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041U -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 - Google Patents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041U
KR20110002041U KR2020090010983U KR20090010983U KR20110002041U KR 20110002041 U KR20110002041 U KR 20110002041U KR 2020090010983 U KR2020090010983 U KR 2020090010983U KR 20090010983 U KR20090010983 U KR 20090010983U KR 20110002041 U KR20110002041 U KR 201100020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g
filter
filter cloth
gas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순
Original Assignee
화신특수섬유휠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특수섬유휠타(주) filed Critical 화신특수섬유휠타(주)
Priority to KR2020090010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041U/ko
Publication of KR201100020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04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터 백을 내, 외측 여과천의 이중구조로 제작하여 필터 백을 통과하는 가스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분진 등의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에 있어서, 필터 백의 외벽을 구성하며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분진을 제거하는 외측 여과천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여과천의 내부에는 공간을 사이에 두고 내측 여과천이 더 구비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집진지, 필터 백, 내, 외측 여과천, 형상유지기구

Description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filter bag for pluse dust collectors}
본 고안은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 백을 내, 외측 여과천의 이중구조로 제작하여 필터 백을 통과하는 가스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분진 등의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화력발전소, 소각로나 각종 공장 등의 산업현장에는 각 설비로부터 배출되어 대기오염을 초래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가 설치된다.
이러한 집진기는 세정액을 이용한 스크러버와 고압의 전기를 이용한 전기집진기 등이 있으나, 근래에는 필터 백을 이용하여 분진을 여과하는 여과형 집진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여과형 집진기는 내부가 비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며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 등의 각종 분진이 함유된 가스를 하우징 내부로 흡입시 키는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분진을 걸러주는 필터 백 및 상기 필터 백을 거쳐 분진이 여과 처리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여과형 집진기에서 필터 백은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분진을 걸러 여과시키는 중요한 수단으로서 이러한 필터 백은 통상 여과천을 둥글게 말아 원통체 형태로 내부가 비어 있고 상, 하단은 개방시킨 단일 구조로 제작하여 분진이 함유된 가스를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가스에 함유된 분진을 걸러 여과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필터 백은 언급한 바와 같이 여과천을 둥글게 말아 원통체 형태로 단일 구조로 제작함에 따라 가스가 필터 백에 접촉할 수 있는 접촉면적이 한정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분진의 집진효율이 그다지 높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필터 백을 내, 외측 여과천의 이중구조로 제작하여 필터 백을 통과하는 가스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분진 등의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필터 백 내부에 형상유지기구를 설치하여 사용과정에서 필터 백의 형상이 일그러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에 있어서, 필터 백의 외벽을 구성하며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분진을 제거하는 외측 여과천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여과천의 내부에는 공간을 사이에 두고 내측 여과천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 여과천은 상기 외측 여과천의 단부를 수직으로 절곡시켜 상기 외측 여과천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백의 내부에는 형상유지기구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상유지기구는 상, 하부링과, 상기 상, 하부링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 진 상태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지지링으로 구성하며, 상기 상부링의 중앙에는 수평지지링이 설치되며, 상기 수평지지링에는 밴드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밴드의 타단은 상기 내측 여과천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은 내, 외측 여과천의 이중구조로 제작하여 필터 백을 통과하는 가스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분진 등의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필터 백 내부에 형상유지기구를 설치하여 사용과정에서 필터 백의 형상이 일그러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고안에서는 여과천을 원통체 형태로 둥글게 말아 필터 백을 제조하되, 상기 필터 백을 구성하는 외측 여과천 내부에 내측 여과천이 별도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가스와 필터 백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가스에 함유된 분진의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집진기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집진기는 내부가 비어 있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연결되며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 등의 각종 분진이 함유된 가스를 하우징 내부로 흡입시키는 흡입구(12)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된 분진을 걸러주는 필터 백(20) 및 상기 필터 백(20)을 거쳐 분진이 여과 처리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구(1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첨부된 도 2는 상기한 집진기를 구성하는 필터 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필터 백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터 백(20)은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분진을 걸러 여과시키는 수단으로서, 원통체 형태로 내부가 비어있으며, 그 상, 하단은 개방시켜 구성한 외측 여과천(22)으로 필터 백(20)의 외벽을 구성한다.
상기 외측 여과천(22)은 하우징(10) 내부로 흡입된 가스가 상기 외측 여과천(22)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분진을 걸러내게 된다. 상기 외측 여과천(22)을 통해 분진이 여과 처리된 가스는 하우징(10) 상단에 구비된 배기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한편, 상기 외측 여과천(22)의 내부에는 공간(26)을 사이에 두고 내측 여과천(24)이 더 구비된다. 상기 내측 여과천(24)은 상기 외측 여과천(22)과 함께 하우 징(10) 내부로 흡입된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분진을 걸러내게 된다. 이때 상기 내측 여과천(24)은 필터 백(20)의 개방된 하단으로 유입된 가스를 필터 백(20) 내부로 통과시켜 가스에 함유된 분진을 걸러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여과천(24)은 다양한 방식으로 하여 외측 여과천(22) 내부에 위치토록 구성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외측 여과천(22)으로 벽면을 구성할 때, 상기 외측 여과천(22)의 단부를 내측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시켜 외측 여과천(22)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시킨 상태로 외측 여과천(22) 내부에 위치토록 구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내측 여과천(24)을 통해 본 고안은 외측 여과천(22)이 가지는 여과면적만으로 가스에 함유된 분진을 걸러내는 것이 아니라 내, 외측 여과천(22, 24)이 가지는 이중의 여과면적을 통해 가스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가스에 함유된 분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필터 백(20)의 내부에는 필터 백(20)이 가지는 원통체의 형상이 사용과정에서 일그러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필터 백(2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형상유지기구(30)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형상유지기구(30)는 상, 하부 링(32, 34)과, 상기 상, 하부 링(32, 34)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지지봉(36)들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상, 하부링(32, 34)은 필터 백(20)의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필턱 백(20)의 위쪽과 아래쪽의 원형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수직지지봉(36)들은 필터 백(20)의 외벽을 이루는 외측 여과천(22)의 내 면에 접촉하며 외측 여과천(22)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 링(32)의 중앙에는 수평지지봉(38)이 상기 상부 링(32)을 가로지른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수평지지봉(38)에는 밴드(40)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밴드(40)의 타단은 전술한 내측 여과천(24)의 상단에 결합 구성되어 내측 여과천(24)이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통상 집진기의 작동은 흡기구(12)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가스가 흡입되고 나면 상기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분진은 필터 백(2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걸러지게 되고, 이어서 분진이 여과 처리된 가스는 배기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가스를 여과시키게 된다.
이때 가스는 본 고안의 필터 백(20)이 가지는 이중 구조를 통해 분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의 필터 백(20)은 내, 외측 여과천(22, 24)의 이중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하우징으로 흡입된 가스의 일부는 외측 여과천(22)을 통과하고, 나머지 가스는 내측 여과천(24)을 통과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이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분진을 걸러주는 여과천을 이중 구조로 제작하게 되면 가스와 여과천간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됨으로서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분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 백이 설치된 집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필터 백을 절개하여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20: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
22: 외측 여과천 24: 내측 여과천
26: 공간 30: 형상유지기구

