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829B1 - 백 필터 유닛의 탈진 장치 - Google Patents

백 필터 유닛의 탈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829B1
KR101309829B1 KR1020110037730A KR20110037730A KR101309829B1 KR 101309829 B1 KR101309829 B1 KR 101309829B1 KR 1020110037730 A KR1020110037730 A KR 1020110037730A KR 20110037730 A KR20110037730 A KR 20110037730A KR 101309829 B1 KR101309829 B1 KR 101309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ilter
bag
dust
air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9638A (ko
Inventor
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지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지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지엠이엔지
Priority to KR1020110037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82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9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81Venturi's or systems showing a venturi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백 필터 유닛의 탈진장치는 더스트 룸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백 케이지와 이 백케이지의 외주를 감싸는 백 필터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백 필터 유닛들과, 상기 백 필터의 유입구와 이격된 백 케이지에 설치되어 백 필터의 탈진을 위해 유입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과 속도를 보상할 수 있는 가이드 베인 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백 필터의 탈진장치는 벤튜리 튜브를 통하여 배출되는 세척공기으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백 필터 유닛의 탈진 장치{cleaning apparatus of bag filter unit}
본 발명은 백 필터 유닛의 탈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백 필터의 유입구 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기류)의 압력과 속도를 증가시켜 필터백에 부착된 더스트를 제거하기 할 수 있는 백 필터 유닛의 탈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 장치는 보일러, 가열로, 폐기물소각로 등의 배출가스 중에서 그을음이나 먼지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어 왔으며, 화학분말제조, 제철소, 목재 가공업체, 샌드 브라스팅 장, 도장장, 시멘트 제조업체 및 기타 미세분진이 다량 발생하는 작업장에서 사용되어 왔다. 이외에도 제조공업에서는 IC 공정, 제약공정 등에서 공기의 청정화에 의한 제품의 품질향상 등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집진장치는 작동방식에 따라 기계식, 전기식, 건식 또는 습식으로 나뉘어지고, 제거하고자 하는 미립자의 크기가 10 ㎛ 정도 까지는 구조가 간단한 기계식(예를 들어, 중력침강실, 충돌식 집진장치, 원심력 사이클론등)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건식 집진장치는 기술개발과 구조개선에 의해 최근에는 1㎛ 입자까지도 압력손실이 비교적 낮은 상태에서 집진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나, 1㎛ 이하의 초미립자까지 집진하는 데는 장치의 특별한 구조와 압력손실, 고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처리가스의 유량이 2,000 내지 3,000 ㎥ /min 이상인 대유량에서는 전기 집진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이하의 중소 유량에서는 여과 집진기의 하나인 백 필터(bag filter)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여과 집진기(flter bag house)는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대기 중의 각종 입자상 물질이나 공장 등의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해 입자를 걸러 내거나 배출을 방지하는 대기오염 방지 장치의 하나이다. 이들 여과집진기의 여과방식으로는 얇은 종이나 섬유 등의 여과재 표면에 먼지를 붙이는 표면여과 방식과, 유리섬유, 면섬유 같은 두꺼운 층의 여과재를 자루 모양이나 평판형으로 만든 여과포(濾過布), 즉 백필터의 섬유층 속에 먼지를 모으는 내부여과 방식이 있다. 운전초기에는 여과재에 의해서만 먼지가 분리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여과재의 표면에 쌓이는 분진층이 여과체로서의 역할의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진층이 주 여과층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면서 포집효율은 상승하지만 동시에 가스흐름을 방해하는 저항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여과 집진기는 보통 분진의 크기가 1.0㎛ 이상인 경우에는 99% 이상의 효율을 나타낸다. 이 장치에서 분진을 포집하는 원리는 충돌, 직접차단, 정전기력에 의한 표면침착, 확산 등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한다. 이러한 집진 방식은 우수한 집진기술 중 하나로 여과재를 적절히 선택함에 따라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지만, 압력손실의 과부하로 인하여 여과재의 세공이 막히게 되면 여과재의 수명이 단축되며 운전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여과재 표면의 먼지 층이 지나치게 두꺼워지면 압력손실이 커지므로 어느 정도 사용한 뒤에는 먼지를 털어주는 탈진 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역기류 분사방식이 사용되는데, 이는 간헐식과 연속식으로 구분한다. 간헐식은 집진실을 3~4개로 나누어 압력손실이 규정 치에 이른 곳에만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고 먼지를 털어내는 방식이며, 연속식은 집진실을 나누거나 가스를 차단하지 않고 집진을 계속 진행하면서 차례로 여과재에 붙은 먼지를 털어내는 방식이다.
