서비스 가이드 정보를 이용한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CN105122780A (zh) 电子设备以及用于控制该电子设备的方法
US20140132779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2010003082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데이터 재생 방법
KR10188337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10114080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연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21878B1 (ko) 스마트폰의 멀티태스크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65711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10201441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4132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12889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콘텐츠 검색 방법
KR2011010812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3498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편집 방법
KR20120045465A (ko) 이동 단말기 및 선호 채널 저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