Claims (4)

  1.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에 있어서,
    필터 백(20)의 외벽을 구성하며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분진을 제거하는 외측 여과천(22)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여과천(22)의 내부에는 공간(26)을 사이에 두고 내측 여과천(24)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여과천(24)은 상기 외측 여과천(22)의 단부를 수직으로 절곡시켜 상기 외측 여과천(22)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백(20)의 내부에는 형상유지기구(30)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기구(30)는 상, 하부링(32, 34)과, 상기 상, 하부링(32, 34)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지지링(36)으로 구성하며;
    상기 상부링(32)의 중앙에는 수평지지링(38)이 설치되며, 상기 수평지지링(38)에는 밴드(40)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밴드(40)의 타단은 상기 내측 여과천(24)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
KR2020090010983U 2009-08-24 2009-08-24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 KR201100020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983U KR20110002041U (ko) 2009-08-24 2009-08-24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983U KR20110002041U (ko) 2009-08-24 2009-08-24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041U true KR20110002041U (ko) 2011-03-03

Family

ID=4420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983U KR20110002041U (ko) 2009-08-24 2009-08-24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04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8817A (zh) * 2020-10-15 2021-01-05 泰州市恒达换热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变流速的空气净化设备
KR102585249B1 (ko) * 2022-07-11 2023-10-05 조재일 폐 리튬 배터리 분쇄 및 선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8817A (zh) * 2020-10-15 2021-01-05 泰州市恒达换热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变流速的空气净化设备
KR102585249B1 (ko) * 2022-07-11 2023-10-05 조재일 폐 리튬 배터리 분쇄 및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89845A1 (en) Ovate tubular filter cartridges and filter systems using the same
CN214319455U (zh) 一种旋风除尘装置
EP3733260A1 (en) Filter systems with dirty air chamber spacer elemen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50015203A (ko) 집진기용 백필터의 분진 탈진장치
KR20110002041U (ko) 펄스 집진기용 필터 백
KR200446600Y1 (ko) 집진기용 필터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백 어셈블리
CN104587783A (zh) 一种车间废气除尘装置
KR102037668B1 (ko)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
CN110064255B (zh) 一种便于清洁的袋式空气除尘器
KR101309829B1 (ko) 백 필터 유닛의 탈진 장치
CN217431142U (zh) 布袋除尘器
CN101695617B (zh) 高温烟气除尘过滤器
KR100545265B1 (ko) 여과집진장치
CN211159107U (zh) 一种环保的用于机械自动化加工车间的除尘设备
CN206168108U (zh) 一种除尘器用复合滤材
CN111544974A (zh) 一种工业除尘用污染处理装置
CN210751885U (zh) 一种适用于除尘车的粉尘分离装置
CN216498200U (zh) 滤网改进的除尘器
CN219518193U (zh) 一种大气污染治理用除尘装置
CN213856165U (zh) 一种清洁造纸用除尘设备
CN212492005U (zh) 一种用于圆型布袋除尘器的布袋下花板固定装置
CN211302384U (zh) 一种便于内部清理的袋式除尘器
CN215388326U (zh) 一种纱线加工用的过滤式除尘装置
KR20140003914U (ko) 진공청소 집진기용 카트리지 필터
CN213853645U (zh) 一种粉尘处理系统用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