탈진 방법으로는 기계적으로 백 필터을 흔들어 주거나 진동 혹은 순방향으로 고압의 공기를 가해 주는 방법과 분진의 주 흐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역기류를 흘려줌으로써 탈진시키는 방법이 있다.
앞의 방법은 탈진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집진 조작을 멈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역기류를 흘려주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탈진 조작은 고압공기가 공급되는 통로의 형태나 위치 등에 따라 필터의 탈진효과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9-0058689호에는 백 필터 탈진 설비용 벤튜리 결합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0301507호에는 돌출형 벤튜리의 구성이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돌출형 벤튜리는 결합부가 하부에 장착되어 본체가 케이지의 상부로 돌출되어 여재의 사용효율을 증가시키며, 다수의 규격을 만족하는 다단으로 형성된 결합부를 이용하여 삽입만으로 취부가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일본 공개 특허 제 1994-063327호에는 분체 회수장치에 있어서, 필터 역세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역세장치의 벤튜리는 단순히 공기를 교축 할 수 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장치들에 게시된 벤튜리는 단순히 분사되는 공기를 교축 할 수 있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탈진을 위한 공기의 분사효율을 높일 수 없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0062469호에는 백 필터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노즐의 분사각을 45~70도로 구성하고, 공기를 2~6 kgf/㎠의 압력으로 분사하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이 게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백 필터 내부에 세척용 공기를 가속시켜주는 벤튜리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노즐효과가 일부 상쇄되게 되어 작업 효과가 감소 할 수 있다. 노즐의 각도 역시 45도 이상의 넓은 각도로 가공되므로 벤튜리가 없을 경우 백 필터 내부 표면에 제트공기가 고르게 분산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집진장치의 백 필터는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유입구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과 속도가 백 필터의 단부 측으로 갈수록 줄어 백 필터의 탈진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백 필터는 메쉬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부 측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과 속도로 공기를 분사 한다 하여도 백 필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 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백 필터의 하단부에서 상부측과 동일한 탈진 효과를 기재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백 필터의 내부에 가이드 베인부재를 설치하여 유입구 측으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압력과 속도의 손실을 줄여 백 필터의 탈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 필터 유닛의 탈진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진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백 필터의 수명연장이 가능하며, 백 필터에 의한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서는 대기 오염을 줄일 수 있는 백 필터 유닛의 탈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백 필터 유닛의 탈진장치는 더스트 룸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백 케이지와 이 백케이지의 외주를 감싸는 백 필터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백 필터 유닛들과, 상기 백 필터의 유입구와 이격된 백 케이지에 설치되어 백 필터의 탈진을 위해 유입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과 속도를 보상할 수 있는 가이드 베인 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부재는 중공부를 가지며 백 케이지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깃을 구비하며, 상기 각 가이드 깃의 단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백 필터 유닛의 입구에는 백 필터의 탈진을 위한 공급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기 위한 밴튜리 튜브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백 필터 유닛의 탈진장치는 백 필터의 탈진을 위한 유입구로 공급된 공기 또는 가스의 압력과 속도 손실을 줄여 백필터의 각 부위로 분사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백 필터의 각 부위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인의 실험에 의하면, 백 필터 내부의 백 케이지에 가이드 베인부재를 설치한 경우, 설치 부위에서의 압력과 속도를 종래에 비하여 20 내지 30%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 필터 유닛의 탈진장치가 설치된 집진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백 필터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베인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백 필터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는 백 필터 유닛의 유입구 측에 설치되는 벤튜리 튜브의 일부절제 사시도,
도 6은 밴튜리 튜브의 단면도.
본 발명의 백 필터 유닛의 탈진장치는 집진장치에 설치되어 백 필터에 포집(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백 필터 유닛(20)들이 설치된 집진장치(10)는 더스트 룸(11)이 형성된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더스트 룸(11)으로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공급하고 자중에 의해 포집된 분진이 저장되는 호퍼(1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 내의 상부측에는 호퍼(13)를 통하여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 또는 가스가 유입되는 하부룸(11a)과, 분진이 제거된 공기 또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상부 룸(11b)으로 구획하는 격판(15)을 구비한다. 상기 격판(15)에는 후술하는 백 필터 유닛(20)들이 설치되는데, 분진을 제거를 위한 공기 또는 가스가 백 필터(22)에 의해 제거된 후 상부룸(11b)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격판(15)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백필터 유닛(20)과 이의 상부측에는 백 필터(2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탈진유닛(30)이 설치된다.
상기 백 필터 유닛(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판(15)에 백 케이지(21)가 설치되고, 이 백 케이지(21)의 외주면에는 호퍼(13)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또는 가스로부터 이물을 제거하는 백 필터(22)가 설치된다. 상기 백 케이지(21)는 수직 지지부재(21a)와, 상기 수직 지지부재(21a)를 원주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평 지지부재(21b)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 지지부(21a)의 상단부에는 상기 수직지지부(21a)를 지지하는 고정링(21c)이 설치된다. 상기 백 케이지(21)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분진을 포함하는 가스 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백 필터(22)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백 필터(22)는 다공성 메쉬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이 메쉬부재는 금속 또는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메쉬부재 구멍(눈)의 크기는 포집하고자 하는 분진 입자의 크기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탈진유닛(30)은 백 필터 유닛(20)의 백 필터(22)에 역세를 위한 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탈진하는 것으로, 백 필터(22)의 유입구(22a)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백 케이지(21)에 설치되는 가이드 베인부재(40)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베인부재(40)는 백필터(22)의 유입구(22a) 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가이드 베인부재(40)는 중공부(41)를 가지는 본체(42)와, 상기 본체(42)의 내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깃(43)들을 구비한다. 각 가이드 깃(43)의 단부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44)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42)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깃(43)은 2 내지 6개가 설치되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중공부는 가이드 깃(43)들에 의해 구획되어 통로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경사부(44)에 의해 구획된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44)는 구획된 통로의 구획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깃(43) 및 경사부(44)에 의해 형성된 통로는 독립적이지 않고, 상호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백필터 유닛(20)의 백필터 유입구(22a)와 대응되는 상부 측에는 백 필터의 탈진을 위한 세척공기 공급부(35)가 설치된다. 이 세척 공기 공급부(35)는 상기 백 필터(22)의 상부에 공급관(31)이 설치되고 이 공급관(31)에는 상기 유입구(22a)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기위한 노즐(32)이 설치된다. 상기 공급관(31)은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 압축기(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공급관(31)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또한 상기 공급관은 송풍기 또는 압축기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는 메인 공급관과 연결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백 필터 유닛(20)의 유입구(22a) 측의 백 케이지(21)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튜리 튜브가 설치된다.
상기 벤튜리 튜브(50)는 중공부(51)를 가지는 벤튜리 본체(52)를 구비하고, 상기 벤튜리 본체(52)의 내주면에는 벤튜리 본체(5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이드 베인(56)이 설치된다.
상기 벤튜리 본체(52)는 중공을 가지는 원통형부(53)와, 상기 원통형부(53)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점차 확장되는 상부 확장부(54)를 구비하는데, 상기 상부 확장부(54)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부(54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부의 하부측에는 이로부터 하단부측으로부터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하부확장부(55)가 형성된다. 이 하부 확정부(55)는 상부 확장부(54) 보다 확장 길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확장부(55)의 외주면에는 고정을 위한 볼드들이 등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벤튜리 본체(5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베인(56)은 벤튜리 본체(52)의 내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기부(56a)와, 상기 기부(56a)의 단부 즉, 기부(56a)의 자유단에 벤튜리 본체(52)의 중심방향에 대해 경사진 가이드 경사부(56b)를 구비한다. 상기 각 가이드 베인(56)의 가이드 경사부(56b)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기부(56a)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기부(56a)와 가이드 경사부(56b)는 벤튜리 본체(52)의 중공부(51)를 길이 방향으로 분할하여 통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통로들이 독립되지 않도록 가이드 베인(56)이 상호 접촉되지는 않는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 경사부(56b)는 벤튜리 본체(52)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트위스트 될 수 있다. 즉, 나선방향으로 벤딩 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백 필터 유닛의 탈진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백 필터 유닛의 탈진장치를 이용하여 분진이 포함된 공기 또는 가스로부터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오염된 공기를 송풍기를 통하여 호퍼(13)의 측면에 형성된 유입구(22a)를 통하여 공급한다. 이와 같이 공급된 오염된 공기는 하우징(12)의 하부룸(11a)으로 유입된 후 백 케이지(21)에 지지된 백 필터(22)에 의해 분진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된 후 상부룸(11b)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백 필터(22)는 미세한 분진이 부착되어 메쉬부재로 이루어진 백 필터(22)의 눈(공기가 통과하는 구멍)이 막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백 필터(22)가 분진 등의 오염물질이 누적되면서 필터링 효과가 저하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백 필터(22)가 분진 등의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필터링 효과가 저하되는 경우, 호퍼(13)로 유입되는 가스나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송풍기를 구동시켜 공급관(31)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공급관(31)으로 공급된 공기는 노즐(32)를 통하여 유입구(22a)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분사된 탈진을 위한 공기(기류)는 소정의 압력과 속도로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어 백 필터(22)에 부착된 분진을 탈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탈진을 위한 공기는 백 필터(22)의 길이 방향으로 중간부위를 지나면서 압력과 속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 부위에 가이드 베인부재(4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속도와 압력이 보상된다.
이러한 속도와 압력의 보상은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공기 또는 가스가 백필터를 통과하면서 속도가 떨어지면서 와류가 발생되는데, 이 기류를 가이드 깃(43)에 의해 구획된 통로 즉, 중공부(41)가 가이드 깃(43) 및 이의 경사부(44)에 의해 구획된 통로를 통과하면서 와류 성분이 제거됨과 아울러 교축되어 압력과 속도를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보상된 공기 즉, 기류는 가이드 베인부재(40)를 통과하여 백 필터(22)의 단부측에 분사되어 탈진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탈진을 위한 기류의 압력과 속도가 줄어 백 필터의 단부 측의 탈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백필터 유닛(20)의 입구 측에는 벤튜리 튜브(5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백 필터의 탈진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노즐(32)로부터 분사되어 백필터(22)의 유입구(22a)를 통하여 주입된 공기나 가스는 벤튜리 본체(52)의 상부확장부(54)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일차적으로 교축어 유속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교축 된 공기(기류)가 벤튜리 본체(52)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형성된 가이드 베인(56)에 의해 가이드 되고, 원통형부(53)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확개되는 하부 확장부(55)에 의해 확산되어 하부 확장부(55)의 가장자리에서 분사각도 커진다. 그리고 하부 확장부(55)에서의 중앙위를 통과하는 세척공기의 분사속도는 증가된다. 따라서 벤튜리 튜브(50)를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공기는 백 필터(22)의 각 부외로 조사되어 백 필터(22)에 부착 된 분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벤튜리 튜브(50)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의 각도 및 속도를 다양화 할 수 있으므로 백의 탈진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특히 벤튜리 본체(52)에 형성된 가이드 베인(56)은 기부(56a)와 가이드 경사부(56b)로 이루어져 중공부를 길이방향으로 분할하여 실질적인 통로를 형성하게 되므로 공기는 난류화를 방지하여 속도와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밴튜리 튜브(50)를 통과한 공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백 케이지에 설치된 가이드 베인부재(40)를 통하면서 속도와 압력이 보상되어 백필터(22)에 분사되므로 백필터의 탈진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백 필터 유닛의 탈진장치는 벡키이지의 내부에 가이드 베인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속도 또는 압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백 필터의 탈진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의 실험에 의하면, 가이드 베인 부재의 설치 시 설치된 부위에서의 압력과 속도는 종래 장치에 비하여 20 내지 30%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더스트 룸(11)이 마련된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되는 백 케이지(21)와, 상기 백케이지(21)의 외주를 감싸는 백 필터(22)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백 필터 유닛(20)들과, 상기 백 필터(22)의 유입구와 이격된 백 케이지(21)에 설치되어 백 필터(22)의 탈진을 위해 유입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과 속도를 보상할 수 있는 가이드 베인 부재(40)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베인부재(40)는 중공부(41)를 가지며 백 케이지(21)에 고정되는 본체(42)와, 상기 본체(42)의 내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깃(43)이 구비되고, 상기 각 가이드 깃(43)의 단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44)가 구비되며,
    상기 백 케이지(21)의 유입구에는 백 필터(22)의 탈진을 위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는 벤튜리 튜브(50)가 구비되며,
    상기 벤튜리 튜브(50)는 원통형부(53)와, 상기 원통형부(53)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상부확장부(54)와, 상기 원통형부(53)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하부 확장부(55)를 가지는 벤튜리본체(52)와, 상기 벤튜리본체(52)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베인(56)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베인(56)은 벤튜리본체(52)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기부(56a)와, 상기 기부(56a)로부터 연장되며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경사부(56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필터 유닛의 탈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37730A 2011-04-22 2011-04-22 백 필터 유닛의 탈진 장치 KR101309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730A KR101309829B1 (ko) 2011-04-22 2011-04-22 백 필터 유닛의 탈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730A KR101309829B1 (ko) 2011-04-22 2011-04-22 백 필터 유닛의 탈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638A KR20120119638A (ko) 2012-10-31
KR101309829B1 true KR101309829B1 (ko) 2013-09-23

Family

ID=47286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730A KR101309829B1 (ko) 2011-04-22 2011-04-22 백 필터 유닛의 탈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8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667A (ko) * 2017-05-15 2018-11-26 주식회사 코레코 집진시설 백필터용 이단 제트 이젝터
EP4306196A1 (en) * 2022-07-11 2024-01-17 Camfil Aktiebolag An air flow guiding structure and an air filter cartrid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1471A (zh) * 2016-05-27 2016-08-10 镇江高海生物药业有限公司 一种气流干燥系统中的除尘箱
KR20180076895A (ko) * 2016-12-28 2018-07-06 주식회사 엠에코 백 필터 탈진장치
CN110983739B (zh) * 2019-12-27 2022-01-07 苏州市璟琇纺织有限公司 一种基于纺织面料上防过度挤压的纺织尘去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4836A (ja) * 1991-12-31 1993-07-27 Osamu Asai セルフクリーニング型のバッグフィルタ集塵機
JPH07178304A (ja) * 1993-06-30 1995-07-18 Osamu Asai セルフクリーニング式の集塵機および集塵機の脱塵用変向器
KR200321528Y1 (ko) 2003-04-28 2003-07-28 우리엔텍(주) 집진기 백필터용 이젝터
KR20090099240A (ko) * 2008-03-17 2009-09-22 주식회사 시원기업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4836A (ja) * 1991-12-31 1993-07-27 Osamu Asai セルフクリーニング型のバッグフィルタ集塵機
JPH07178304A (ja) * 1993-06-30 1995-07-18 Osamu Asai セルフクリーニング式の集塵機および集塵機の脱塵用変向器
KR200321528Y1 (ko) 2003-04-28 2003-07-28 우리엔텍(주) 집진기 백필터용 이젝터
KR20090099240A (ko) * 2008-03-17 2009-09-22 주식회사 시원기업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공기청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667A (ko) * 2017-05-15 2018-11-26 주식회사 코레코 집진시설 백필터용 이단 제트 이젝터
KR101957413B1 (ko) * 2017-05-15 2019-03-13 주식회사 코레코 집진시설 백필터용 이단 제트 이젝터
EP4306196A1 (en) * 2022-07-11 2024-01-17 Camfil Aktiebolag An air flow guiding structure and an air filter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638A (ko)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7910B2 (en) Cyclone dust collector
KR101311532B1 (ko) 백 필터 유닛의 탈진 장치
KR100855012B1 (ko) 여과 집진기용 탈리장치
AU2008203160B2 (en) Airflow reducing and redirecting arrangement for industrial baghouse
KR101309829B1 (ko) 백 필터 유닛의 탈진 장치
US10464004B2 (en) Bag filter filtration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dust accumulation
KR101688467B1 (ko) 분산부를 구비하는 사이클론형 백필터 집진기
KR102191152B1 (ko) 먼지 저감 장치
KR100935548B1 (ko) 여과집진장치의 백필터 탈진용 분사 노즐 및 이를 장착한여과집진장치
KR100894313B1 (ko) 집진장치
KR102486688B1 (ko) 탈진부를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CN205164389U (zh) 一种高效除尘装置
WO2019023871A1 (zh) 用于湿法脱硫的除尘除雾装置及机电耦合湿式除尘除雾器
KR102204348B1 (ko) 인입 개스로 셀프워싱하는 집진기
KR101643574B1 (ko) 백필터 탈진용 분사노즐
CN207769462U (zh) 一种离心喷淋装置
RU169127U1 (ru) Фильтр-циклон с конической вставкой и картриджным фильтром
US20200384400A1 (en) Top inlet vacuum pulse cleaning dust collector
CN104645738B (zh) 湿式静电油烟净化器中的除纤维装置
KR101860063B1 (ko) 물커튼 구조의 공기청정기
KR101525033B1 (ko) 원심분리형 축류식 집진장치
CN205164395U (zh) 一种旋风过滤式除尘器
KR100490646B1 (ko) 관성력을 이용한 집진장치
KR102204350B1 (ko) 에어블로잉으로 역세하는 집진기
KR100458865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분진제거용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